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206B1 - 내선가입자의 자가 진단방법 - Google Patents

내선가입자의 자가 진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206B1
KR920002206B1 KR1019890011782A KR890011782A KR920002206B1 KR 920002206 B1 KR920002206 B1 KR 920002206B1 KR 1019890011782 A KR1019890011782 A KR 1019890011782A KR 890011782 A KR890011782 A KR 890011782A KR 920002206 B1 KR920002206 B1 KR 920002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tone
subscriber
function
dig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1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5626A (ko
Inventor
이성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11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2206B1/ko
Publication of KR910005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4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provision for checking the normal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내선가입자의 자가 진단방법
제1도는 교환시스템의 블록구성도.
제2도는 종래의 서비스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메모리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중앙처리장치 20 : 롬
30 : 램 40 : 내선회로
50 : 스위칭회로 60 : 톤 공급기
70: 링 발생기 80 : DTMF 수신기
90 : DTMF 송신기 100 : 국선회로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의 호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선간의 호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설교환시스템에서는 내선가입자와 통화하고자할시 해당 내선번호를 다이알링하여 통화를 수행할 수 있었다.
제1도는 전자식 사설교환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로서, 통화 스위칭을 제어하고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10)와, 기본 호(call) 및 기능들을 수행키 위한 프로그램 및 초기 서비스 데이터를 내장하고 있는 롬(20)과, 프로그램 및 데이터 처리영역으로 처리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고 있는 램(30)과, 내선가입자의 전화기에 음성대역의 통화전류를 공급하는 동시에 시스템간의 인터페이싱을 행하는 내선회로(4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하에 각종 톤, 음성데이타(Speech Data)를 스위칭하는 회로(50)와, 각종 톤(Tone)신호를 발생하여 네트워크(50)로 출력하는 톤공급기(60)와, 가입자 선로에 링신호를 공급하는 링발생기(70)와, 내선회로(40)의 내선가입자로부터 발생되는 MFC(Multi Frequency Code)를 분석하여 해당 디지트 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10)의 인가하는 DTMF 수신기(80)와,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하에 국선라인을 시저(Seizure)하여 국선 루프를 형성하며 국선으로부터의 인컴잉(Incoming)되는 신호를 인터페이싱하는 국선회로(100)로 구성되어 있다.
제2도는 종래의 호서비스 흐름도로서,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이 진행한다.
교환시스템중의 임의의 내선가입자의 훅크 오르(hook off)하면 중앙처리장치 (10)는 내선회로(40)를 통해 해당 내선가입자의 훅크 오프를 인지하고, (A1)단게에서 톤공급기(60)에서 발생하는 발신음(dial tone)을 스위칭회로(50) 및 내선회로(40)를 통해 해당 내선가입자측으로 공급한다. 상기 발신음을 듣고 상기 내선가입자가 첫 디지트(digit)를 다이알링하면 (A2)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50)는 첫디지트를 수신한후 (A3)단계에서 톤공급기(60)를 통해 공급하던 발신음의 공급을 중지한다.
이후 (A4)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는 상기 (A2)단계에서 수신한 첫디지트를 분석하여 내선가입자를 호출하기 위한 내선번호 입력인가를 검사한다. 사설교환기에서는 호출하기 위한 디지트, 임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디지트 및 내선가입자를 호출하기 위한 내선 디지트등이 서로 상이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첫디지트를 수신하면 이를 분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A4)단계에서 국선발신 또는 임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디지트일시에는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루틴으로 점프하고, 내선 가입자를 호출하기 위한 디지트 일시에는 (A5)단계에서 나머지 내선번호를 수신한 후, (A6)단계에서 피호출 내선가입자의 상태를 검사하는데, 해당 내선가입자가 통화가능 상태(free)일시에는 중앙처리장치(10)는 링발생기(70) 및 스위칭회로(50)를 제어하여 발신 가입자에게는 링백톤(ring Back ton)을 공급하고 수신된 가입자에게는 링(ring)을 공급하여 해당 내선가입자들간의 통화로를 형성하여 해당콜에 대한 서비스를 수행한다. 만약 통화가능 상태가 아닐시에는 (A7)단계에서 현재 통화중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피호출 내선가입자가 통화상태(busy) 일시에는 (A9)단계로 진행하여 중앙처링장치(10)는 톤 공급기(60)에서 발생하는 화중음(busy tone) 스위칭회로 (50) 및 내선회로(40)를 통해 내선가입자 측으로 공급하므로 통화불가능 상태를 알려준다.
상기 (A7)단계에의 체크결과 통화상태도 아닐 경우에는 (A8)단계로 진행하여 중앙처리장치(10)는 톤공급기(60)를 제어하여 호출가입자로 실수음(error tone)을 공급하고 에러처리한다.
상기와 같은 호서비스 방법은 발신가입자의 내선번호를 확인하기 위해서 해당 내선번호를 들렸는데 이번호가 발신가입자의 내선번호가 아니고 다른 내선번호일 경우를 가정해 보면, 먼저 다른 내선번호이더라도 상기 다른 내선번호 가입자의 상태가 통화가능 상태라면 상기 다른 내선번호 가입자가 착신하게 되어 발신가입자는 자신이 확인하려던 내선번호가 잘못되었음을 알게된다.
그러나 상기 다른 내선번호 가입자의 상태가 통화중 상태인 경우에는 발신가입자가 자신의 전화번호를 돌린 경우와 마찬가지로 화중음이 들리게 되므로 발신가입자는 상기 다른 내선번호를 자신의 내선번호인 걸로 착각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300번 전화기에서 300번을 돌려야만 통화중 음이 들리는데 만약 상기한 바와같이 300번이 다른 내선가입자인데 통화중일 수도 있어 여러번 시도해봐야 하였으므로 자신의 내선가입자 번호를 알고 있어야만 정확한 확인이 가능하였다. 또 전화번호와 통화중음밖에 확인해 볼 수 없었으며 만약 에러톤이나 확인음들을 시험하려면 없는 전화번호를 돌리거나 내선예약등의 별도의 수동작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선가입자 라인에서 라인테스트 및 전화기 동작상태를 시험하고 내선전화 번호를 확인할 수 있는 내선가입자가 자가 진단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사설교환기 시스템의 블록구성 및 참조번호는 제1도와 동일하며, 제3도는 본 발명의 흐름도이고, 제4도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메로리 맵으로써 수신된 내선번호와 자신의 내선번호가 같을 경우의 예시도이며, (C1)은 가입자 작업테이블이고, (C2)는 가입자 상태 테이블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내선가입자가 후크 오프하면 중앙처리장치(10)는 내선회로(40)를 통해 해당 내선가입자의 훅크오프를 인지하고, (B1)단계에서 톤공급기(60)에서 발생하는 발신음을 스위칭회로(50) 및 내선회로(40)를 통해 해당 내선가입자측으로 공급한다. 상기 발신음을 듣고 상기 내선가입자가 첫 디지트를 다이알링하면 (B2)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는 첫디지트를 수신한 후 (B3)단계에서 톤공급기(60)를 통해 공급하던 발신음의 공급을 중지한다. 이후 (B4)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는 상기 (B2)단계에서 수신한 첫디지트를 분석하여 임의의 기능처리를 위한 기능 id인가를 검사한다.
상기 (B4)단계에서 국선발신 또는 임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디지트일시에는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루틴으로 점프하고, 임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디지트 일시에는 (B5)단계에서 나머지 기능디지트를 수신하여 분석한다.
(B6)단계에서 상기 분석결과가 자가 진단기능 id인지 체크하여 자가진단 기능이 아닐시에는 해당 기능처리 루틴으로 진행한다.자가진단 기능일시에는 내선번호 수신을 위해 (B7)단계에서 스위칭회로(50)를 제어하여 톤공급기(60)로부터 내선회로 (40)를 통해 발신가입자측에 트랜스퍼 톤(transfer tone)을 공급한다.
이후 (B8)단계에서 내선번호를 수신하고 (B9)단계에서 트랜스퍼톤을 중단한다.
상기 트랜스퍼 톤중단후 (B10)단계에서 제4도에 도시된 발신가입자의 가입자 테이블(C1)에 있는 자신의 전화번호(4a)와 상기 (B8)단게에서 수신된 내선번호(4b)단계를 비교하여 상기 수신된 내선번호와 발신가입자의 번호가 같은지 검사한다.
비교결과 번호가 다르면 (B11)단계로 진행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톤공급기(60)로부터 발신가입자측으로 에러톤을 공급하고 에러처리를 행한다.
반면에 번호가 같다고 판명되었을 시에는 (B12)단계로 톤공급기(60)로부터 발신가입자측으로 확인음을 공급하고 (B13)단계에서 내선을 예약하게 된다.
즉 자신을 예약시키게 된다. 상기 예약후 (B14)단계에서 가입자의 후크온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내선 후크온상태가 감지되면 (B15)단계에서 예약기능이 수행되어 자가 진단기능을 수행할 내선으로 링이 울리게 된다.상기 링이 울린후 (B16)단계에서 내선 후크오프 상태여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가입자 후크오프상태가 감지되면 (B17)단계로 진행하여 예약한 가입자와 예약을 당한 가입자가 동일하므로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입자 상태테이블(C2)에서 발신가입자 상태를 검사하면 비지이므로 톤공급기(60)로부터 비지톤을 공급하고 비지처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내선가입자 자가진단을 실시하므로써 자신의 전화번호가 맞을 경우에는 확인음이 들리게 되어 정확한 내선전화 번호 테스트가 가능한 뿐만아니라 자가진단 기능에 의해 내선예약이 자동으로 수행되어 수화기를 내리고 나면 링이 울리며 수화기를 들면 통화증음이 들리게 되어 라인테스트까지 가능하며, 전화기 동작상태를 체크해 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전자식 교환기의 내선가입자 자가진단 방법에 있어서, 내선 후크오프시 첫 디지트를 수신하여 기능 id인지 체크하는 제1과정과, 기능 id일시 나머지 기능디지트를 수신 및 분석하여 자가진단 기능 id인지 체크하는 제2 과정과, 자가진단 기능일시 트랜스퍼 톤을 공급한 후 내선번호를 수신하여 발신가입자 번호와의 동일여부를 체크하는 제3 과정과, 동일번호일시 확인음을 공급하고 수신된 내선번호를 예약하며 동일하지 않을시 에러톤을 공급하는 제4과정과, 내선예약후 내선 후크오프가 감지되면 링을 공급하여 내선 후크오프가 감지되면 비지톤을 공급하고 비지 처리작업을 수행하는 제5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90011782A 1989-08-18 1989-08-18 내선가입자의 자가 진단방법 KR920002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1782A KR920002206B1 (ko) 1989-08-18 1989-08-18 내선가입자의 자가 진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1782A KR920002206B1 (ko) 1989-08-18 1989-08-18 내선가입자의 자가 진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626A KR910005626A (ko) 1991-03-30
KR920002206B1 true KR920002206B1 (ko) 1992-03-19

Family

ID=19289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1782A KR920002206B1 (ko) 1989-08-18 1989-08-18 내선가입자의 자가 진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220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626A (ko) 199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5450B1 (ko) 키폰시스템에서 포기호 발신자 번호 표시방법
JPH01152847A (ja) 発信者番号通知通信網用端末
US4645879A (en) Call-routing device
KR100193824B1 (ko) 교환기의 착신 서비스 방법
KR920002206B1 (ko) 내선가입자의 자가 진단방법
KR0171834B1 (ko) 키폰시스템에서 멀티넘버플랜방법
KR100194456B1 (ko) 하나의 가입자선로를 이용한 단말장치의 선택 호출방법
KR910004271B1 (ko) 교환시스템에서 동일 그룹의 내선 호서비스방법
KR920002485B1 (ko) 피호출 가입자 적격판정방법
KR910005475B1 (ko) 구내교환기에서 특수 가입자의 표시방법
KR0162841B1 (ko) 사설교환 시스템에서 국선라인 사용통제방법
KR19980015966A (ko) 교환시스템의 가입자 그룹별 링 서비스 방법
KR900006776B1 (ko) 전자교환기에 사설교환기 수용시 착신가입자 회선의 제한적 호출처리방법
KR100547826B1 (ko) 사설교환기의 통화중 메모 방법
KR930003152B1 (ko) 멀티번호 등록 및 호출방법
KR910003922B1 (ko) 일반 전화기 전용 간이 교환시스템의 인스톨 데이타 변경방법
KR100260615B1 (ko) 간이 교환시스템의 엠에프알 할당시점 조절방법
KR100229883B1 (ko) 키폰시스템에서 자동발신 및 음성정보 송출방법
KR910001678B1 (ko) 사설교환기에 있어서 한번호로의 다중 호출방법
KR100242698B1 (ko) 안내대를 이용한 착신 거부 방법
JPH04280555A (ja) Isdn電話装置
JP2002359680A (ja) 通信端末装置及びターミナルアダプタ装置
JPH04361461A (ja) 電話装置
JPS61161858A (ja) 個人別電話サ−ビスクラス規制方式
JPH0879336A (ja) 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1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