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253B1 -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253B1
KR920002253B1 KR1019880005312A KR880005312A KR920002253B1 KR 920002253 B1 KR920002253 B1 KR 920002253B1 KR 1019880005312 A KR1019880005312 A KR 1019880005312A KR 880005312 A KR880005312 A KR 880005312A KR 920002253 B1 KR920002253 B1 KR 920002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input
key
code
hangu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5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4455A (ko
Inventor
사또시 수가노
Original Assignee
다떼이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다떼이시 요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111149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76114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111150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76115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13173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98562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21291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57361A/ja
Application filed by 다떼이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다떼이시 요시오 filed Critical 다떼이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4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4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문자 입력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 예를 들면 ECR을 도시한 블럭도.
제2도 내지 제6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한글 입력 코드를 할당하는 경우의 조작 시퀀스도.
제4도는 할당된 키의 메모리 구성도.
제5도는 할당 조작의 개략 플로우 챠트.
제6도는 한글 문자의 입력시의 조작 시퀀스도.
제7도 내지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8도는 모음/자음 입력 코드를 할당하는 경우의 조작 시퀀스도.
제9도는 할당된 키의 메모리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제10도는 할당 조작의 개략 플로우 챠트.
제11도는 한글 문자의 입력시의 조작 시퀀스도.
제12도는 입력 조작의 개략 플로우 챠트.
제13도는 내지 제15b도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13도는 키보드의 키 배치도.
제14a도 및 제14b도는 모음, 자음, 받침의 자모와 그 입력 코드와의 대응 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15a도 및 제15b도는 한글 문자 키 입력 시퀸스도.
제16도 내지 제21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16도는 키보드의 키배치도.
제17도는 한글 문자 키 입력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
제18도는 키 입력 시퀀스와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내용과 입력 버퍼의 내용을 키 입력의 순서로 도시한 도면.
제19도는 자모 코드가 한글 문자 코드로 변환되는 모양을 도시한 도면.
제20도는 한글 문자의 자모와, 자모 코드 및 소프트웨어 코드와의 대응 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21도는 한글 문자 입력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 챠트.
본 발명은 문자의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거래 처리 장치, 전자 금전 등록키, 컴퓨터 등의 키보드를 갖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키보드로부터 문자, 특히, 한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텐키를 포함하는 키보드를 가진 전자기기에 있어서, 종래는 한글 문자의 각각에 할당된 코드를 한글 문자를 입력하고 있었다. 예를 들면, 어떤 한글 문자의 코드가 1234의 경우에는 1 2 3 4 문자 입력 키라는 순서로 텐키와 문자 입력키를 사용하여 입력하고 있었다.
그러나, 한글 문자의 수는 1만을 초과한다(정확하게는 11,172개). 이 때문에, 모든 한글 문자에 코드를 할당한다면 1만을 초과하는 코드가 필요하며, 한글 문자/코드 대응표도 매우 큰 것으로 된다. 따라서, 입력하고 싶은 한글 문자를 오퍼레이터가 찾는 데에 노력과 시간이 걸리며, 입력 착오도 많이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정정도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은, 한글 문자 등의 문자를 입력할 때, 용이하게, 그리고, 신속하게 입력되는 조작성이 뛰어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비교적 간단하게 한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 한글 문자를 자음과 모음으로 분해하여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 착오가 있더라도 그 입력 착오를 가급적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문자 입력 방법은, 각 문자에 2자리 이상의 식별 코드가 설정된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문자의 식별 코드를 입력하여, 또한 그 식별 코드에 대응시킬 할당 키에 의한 입력을 행하므로서, 할당키에 대응하여 입력된 식별 코드를 기억장치에 기억시켜, 그후, 할당 키 입력이 있었을 때 그에 대응하는 식별 코드를 기억 장치에서 독출하여 소정의 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각 문자에 2자리 이상의 식별 코드가 설정되어 있는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문자의 식별코드를 각각의 행마다 입력하기 위한 제1입력 수단, 복수개의 할당 키를 포함하는 제2입력 수단과, 식별 코드와 그에 할당된 할당 키를 쌍으로 하여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1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 복수행의 식별 코드를 입력할 필요가 없고, 각각의 문자에 할당된 1개의 키만을 누름으로서 1문자 입력이 완료된다. 따라서, 문자 입력을 신속하게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임의의 문자에 대해서 임의의 키의 할당이 조작자 스스로 가능하므로 조작자의 자유도가 높아져, 조작성이 뛰어난 것으로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는 입력할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 코드를 문자에 대응하는 조작 키의 가압에 의해 입력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입력하려고 하는 문자에 대응하는 조작 키를 가압하는 것만으로 희망하는 문자가 입력이 가능하므로, 종래와 같이 문자 마다의 해당 코드를 비교하면서 입력할 필요가 없고,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입력할 수가 있다. 즉, 신속하고, 또한, 정확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조작성이 뛰어난 문자 입력 장치가 실현된다.
본 발명은 또한, 한글 문자, 한자 등의 2이상의 문자 요소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문자 입력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은, 최소한 2이상의 문자 요소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 각각의 문자 요소에 2행 이상의 식별 코드가 설정된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문자 요소의 식별 코드를 입력하여, 또한, 그 식별 코드에 대응시켜야 하는 할당 키에 따라 입력을 하므로서, 할당 키에 대응하여 입력된 식별 코드를 기억 장치에 기억하여, 그후, 2이상의 할당 키 입력이 있었을 때에, 그것들에 대응하는 식별 코드를 각각 기억 장치로부터 독출하여, 이들의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문자 요소의 조합에 의해 구성이 되는 문자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최소한 2이상의 문자 요소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 각각의 문자 요소에 2자리 이상의 식별 코드가 설정되어 있는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문자 구성의 식별 코드를 각행마다 입력하기 위한 제 1입력 수단, 복수개의 할당 키를 포함하는 제2입력 수단, 식별 코드와 그에 할당이된 할당 키를 쌍으로 하여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제2입력 수단에서 2이상의 할당 키 입력이 있었을 때, 상기 기억 수단의 기억 내용을 참조하여 입력된 할당 키에 대응하는 식별 코드를 각각 판정하여, 이들의 식별 코드로부터 문자를 결정하는 문자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라, 2 이상의 문자 요소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문자를, 각 문자 요소를 입력하므로서 입력되는 경우에도 각 문자 요소에 조작자, 이용자 자신… 특정 키를 할당 할 수가 있으므로, 입력의 용이성, 조작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는 한글 문자 등의 2 이상의 문자 요소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문자를 입력할 때, 그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 코드와, 문자 요소에 대응하는 문자 요소 코드와, 문자 코드에 대응하는 문자 요소 코드의 조합을 미리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입력하고져 하는 문자를 구성하는 최소한 2 이상의 문자 요소 코드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문자 요소 코드의 조합과 기억수단에 의해 미리 기억된 문자 요소 코드와의 일치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판별수단에 의한 일치 출력에 응답하여 일치한 문자 요소 코드에 대응하는 문자 코드를 결정하는 수단과,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문자 코드를 처리하는 처리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입력하려고 하는 문자를 구성하는 각 문자가 요소의 코드를 입력하므로서 희망하는 문자가 입력이 되므로, 종래와 같이 각각의 문자에 해당하는 코드를 비교하면서 입력할 필요는 없고,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는 조작성이 뛰어난 문자 입력 장치가 실현된다.
본 발명에 의한 한글 문자 입력 장치는, 한글 문자를 구성하는 자음, 모음 및 받침의 자모와 이들에 각각 할당된 코드와의 대응 관계를 스토어하여 두는 메모리, 상기 코드를 입력하는 키와 한글 문자 입력임을 표시하는 문자 입력 키를 구비한 키보드와, 상기 한문자 입력 키 입력에 응답하여 키보드에서 입력된 코드를 입력 순서에 의해 식별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문자 입력 키의 입력은 상기 코드의 입력에 앞서서 행하거나 코드 입력 후에 행하거나, 양쪽 모두에 있어서 행하여도 어느 것이나 좋다.
본 발명은, 한글 문자가, 19개의 자음, 21개의 모음 및 27개의 받침(종성자음)의 자모를 자음+모음의 형으로 또는, 자음+모음+받침의 형으로 조합시키므로서 구성되는 것에 착안하고 있다. 이 조합의 수가 상기의 11,172로 될 것이다. 27개의 받침중에서 16개는 그 자모가 자음의 자모와 같으므로 이들을 제외하면, 자음 19개, 모음 21개, 받침 11개로 되어, 합계 51개의 자모에 의해 모든 한글 문자가 표현된다. 받침도 자음의 일종이다. 자음과 받침을 합쳐서 생각하여도 30개이다. 따라서, 이들의 자음과 모음과 받침을 각각 2자리의 숫자(코드)로 지정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임의 한글 문자를 자음 2자리, 모음 2자리, 받침 2자리의 합계 6자리의 숫자 코드를 사용해서 입력할 수가 있게 된다. 입력하는 코드의 자리수는 약간 많으나, 기껏 51종류의 자모중에서 희망하는 자음, 모음, 받침의 자모를 찾아내면 좋으므로, 용이하게 찾아볼 수가 있고, 입력 조작을 신속하게 행하는 일이 가능하게 되는 것과 함께, 오퍼레이터의 입력 착오가 감소하여, 예컨대, 착오가 있더라도 정정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은 한글 문자를 그 구성 요소인 자음 및 모음의 자모로 분해하여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 자모를 표시하는 키(자모 코드를 입력하는 키라도 좋다)를 사용해서 입력된 자모를 수입하여, 또한, 그 자모를 입력 순서에 따라 표시 장치에 차례로 표시하여, 1문자의 입력 종료를 나타내는 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1한글 문자 입력을 인식하고, 또한, 이미 입력된 자모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한글 문자를 합성하여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1문자의 입력 종료를 나타내는 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이미 입력된 자모의 조합에 의해 정확한 한글 문자의 구성이 가능한가, 아니한가를 첵크하는 스텝을 설치해둔다.
본 발명에서는 한글 문자를 구성하는 자음 또는, 모음의 입력 마다에 입력된 자모가 표시 장치에 표시되므로, 오퍼레이터가 이 표시를 보고 있으며 키 입력을 잘못한 시점에서 그 착오를 느끼고, 그 시점에서 정정이 가능하므로 키 입력의 낭비를 적게 할 수가 있다. 즉, 1한글 문자의 입력이 종료된 시점에서만이 입력된 한글 문자를 표시한다면, 오퍼레이터는 자음 또는, 모음의 입력의 단계에서 입력 착오를 느끼는 일은 거의 없고, 1한글 문자의 입력이 종료할 때까지 입력 착오를 느끼지 못하므로, 만약 입력 착오가 있었다면 처음부터 키 입력을 수정하지 않으면 아니되나, 본 발명에 의하면 이와 같은 키 입력의 낭비를 최소화 할 수가 있다.
제1도는 거래 처리 장치의 1종인 전자식 금전 등록기(ECR)의 전기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른 전자 장치도 거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전자 장치는 CPU(10)에 의해 제어되는데, CPU(10)에는, 그 프로그램 및 고정 데이터를 격납하는 ROM(11)과, 가변 데이터등을 기억하기 위한 RAM(12)이 구비되어 있다. 입출력 기기로서, 표시장치(13), 프린터(14) 및 키보드(15)가 CPU(10)에 접속되어 있다.
전자 장치가 ECR의 경우에는, 키보드(15)에는 상품이나 어음 등의 이용 금액 혹은, 각종 문자에 대응하는 코드 번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텐키나 각종의 지령을 행하기 위한 지령키 등이 포함된다. 표시장치(13)는 조작의 안내 문자나 키보드(15)에서 입력데이타를 표시하며, 프린터(14)는 리셉트(receipt)나, 각종 리포트(report)를 발행하고, RAM(12)은 키보드(6)에서 입력된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 및 격납하며, ROM(11)은 CPU(10)의 동작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먼저, 제1실시예에 대해서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제1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키보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0 내지 9 키는 치수 키이며, 개시, 종료 키는, 예를 들어, 한글 문자를 할당하는 시퀀스의 개시/종료를 선언하는 키이고, 세트 키는, 한글 문자가 할당된 조작 키의 입력 후에, 한글 문자 코드를 입력 버퍼에 격납하는 키이다. 키 1 내지 키 6은 한글 문자를 할당할 수 있는 할당 키이며, 설명의 편의상 6개만으로 하고 있으나, 이 문자입력 장치가 취급하는 한글문자에 대응하는 수, 또는, 주요한 한글 문자에 대응하여 키를 준비하면 된다.
제3도는 상술하는 한글 문자의 입력 코드를 각 키에 할당하는 경우의 조작 시퀀스를 도시한 도면이며, 제4도는 그 할당되는 키의 정보 에리어(area)의 메모리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제5도는 그 할당조작의 개략적인 플로우 챠트를 도시한 도면.
제2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한글 입력 코드의 각 키로의 할당 조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키보드를 구비하는 거래 처리 장치 등의 입력 장치의 전원 투입이 되어, 설정 모드를 입력모드로 하면, 키 입력 대기의 다이너믹 키 리이드(스텝 S1, 이하 스텝을 생략함)상태로 되어 입력 가능 상태로 된다. 개시 (키)가 입력될 때(S2)까지 이 상태가 계속되나, 개시 (키)가 입력되었다면 다음 스탭의 키 입력 대기의 다이너믹 키 리이드(S3) 상태로 된다. 여기에서, 종료 (키)가 입력되지 않고 (S4), 또한, 한글 문자의 할당 키의 입력도 아니 (S5)라면, 그 입력이 치수 키인가, 아닌가가 판별(S6)되고, 치수 키도 아닌 다른 키의 입력이면 에러(S7)로 된다. 치수 키의 입력이면, 그 입력된 치수의 자리가 미리 설정이 되어 있는 한글 입력의 코드와 비교(S8)되어, 입력된 치수가 코드의 치수를 초과하고 있을 때는 입력 착오로 판단되어서 에러(S10)로 되나, 소정의 코드 자리수 이내이면 입력된 치수가 치수 버퍼에 세트(S9)된다. 희망하는 한글 입력 코드로서 치수가 입력되면, 또한, 키 입력 대기(S3)로 되어, 다음에 종료(키)가 입력되지 않고 (S4)에 한글 문자의 할당 키가 입력되는 (S5)와, 앞서 입력된 치수의 자리수가 이번에는 한글 입력코드의 자리수를 만족시키고 있는가가 판단(S11)하여, 자리수 부족의 경우는 역시 입력 착오로 생각되어 에러(S15)로 되나, 소정의 코드 자리를 만족하고 있는 경우는 입력된 치수가 소정의 할당 가능한 코드인가, 아닌가가 판별(S12)된다. 할당이 가능한 코드가 아닌 때에는 에러(S16)로 되나, 할당이 가능한 코드인 때에는 그 코드를 한글 문자 코드로 변경하여 입력된 할당이 가능한 키의 문자 코드 에리어에 격납(S13)한다. 이 격납 상황이 제4도에 도시되어 있으나, 좌측에는 각 할당 키의 키 번호가 배열되어, 중앙란에는 기능 코드로서 문자 입력 상태가 아닌 경우에, 그 할당 키가 입력되었을 때 기능해야 할 기능의 코드가 기억되어 있다. 우측에는 한글 문자에 대응하는 한글 문자 코드 혹은, 다른 문자 코드 등이 상기 입력에 의해 기억된다.
본 도면에 있어서, 맨 위쪽의 기재는 기록 영역에 할당 키의 키 번호로서 1, 기은 코드로서 30, 한글 문자 코드로서 XOE가 기재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한글 문자 코드가 문자 코드 영역에 격납되면, 치수 버퍼가 클리어(S14)되어, 종료 (키)가 입력될 때까지 동일하게 각각의 키로의 할당 조작이 계속된다. 종료 (키)가 입력(S4)되면, 치수 버퍼에 치수가 있는가, 없는가가 판별(S17)되어, 치수가 남아 있을 때, 클리어 동작(S14)이 정상으로 행해지지 아니한 것으로 간주하여 에러(S19)로 되나, 치수가 남아 있지 아니한 때에는 정상으로 할당 조작이 종료(S18)한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한글 문자의 입력시의 조작 시퀀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거래 처리 장치의 입력 장치의 전원 투입이 되어, 설정 모드를 문자 입력 모드로 하면 한글 문자의 입력 가능 상태로 된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키 1에 한글 문자 "한", 키 2에 한글 문자 "글"에 대응하는 한글 문자 코드가 설정되어 있었다면, 이 시퀀스 조작에 의해 입력 장치에는 "한", "글"로 입력된 것으로 되어, "한", "글"이 표시, 인자 또는, 기억의 처리가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한글 문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다른 문자, 기호 등이라도 동일하게 적용이 되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ECR과 같이 거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입력 장치로 하고 있으나, 워드 프로세서나, 퍼스널 컴퓨터 등의 입력 장치에도 적용이 되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제7도에서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한글문자는 그것을 구성하는 모음과 자음을 사용해서 입력된다.
제7도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 키보드(15)를 도시하고 있는 이 키보드는 제2도에 도시하는 것과 약간 다르다.
본 도면을 참조하여, 0 내지 9 키는 치수 키이고, CLR 키는 입력 상태에 있어서 초기화를 행하는 클리어 키이며, 개시 종료 키는 예를 들면, 한글 문자를 할당하는 시퀀스의 개시/종료를 선언하는 키이고, 변환키는 입력된 문자 요소 즉, 한글 문자를 구성하는 모음, 자음에서 해당하는 1개의 한글 문자로 변환하는 키이다. 키 1 내지 키 6는 한글 문자를 구성하는 모음, 자음을 할당할 수가 있는 할당 키이며, 설명의 편의상 6개만으로 하고 있으나, 한글 문자이면 모음이 21종, 자음이 30종이 있으므로 최대 51개이 할당 키를 준비하면 된다.
제8도는 상술하는 한글 문자를 구성하는 모음, 자음을 각각의 키에 할당하는 경우의 조작 시퀀스를 도시한 도면이며, 제9도는 그 할당되는 키의 정보 영역의 메모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제10도는 그 할당 조작의 개략적인 플로우 챠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7도 내지 제10도를 참조하여, 다음 모음, 자음의 각각의 키로의 할당 조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키보드를 구비하는 거래 처리 장치의 입력 장치의 전원 투입이 되어 설정 모드를 입력 모드로 하면, 키 입력 대기의 다이나믹 키 리이드(S21) 상태로 되어 입력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개시 키가 입력될 때(S22)까지의 그 상태가 계속이 되나, 개시 키가 입력이 되었다면 다음의 스텝의 키 입력 대기의 다이나믹 키 리이드(S23)상태로 된다. 여기에서, 종료키가 입력되지 않고(S24), 또한, 모음, 자음의 할당 키의 입력도 아닌(S25)것이라면, 그 입력이 치수 키인가, 아닌가가 판별(S26)되어, 치수 키도 아닌 다른 키의 입력이면 에러(S27)로 된다. 치수 키의 입력이면, 그 입력된 치수의 자리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모음/자음 모음 또는, 자음의 의미 입력 코드의 자리와 비교(S28)되어, 입력된 자리수가 코드의 자리수를 초과하고 있을 때는 입력 오류로 판단되어 에러(S30)로 되나, 소정의 코드 자리 이내이면 입력된 치수가 치수버퍼로 세트(S29)된다. 희망하는 한글 모음/자음 입력 코드로서 치수가 입력되면, 또, 키 입력 대기(S23)로 되어, 다음에 종료 키가 입력되지 않고 (S24)에 모음, 자음의 할당 키가 입력이 (S25)되면, 앞서 입력된 치수의 자리가 이번에는 모음/자음 입력 코드의 자리수를 만족하고 있는가가 판단(S31)되어, 자리수 부족의 경우는 역시 입력 착오로 생각되어 에러(S35)로 되나, 소정의 코드 자리를 만족하고 있는 경우는 입력된 치수가 소정의 할당이 가능한 코드인가 아닌가가 판별된다(S32)한다. 할당이 가능한 코드가 아닌 때에는 에러(S36)로 되나, 할당이 가능한 코드인 때는 그 코드를 모음/자음 코드로 변환하여 입력된 할당이 가능한 키의 문자 코드 영역에 격반(S33)한다.
이 격납 상황이 제9도에 도시되어 있으나 좌측에는 각각의 할당 키의 키 번호가 기재되고, 중앙에는 기능 코드로서 문자 입력 상태가 아닌 경우에 그 할당 키가 입력되었을 때의 기능을 수행하는 기는 코드가 기억이 되어 있다. 우측에는 한글 문자의 문자 요소인 모음, 자음에 대한 모음/자음 코드 혹은, 다른 문자 코드 등이 상기 입력에 의해 기억된다. 본 도면에서의 예는 맨 위쪽의 기재는 기록 영역에 할당 키의 키 번호로서 1, 기능 코드로서 30, 모음/자음 코드로서 XOE가 기재되어 있었다.
이상과 같이 모음/자음 코드가 문자 코드 영역에 격납이 되면, 치수 버퍼가 클리어(S34)되어, 종료 키가 입력될 때까지 동일하게 각각의 키로의 할당 조작이 계속된다. 종료 키가 입력되면(S24), 치수 버퍼에 치수가 있는가 없는가가 판별(S37)되어 치수가 남아 있을 때, 클리어 동작(S34)이 정상으로 행해지지 아니한 것으로 보아 에러(S39)로 되나, 치수가 남아 있지 아니할 때는 정상인 할당 조작이 종료(S38)된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한글 문자의 입력시의 조작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제12도는 그 입력 조작의 개략적인 플로우 챠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1도 및 제12도를 참조하여, 한글 문자의 입력 조작에 대해서 다음에 설명한다.
거래 처리 장치등의 입력 장치의 전원 투입이 되어, 설정 모드를 문자 입력 모드라 하면 키 입력 대기의 다이나믹 키 리이드(S40) 상태로 되어 입력 가능 상태로 된다. 여기에서 입력된 키가 한글 문자의 모음 또는, 자음이 할당이 되어 있는 키인가, 아닌가가 판별(S41)되어, 할당 키이면 그 입력 키의 개수가 4개 이상인가 아닌가가 판별(S42)된다. 4개 이상의 경우, 한글 문자의 모음, 자음의 구성수는 최대 3이므로 입력착오로서 에러(S44)로 되나, 4개 미만이면, 입력된 키의 문자 코드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모음/자음 코드가 소정의 버퍼에 격납된다. 이어서, 동일하게 한글 문자의 해당하는 모음, 자음에 대응하는 다른 할당 키를 입력한다. 제11도에 있어서는 " "으로서 키 1를, " "로서 키 2를, "L"로서 키 3를 입력한다. 소요의 할당 키를 각각 입력이 끝나면, 1개의 한글 문자의 입력으로 변환해야 할 변환 키를 입력하면, 할당 키에 의한 입력이 아니므로(S41), 그 입력이 변환 키에 의한 것인가가 판별(S45)되어, 변환 키가 아니면 에러(S49)로 된다. 변환 키가 정확하게 입력이 되었다면, 다음에 할당 키가 정확한 순서로서 또한, 소정의 조합으로 입력되었는가가 판별(S46)되어, 그렇지 아니할 때는 에러(S50)로 되나, 정확하게 입력이 되었을 때에는 입력된 각각의 모음/자음 코드를 그들의 모음, 자음으로 구성이 되는 한글 문자(제11도에서는 "한")에 대응하는 문자 코드로 변환하여, 그 문자 코드를 키 입력 버퍼에 격납(S47)하므로서, 해당하는 한글 문자가 입력된 것으로 되어 입력 조작이 종료(S48)한다. 이어서, 다른 한글 문자 등을 입력하려면 상기와 같은 입력 조작을 되풀이하면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한글 문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동일한 구성으로 되는 다른 문자, 기호 등이라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이 되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ECR과 같이 거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입력 장치로 하고 있으나, 워드프로세서나, 퍼스널 컴퓨터 등이 입력 장치에도 적용이 되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2이상의 문자 요소의 조립에 의해 구성이 되는 문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알파베트와 같이 1개의 문자 요소로 되는 문자에 대해서도, 동일한 할당 키에 그 입력 코드를 설정하여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다음에, 제13도에서 제15도를 참조하여 제3실시예에서는 한글 문자를 구성하는 자음, 모음이 코드로 입력된다.
제13도는 키보드(15)에 있어서, 키 배치의 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키보드(15)에는, 후술하는 한글 문자 입력을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숫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텐키, 클리어 키(CLR), 한글 문자 입력을 선언하기 위한 기능 키인 한글 키 및 기타의 기능 키(A 내지 E)등이 설치되어 있다.
한글 문자는, 상술하는 바와 같이 자음 자모(단지, 자음이라 함) 19개, 모음 자모(단지, 모음이라 함) 21개와, 받침(종성 자음) 27개를, 자음+ 모음, 또는, 자음+모음+받침의 형으로 조합시키므로서 구성된다. 자음+모음의 조합으로 399개의 문자가, 자음+모음+받침의 조합으로 10,773개의 문자가 각각 구성되어, 이들의 조합의 총수는 11,172개로 된다.
이 조합에 있어서, 자음은 좌측 또는, 위에 놓여져, 모음은 오른쪽 또는, 아래에 놓여진다. 받침은, 자음+모음으로 되는 한글의 항상 아래에 놓여진다.
이들의 자음, 모음 및 받침을 지정하기 위해서, 제1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에 2자리의 코드가 할당되어 있다.
제14a도에 있어서, 21종류의 모음에는 01 내지 21까지의 입력 코드가 할당되어 있다. 제14b도는 자음 및 받침에 대해서 할당된 입력 코드와의 대응 관계를 도시하는 것이다. 상기 의미에서의 자음은 코드(01 내지 19)까지의 19종류이다. 받침은 코드(01 내지 30) 가운데 코드(16, 17 및 19)를 제외한 27종류로 된다. 따라서, 코드(01 내지 15 및 18)의 16종류의 자모가 자음과 받침에 있어서 공통된다.
이와 같은 모음, 자음 및 받침과 그것에 할당된 코드와의 대응 관계를 도시하는 데이터는 ROM(11) 또는, RAM(12)내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이 데이터는 표시장치(13)에 있어서 한글 문자의 인자를 위한 데이터 [ROM(11)에 기억되는 돗트 패턴등을 포함]와 공용하여도 좋다. 또한, 오퍼레이터용을 위한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대응표가 가시형으로 작성되어 있다.
한글 문자는 상술하는 바와 같이 자음+모음+받침(받침이 없는 경우도 있음)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어, 자음, 모음 및 받침은 각각 2자리의 숫자 코드에 의해 지정되므로, 1개의 한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6행의 숫자를 키보드에서 입력하면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제15a도는 그 키 입력 시퀀스를 도시하는 것으로, 먼저 한글 키가 입력되어 한글 문자 입력의 개시가 선언된다. 이어서, 자음, 모음, 받침의 순으로 그 코드가 입력되어, 마지막으로, 한글 키가 재차 가압된다. CPU(10)는, 한글 키 입력이 있으면, 한글 문자 입력인 것을 인식하고, 이어서, 입력하는 2자리씩의 숫자코드를 각각 자음, 모음, 받침의 코드로 인식하여 RAM(12)의 소정의 영역에 격납한다. 그 입력된 숫자 코드는 내부 코드로 변환되어서, 표시, 인자, RAM(12)내의 데이터 변경등의 처리에 사용된다.
받침이 없고, 자음+모음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한글 문자의 경우에는, 제15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받침·코드의 입력에 대신하여 OO를 입력하도록 하면 좋다. 더욱이, 받침·코드를 입력하는 일이 없고 한글키를 내려 누르도록 하여도 좋다.
한글 키는 자모 코드의 입력 시퀀스의 앞 또는 뒤의 어느한 편에서 만이 조작하도록 하여도 좋다. 코드 입력 시퀀스도, 예를 들면, 모음, 자음, 받침의 순서로 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하여, 자음, 모음, 받침의 코드가 합계로 약간의 51종류이므로, 오퍼레이터는 자모/코드 대응표에서 희망하는 자모를 찾는 것이 매우 용이해져, 입력 조작이 용이해짐과 함께 입력 착오의 발생이 적어지는 것이 기대된다.
제16도 내지 제21도는 제 4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그 실시예는 입력된 한글 문자의 표시에 관한 것이다. 한글 문자는 모음과 자음의 조합에 의해 입력된다.
제16도는 키보드(15)에 있어서 키배치의 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키보드(15)에는, 숫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텐키, 클리어 키(CLR), 한글 문자의 자모를 잘못하여 지정하였을때에 정정 입력하기 위해 사용하는 백(back) 스페이스 키(BS), 한글 문자를 구성하는 자음, 모음의 자모를 입력하기 위한 자모키, 1한글 문자의 자모의 입력을 종료하였을 때에 사용하는 변환 키 등이 설치되어 있다.
제16도에 있어서는 한글 문자의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키보드(5)에는 후술하는 제20도에 도시하는 모든 자모를 입력하기 위한 키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한글 문자의 자음 및 모음을 각각 달리하는 2자리의 숫자에 의해 지정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키보드(15)에 자모키를 설치하지 않고, 모든 자모를 텐키를 사용해서 2자리의 숫자로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빈번하게 사용되는 자모에 대해서는 설치하여 두고, 다른 자모는 텐키로 입력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제20도에 한글의 모음 및 자음(이하, 받침을 포함해서 자음이라 함)의 자모, 이들에 할당된 자모 코드(10 진수) 및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코드(16 진수)가 도시되어 있다. 자음중, 받침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하는 의미에서의 자음은 자모 코드(31 내지 49)까지의 19종류이며, 받침은 자모 코드(46, 47 및 49)를 제외하는 27종류이다. 따라서, 자모 코드(31 내지 45 및 48)의 16종류의 자모가 자음과 받침에 있어서 공통되어 있다.
이와 같은 모음 및 자음과, 그것에 할당된 자모 코드 및 소프트웨어 코드와의 대응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에 대응하여 표시장치(13)위에 표시해야 할 자모 패턴과, 프린터(14)에 의해 인자 해야할 자모 패턴이 ROM(1)에 기억되어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키보드(5)중의 자모키를 표시하는 키 코드와 자모키에 의해 표시되는 자모의 자모 코드와의 대응 관계를 도시하는 테이블이 ROM(11) 또는, RAM(12)에 기억되어 있다. 더욱이, 각 자모를 2자리의 텐키를 사용해서 수치로 입력시킬 경우에는, 자모 코드의 수치를 상기하는 자모 지정용의 2자리의 수치와 같도록 하여두면 상기 테이블은 불필요해진다. 이 경우에는, 오퍼레이터용을 위해 제2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자모와 코드와의 대응표가 가시형으로 작성된다.
제17도는 한글 1문자를 입력할 때의 키 입력 시퀀스를 도시하는 것이다. 한글 문자를 구성하는 자음, 모음, 자음(받침)의 순으로 자모키를 사용하거나, 텐키를 사용해서 2자리수치로 그 자모가 입력되어, 마지막으로 변환 키가 가압된다. 받침이 없는 한글 문자의 경우에는 자음, 모음, 변환키의 순으로 눌려 진다. 텐키를 사용해서 2자리의 수치로 자모를 지정할 때의 수치 입력에 앞서 한글 문자 입력임을 도시하는 키 입력을 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18도는 상기하는 키 입력 시퀀스와 표시장치(13)에 있어서 표시와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CPU(10) 또는, RAM(12)내에는 한글 입력 버퍼와 키 입력 버퍼가 설치되어 있다. 한글 입력 버퍼는, 자모가 입력될 때마다 그 자모의 자모 코드를 입력된 순서로 기억하며, 키 입력 버퍼는 변환키가 눌려졌을 때에, 이미 입력된 자모에 의해 구성이 되는 한글 문자를 표시하는 한글 문자 코드를, 입력 순서로 기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버퍼의 내용도 제18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8도를 참조하여, 제1번째로 자모 키의 의해 자음이 입력이 되면, 그 자모가 표시장치(13)에 표시됨과 함께 한글 입력 버퍼의 제1번째의 장소에 그 자음의 자모 코드가 기억된다, 다음으로, 모음이 입력이되면, 그 자모가 표시장치(13)에 있어서 먼저 입력이 된 자음의 다음의 위치에 표시됨과 함께 한글 입력 버퍼의 제2번째의 장소에 그 모음의 자모코드가 기억된다. 제3번째로 자음(받침)이 입력되면, 표시 장치(13)에 있어서 먼저 입력된 모음 다음의 위치에 자음(받침)이 표시됨과 함께 한글입력 버퍼의 제3 번째의 장소에 이자음(받침)의 자모 코드가 기억된다.
마지막으로 변환 키가 눌려지면, 이미 입력된 3개의 자모가 조합되어 구성되는 1개의 한글 문자가 표시장치(13)에 표시가 됨과 함께, 그 한글 문자를 도시하는 한글 문자 코드가 키 입력 버퍼의 제1번째의 장소에 기억된다. 자음, 모음, 자음(받침)의 한글 문자에 있어서, 상하, 좌우 위치하는 상술하는 바와 같이 정해져 있으므로, 그 규칙에 따라 각각의 자모 패턴을 배열하면 한글 문자가 구성이 되고 한글 문자의 표시가 가능하다.
자음과 모음의 조합의 한글 문자의 경우에는 상기한 제3스텝의 조작, 처리가 생략되는 것은 상술하는 대로이다.
제2문자째의 한글 문자의 입력에 있어서는, 표시장치(13)에 있어서 제1문자째의 한글 문자의 표시위치의 뒤에, 제2문자째의 한글 문자의 자모의 입력마다에 자음, 모음, 자음(받침)의 순으로 표시된다. 또한, 한글 입력 버퍼는 변환 키가 눌려졌을 때, 클리어 되므로 제1문자째와 같게 자모 코드가 기억된다. 키 입력 버퍼에 있어서는 변환 키가 눌려졌을 때에 제2문자째의 한글 문자의 코드가 제2번째의 장소에 기억된다. 제3문자째 이후도 동일하다.
더욱이, 표시 장치 위에, 자모를 입력순으로 표시하는 영역과 변환 키를 내려누른 후에 완성된 한글 문자를 표시하는 영역을 나누어서 설치하여 두면, 제2문자째 이후의 한글 문자의 자모는 제1문자째의 자모를 소거하여 같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같이 하여, 자음, 모음이 키 입력될 때마다 그런 순서로 입력된 자모가 표시되므로, 키 입력 착오가 있으면, 오퍼레이터는 한글 문자의 입력의 도중에서 그때마다 느껴진다. 이 경우에는 오퍼레이터는 백 스페이스 키(BS)를 눌려서, 1개 앞의 잘못된 자모를 삭제하고, 정정하여, 정확한 자모를 키 입력할 수가 있다.
만약, 자모가 표시되지 않고 변환 키를 눌렸을 때는 구성된 한글 문자가 갑자기 표시되도록 하면,오퍼레이터는 변환 키를 눌룰 때 까지 자모의 키 입력의 착오에 느낌이 없다. 따라서, 자모키의 입력 착오가 있었을 때, 이것을 정정하기 위해서는 입력한 1한글 문자를 클리어하여 처음부터 한글 1문자의 키 입력 시퀀스를 행하지 않으면 아니된다.
상술하는 자모 입력 마다의 자모 표시에 의해 오퍼레이터에 의한 키 입력 착오가 적어짐과 동시에 정정에 요하는 조작 시퀀스도 간단화되는 것이 이해 될 것이다.
제19도는 한글 입력 버퍼에 기억된 자모 코드에서 한글 문자 코드가 생성되는 모양을 도시하는 것이다. 먼저, 자모 코드가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코드로 각각 변환된다. 이들의 스프트웨어 코드에는 5비트가 할당이 되어 있으며, 제1번째의 자음이 제15위 비트에서 제11위 비트, 제2번째의 모음이 제10위 비트에서 제6위 비트, 제3번째의 자음(받침)이 제5위 비트에서 제1위 비트에 위치한다. 그래서, 가장 상위 비트에 한글 문자임을 표시하는 한글 구분 코드 비트 "1"이 할당된다. 이와 같은 16자리의 2진수가 4자리씩 16진수로 변환되어 한글 문자 코드로 되어, 키 입력 버퍼에 기억된다. CPU(10)는 그 2바이트 코드를 한글 문자로 인식한다.
마지막으로, CPU(10)에 의해 실행되는 상기한 한글 문자 입력 처리 순서를 제21도를 참조하여 설명을 한다.
키 입력이 있으면, 그것이 판독되어 자모키가 눌렸는지, 변환 키가 눌려졌는지가 첵크 된다(S52, S56).
자모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한글 입력 버퍼에 이미 기억 되어 있는 자모는 2이하인가 아닌가 첵크된다(S53). 1한글 문자는 최대 3개의 자모에 의해 구성이 되므로, 4개 이상의 자모가 연속하여 입력 되었을 때에는 에러로 된다(S61). 에러가 아니면, 상술하는 바와 같이, 하늘 입력 버퍼에 입력된 자모의 코드가 입력의 순서로 기억되어(S54), 표시 장치(13)에 표시가 된다(S55).
변환 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한글 입력 버퍼에 기억되어 있는 자모는 2개 이상인가, 어떤가가 첵크된다(S57). 상술하는 바와 같이 한글 문자는 2개 또는 3개의 자모에 의해 구성이 되므로, 1개의 자모밖에 입력되어 있지 아니한 때에는 에러로 된다(S62).
또한, 한글 입력 버퍼에 스토어되어 있는 자모의 순서, 조합이 정확한가 아니한가가 첵크된다(S58). 그 첵크는, 자음+모음의 순서, 조합으로 입력되어 있는가, 자음+모음+자음(받침)의 순서, 조합시켜 입력되어 있는가, 받침으로서 자음이 제1번째에 입력되어 있지 아니한가, 받침 이외의 자음이 제3번째에 입력되어 있지 아니한가, 등의 판정을 하는 것이다.
그 첵크가 이루어지면, 제19도를 참조하여 도시하는 방법으로 한글 문자 코드가 생성되어, 이것이 키 입력 버퍼에 1이 기억됨과 함께 한글 입력 버퍼가 클리어되어(S59), 입력 자모에 의해 구성된 한글 문자가 표시 장치(13)에 표시된다(S60).

Claims (24)

  1. 복수의 상이한 문자의 각각에 대해서 서로 상이한 복수 자리의 숫자에 대응하는 문자 코드가 미리 할당되어 있는 문자 입력 장치의 문자 코드 할당 방법에 있어서, 문자 코드에 대응하는 숫자를 차례로 입력하기 위한 자리수 키와 문자가 할당되는 복수의 할당 키를 구비하는 키보드(15; 제2도)를 설치하고, 복수의 할당 키에 대응해서, 그것들에 할당된 문자 코드를 기억하는 할당 키 정보 영역(제4도)를 갖는 메모리(12)를 설치하며, 상기 키보드로부터의 자리수 키 입력에 응답해서 자리수 키에 의해 입력된 숫자를 입력 순서로 자리수 버퍼에 차례로 기억(제5도; 스텝 S6, S9)하고, 할당 키 입력에 응답해서 자리수 버퍼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 자리의 숫자가 문자 코드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적절한가, 어떤가를 확인(스텝 S5, S11, S12)한 후, 상기 메모리의 할당 키 정보 영역에, 입력된 할당 키에 대응해서, 자리수 버퍼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 행의 숫자에 대응하는 문자 코드를 기억(스텝 S13)하는 키에 대한 문자 코드 할당 방법.
  2. 복수의 상이한 문자의 각각에 대해서 서로 다른 복수 행의 숫자에 대응하는 문자 코드가 미리 할당되어 있으며, 키에 대한 문자 코드의 할당 모드를 갖는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문자 코드에 대응하는 숫자를 차례로 입력하기 위한 자리수 키와 문자가 할당되는 복수의 할당 키를 구비한 키 입력 수단(15;제2도), 복수의 할당 키에 대응하여, 그것들에 할당된 문자 코드를 기억하는 할당 키 정보 영역(제4도)을 갖는 기억 수단(12)과, 상기 키보드로부터의 자리수 키 입력에 응답해서 자리수 키에 의해 입력된 숫자를 입력의 순서로 자리수 버퍼에 차례로 기억(제5도; 스텝 S6, S9)하고, 할당 키 입력에 응답하여 자리수 버퍼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 행의 숫자가 문자 코드에 대응하는 것으로 하여 적절한다, 어떤가를 확인(스텝 S5, S11, S12)한 후, 상기 기억 수단의 할당 키 정보 영역에, 입력된 할당 키에 대응해서, 자리수 버퍼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 자리의 숫자에 대응하는 문자 코드를 기억(스텝 S13)하는 키에 대한 문자 코드의 할당 처리 수단(1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3. 미리 문자 코드가 각각 할당된 복수의 할당 키를 구비한 키 입력 수단(15), 복수의 할당 키에 대응해서, 그들에 미리 할당된 문자 코드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12)과, 상기 할당 키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기억 수단을 검색하고, 입력된 할당 키에 대응해서 기억되어 있는 문자코드를 독출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문자 인식 수단(10)을 구비한 문자 입력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는 한글 문자인 문자 입력 장치.
  5. 1개의 문자가 2 이상의 문자 요소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어 복수의 다른 문자 요소의 각각에 대해서 서로 다른 복수 자리의 숫자에 대응하는 요소 코드가 미리 할당되어 있는 문자 입력 장치의 문자 요소 코드 할당 방법에 있어서, 요소 코드에 대응하는 숫자를 차례로 입력하기 위한 자라수 키와 요소가 할당되는 복수의 할당 키를 구비한 키보드(15; 제7도)와, 복수의 할당 키에 대응해서, 그들에 할당된 요소 코드를 기억하는 할당 키 정보 영역(제9도)를 갖는 메모리(12)를 설치하여, 상기 키보드로부터의 자리수 키 입력에 응답하여, 자리수 키에 의해 입력된 숫자를 입력 순서로 자리수 버퍼에 차례로 기억(제10도; 스텝 S26, S29)하고, 할당 키 입력에 응답하여, 자리스 버퍼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 자리의 숫자가 요소 코드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적절한다, 아닌가를 확인(스텝 S25, S31, S32)한 후에, 상기 메모리의 할당 키 정보 영역에, 입력된 할당 키에 대응해서 자리수 버퍼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 자리의 숫자에 대응하는 요소 코드를 기억(스텝 S33)하는 키에 대한 문자 요소 코드 할당 방법.
  6. 1개의 문자가 2이상의 문자 요소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어, 복수의 다른 문자 요소의 각각에 대해서 서로 다른 복수 자리의 숫자에 대응하는 요소 코드가 미리 할당되어 있으며, 키에 대한 요소 코드의 할당모드를 갖는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요소 모드에 대응하는 숫자를 차례롤 입력하기 위한 자리수 키와 요소가 할당되는 복수의 할당 키를 구비한 입력 수단(15: 제7도), 복수의 할당 키에 대응해서, 그들에 할당된 요소 코드를 기억하는 할당 키 정보 영역(제9도)를 갖는 메모리(12)와, 상기 키보드로부터의 자리수 키 입력에 응답하여 자리수 키에 의해 입력된 숫자를 입력의 순서로 자리수 버퍼에 차례로 기억하여(제10도 스텝 S26, S29), 할당 키 입력에 응답하여 자리수 버퍼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 자리의 숫자가 요소 코드에 대응하는 것으로 적절한가, 아니한가를 확인(스텝 S25, S31, S32)한 후에, 상기 메모리의 할당 키 정보 영역에, 입력된 할당 키에 대응해서, 자리수 버퍼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자리의 숫자에 대응하는 요소 코드를 기억(스텝 S33)하는 키에 대한 요소 코드의 할당 처리 수단(1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7. 최소한 2 이상의 문자 요소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 입력 장치로서, 상기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 코드와, 상기 문자 요소에 대응하는 요소 코드와, 상기 문자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요소 코드의 조합을 미리 기억하는 기억 수단(12), 상기 요소 코드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15),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2 이상의 요소 코드의 조합과 일치하는 요소 코드의 조합을 상기 기억수단에 있어서 검색하는 수단(10)과, 검색된 요소 코드의 조합에 대응하는 문자 코드를 상기 기억 수단에 있어서 검색하는 수단(10)을 구비한 문자 입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가 한글 문자인 문자 입력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 요소 코드를 그것에 대응한 조작 키의 가압에 의해 입력하는 문자 입력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검색된 문자 코드에 대응하는 문자를 출력하는 수단(13, 14)을 더 구비한 문자 입력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검색된 문자 코드를 기억하는 수단(12)을 더 구비한 문자 입력 장치.
  12. 한글문자를 구성하는 자음, 모음 및 받침의 자모와, 이것에 각각 할당된 코드와의 대응 관계를 기억하여 두는 메모리(12), 상기 코드를 입력하는 숫자 키와 한글문자 입력인 것을 도시하는 한글 키를 구비한 키보드(15; 제13도)와, 상기 한글 키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숫자키에 의해 입력된 코드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자모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한글 문자를 식별하는 수단(10)을 구비한 한글 문자 입력 장치.
  13. 한글 문자를 그 구성 요소인 자음 및 모음의 자모로 분해해서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자모를 나타내는 키와 한 문자의 입력 종료를 나타내는 키를 구비한 키보드(제15; 제16도)를 설치하고, 자모를 나타내는 키를 사용해서 입력된 자모를 나타내는 코드를 버퍼에 일시 기억하거나, 그 자모를 입력 순서에 따라 표시장치(13)에 차례로 표시(제21도; 스텝 S52, S54, S55)하고, 한 문자의 입력 종료를 나타내는 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버퍼에 기억되어 있는 자모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한글 문자를 합성하여 표시 장치(13)에 표시(스텝 S56, S59, S60)하는 한글 문자 입력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한 문자의 입력 종료를 나타내는 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버퍼에 기억되어 있는 자모의 조합에 의해 정확한 한글 문자의 구성이 가능한가, 아닌가를 첵크(스텝 S57, S58)하는 한글 문자 입력 방법.
  15. 제1항에 기재된 할당 키에 대한 문자 코드의 할당 처리후에, 할당 키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의 할당 키 정보 영역을 검색해서, 입력된 할당 키에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는 문자 코드를 독출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문자 입력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처리가 독출한 문자 코드를 메모리(12)에 기억하는 문자 입력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처리가 독출한 문자 코드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문자를 인자 장치(14)에 의해 인자하거나, 표시 장치(13)에 표시하는 문자 입력 방법.
  18. 제5항에 기재된 할당 키에 대한 요소 코드의 할당 처리후에, 할당 키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의 할당 키정보 영역을 검색하여, 입력된 할당 키에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는 요소 코드를 독출하여 버퍼에 일시 기억(제12도; 스텝 S41, S43)하고, 상기 키보드에 설치되어 있는 변환 키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버퍼에 2개 이상의 요소 코드가 기억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후, 상기 버퍼에 의해 구성되는 문자를 나타내는 문자 코드로 변환(스텝 S45, S46, S47)하는 문자 입력 방법.
  1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코드에 대응해서, 그 문자를 구성하는 요소의 요소 코드를 미리 메모리에 설정하여 두고, 이 메모리의 내용을 참조하여, 버퍼에 기억되어 있는 요소 코드를, 그 요소에 의해 구성되는 문자를 나타내는 문자 코드로 변환하는 문자 입력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에 기억되어있는 복수의 요소 코드를 조합시키므로서, 그 요소에 의해 구성되는 문자를 나타내는 문자 코드를 작성하는 문자 입력 방법.
  2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 키 입력에 응답해서, 상기 메모리의 할당 키 정보 영역을 검색하여, 입력된 할당 키에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는 요소 코드를 독출하여 버퍼에 일시 기억(제12도; 스텝 S41, S43)하는 수단(10), 상기 입력 수단에 설치된 변환 키(제7도)와, 상기 변환 키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버퍼에 2개 이상의 요소 코드가 기억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후, 상기 버퍼에 기억되어 있는 요소 코드를, 그 요소에 의해 구성되는 문자를 나타내는 문자 코드로 변환(스텝 S45, S46, S47)하는 수단(10)을 더 구비한 문자 입력 장치.
  22. 조합에 의해 문자를 구성하는 문자 요소가 각각 할당된 복수의 할당 키와, 변환 지령을 입력하기 위한 변환 키를 구비한 입력 수단(15), 복수의 할당 키에 대응해서, 그것에 미리 할당된 문자 요소를 나타내는 요소 코드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12)과, 복수의 할당 키 입력 후에 부여되는 변환 키 입력에 응답해서, 할당 키 입력에 의해 지시되는 요소 코드의 조합을, 그것에 대응하는 문자로 나타내는 문자 코드로 변환하는 처리 수단(10)을 구비한 문자 입력 장치.
  23. 한글 문자를 구성하는 자음, 모음 및 받침의 자모와, 이들에 각각 할당된 코드와의 대응 관계를 미리 메모리(12)에 기억하고, 상기 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키 및 한글 문자 입력인 것을 입력하기 위한 한글키를 키보드(15 ; 제13도)에 설치하고, 상기 한글 키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숫자 키를 사용해서 입력된 코드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자모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한글 문자를 식별하는 한글 문자 입력 방법.
  24. 한글 문자를 그 구성 요소인 자음 및 모음의 자모로 분해해서 입력하는 장치에 있어서, 자모를 나타내는 키와 한 문자의 입력 종료를 나타내는 키를 구비한 키 입력 수단(15 ; 제16도), 상기 키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자모 및 이들의 자모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한글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13)와, 자모를 나타내는 키를 사용해서 입력된 자모를, 그 입력 순서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에 차례로 표시하거나, 한 문자의 입력 종료를 나타내는 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이미 입력된 자모에 의해 구성되어 한글 문자를 합성하여, 그 합성된 한글 문자를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수단(제21도 ; 스텝 S52, S54, S55, S56, S59, S60)(10)을 구비한 한글 문자 입력 장치.
KR1019880005312A 1987-05-07 1988-05-07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9200022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150 1987-05-07
JP87-111150 1987-05-07
JP62111149A JPS63276114A (ja) 1987-05-07 1987-05-07 文字入力装置
JP87-111149 1987-05-07
JP62111150A JPS63276115A (ja) 1987-05-07 1987-05-07 文字入力装置
JP111149 1987-05-07
JP62131737A JPS63298562A (ja) 1987-05-29 1987-05-29 ハングル文字入力装置
JP131737 1987-05-29
JP87-131737 1987-05-29
JP212914 1987-08-28
JP87-212914 1987-08-28
JP62212914A JPS6457361A (en) 1987-08-28 1987-08-28 Method for inputting hankul alphab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4455A KR880014455A (ko) 1988-12-23
KR920002253B1 true KR920002253B1 (ko) 1992-03-20

Family

ID=27469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5312A KR920002253B1 (ko) 1987-05-07 1988-05-07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22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123B1 (ko) * 2002-05-02 2010-02-16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키스트로크 식별을 위한 컴퓨터 구현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510A (ko) * 1996-12-30 1998-09-25 김광호 팩시밀리장치에서 한글 등록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123B1 (ko) * 2002-05-02 2010-02-16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키스트로크 식별을 위한 컴퓨터 구현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4455A (ko) 1988-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75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inese character text input
US7420543B2 (en) User-friendly Brahmi-derived Hindi keyboard
US521276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chinese characters
US45596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storing and accessing characters of a Chinese character-based language
US20040095327A1 (en) Alphanumeric data input system and method
JPH08211987A (ja) 曖昧さの解決論理を備えたキーボード
US4689743A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validating the electronic encoding of an ideographic character
CN1307513C (zh) 汉字输入方法及装置
US4597056A (en) Language translator having circuitry for retrieving full words after single letter input
WO1982000442A1 (en) Ideographic word selection system
US4482981A (en) Input device for pocket electronic translator
KR920002253B1 (ko)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GB2118749A (en) Character manipulation
WO20000438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inese character text input
WO1990002992A1 (en) Symbol definition apparatus
KR0164404B1 (ko) 소수의 전화버튼을 이용한 문자 제어방법 및 장치
US5404517A (en) Apparatus for assigning order for sequential display of randomly stored titles by comparing each of the titles and generating value indicating order based on the comparison
JPH0439702B2 (ko)
JPH08263482A (ja) フォント管理装置
JPS63298562A (ja) ハングル文字入力装置
JP2542670B2 (ja) ワ―ドプロセツサ
JPH02291059A (ja) 日本語処理装置
JPS5818733A (ja) 英文タイプ入力装置
JP2002041509A (ja) 文字入力装置
JPH0554180A (ja) 光学式文字読取装置における帳票フオーマツト定義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13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