KR920002561B1 - 원자로 제어소자 클러스터의 변위 및 래칭장치 - Google Patents

원자로 제어소자 클러스터의 변위 및 래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561B1
KR920002561B1 KR1019850009869A KR850009869A KR920002561B1 KR 920002561 B1 KR920002561 B1 KR 920002561B1 KR 1019850009869 A KR1019850009869 A KR 1019850009869A KR 850009869 A KR850009869 A KR 850009869A KR 920002561 B1 KR920002561 B1 KR 920002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ster
head
displacement
latching
re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9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5387A (ko
Inventor
사바리 페르낭
Original Assignee
프라마똠므
샤르르 브루넹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라마똠므, 샤르르 브루넹고 filed Critical 프라마똠므
Publication of KR860005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5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7/00Control of nuclear reaction
    • G21C7/06Control of nuclear reaction by application of neutron-absorbing material, i.e. material with absorption cross-section very much in excess of reflection cross-section
    • G21C7/08Control of nuclear reaction by application of neutron-absorbing material, i.e. material with absorption cross-section very much in excess of reflection cross-section by displacement of solid control elements, e.g. control rods
    • G21C7/12Means for moving control elements to desired position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7/00Control of nuclear reaction
    • G21C7/06Control of nuclear reaction by application of neutron-absorbing material, i.e. material with absorption cross-section very much in excess of reflection cross-section
    • G21C7/08Control of nuclear reaction by application of neutron-absorbing material, i.e. material with absorption cross-section very much in excess of reflection cross-section by displacement of solid control elements, e.g. control rods
    • G21C7/10Construction of control elements
    • G21C7/117Clusters of control rods; Spider constr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자로 제어소자 클러스터의 변위 및 래칭장치
제1도는 원자로의 상부 내부 구조물내에 배치된 본 발명 장치의 주요 소자를 도시하는 일반적인 정면 개략도.
제2a도는 및 2b도는 고정 작업동안 성분에 의해 연속적으로 취해진 두개의 상태에서 고위치에 클러스터를 래칭하는 기구를 도시하는, 제1도의 II로 표시된 일점쇄선내에 포함된 장치 부분의 부분 수직 단면도.
제3도는 및 제4도는 제2a도의 III-III선과 IV-IV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5도는 클러스터가 하부 위치에 있는, 제1도의 V로 표시된 일점쇄선내에 포함되는 장치 부분을 수직 평면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6도는 및 제7도는 제5도의 VI-VI선과 VII-V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8a도는 및 제8b도는 각각 제2a도 및 제2b도에 대응하는 상태에서 본 장치의 탐지수단을 도시한, 수직 평면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9a도 및 제9b도는 제2a도 및 제2b도에 대응하는 상태에서의 각각의 제어수단을 도시하는 제1도의 IX로 표시된 일점쇄선내에 포함되는 장치 부분을 수직 평면을 따라 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부호의 설명
10, 26 : 소자 18 : 구동 샤프트
19 : 슬라이드 20 : 안내관
28 : 헤드 36 : 변위 샤프트
38 : 감압실 42 : 탄성 날개
46 : 가요성 날개 52 : 환상 볼트
54 : 확대부 62 : 열보호 머프
68 : 균형추 72 : 벌브
80, 82 : 탐지 코일
본 발명은 원자로서 코어내에서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어 소자의 클러스터를 변위 및 유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클러스터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두개의 동축으로 이동가능한 크러스터 세트의 부품들이다.
그와 같은 세트들로 인해, 운전, 동력, 제어통제, 배출 연료의 보충 및 원자로의 폐쇄가 보다 확실하게 좋아질 수 있다. 특히, 클러스터중 한 클러스터가 매우 높은 중성자 흡수율을 가진 소위 "검은색"소자로 형성되고 다른 클러스터가 "회색"소자로 형성되는 세트들이 제안되어 왔다. "검은색"소자의 클러스터는 그 최하불 위치까지 내려감으로써 원자로의 코어내에 삽입되어 반작용을 폐쇄해주고 정지된 채로 유지된다. 변위장치는 앙 클러스터에 의해 부분적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프랑스공화국 특허 제2,106,373호 참조). 또한, 한 클러스터가 흡수제 소자를 포함하고 다른 클러스터가 친핵연료 물질을 함유한 소자로 된 각각의 클러스터를 위한 분리 장치를 갖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프랑스공화국 특허 제2,537,764호). 그러나, 종래의 어떠한 장치에도 복잡한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다른 클러스터가 그 최단부 위치들중의 한 곳에 놓여 있을때 클러스터들 중의 하나의 변위에 대해 완전한 자유를 허용하지 못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자로의 코어 내외로 제어소자의 제1클러스터를 수직으로 변위해주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장치는 두개의 최단부 위치가 제1클러스터에 의해 그리고 단지 간단한 수단을 사용하므로서 점유되어지든 어떻든간에 제2클러스터에 대한 조정을 완전히 자유롭게 허용해 주는동안 그 두개의 최단부 위치들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1클러스터를 가져와 유지해주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유압 편차에 의해 수직축을 따라 이동가능한 수직 샤프트와 이동하게 될 제1클러스터의 적어도 한 헤드와 협력하는 이송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상의 헤드를 위한 탄성 유지 수단을 포함하는 변위 및 래칭 장치를 제공해준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고정된 클러스터 안내관에 의해 이송되며 헤드를 고정하고 중력에 대항하여 헤드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핑거를 가지며 상부 위치에 래칭하는 기구과, 상기 제1클러스터의 변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탄성 핑거의 해제를 방지해주는 위치를 향해 탄성적으로 밀어 붙혀지고 상기 제1클러스터가 정상 작동해서 제2클러스터에 의해 취해진 최상의 위치를 지나 상향으로 이동될때 제2클러스터를 제어하는 기구와 협력하는 볼트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배열로 인해, 이동될 클러스터는 통상적으로 전자기 형태의 단계식 운동으로 인한 다른 클러스터 제어기구의 가속 및 충격을 받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원자로의 코어내외로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제어소자 클러스터 변위 및 래칭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장치는 유압 편차의 작용에 의해 그 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클러스터의 적어도 한 헤드를 지지하는 수단을 갖는 수직 샤프트와 상기 지지수단상에서 헤드를 고정하고 6 중력 작용에 대항하여 헤드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핑거를 갖는 고위치 유지 기구와, 제2탄성 핑거의 해제를 방지해주는 위치를 통해 탄성적으로 밀어붙혀지고 제2클러스터가 정상 작동시에 취해진 최상 위치보다 위로 이동될때 제2탄성 핑거를 해제해주는 위치로 가져갈 수 있도록 제2클러스터를 제어하는 기구와 협력하는 수직 이동 가능한 볼트도 포함하고 있다.
고위치 고정 기구는 일반적으로 원자로의 내부에 포함되며 핵연료 집합체보다 위에 배치되는 고정 안내관에 의해 운반될 것이다. 양호하게, 안내관과 집합체의 단부편 양자에는 모두 클러스터 지지수단을 안내하기 위한 슬라이드가 제공되며 가능한한 어떤 편심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지지수단은 동시에 맞물리지 않게 되어 있다.
본 장치는 장치시에 점유하고 있는 하부 위치와 외부 클러스터에 헤드 또는 각각의 헤드에 의해 뒤로 밀려지는 상부 위치 사이를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균형추를 구비한 클러스터 위치 탐지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예로 주어진 특정 실시예에 다음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이제부터 실시예로서 기술된 본 장치는 동일한 핵연료 집합체의 내부보다 다소 깊게 맞물어주기 위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어소자의 두 클러스터 세트로 된 제어기구에 관하는 것이다. 단순화를 위해 그리고 이 기구는 두개의 동축 샤프트로 구성되기 때문에 변위 및 고정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클러스터는 그 제어 샤프트가 다른 것에 의해 둘러싸여 있음으로 인해 "내부 클러스터"라는 용어로 표시될 것이다. 다른 클러스터는 상대적으로 "외부 클러스터"라 불려질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술어는 단지 보다 단순화하기위해 사용된 것이라는 것을 물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전술한 프랑스공화국 특허 제 2,537,764호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일반적인 구성을 갖는 기구와 연합되는 두개의 제어 클러스터를 동축으로 설치한 것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외부 클러스터는 구동 샤프트(18)의 말단 팽창 가능 슬리브(16)에 결합하도록 제공된 포멜(pommel) 또는 확대 단부(14)와 단단히 고정된 크로스형 브래킷(12)에 의해 지지되는 16개의 소자(10)로 이루어져 있다. 이 클러스터의 운동은 상부 코어판(도시안됨)에 의해 지지되는 원자로의 상부 내부 설비에 포함된 안내관(20)에 의해 안내되고 있다.
샤프트(18)는 원자로의 용기 덮개를 관통하여 그 위에 고착된 덮개와 유체 밀봉 상태를 이루는 슬리브(22)에 의해 자체적으로 안내되고 있다. 외부 클러스터는 단지 그 단일코일(24)이 제8a도에 도시되어 있는 전자기 그리퍼형 구동장치에 의해 작동 된다. 이 장치는 이미 언급된 프랑스공화국 특허 제2,537,764호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것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부 클러스터의 소자(10)는 붕소 화합물과 같은 중성자 흡수물질을 함유하게 되며 집합체속에 들어가는 클러스터의 길이를 보다 크게 또는 보다 적게 함으로써 원자로를 제어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내부 클러스터는 클러스터 수직축을 중심으로 90°의 간격을 두고 4그룹으로 나누어진 40개의 소자(26)를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그룹은 이후에 부그룹 또는 부 클러스터라는 용어로 표현될 것이다. 각각의 부 그룹은 방사상으로 배치된 판형태의 헤드(28)를 포함하고 있다. 부 그룹의 수직 변위를 제공하는 장치는 변위 샤프트(36)에 포함된 슬리브(34)의 최단부 탄성 핑거를 고정시켜줄 수 있는 포멜(32)을 구비한 크로스형 브래킷(30)을 포함하고 있다(제5도 참조). 4개의 슬라이브(19)(제3도 참조)가 포멜(32)을 안내하기 위해 안내관(20)상에 제공된다. 샤프트(36)는 가감속 및 냉각유체(가압수형 원자로내의 경수)의 압력을 사용하는 리프팅 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그것을 위해, 샤프트(18)의 최단부 부분(40)은 실내에 퍼져있는 압력을 제어하는 밸브에 연결된 출구 도관을 갖는 감압실(38)속으로 유체 밀봉적으로 돌출하는 플런저를 형성하고 있다.
예를들어, 소자(36)는 친핵연료 물질을 포함할 것이다. 친핵연료 소자의 클러스터가 원자로 사용기간중 중성자의 에너지 스펙트럼을 수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내부 클러스터는 집합체들이 제5도에 도시된 새로운 위치에 놓여질때 코어속으로 완전히 끼워질 것이다. 그러나, 원자로의 작동중, 약간이 내부 클러스터들이 추출되어 제2도에 도시된 상부 위치에 고정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각 부 클러스터의 헤드(28)는 하나가 크로스형 브래킷(30)에 다른 하나가 상부 위치에서 부 클러스터를 고정해주는 블록에 각각 포함되는 두개의 탄성 고정 날개들중 어느 하나와 협력하는데 적합하게 되어 있다.
포멜(32)에 의해 운반되는 4개의 탄성 날개(42)(부 클러스터당 한개)는 브래킷(30)의 아암 단부에 각각 배치된다. 이들 탄성 날개(42)들은 내부의 샤프트(36)가 하부 위치에 있을때 부 클러스터들이 폭파되는 것을 방지해 줄 것이다. 각각의 날개(42)는 대응하는 부 클러스터의 헤드(28)내에 있는 노치(44)에 맞물리는 돌출편을 가지므로서 상승을 방지해준다. 포멜(32)이 대응하는 집합체의 상부 단부편(46)내에 수납되어 있을때(제5도 참조), 가요성 날개(42)는 단부편에 의해 축방으로 유지되어 휘어질 수 없으며, 부 클러스터를 정확히 유지시켜 준다. 포멜이 단부편(46)의 외측에 있을때 이러한 록킹 효과가 사라지기 때문에, 날개(42)의 굽힘 저항은 부 클러스터의 불시의 탈출과 상승을 방지하기에 포멜(32)이 다른 슬라이드 세트에 맞물리기 전에 자체적으로 한 슬라이트 세트를 속박할 수 있도록 센터링 슬라이드(47)를 갖고 있다.
상부 위치에서 부 클러스터를 고정해주는 블록(제2도 내지 제4도 참조)도 부 클러스터당 하나의 가요성 날개(48)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4개의 가요성 날개는 안내관(20)의 단부에 설치된 판(50)에 의해 이송된다. 확대부(54)에서 끝나는 환상 볼트(52)는 이 판내에서 미끄러진다. 스프링(56)은 날개(48)가 헤드(28)상의 단부 이빨(58)의 경로를 자유롭게 해주는 동안 내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해주는 하부 위치까지 상기 볼트를 후방으로 밀어 붙혀준다(제2b도 참조). 외부 클러스터의 포멜(14)은 샤프트(18)가 원자로서 제어하기 위해 취할 수 있는 최상의 위치를 지나칠 경우 즉 샤프트가 과도한 상향 운동을 받을 경우 날개(48)를 해제하도록 볼트의 확대부(54)에 대항하여 접촉하고 그것을 상승시켜주는 돌기(60)를 가진다(제2a도 참조)
완전한 작동은 나중에 후술될 것이다. 그러나, 가요성 날개(48)가 볼트(52)에 의해 해제될때 부 클러스터의 헤드(28)는 날개(28)를 구부리므로서 래칭 블록내에 형성된 각각의 하우징에 맞물릴 수 있다는 것은 이미 언급하였다. 샤프트(36)의 작용하에 부 클러스터의 상향 운동은 래칭 블록에 대향한 포멜(32)의 접촉에 의해 제한된다(제2a도 참조). 이 접촉 위치에서 헤드(28)는 그들의 영구 고정위치(제2b도에 도시)보다 약간 위에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래칭 블록내에서 부 클러스터의 존재를 탐지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이 장치는 하부위치부 클러스터가 집합체내에 있는 경우)와 상승위치 사이를 활주하기 위해 슬리브(22)내에 고착되는 대신에 장착되는 열보호 머프(62)로 이루어져 있다(제8a도 참조). 탐지 수단은 그 상부 위치에서 머프의 도착을 결정해주므로서 작동한다. 제8a도 및 제8b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들 수단은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정지 위치에서 유체 밀봉 벌브(72)내에 놓여지고 머프(62)가 상승할때 폐쇄되기 적합한 한세트의 전기 접점 아래에 위치하는 한 세트의 영구자석(70)을 포함한다.
머프(62)는 부 클러스터의 헤드(28)에 의해 밀기부재(69)를 거쳐 지지되는 균형추(68)상에 놓여진 튜울립(60)내부에서 끝난다. 따라서, 균형추(68)와 머프(62)는 해제시 부 클러스터를 그들의 상부 걸림 위치로부터 밀어 붙히려는 경향이 있으며 대응하는 샤프트가 하부 위치에 놓여질때 그리고 래칭 블록이 해제될때 내부 클러스터가 낙하하는 것을 확실하게 보장해준다.
양호하게, 내부 클러스터를 제어하는 샤프트(36)에는 그 이동중인 상부단에서 상기 샤프트의 존재를 탐지해주는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제9a도 및 제9b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들 수단은 강자성부가 탐지 코일(80)의 내측에 올때 감지할 수 있을 정도로 그 인덕턴스를 수정하는 단부 강자성부(78)를 포함한다. 이들 탐지수단은 래칭 블록에서의 부 클러스터의 존재를 확인하며 열보호 머프의 상승에 의한 탐지도한다. 마찬가지로, 과도한 상향 이동에 있어서의 최종 운동단계중, 외부 클러스터를 제어하는 샤프트(18)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탐지 코일(82)(제9a도 및 제9b도 참조)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외부 클러스터의 포멜(32)에는 다목적 완충기가 설비되어 있다. 이 완충기는 내부 클러스터뿐 아니라 외부 클러스터의 돌발적인 낙하에 대항해서도 핵연료 집합체를 보호해야만 한다. 그와 같은 목적을 위해, 단부편(46)의 바닥에 대항하여 접촉하려고 하는 플런저(90)와 포멜의 내측 견부(88)에 대항하여 상기 플런저(90)의 칼라를 유지하려고 하는 두개의 동심 스프링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포멜은 또한 외부 클러스터가 낙하할 경우 외부 클러스터의 브래킷 또는 스파이더(12)이 충격을 받아들이는 외측 견부(86)를 갖고 있다. 스프링(83, 84)에 의해 제공된 완충 성능은 포멜의 내부실로부터 물을 빼내주는 구멍(85)의 크기에 따라 제어되는 유압 완충작용에 의해 증가될 것이다.
포멜(32) 및 대응 샤프트(36)가 다시 아래로 이동하게 하고 흡수제 소자(10)로 이루어진 외부 클러스터에 대해 완전히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내부 클러스터를 상부 위치에 고정하고 브래킷(30)을 해제하는 가능한 순서를 이제부터 기술한 것이다.
흡수제 소자의 외부 클러스터는 먼저, 코일(24)로 이루어진 전자기 변위 수단에 의해 그 과도한 상향 이동의 단부, 즉 제2a도, 제8a도 및 제9a도에 도시된 위치로 보내어진다. 이 과도한 이동의 단부는 샤프트(18)의 최종 홈내에 고정 슬리브(22)에 끼워진 걸쇠(도시안됨)가 맞물리도록 대응한다.
고정 블록은 볼트(52)가 돌출부(60)에 의해 상승되기 때문에 날개(48)를 해제해 줄때에 풀어진다. 탐지코일(82)은 외부 클러스터가 그 과도한 상향 이동의 단부에 도달되었다는 것을 조사해준다.
다음에, 내부 클러스터의 부 클러스터는 감압실(38)의 감압에 의해 작동되는 샤프트(36)에 의해 상승될 수 있을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상승은 원자로내에 퍼져 있는 것보다 낮은 15 내지 20bar의 값으로 감압실(38)내부에 압력을 가져오게 하므로서 초래된다. 다음에, 샤프트(36)는 제2a, 제8a도 및 제9a도에 도시된 위치에 오게 된다. 부 클러스터의 헤드(28)는 최종 고정 높이(제2a도) 보다 약간 위에서 래칭 블록에 제공되는 하우징 내에 완전히 맞물려진다. 이 위치에 있어서, 헤드(28)는 밀기부재(69)와 균형추(68) 및 머프(62)를 상승시켜 준다. 래칭 블록내에서의 부 클러스터의 존재는 따라서 두가지 다른 방식에 의해 탐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중 한 방식은 벌브(72)내에 포함된 스위치가 자석(70)에 의해 폐쇄되는 것에 의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그 상부 최단부 위치내에서의 샤프트(36)의 존재가 단부 강자성부(78)에 마주하는 코일(80)에 의해 탐지되는 것에 따른 것이다.
래칭 블록내에 부 클러스터를 고정하기 위해, 샤프트(18)는 높이 h0까지 하강된다(제9b도 참조). 하향 운동의 폭은 전자기 수단의 진행 단계수를 계산하고 탐지코일(82)을 사용하므로서 결정된다. 부품들의 칫수는 높이 h0까지 샤프트(18)를 하강시킨 후, 샤프트가 여전히 감압실(38)내에 유체 밀봉적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정해져야만 한다. 특히, 높이h0는 5개의 진행 단계와 동일하게 그리고 높이 h1은 2개의 단계와 동일하게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하향 작동중 감압실(38)내의 감압은 미리 예정되어 있던 값으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내부 클러스터가 현수되어 있는 샤프트(36)는 여전히 상부 위치에 있게 된다. 그러나, 더이상 상향으로 밀리지 않기 때문에 볼트의 확대부(54)는 날개(48)의 최단부 확대부에 대항하여 접촉하게 되고 이들 날개들을 부 클러스터의 단부 이빨(58)에 대항하여 맞닿게 된다.
다음에, 감압실(38)내에 퍼져 있는 감압이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그리고, 제어 샤프트(36)는 하방으로 이동한다. 부 클러스터는 헤드(28)가 제2b도에 도시된 위치에 오자마자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샤프트(36)의 낙하 개시는 코일(80)에 의해 공급되는 신호 변환에 따라 표시 된다.
샤프트(36)와 포멜(32)의 계속적인 낙하에 따라, 포멜에 의해 운반되는 탄성 날개(42)는 제2b도에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움직이도록 변형되면서 노치(44)를 떠난다. 다음에, 이들 날개들은 부 클러스터의 헤드(28) 모서리를 따라 미끄러져 그들의 정지위치로 다시 돌아가게 된다(제1도 참조). 포멜의 낙하 단부에서는 포멜내에 합체된 완충기에 의해 속도가 늦춰진다(제5도 참조). 벌브(72)내의 모든 스위치들이 여전히 폐쇄되어 있다는 것을 조사하므로서, 부 클러스터가 확실히 고정된 채로 유지된다는 것을 바로 알 수 있다.
고정 작업이 이루어져 포멜(32)이 완전히 하부에 있게 되며 외부 클러스터기등은 완전히 자유롭게 됨을 알 수 있다.
부 클러스터의 해제와 핵연료 집합체내에서의 그 위치 결정은 바로 위에 기술되어진 것에 실질적으로 역으로 작동해주므로서 제공된다. 샤프트(36)는 감속에서 상승하도록 감압실(38)내의 감압을 충분히 낮은 값으로 제어해 주므로서 상승된다는 사실에 주목해야만 된다. 다음에, 감압실(38)내의 감압은 기동하는 샤프트(18)에 의해 풀려지기 전에 그 최대치까지 증가된다.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된 본 장치의 실시예는 어떤 제한을 받지는 않는다. 본 장치는 특히 보다 뛰어난 탐지 신뢰성을 제공하기 위해 부가의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이동의 바닥 단부에서 부 클러스터의 존재를 조사하기 위해 부가의 감지기가 집합체 단부편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부가의 유압완충기가 충격을 제한하기 위해 제공될 수도 있다.

Claims (4)

  1. 제1클러스터와 동축으로 이동하고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외부 클러스터(10 내지 14)가 제공되어 있으며 내부 클러스터가 집합체(46)상에서 정지하고 있는 하부 위치와 내부 클러스터가 집합체의 외부에 있는 상부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모터 수단(38, 40)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내부 클러스터를 지지하는 수단(30 내지 34)을 이송하는 수직 구동 샤프트(36)를 포함하는, 원자로 집합체 내외부로 수직 이동 가능한 원자로 제어 소자 클러스터의 변위 및 래칭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부 클러스터는 각각 헤드(28)를 갖는 복수개의 부 클러스터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수단(30 내지 34)은 다른 부 클러스터와 결합한 헤드(28)를 개별적으로 수용할 수 있게 배열되며 상기 장치는 부 클러스터 상에 가해지는 중력에 대항하여 헤드를 고정하고 유지하는 부 클러스터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탄성 핑거(48)를 갖고 상기 부 클러스터를 상부 위치에 래칭하는 기구(48 내지 58)와 상기 외부 클러스터의 정상 작동중 그에 의해 취해지는 최상 위치를 초월해 이동할때 외부 클러스터의 구동기구에 의해 탄성 핑거(48)의 해제를 방지하는 제1위치로 탄성적으로 밀어 부쳐지고 상기 부 클러스터를 자유스럽게 하고 탄성 핑거(48)를 휘게 하는 제2위치로 이동되는 이동 가능한 볼트(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제어 소자 클러스터의 변위 및 래칭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정적인 안내관(20)은 상기 집합체 위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위치에 래칭하는 기구(48 내지 58)를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제어 소자 클러스터의 변위 및 래칭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클러스터를 구동하는 변위 샤프트(36)는 외부 클러스터가 상부 위치에 있을때 외부 클러스터를 지지하는 구동 샤프트(18)에 의해 폐쇄되는 슬리브 내부에 감압실(38)을 형성하도록 외부 클러스터를 지지하는 구동 샤프트(18)를 통해 슬리브 내부로 상향 돌출하며 상기 수단은 원자로의 전체 용기 내부에 보급된 압력 이하로 상기 감압실(38)내에 보급되는 압력을 감소시키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제어 소자 클러스터의 변위 및 래칭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클러스터의 위치를 탐지하는 수단과 정지시 점유하는 하부 위치와 외부 클러스터의 헤드 또는 각각의 헤드(28)에 의해 내부로 밀리는 상부 위치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균형추(68)와 상기 균형추의 축 위치를 탐지하는 감지기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제어 소자 클러스터의 변위 및 래칭 장치.
KR1019850009869A 1984-12-27 1985-12-27 원자로 제어소자 클러스터의 변위 및 래칭장치 KR9200025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419916A FR2575581B1 (fr) 1984-12-27 1984-12-27 Dispositif de deplacement et d'accrochage d'une grappe de crayons de commande de reacteur nucleaire
FR19916 1984-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387A KR860005387A (ko) 1986-07-21
KR920002561B1 true KR920002561B1 (ko) 1992-03-27

Family

ID=9311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9869A KR920002561B1 (ko) 1984-12-27 1985-12-27 원자로 제어소자 클러스터의 변위 및 래칭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755346A (ko)
EP (1) EP0188163B1 (ko)
JP (1) JPS61161490A (ko)
KR (1) KR920002561B1 (ko)
AT (1) ATE41715T1 (ko)
CA (1) CA1252230A (ko)
DE (1) DE3569057D1 (ko)
ES (1) ES8707364A1 (ko)
FR (1) FR2575581B1 (ko)
YU (1) YU204485A (ko)
ZA (1) ZA85981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188B1 (ko) * 2013-07-08 2015-05-2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4개 이상의 래치를 갖는 제어봉 구동장치 모터 집합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96577B1 (fr) * 1992-10-05 1994-12-02 Framatome Sa Equipements internes de réacteur nucléaire à guides de grappe de commande.
US5323435A (en) * 1993-07-16 1994-06-21 Combustion Engineering Inc. Control rod housing support bars with wing assemblies
US5321732A (en) * 1993-07-16 1994-06-14 Combustion Engineering Inc. Control rod housing support bars with radiation shields
FR2736747B1 (fr) * 1995-07-12 1997-08-22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de desaccouplement automatique d'une tige de commande et d'un ensemble absorbant de reacteur nucleaire
US5711629A (en) * 1996-01-11 1998-01-27 Framatome Cogema Fuels Reconstitutable rod cluster control assembly with biased driver
US5669729A (en) * 1996-01-11 1997-09-23 Framatome Cogema Fuels Reconstitutable rod cluster control assembly
US20050207524A1 (en) * 2002-07-18 2005-09-22 Framatome Anp Gmbh Method for preparing a built-in part of a fuel element of a pressurized water nuclear reactor for disposal, and corresponding conditioned built-in part
EP1782727A3 (en) * 2002-10-03 2007-07-25 Etview Ltd. Tube for inspecting internal organs of a body
JP2007071229A (ja) * 2005-09-02 2007-03-22 Sanki Eng Co Ltd 伸縮管継手および配管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54472A (en) * 1960-03-07 1964-10-27 Bailey Meter Co Rod drive for nuclear reactor
DE1764577B1 (de) * 1968-06-28 1971-05-06 Siemens Ag Kernreaktor regelstabeinrichtung
DE2044303C3 (de) * 1970-09-08 1974-06-06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Doppelsteuerelement für Druckwasserreaktoren
US3906469A (en) * 1973-06-12 1975-09-16 Combustion Eng Magnetic-electric position sensor
US3905634A (en) * 1974-06-04 1975-09-16 Us Energy Quick release latch for reactor scram
US3941413A (en) * 1974-06-04 1976-03-0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Energy Research And Development Administration Quick release latch for reactor scram
JPS548834A (en) * 1977-06-23 1979-01-23 Toshiba Corp Semiconductor rectifying device
FR2499294A1 (fr) * 1981-02-04 1982-08-06 Framatome Sa Procede et dispositif de surveillance des barres de controles d'un reacteur nucleaire
US4411857A (en) * 1981-04-16 1983-10-25 Sridhar Bettadapur N Nuclear reactor control apparatus
FR2523719B1 (fr) * 1982-03-17 1985-09-13 Merlin Gerin Detecteur de position d'un element mobile, notamment d'une barre de controle d'un reacteur nucleaire
FR2537764A1 (fr) * 1982-12-08 1984-06-15 Framatome Sa Dispositif de commande de deux grappes de crayons de reglage deplacables verticalement dans un meme assemblage combustible du coeur d'un reacteur nucleai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188B1 (ko) * 2013-07-08 2015-05-2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4개 이상의 래치를 갖는 제어봉 구동장치 모터 집합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755346A (en) 1988-07-05
ZA859812B (en) 1986-08-27
YU204485A (en) 1990-12-31
DE3569057D1 (en) 1989-04-27
ES8707364A1 (es) 1987-07-16
EP0188163A1 (fr) 1986-07-23
JPS61161490A (ja) 1986-07-22
FR2575581B1 (fr) 1987-03-06
ES550421A0 (es) 1987-07-16
CA1252230A (en) 1989-04-04
KR860005387A (ko) 1986-07-21
FR2575581A1 (fr) 1986-07-04
ATE41715T1 (de) 1989-04-15
EP0188163B1 (fr) 1989-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2561B1 (ko) 원자로 제어소자 클러스터의 변위 및 래칭장치
KR101880782B1 (ko) 원자로 내부 유압 제어봉 드라이브 메커니즘 조립체
US3905634A (en) Quick release latch for reactor scram
US4304631A (en) Control component retainer
US2975119A (en) Vertical rod drive mechanism
GB1577297A (en) Scram device having a multiplicity of neutron absorbing masses
US3941413A (en) Quick release latch for reactor scram
US3933581A (en) Control rod drive for reactor shutdown
CA1270965A (en) Neutron absorbing bar damping device
US4019954A (en) Safety device for a nuclear reactor and especially a fast reactor
US4752433A (en) Vent system for displacer rod drive mechanism of pressurized water reactor and method of operation
US4412968A (en) Nuclear reactor control apparatus
US4411857A (en) Nuclear reactor control apparatus
US3364120A (en) Nuclear control rod actuator
US4769208A (en) Automatic safety rod for reactors
CN114188047B (zh) 一种反应性控制装置
US3980519A (en) Damper mechanism for nuclear reactor control elements
US4753769A (en) Device and method for retaining a linearly movable element in a nuclear reactor
US3280002A (en) Seal for a control rod apparatus
GB2042686A (en) Self-actuating and locking flow cut off valve
US3734824A (en) Nuclear reactor control rod drive with rod position indicating means
JPH05215883A (ja) 制御棒集合体
KR830001184B1 (ko) 유압선형운동 구동장치용 감속완충기
JPS5939604B2 (ja) 液圧直線駆動用減速緩衝装置
JPH01184494A (ja) 原子炉制御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