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364B1 - 2축연신폴리아미드계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2축연신폴리아미드계 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364B1
KR920002364B1 KR1019900700665A KR900700665A KR920002364B1 KR 920002364 B1 KR920002364 B1 KR 920002364B1 KR 1019900700665 A KR1019900700665 A KR 1019900700665A KR 900700665 A KR900700665 A KR 900700665A KR 920002364 B1 KR920002364 B1 KR 920002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heat
temperature
less
polya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0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1902A (ko
Inventor
도모지 미즈다니
가쓰유끼 요꼬다
고로이찌 미시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코오진
무라기 하지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728507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2000236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코오진, 무라기 하지메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코오진
Publication of KR900701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1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3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1/00After-treatment of articles without altering their shape; Apparatus therefor
    • B29C71/02Thermal 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1/00Shaping characteristics in general
    • B29C2791/001Shaping in several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7/00Use of PA, i.e. 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49Heat shrink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Product with molecular orien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39Nylon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39Nylon type
    • Y10T428/31743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746Polymer of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2축연신폴리아미드계 필름 및 그 제조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2축연신 폴리아미드계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밀로울의 전폭에 걸쳐서 열수축율의 이방성이 작고, 이것을 사용한 제대품을 열수 내지 레토르트처리등에 의하여 가열처리했을때 비틀어짐이 발생하기 어려운 2축연신 폴리아미드계 필름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나일론-6으로 대표되는 폴리아미드계의 2축연신필름은 그 뛰어난 내핀호울성, 내열성, 내한성, 가스베어리어성을 가지고 있으며 폴리에틸렌등의 시이랜트소재와 복합되어 냉동, 냉장 및 레토르트 식품용등의 포장재료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 제조방법은 폴리아미드계 수지를 용융압출하여, 냉각고화한 미연신폴리아미드계 필름을 재가열하고, 세로(MD), 가로(TD) 2방향으로 연신하여, 또 열고정 하므로서 얻어진다. 연신방법으로서는 통상 플랫형 상축차 2축연신법, 플랫형상동시 2축연신법, 및 튜브형상동시 2축연신법이 알려져 있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2축연신된폴리아미드계필름은 이 필름의 융점에 가까운 온도로 긴장하에서 열고정하므로서 보존중, 혹은 인쇄, 라미네이트등의 후가공공정에서 수축하기 어렵도록 조정된다.
이상과 같이 해서 얻어진 2축연신폴리아미드계 필름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등의 시이랜트소재와 접착제를 개재해서 복합화되며 봉지(袋)로 가공되어서 식품포장에 사용되나, 식품포장후에 식품의 살균을 목적으로 해서 70∼80℃, 혹은 그이상의 열수, 비등수, 가압가열수중에서 열수처리되는 일이 많다.
그러나, 2축연신폴리아미드계필름은 열고정한후도 일반적으로 열수처리에 의한 수축률이 크고, 특히 종래의 방법으로 열고정한 필름원단의 양끝에 가까운 부분을 사용해서 제작한 포장봉지는 포장후에 상기와 같이 살균기타의 목적으로 열수처리하면 비틀림이 발생하고, 외관을 손상시키기 때문에 상품가치를 저하시키는 결점이 있었다. 또 이와같은 봉지는 열수처리하기전이라도 소위 S자 커얼이라는 주머니의 비틀림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자동충전포장하는 공정에 있어서 자동충전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는 일이 많았다.
이와같은 포장봉지의 비틀림의 발생은, 소재인 필름의 열수축성에 이방성 즉 열수중등에서 열수축시켰을 때 수축율이 최대가되는 방향이 필름의 진행방향(MD) 또는 부방향(TD)과 일치하지 아니하고, MD또는 TD로부터 변위하고 있는것에 기인되는 것이며, 이와같은 이방성이 큰 필름을 뒤집어서 제대(製袋)하면 봉지의 겉쪽과 안쪽에서는 수축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이방성을 MD로부터 좌로 45°, 135°의 방향의 양 열수축률의 차이의 정도에 따라 표시하였다.
상기의 비틀림은 주로 텐터방식등의 플랫현상으로 연신한 필름의 특히 그 양끝 가까운 부분을 사용한 포장봉지가 비틀림이 발생하기 쉽다. 튜브형상연신한 필름은 이와같은 이방성이 거의 없다는 것이 판명되었으나, 이 필름을 열수수축률을 억제하기 위해서 텐터방식으로 열고정하면 역시 마찬가지로 이방성현상이 발생한다. 특히 열고정의 경우는 그 처리온도가 그 소재수지의 융점에 가까운 높은 온도로 행하여 지기 때문에 이경향이 크다. 이와같은 현상은 소위 보오잉현상에 의하는 것이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 보오잉현상이란 필름을 예를들면 텐터방식에 의해서 연신하는 경우, 연신전의 필름의 폭방향에 일직선을 그어두면, 연신후에는 그 직선이 진행방향에 대해서 중앙부가 오목해진 모양의 활 모양곡선이 되는 현상이며, 양끝부분은 파지구(把持具)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진행하나 중앙부에 가까운 부분은 필름면내의 장력에 의하여 뒤쪽으로부터 끌어당겨져서 진행이 늦어지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와같은 보오잉현상을 수반해서 제조된 필름을 예를들면 100℃의 열수중에서 수축시켜서, 그때의 중심으로부터의 각 방향의 수축률을 원 그래프식으로 표시하면 최대수축방향이 MD또는 TD 와 일치하지 않고, 경사방향으로 가늘고 긴 타원형으로 된다.
예를들면, 넓은 폭의 필름을 텐터방식으로 열고정하면 상기와같은 보오잉현상이 현저하게 발생하고, 중앙부에서는 이방성이 비교적 작으나, 양끝부분에서는 현저하게 큰 것이 된다. 상기와 같은 제대용도에는 이방성이 작은 것이 필요하나 그와같은 경우에는 중앙부의 이방성이 작은 부분만을 사용한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그 경우 나머지의 양끝부분에서부터 이방성이 큰 필름이 대량으로 나오게되어, 수율이 현저하게 나쁘고 실용성이 빈약한것이였다.
현실적으로 시장에 나돌고 있는 열고정한 폴리아미드필름의 이방성을 평가하였던바, 이방성이 큰 것이 많이 인정되었다.
한편, 이방성이 거의 없는 튜브형상연신한 필름을 내부에 에어를 충전해서 튜브형상으로 열고정한 필름에 대해서 열수축성의 이방성을 조사하였던바, 모두 텐터방식의 것에 비해서 이방성이 현저하게 작은 것이 판명되었다. 그러나 공업적규모로 연신되어서 큰 치수의 튜브를 상기와같은 튜브형상 그대로 열고정한 것은 생산의 안정성 및 작업성에 문제가 있으므로 접어개어서 또는 절개(切開)해서 플랫형상으로 열고정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로서는 상기와 같은 열고정처리에 의해 이방성이 커지기 때문에, 플랫형상열고정방법으로 또한 이방성이 작은 필름을 얻는 것이 요망되어, 여러 가지의 연구가 이루어졌었으나 아직 충분한 결과는 얻지 못했다.
[발명의 개시]
중래와 같은 텐터방식으로 열고정한 폴리아미드계필름은 특히 양끝부분의 열수축률의 이방성이 크기 때문에 이방성이 작은 것이 필요한 경우에는 중앙부의 일부분밖에 이용할 수 없었다.
이에 대해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열수수축률이 크고, 그 이방성의 영향이 나타나기 쉬운 폴리아미드계 2축 연신필름을 플랫형상으로 열고정할때에 그 양끝을 잡아쥔상태에서 가열한 히이트로울, 히이트벨트와 같은 가열물체의 표면에 밀접시켜서 필름의 융점이하 10~융점이하 40℃의 범위의 온도로 가열하고, 그후 바람직하게는 바로 필름이 용이하게 변형하지 않는 정도의 낮은 온도로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연신폴리아미드계필름의 열고정방법, 및 제조된 2축연신폴리아미드계필름이며, 그 제조된 필름의 전체폭에 대해서 모든 평면방향의 100℃의 열수수축률이 5.0%이하이고, 또한 아래의 식에 따라서 산출한 열수수축률의 이방성 H(%)가 필름의 전체폭에 걸쳐 30%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0%이하의 필름에 관한다.
이방성 H(%)가 30%를 초과한 것은 이것을 사용하여 제작한 포장 봉지의 비틀림이 크고 외관을 극단적으로 손상하여 실용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H(%)가 20%이하의 것은 비틀림이 작고 더욱 바람직하다.
단, S45, S135는 각각 MD에서부터 좌로 45°, 135°방향의 100℃열수수축률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열고정된 2축연신 폴리아미드계 필름은, 100℃의 열수중에서 수축시켰을 때, 필름의 폭방향의 모든 위치에 대해서 이방성(H)이 30%이하, 열수수축률이 모든 방향에 걸쳐서 5.0%이하로 되고 또한 필름의 두께가 균일이기 때문에 예를들면, 이 필름을 시이랜트소재와 라미네이트하여 제대해서 사용한 파우치를 열수 혹을 레토르트 처리등의 살균처리를 해도 이 필름의 끝부분을 사용한 것은 실질적으로 비틀림이 없으며, 필름전체폭에 대해서 열수 혹은 레토르트처리되는 포장재료에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좋은 형태]
본 발명의 열고정방법은 폴리아미드계이외의 열수축률이 일반적으로 작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2축연신필름에서는 원래 비틀림이 나타나기 어렵고 개략의 메릿은 거의 없으나, 열수수축률이 크고, 열수에 의한 가열, 레토르트처리등의 열수처리에 제공되는 빈도가 높은 폴리아미드계 필름에는 특히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아미드계수지로서는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12, 나일론-11등의 지방족 폴리아미드수지, 이들의 폴리아미드를 구성하는 모노머를 주성분으로하는 폴리아미드계 공중합체수지, 방향족폴리아미드수지 및 이들을 주성분으로한 혼합물이 예시된다.
수지의 융점은 JIS K7121(플라스틱의 전이온도측정방법)규격3(2)에 준해서 DSC법에 의하여 측정한다.
혼합계수지의 융점은 혼합하는 각 성분수지에 대해서 측정한 값을 혼합비율로 가중평균한 온도를 채용한다. 또, 공중합계수지의 융점에 대해서 그 값이 2개이상있는 경우는 그 피이크의 면적비에 의하여 가중평균 한 값으로 된다.
본 발명의 열고정에 적용되는 폴리아미드계 2축연신필름으로서는 열고정으로 열수축률의 이방성을 열고정전보다 작게 할 수 없으므로, 열수출률의 이방성(%)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이 때문에 이방성이 작은 튜브연신방식에 의해 제조한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열고정에 사용되는 가열물체로서는 표면이 평활한 가열할 수 있는 물체이면 되고, 소재는 반드시 금속에 한정되지 않는다. 형상은 공업생산, 연속생산을 위해서는 무한연속 표면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히이트로울, 히이트벨트등이 호적하다. 또, 가열물체의 표면은 필름과 밀접하기 위해서는 평활한 것이 바람직하나 밀접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한 요철형상을 하고 있어도 된다.
가열물체의 온도는 통상 목표로하는 열고정온도근처에 설정된다. 본 발명의 열고정방법에 있어서, 열고정 온도는 융점이하 10℃에서부터 융점이하 40℃의 사이이어야 한다. 융점이하 10℃보다 높으면 필름표면이 연화하여 히이트로울 혹은 히이트벨트등의 가열물체표면과의 사이에서 블로킹을 발생하고 필름떨어짐이 나빠지고 또 필름의 표면평활성이 상실되어 투명성을 손상(백화)하기 쉽고 얻어진 필름은 실용에 제공할 수 없는 것으로 된다. 한편, 열고정온도가 융점이하 40℃보다 낮으면 열고정효과가 충분하지 않다.
또 가열한 물체표면에 필름을 밀접시키는 시간은, 폴리아미드계수지의 종류, 필름두께 및 열고정온도 등에 의하여 적당히 선택하면 되고, 필름 두께가 얇을수록 혹은 열고정온도가 높을수록 단시간으로 되나 대략 0.5초정도이상이면 된다. 그러나 가열물체인 히이트로울 혹은 히이트벨트등에 단지 연신필름을 접촉시키는 것만으로는 상기 온도 범위에서 열고정될때에 필름이 열수축하기 쉽고 가열물체와의 밀접이 불완전하게 되기 쉽기 때문에 폭방향의 수축을 억제하고, 가열물체와 밀접하기 쉽게 하기위하여 필름폭방향 끝부분을 잡아쥔다.
폭방향의 수축이 있으면 귀부분(양끝부분)의 두께가 커져서 실용적이 아니다. 이와같은 열고정처리는 상기 온도범위에서 2단이상 반복하여도 되나, 그경우에는 앞의 단의 온도는 뒤의 단의 온도보다 낮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고정의 최후에는 필름은 용이하게 변형하지 않을 정도의 낮은 온도, 예를들면 융점이하 135℃보다 낮은 온도이하로 냉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의 변형을 보다 작게하기 위해서는 필름의 유리전이온돈(Tg)이하로 냉각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때, 수냉로울등 냉각물체 표면에 접촉시키는 등 냉각장치에 의하여 급냉하는 것이 실용적이다. 이상과같은 온도에 냉각되지 않으면 공정중 필름에 걸리는 장력에 의하여 필름이 변형하기 쉽고 또 공정의 제어를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 곤란하다. 가열처리가 끝나서 열고정용의 가열물체로부터 필름이 떨어질때는 필름온도가 매우 높아져있으므로 냉각 장치에 이르기까지의 사이 그대로 프리이(Free)상태로 놓여지면 그 사이에도 폭방향의 수축이 일어나므로 이것을 피하기 위하여 가열물체와 냉각장치의 사이에 발생하는 스페이스에 고무로울등의 비교적 저온의 물체를 설치하고 그 표면에 밀접시킨 상태로 냉각장치에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무로울등은 히이트로울, 히이트벨트등과, 냉각로울의 양쪽에 밀접하게되는 위치에 배설해서 필름이 프리이상태가 되지 않도록 혹은 적게 되도록 배려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상기의 특정한 온도범위에서 열고정하는 전단계로서 예열처리공정을 배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열처리를 행하므로서 필름이 고온의 열고정용 고온물체에 접촉해도 블로킹, 백화등의 트러블을 피할 수 있으며 고온에 의한 열고정처리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예열온도는 융점이하 40℃미만 또한 필름의 융점이하 135℃보다 높은 온도의 범위에서 행하여지나, 바람직하게는 융점이하 105℃보다 높은 온도가 보다 효과적이다. 예열처리온도가 융점이하 135℃미만에서는 예열효과가 거의 없어서 무의미하다. 이 예열파아트는 1단 또는 2단이상의 상기 열고정온도범위보다도 저온의 히이트로울 또는 히이트벨트공정등의 예열처리공정을 발생해서 열처리하는 방법이 호적이며, 2단이상의 예열처리를 행하는 경우는 단마다 예열온도를 높여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열온도가 비교적 저온의 단계에서는 텐터방식이라도 된다. 이 예열처리 공정에 있어서도 각각의 직후에 급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필름특성의 측정법은 다음과 같다.
1)100℃열수축률, 이방성 및 끝부분의 두께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모든 방향의 수축률 대신에 MD, TD, MD에서부터 좌로 45° 및 135°어긋난 방향의 수축률로 대표한다.
필름폭방향의 소정의 위치를 중심으로 일변이 120㎜의 정방형의 필름편을 절취해서 이 필름편의 중심에 직경 100㎜의 원을 그리고 또 MD방향, TD방향과 MD방향에서부터 좌로 45° 및 135°회전한 방향(이후, MD방향에서부터 45°,135°의 방향이라부름)으로 원의 중심을 통과하는 100㎜길이의 표선(標線)을 각각 가입하고, 20℃, 65% RH환경하에 1일 방치후 각각의 표선길이를 정밀하고 정확하게 측정했다.
이 필름편을 100℃의 열수에 30분간 침지한 후 필름표면의 부착수를 닦아내고 20℃, 55% RH환경하에 1일간 방치후 재차 표선길이를 각각 정밀하고 정확하게 측정하였다.
각 방향에 대해서, 침지전의 표선길이를 MD, 침지후의 표선길이를 M로하고, 100℃열수수축률 S(%)를 하기의 식에 의해 산출하고, MD방향, TD방향, MD에서부터 좌로 45°, MD에서부터 좌로 135°의 방향의 100℃열수수축률을 각각 SMD, STM, S45, S135로 표시하였다.
열수축률 S(%)는
열수축률의 이방성 H(%)를 하기의 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2)포장품의 열수처리에 의한 비틀림시험
시료필름과 두께 40㎛, 편면코로나 처리한 LLDPE(융점 126℃, 밀도 0.935)필름을 LLDPE필름의 코로나 처리면을 안쪽으로해서, 접착제로서 우레탄수지(동양모오톤제, 상품명:AD-305/AD-355, WET비 1:1)를 사용해서 드라이라미네이트하였다.
다음에, 라미네이트한 필름을 반접어서, 접은 금부분을 슬릿하여 2장 포갠형상으로 하고 또 3방시일의 2면붙임의 제대를 2열행하고 길이 (MD방향) 250㎜×폭(TD방향) 200㎜의 3방시일봉지를 얻고, 2면붙임중 기재필름의 끝부분의 가까운 쪽에 상당하는 봉지에 대해서 물을 150㏄충전하고 개구부분을 히이트시일에 의하여 밀봉해서 포장품으로 하였다. 이 포장품을 100℃의 열수에 30분간 침지하여 열수처리 한후 포장품의 열수처리에 의한 비틀림을 하기의 기중에 의하여 눈으로 보고 판정하였다.
◎ 비틀림을 볼 수 없음.
O 비틀림을 거의 볼 수 없음.
△ 약간 비틀림을 볼 수 있다.
× 비틀림이 심하다.
3) 끝부분의 두께
열고정필름의 폭방향끝부분에서부터 120㎜의 위치를 MD방향으로 60㎜피치로 5점, 두께를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원 필름의 끝부분의 두께로 한다.
[실시예1]
관형상다이(Die)로 나일론-6레진(융점 215℃)을 융융압출하여 급냉고화하여 얻어진 튜브 형상의 접은 직경 600㎜, 필름두께 150㎛의 미연신원단을 재가열하고 주속(周速)이 다른 2조의 닙로울의 사이의 튜브부를 내압에 의하여, 80 ~ 100℃로 가로세로 동시에 3×3배로 2축연신을 행하여, 접은 직경 1800㎜, 필름두께 17㎛의 2축연신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양끝부분을 절단기로 절개하여, 2개의 다른 코어에 감았다.
코어에 감은 필름을 80m/분의 속도로 필름양끝을 각각 텐터의 척에 잡게 해서 폭방향의 치수를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분위기온도가 120℃로 가열된 길이 1m의 텐터오븐 내에 통과시킨 후 바로 수냉로울로 냉각해서 예비열처리하였다. 계속하여 필름을 접촉길이가 1m, 180℃로 가열된 엔드레스의 히이트벨트부에 인도하고, 끝부분에서 필름을 압압에 의하여 잡아쥐는 내열성압압용엔드레스벨트와의 사이에 잡아쥐게해서 필름을 폭방향의 열수축을 방지하면서 히이트벨트의 표면에 밀접시켜서 열처리하고, 이어서 히이트벨트 및 후기냉각로울의 양표면에 접한 고무로울표면에 옮기고, 이 필름 안게한 상태로 통과한후, 내부에 냉각수를 순환시킨 표면온도가 40℃의 냉각로울(300㎜ø)표면에 옮겨 0.5초간 접촉시켜 80℃이하로 급냉해서 열고정을 완료하고 이어서 이 열고정필름을 감았다.
이상과 같이해서 얻어진 열고정필름의 폭방향끝부분에서부터 120㎜의 위치를 중심으로 해서 일변 120㎜의 정방형의 필름을 절취하여, 상기의 방법에 의하여 SMD, STD, S45및 S135를 측정했다.
다음에, 감은 열고정필름을 슬리터로서 잡아쥐므로 상처난 양끝을 각각 60㎜제거하여 840㎜폭으로 둘(2)로 재단하여 감았다.
둘(2)로 재단한 로울중 MD방향으로 향해서 우측의 로울을 기재필름으로해서 상기의 포장품의 열수처리에 의한 비틀림시험방법에 준해서 포장봉지를 제작하고, 열수처리하여, 봉지의 비틀림시험을 행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서 표-1에 표시한다.
[실시예 2∼3, 비교예 1∼2]
열고정용의 히이트벨트의 온도를 190,200,170,210℃로 바꾼이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해서 나일론-6필름을 제작한 것을 각각 실시예 2-3 및 비교예 1-2로 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해서 평가하였다. 결과를 종합해서 표-1에 표시한다.
[실시예 4]
실시예 2에 있어서 예열파아트의 온도를 160℃로 바꾼이외는 실시예 2와 완전히 마찬가지로 해서 열고정 필름을 얻어,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해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1에 표시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2에 있어서 열고정로울과 냉각로울사이의 고무로울을 떼내어서 약 120㎜의 프리이부분을 형성한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해서 열고정필름을 얻어,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해서 특성을 형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표시하였다.
[실시예 6]
예열용텐터오븐을 가열하지 않고 열고정용히이트벨트의 온도를 200℃로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해서 나일론-6필름을 제작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해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1에 표시한다.
[실시예 7∼8, 비교예 3∼4]
실시예 7로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해서 얻어진 폭 1800㎜의 열고정을 하지 아니한 2축연신플랫나일론 필름을 반으로 재단한 필름을, 필름과의 접촉길이가 1m이고 150℃로 가열하고 또한 양끝부분위에 필름을 압압에 의해서 고정하기 위한 압압용 엔드레스벨트를 구비한 앤드레스의 내열벨트위를 통과시켜서 폭방향의 열수축을 방지하면서 표면에 밀접시켜서 가열한 후 비로 표면온도가 40℃수평로울에 의해서 냉각해서 예열 처리하였다. 이어서 양끝표면부에 필름을 원주의 2/3에 걸쳐서 압압하여 필름을 압압고정할 수 있는 내열벨트를 구비한 190℃로 가열된 직경 400㎜Ø의 히이트로울위를 통과시켜서 밀접 가열처리하였다. 그후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해서 고무로울, 냉각로울을 거쳐서 열고정처리를 완료하고, 열고정필름을 감았다.
또 실시예 7에 있어서, 예열의 히이트벨트 온도 및 열고정을 히이트로울온도를 각각 180℃, 200℃ 각각 170℃,170℃각각 180℃,210℃로한 이외는 실시예 5와 완전히 마찬가지로해서 열고정한 것을 각각 실시예 8, 비교예 3 및 비교예 4로 하였다.
얻어진 열고정필름에 대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해서 평가하고, 그결과를 표-1에 표시하였다.
[비교예 5∼7]
실시예 7에 있어서 열고정으로서 텐터의 양끝척에 잡아쥐고 각각 200,210,220℃의 열풍텐터를 6초 통과시킨 이외는 실시예 7과 완전히 마찬가지로해서 열고정처리한 것을 각각 비교예 5-7로 하였다.
얻어진 필름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해서 평가하고 그결과를 종합해서 표-1에 표시하였다.
[실시예 9, 비교예 8∼9]
나일론-6(융점 215℃)과 나일론-66(융점 260℃)을 30/70의 비로 혼합한 혼합계수지(가중평균에 의한 융점 247℃)를 사용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2축연신 필름을 얻었다.
다음에, 130℃의 텐터오븐으로 예열처리한후 각각 실시예 9, 비교예 8, 및 비교 예 9로서 온도 230℃, 200℃,240℃의 히이트벨트로서 열고정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해서 열고정필름을 제작하여 얻어진 필름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해서 평가하였다. 결과를 종합해서 표-1에 표시하였다.
표-1의 각 결과에서, 히이트로울을 사용해서 필름의 양끝을 잡아쥔 상태에서 필름의 융점이하 10∼40℃의 범위로 밀접가열한 후 바로 융점이하 135℃보다 낮은 온도로 급냉해서 열고정하므로서 필름의 끝부분에 대해서도 100℃열수수축률 및 열수수축률의 이방성이 작은 필름을 얻게되고 그 결과, 필름의 끝부분을 사용하여도 열수처리에 의한 비틀림이 작은 봉지를얻을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종래와 같이 열풍텐티를 사용해서 열고정하면 열수수축률의 이방성이 크고 비틀림이 큰것이 명백하다.(비교예5∼6), 열고정온도가 필름의 융점이하 40℃보다 낮으면 100℃열수수축률이 5.0%를 초과하는 방향이 있어서 열고정이 불충분하고 비틀림 시험을 행하면 수축이 컸었다.
(비교예 1, 3 및 8) 한편 열고정온도가 필름의 융점 이하 10℃보다 높으면 HR에 블로킹하였다(비교예 2, 4 및 9) 텐터의 경우는 백화하였다.(비교예7)
또 수지의 융점이하 10∼40℃의 범위에서 열고정하기전에, 이 온도범위보다 낮은 온도로 예열처리한 편이, 이 온도범위의 높은 온도조건으로 열고정하는 경우, 블로킹 기미로 되지 않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한 것도 명백하다.(실시예 4)
또 예열처리가 텐터방식이고 온도가 높으면, 그 단계에서 열수축률의 이방성이 커지고(실시예 4), 턴터에 의한 예열처리는 너무 높은 온도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예]
시장에서 입수한 폭이 넓은 로울 1(로울폭 860㎜), 및 로울 2(로울폭 700㎜)의 2개의 2축연신폴리아미드필름에 대해서 각각 폭방향의 3개소(가좌단, 중앙, 가우단)에 대해 열수축률을 측정하고, 이들의 값으로부터 다음에 표시하는 식에 의하여 각 점에 있어서의 이방성(H')을 구비하고 그 결과를 표-2에 표시하였다.
(단, S45,S135는 각각 MD에서 좌로 45°, 135°방향의 100℃열수축률을 표시한다).
이 결과에서 이들 로울은 열수축률의 이방성이 크고, 로울 1은 가좌단과 중앙과의 사이에 밀로울의 중심이 있었다고 추정되고, 또 로울2는 가우단보다 더 우방향으로 밀로울의 중심이 있었다고 추정된다. 즉 로울1은 비교적 밀로울의 중심부로부터 얻어진 것이고, 로울2는 밀로울의 꾀 끝에 가까운 곳에서부터 얻어진 것이라고 생각된다.
[표 1]
[표 2]

Claims (4)

  1. 열고정후의 필름의 폭방향의 모든 위치에 대해서. 모든 평면방향의 100℃의 열수축률이 5.0%이하이고 또한 하기의 식에 의하여 산출한 열수축률의 이방성 H(%)가 필름의 전체폭에 걸쳐서 30%이하인 2축연신폴리아미드계 필름의 밀로울.
    (단, S45, S135는 각각 MD에서부터 좌로 45°,135°방향의 100℃열수축률을 표시한다.)
  2. 열고정후의 필름의 폭방향의 모든 위치에 대해서 모든 평면방향의 100℃의 열수축률이 5.0%이하이고, 또한 하기의 식에 의하여 산출한 열수수축률의 이방성 H(%)가 필름의 전체폭에 걸쳐서 30%이하인 2축연신폴리아미드계 필름의 밀로울로부터 치수를 얻게된 2축연신 폴리아미드필름.
    (단, S45,S135)는 각각 MD에서부터 좌로 45°,135°방향의 100℃열수축률을 표시한다.)
  3. 2축연신필름을 플랫형상으로 열고정할때에, 그 양끝을 잡아쥔 상태에서 이 필름을 가열한 물체의 표면에 밀접고정시킨 상태에서 필름의 융점이하 10~40℃의 온도범위로 가열처리한 후 냉각하는 일을 포함하는 2축연신플리아미드계 필름의 열고정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2축연신필름을 열고정하기전에, 미리 그 양끝을 잡아쥔 상태에서 융점이하 135℃이상 또한 필름의 융점이하 40℃미만의 온도로 가열한 후 바로 급냉하는 예열처리를 1단 또는 2단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연신폴리아미드계 필름의 열고정방법.
KR1019900700665A 1988-10-13 1989-09-14 2축연신폴리아미드계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9200023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55896 1988-10-13
JP255896 1988-10-13
JP63255896A JP2845324B2 (ja) 1988-10-13 1988-10-13 二軸延伸ポリアミド系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PCT/JP1989/000941 WO1990003882A1 (en) 1988-10-13 1989-09-14 Biaxially oriented polyamide film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1902A KR900701902A (ko) 1990-12-05
KR920002364B1 true KR920002364B1 (ko) 1992-03-23

Family

ID=17285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0665A KR920002364B1 (ko) 1988-10-13 1989-09-14 2축연신폴리아미드계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126211A (ko)
EP (1) EP0392025B1 (ko)
JP (1) JP2845324B2 (ko)
KR (1) KR920002364B1 (ko)
AU (1) AU623685B2 (ko)
DE (1) DE68912570T2 (ko)
DK (1) DK173308B1 (ko)
WO (1) WO19900038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23939B2 (ja) * 1990-08-23 1997-06-25 東洋紡績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アミドフイ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4204685A1 (de) * 1992-02-17 1993-08-19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ormteilen
CH684746A5 (de) * 1993-02-25 1994-12-15 Alusuisse Lonza Services Ag Laminat.
JPH0847972A (ja) * 1994-06-03 1996-02-20 Unitika Ltd 2軸配向ポリアミド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法
JP3569987B2 (ja) * 1994-12-22 2004-09-29 東洋紡績株式会社 2軸配向ポリアミド系樹脂フィルム
US5939205A (en) * 1996-04-16 1999-08-17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Gas barrier resin film
US6726968B2 (en) * 2002-02-22 2004-04-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ntifog/barrier laminate for use in meat packaging
US8522978B2 (en) * 2006-12-01 2013-09-03 Cryovac, Inc. Stress concentrator for opening a flexible container
US9561889B2 (en) * 2007-05-21 2017-02-07 Cryovac, Inc. Easy opening packaging article made from heat-shrinkable film exhibiting directional tear
US10189621B2 (en) * 2007-05-21 2019-01-29 Cryovac, Inc. Bag made from high-strength heat-shrinkable film exhibiting directional tear, and process utilizing same
US10202229B2 (en) * 2007-05-21 2019-02-12 Cryovac, Inc. Easy opening packaging article made from heat-shrinkable film exhibiting directional tear
US7980272B2 (en) * 2007-06-21 2011-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icrofluidic valv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icrofluidic device comprising the microfluidic valve
WO2010059887A1 (en) * 2008-11-20 2010-05-27 Cryovac, Inc. Easy opening packaging article made from heat-shrinkable film exhibiting directional tear
CN106103046B (zh) * 2014-03-26 2020-05-19 尤尼吉可株式会社 双轴拉伸聚酰胺膜及其制造方法
WO2016075225A1 (en) 2014-11-13 2016-05-19 Dsm Ip Assets B.V. Process to prepare biaxially oriented film
EP3653176A1 (de) 2015-02-26 2020-05-20 Andreas Radspieler Vorrichtung, set und verfahren zum erstellen eines gipsabdrucks eines körpergliedstumpfs eines patienten zum fertigen eines prothesenschafts sowie adapt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25656A (en) * 1963-10-07 1966-04-14 Ici Ltd Process for the heat treatment of synthetic polymeric films
US3502766A (en) * 1965-01-28 1970-03-24 Nippon Rayon Kk Process for the improvement of polyamide films
US3510552A (en) * 1965-09-15 1970-05-05 Nippon Rayon Kk Biaxially drawing polyamide film
JPS5343770A (en) * 1976-10-01 1978-04-20 Asahi Chemical Ind Biaxially stretching polyhexamethylene adipamid film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S6050575B2 (ja) * 1977-11-18 1985-11-09 旭化成株式会社 ポリヘキサメチレンアジパミドフイルムの製造方法
JPS60174629A (ja) * 1984-02-20 1985-09-07 Mitsubishi Monsanto Chem Co 二軸延伸されたポリアミドフイルムの製造方法
JPS61177229A (ja) * 1985-02-04 1986-08-08 Mitsubishi Monsanto Chem Co 二軸延伸ポリアミドフイルムの製造方法
JPS61177228A (ja) * 1985-02-04 1986-08-08 Mitsubishi Monsanto Chem Co 熱収縮性二軸延伸ポリアミドフイ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1244527A (ja) * 1985-04-24 1986-10-30 Mitsubishi Monsanto Chem Co 二軸延伸ポリアミド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S61273931A (ja) * 1985-05-10 1986-12-04 Mitsubishi Monsanto Chem Co 積層2軸延伸フイルムの製造方法
JPS61283527A (ja) * 1985-06-10 1986-12-13 Mitsubishi Monsanto Chem Co ポリ−ε−カプロアミド二軸延伸フイルムの製造方法
JPH0687036A (ja) * 1992-07-08 1994-03-29 Toshiba Corp 金型割り付け最適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4212389A (en) 1990-05-01
US5126211A (en) 1992-06-30
EP0392025B1 (en) 1994-01-19
EP0392025A4 (en) 1991-05-15
AU623685B2 (en) 1992-05-21
EP0392025A1 (en) 1990-10-17
WO1990003882A1 (en) 1990-04-19
KR900701902A (ko) 1990-12-05
JPH02103122A (ja) 1990-04-16
DE68912570T2 (de) 1994-06-30
DE68912570D1 (de) 1994-03-03
DK173308B1 (da) 2000-07-10
DK123490A (da) 1990-05-18
DK123490D0 (da) 1990-05-18
JP2845324B2 (ja) 1999-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2364B1 (ko) 2축연신폴리아미드계 필름 및 그 제조방법
US4020141A (en) Method of making heat-sealable, heat-shrinkable,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JP3569987B2 (ja) 2軸配向ポリアミド系樹脂フィルム
GB2055855A (en) Heat-treating polyolefin films
EP0764678B1 (en) Biaxially oriented polyamide film
EP1095759A2 (en) Stretch film having heat-sealed edges
JPS58153616A (ja) ナイロン・フイルムを機械方向に延伸する方法
EP1798018A1 (en) Biaxially oriented polyamide-based resin film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EP0115917B1 (en) Plastics stra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623939B2 (ja) 二軸配向ポリアミドフイ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1040374A (en) Heat-sealable, heat-shrinkable,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and method of making such film
JP2006088690A (ja) 二軸配向ポリアミド系樹脂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569989B2 (ja) 2軸配向ポリアミドフィルムの製造法
JP3676883B2 (ja) ポリアミド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方法で得られた二軸配向ポリアミドフィルム
JP4097823B2 (ja) 二軸延伸ポリアミドフィルムの製造法
JP2917443B2 (ja) 熱可塑性樹脂延伸フイルム
CA2003511C (en) Biaxially oriented polyamid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H0564589B2 (ko)
JPS5838302B2 (ja) コウドニシンチヨウサレタポリオレフインフイルムノ セイゾウホウホウ
JPH06106619A (ja) 易裂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H11147254A (ja) ポリアミド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0294904B1 (ko) 폴리아미드필름및그제조방법
JPS61244527A (ja) 二軸延伸ポリアミド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H05169536A (ja) ポリエステル系熱収縮フイルム
JPH03216326A (ja) 熱可塑性樹脂フイル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4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