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922B1 - 일반 전화기 전용 간이 교환시스템의 인스톨 데이타 변경방법 - Google Patents

일반 전화기 전용 간이 교환시스템의 인스톨 데이타 변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922B1
KR910003922B1 KR1019880008031A KR880008031A KR910003922B1 KR 910003922 B1 KR910003922 B1 KR 910003922B1 KR 1019880008031 A KR1019880008031 A KR 1019880008031A KR 880008031 A KR880008031 A KR 880008031A KR 910003922 B1 KR910003922 B1 KR 910003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grade
digit
change
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8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1178A (ko
Inventor
이일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08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3922B1/ko
Publication of KR900001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일반 전화기 전용 간이 교환시스템의 인스톨 데이타 변경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흐름도.
제 3 도는 시스템 초기화시 롬의 인스톨 영역 데이타가 램으로 카피되는 메모리 구성도.
제 4 도는 내선등급 영역의 메모리 맵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중앙처리장치 20 : 롬
30 : 램 40 : 내선회로
50 : 네트워크 60 : 톤 공급기
70 : 링 발생기 80 : DTMF수신기
90 : DTMF송신기 100 : 국선회로
110 : TTC
본 발명은 일반전화기를 전용으로 사용하는 간이 교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 전화기를 이용하여 인스톨 데이타 내용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방법에 과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스톨 데이타(install data)라 함은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초기데이타를 말하며, 간이 교환장치에서는 상기 인스톨 데이타를 롬에 저장하고 있다. 종래의 일반 전화기 전용 간이 교환장치에서는 시스템 운용전에 초기데이타를 롬 영역 내 일정 주소에 미리 지정하여 놓음에 따라, 차후 데이타 변경이 필요할시 롬데이타를 변경할 수 있는 장비(ROM WRITER)가 있어야 함은 물론 변경된 롬을 시스템에 실장시 운용중인 시스템을 중단시켜야 했었던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전화기 전용 간이교환장치에서 인스톨 데이타 재입력 및 변경시 타장비(ROM WRITER) 및 운용중인 시스템의 중단없이 실장된 어떤 내선에서나 프로그램에 의해 자유롭게 데이타를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도로서, 통화 스위칭을 제어하고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10)와, 기본 호(CALL) 및 기능등을 수행키 위한 프로그램 및 초기 서비스 데이타를 내장하고 있는 롬(20)과, 프로그램 및 데이타 처리영역으로 처리 데이타를 일시 저장하고 있는 램(30)과, 내선가입자의 전화기에 음성대역의 총화전류를 공급하는 동시에 시스템과 가입자간의 인터페이싱을 행하는 내선회로(4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하에 각종 톤, 음성데이타(Speech Data)를 스위칭하는 네트워크(5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하에 각종 톤(Tone)신호를 발생하여 네트워크(50)로 출력하는 톤공급기(60)와, 가입자 선로에 구형파의 링신호를 공급하는 링발생기(70)와, 상기 내선회로(40)의 내선가입자로부터 발생되는 MFC(Multi Frequency Code)를 분석하여 해당 디지트 데이타를 중앙처리장치(10)로 인가하는 DTMF수신기(8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하에 MFC신호를 출력하는 DTMF송신기(9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하에 국선라인을 시저(Seizure)하여 국선 루프를 형성하며 국선으로부터의 인컴잉(Incoming)되는 신호를 시스템과 인터페이싱 하는 국선회로(100)와, 정전시 국선 대피가 가능하도록 하는 TTC(110)로 구성된다.
제 2 도는 본 발명의 흐름도로서, 초기 전원 온시 롬에 저장하고 있는 인스톨 데이타를 램의 특정영역에 저장하는 제 1 과정(A1)과, 상기 제 1 과정 수행후 훅크오프시 인스톨 데이타의 변경을 위한 디지트 수신인가 검사하며 아닐시 수신되는 디지트에 따른 국선 또는 내선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 2 과정(A2-A4)과, 상기 제 2 과정(A3)에서 인스톨 변경 디지트일 시 등급변경 디지트인가 검사하며, 아닐시 정확한 암호 수신유무를 분석하고 암호일치시 상기 램의 특정영역에 저장중인 해당 기능의 인스톨 데이타를 수신되는 데이타로 변경하는 제 3 과정(A5,A6)과, 상기 제 3 과정(A5)에서 등급 변경 디지트일시 암호 디지트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제 4 과정(A8-A11)과, 상기 제 4 과정(A9)에서 암호 일치시 내선수만큼 각 내선의 등급 변경 데이타를 수신하여 등급 변경 데이타를 수신하여 등급 변경 형태가 유효한가 분석하는 제 5 과정(A12-A14)과, 상기 제 5 과정(A13)단계에서 유효할 시 등급 변경 데이타를 리드하여 상기 램 상의 특정 영역에 할당된 해당 내선가입자의 등급 데이타 저장영역에 변경된 현 등급 데이타를 저장하는 제 6 과정(A15-A22)과, 상기 제 6 과정(A15-A22) 수행후 전 내선 가입자의 등급 변경을 완료하였는가 검사하며, 아닐시 다음 내선 가입자의 등급 변경 데이타를 리드한 후 상기 제 5 과정(A15-A22)으로 되돌아가는 제 7 과정(A32-A24)과, 상기 제 7 과정(A23)에서 등급 변경 완료시 종료 인식음을 공급하고 변경된 등급으로 서비스하는 제 8 과정(A25)으로 이루어진다.
제 3 도는 초기화시 롬(20)의 인스톨 데이타 저장영역(3C)의 데이타가 램(30)의 특정영역(3D)으로 카피(copy)되는 메모리 맵 구성도로서, 상기 램(30)의 특정영역(3D)에 카피된 인스톨 데이타는 정전시에도 휘발되지 않아야 되므로, 백업(back-up)기능을 갖는 램을 사용한다.
제 4 도는 시스템 초기화후 내선등급 영역의 블럭도로서 (4A)는 롬(20)상의 내선등급의 인스톨 데이타를 저장하고 있는 영역이며, (4B)는 램(30)상의 내선등급 영역으로서 CLASTB는 램(30)영역에 복사된 내선등급을 처음 주소를 의미하고 (4C)는 내선등급 변경후의 램(30)상의 내선등급 데이타의 변경 형태도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을 제 1, 2, 3, 4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파워 온(power on)에 의한 시스템 초기화시, 제 3 도와 같이 롬(20)의 (3C)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인스톨 데이타를 (3D)와 같은 램(30)의 특정 영역에 복사한다. 이는 차후 인스톨 데이타를 변경하려할시, 시스템 초기화 동작에 의해 램(30)에 라이트된(3D)영역의 인스톨 데이타를 일반 전화 가입자(END-USER)가 사용중인 전화기를 통해 수행하고자 함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램(30)영역에 카피된 인스톨 데이타는 정전시에도 휘발되지 않아야 하므로, 백업 기능을 갖는 램 영역내에 특정 메모리를 선택하여 소정 데이타("OAAH")를 라이트하여 둔다. 따라서 차후 시스템 전원에 이상이 발생되어(power failure) 재기동(restart)했을시, 중앙처리장치(10)는 램(30)의 상기 (3D)영역을 리드하여 소정 데이타("OAAH")인 경우 이미 인스톨된 영역이 보호될 수 있도록 롬(20)의 데이타를 재카피(recopy)하지 않으며, 소정 데이타("OAAH")가 아닌 경우에만 백업 램의 데이타가 깨졌다고 판단하여 롬(20) 데이타를 램(30)에 재카피하도록 한다.
사용중인 임의의 일반전화기에서 인스톨 데이타를 변경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흐름은 하기와 같이 진행한다.
여기서 간이교환장치는 내선을 6회선까지 사용하며, 램(30)영역에 카피된 내선등급의 처음주소를 CLASTB라 하고, 상기 CLASTB의 초기 내용을 제 4 도의 (4a)와 같이 모두 04라 가정한다. 또한 내선등급 데이타가 00이면 국제 통화까지 가능하고, 04면 시외통화까지만 가능하며, 06이면 시내통화까지만 가능하고, 07이면 내선통화 기능만 가능하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최초 내선등급 데이타를 변경하지 않은 경우 내선은 모두 (4A)와 같이 롬(20)의 (3C)영역에 저장된 내선 등급 데이타에 의해 시외통화까지만 가능한 상태가 된다. 최초 간이 교환 시스템에 전원이 공급되면, 중앙처리장치(10)는 상기 롬(20)의 (3A)영역에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 초기화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중앙처리장치(10)는 (A1)단계에서 롬(20)의 (3C)영역에 저장하고 있는 인스톨 데이타를 (3D)와 같이 할당된 램(30)의 특정영역에 복사한다. 상기와 같이 초기화 과정이 종료되면, 중앙처리장치(10)는 국선 및 내선가입자의 요구에 따른 통화 및 각종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임의의 내선 가입자가 훅크 오프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0)는 (A2)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해당 내선 가입자가 발생하는 다이알을 수신할 수 있도록 DTMF수신기(DTMF Receiver)(80)를 네트워크(NETWORK)(50)상의 정터(JUNCTOR)에 연결한후, 톤 공급기(tone supply)(60)를 통해 해당 내선측으로 다이알 톤을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해당 내선 가입자로 다이알 톤을 공급하고 있는 상태에서 다이알링 디지트가 수신되면, 중앙처리장치(10)는 (A3)단계에서 해당 다이알링 디지트가 인스톨 데이타(install data)변경 디지트 인가를 점검한다. 즉, 내선번호를 1번에서 6번이라하고, 인스톨 변경 ID(식별번호)를 7X, 8X라 할때 첫번째 디지트가 7 또는 8인지 점검하는 단계이다.
상기 (A3)단계에서 인스톨 변경 ID가 아니면, (A3)단계에서 수신되는 다이알링 디지트를 분석하여 수신디지트에 따라 국선 및 내선 호 및 기능을 서비스한다. 그러나 상기(A3)단계에서 인스톨 변경 ID로 판단되면, (A5)단계에서 변경하고자 하는 인스톨 데이타가 내선 등급을 변경하고자 하는 디지트 데이타인가 검사한다. 이때 상기 (A5)단계에서 내선 등급 이외의 인스톨 데이타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A6)단계로 진행하여 암호 디지트 데이타를 수신하여 암호 일치여부를 분석한 후, 맞으면 연속해서 수신되는 디지트 데이타를 해당 인스톨 데이타로 변경하여 램(30)의 인스톨 데이타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그러나 상기 (A5)단계에서 수신된 인스톨 변경 ID가 내선의 등급을 변경하고자 하는 ID로 판명되면, 중앙처리장치(10)는 (A7)단계로 진행하여 톤공급기(60)를 제어하여 인식음을 해당 엔드 유저(END-USER)측으로 인가함으로서 유효데이타 입력했음을 알린다. 이때 등급변경은 누구나 쉽게 변경하면 운용상 문제점이 있으므로, 암호를 알고 있는자 만이 변경 가능토록 하기위하여 (A8)(A9)단계에서 유효 암호인가를 검사하는데, 암호가 유효하지 않을시에는 (A10)단계에서 톤공급기(60)의 통화중음을 공급하여 암호가 틀림을 엔드유저 측으로 알린다. 그러나 유효한 암호면(A11)단계에서 정확한 암호입력을 엔드 유저에게 알리기 위하여 톤을 짧게 공급한다. 상기 (A11)단계에서 유효암호 입력됨을 나타내는 인식음을 엔드 유저가 들으면 각 내선의 등급을 변경하기 위한 데이타를 입력하는데, (A12)단계에서는 간이교환 시스템에 연결된 내선수만큼 등급 변경할 데이타가 입력되는지 점검하며, 만약 내선수 만큼 데이타가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 서어비스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A12)단계에서 모든 내선수만큼의 등급 변경데이타 수신을 인지하면, 중앙처리장치(10)는 (A13)단계에서 수신된 전 내선 등급 변경 데이타가 유효데이타 범위에 드는가 검사한다. 상기 (A13)단계에서 유효 데이타가 아닐시, 중앙처리장치(10)는 (A14)단계에서 톤 공급기(60)를 통해 엔드유저에게 통화중음을 공급하여 서어비스되지 않도록 하고 리턴한다.
이때 상기 (A13)단계에서 유효한 데이타 일경우(3 : 국제통화까지 가능, 2 : 시외통화가능, 1 : 시내통화가능, 0 : 내선 통화가능), 중앙처리장치(10)는 (A15)-(A25)단계를 수행하여 입력된 데이타 순서대로 제 4 도의 (4B)와 같은 램(30)의 내선 등급 데이타를 (4C)와 같이 램(30)의 CLASTB에 데이타를 입력시킨다. 즉, (A15)단계에서 첫번째 내선의 등급변경을 위한 데이타를 가지고 (A16-A22)단계를 수행하여 해당 등급변경 데이타를 램(30)의 1번 내선 영역에 라이트하며, (A24)단계에서 두번째 내선의 등급변경을 위한 데이타를 가지고 다시 (A16-A22)단계를 수행하여 해당 등급변경 데이타를 2번 내선영역에 라이트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6회선의 내선일시 6번 내선 영역까지 각각에 해당하는 등급변경 데이타를 라이트한다. 이때 상기 (A16-A22)단계에서 상기 (A13)단계에서 판단된 유효데이타(0-3)에 대한 데이타를 가지고 변경된 내선등급을 확인하여 램(30)의 CLASTB에 저장하는 과정이다. 상기와 같이 6회선에 대한 내선의 등급을 모두 변경하면 (A25)단계에서 톤공급기(60)를 통한 인식음을 엔드유저에게 출력하며 내선의 등급변경을 완료했음을 알리고, 변경된 내선등급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상태로 천이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같이 램(30)의 내선 등급 저장영역에 최초 제 4 도의 (4b)와 같이 내선 등급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를 (4C)와 같은 형태로 첫번째 및 두번째 내선은 국제통화까지 가능하게 하고, 세번째 및 네번째 내선은 시외통화까지만 가능하게 하며 나머지 내선들은 시내통화까지만 가능하게 내선등급을 변경한다고 가정하여 본 발명의 흐름과정을 재설명한다.
먼저 엔드 유저는 내선등급을 변경하기 위한 ID데이타를 발생한다. 그러면 시스템은 (A3) 및 (A5)단계에서 내선 등급 변경을 위한 ID임을 인지하고 이에 따른 인식음을 공급한다. 이후 상기 인식음을 듣고 엔드 유저가 암호변호를 입력하며, 시스템은 다시 (A8),(A9)단계를 통해 암호번호를 수신하여 세트된 암호번호와 일치하는가를 분석한다. 그리고 암호번호가 일치하면 이에 대한 인식음을 공급한다. 이때 엔드유저는 상기 인식음을 듣고, 하기 (표1)과 같이 내선등급 변경을 위한 데이타를 발생한다.
[표 1]
Figure kpo00001
그러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0)는 상기 (표 1)과 같은 등급 변경 데이타에 의해 (A22)단계에서 (4B)와 같이 롬(20)의 인스톨 데이타가 저장된 램(30)의 1번 및 2번 내선영역에 (4C)와 같이 00를 라이트한다. 이때 내선 1, 2는 국제 전화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A21)단계에서는 램(30)의 3번 및 4번 내선영역에 04H를 라이트하며, 이때 내선 3,4는 시외전화까지만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A17)단계에서 램(30)의 4번 영역에 06H를 라이트하며, 이때 내선 5, 6은 시내 전화까지 사용 가능하다. 상기 제 4 도의 (4B), 같은 램(30)의 내선등급 데이타를 상기 (표1)과 같이 변경하면, 램(30)에는 (4C)와 같이 변경된 등급 데이타가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내선등급 변경에 따른 데이타가 램(30)에 저장된후 베이스 프로그램(base program)에서 상기 CLASTB의 내용을 참조하여 서어비스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간이 교환 시스템에서 롬에 저장된 인스톨 데이타를 램상에서 변경하여 간이 교환시스템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MMC ID(7X, 8X에서 X는 0부터 9)를 다르게 둠으로써, 국선 형태(MFC 및 야미 PULSE), 암호변경 단축 다이얼 입력, 거부 기능등을 롬의 데이타 변경없이 사용중인 내선에게 간단히 데이타를 변경할 수 있으며, 편리하게 인스톨 데이타의 변경을 서어비스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다수개의 일반전화기를 연결하여 교환기능을 수행하는 간이 교환시스템의 인스톨 데이타 변경 방법에 있어서, 초기 전원온시 롬에 저장하고 있는 인스톨 데이타를 램의 특정영역에 저장하는 제 1 과정(A1)과, 상기 제 1 과정 수행후 훅크오프시 인스톨 데이타의 변경을 위한 디지트 수신인가 검사하며, 아닐시 수신되는 디지트에 따른 국선 또는 내선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 2 과정(A2-A4)과, 상기 제 2 과정(A3)에서 인스톨 변경 디지트일시 등급변경 디지트인가 검사하며, 아닐시 정확한 암호 수신유무를 분석하고 암호일치시 상기 램의 특정영역에 저장중인 해당 기능의 인스톨 데이타를 수신되는 데이타로 변경하는 제 3 과정(A5,A6)과, 상기 제 3 과정(A5)에서 등급 변경 디지트일시 암호 디지트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제 4 과정(A8-A11)과, 상기 제 4 과정(A9)에서 암호 일치시 내선수만큼 각 내선의 등급 변경 데이타를 수신하여 등급 변경 형태가 유효한가 분석하는 제 5 과정(A12-A14)과, 상기 제 5 과정(A13)단계에서 유효할 시 등급변경 데이타를 리드하여 상기 램 상의 특정 영역에 할당된 해당 내선가입자의 등급 데이타 저장영역에 변경된 현 등급 데이타를 저장하는 제 6 과정(A15-A22)과, 상기 제 6 과정(A15-A22) 수행후 전내선 가입자의 등급 변경을 완료하였는가 검사하며, 아닐시 다음 내선 가입자의 등급 변경 데이타를 리드한 후 상기 제 5 과정(A15-A22)으로 되돌아가는 제 7 과정(A23-A24)과, 상기 제 7 과정(A23)에서 등급 변경 완료시 종료 인식음을 공급하고 변경된 등급으로 서비스하는 제 8 과정(A25)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전화기 전용 간이 교환 시스템의 인스톨 데이타 변경방법.
KR1019880008031A 1988-06-30 1988-06-30 일반 전화기 전용 간이 교환시스템의 인스톨 데이타 변경방법 KR910003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8031A KR910003922B1 (ko) 1988-06-30 1988-06-30 일반 전화기 전용 간이 교환시스템의 인스톨 데이타 변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8031A KR910003922B1 (ko) 1988-06-30 1988-06-30 일반 전화기 전용 간이 교환시스템의 인스톨 데이타 변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178A KR900001178A (ko) 1990-01-31
KR910003922B1 true KR910003922B1 (ko) 1991-06-15

Family

ID=19275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8031A KR910003922B1 (ko) 1988-06-30 1988-06-30 일반 전화기 전용 간이 교환시스템의 인스톨 데이타 변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39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7422B1 (ko) * 1996-12-19 1999-09-01 윤종용 교환기의 데이터 베이스 생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178A (ko) 1990-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79234C (en) Telephone directory apparatus and method
US620871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a desired record in a plurality of records in an input recognizing telephone directory
HUP0000164A2 (hu) Eljárás és berendezés hangadatok letöltésére mobil állomásokra
WO2003021923A1 (en) Automatic voice call connection service method using personal phone book database constructed through voice recognition
KR910003922B1 (ko) 일반 전화기 전용 간이 교환시스템의 인스톨 데이타 변경방법
GB2308522A (en) Redialling method
KR20000060808A (ko) 전화를 이용한 전자 전화번호 서비스 방법
KR0171834B1 (ko) 키폰시스템에서 멀티넘버플랜방법
KR960013258B1 (ko) 키폰시스템에 있어서 음성인식 장치를 이용한 내선호출 및 국선발신 방법 및 장치
US5857015A (en) Automatic operator and last-number-credit
KR910004271B1 (ko) 교환시스템에서 동일 그룹의 내선 호서비스방법
US20030179878A1 (en) Exchange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and exchange communication device
KR19980045248A (ko) 통화요금 절감방법
KR100345767B1 (ko) 호출자 아이디를 이용한 통화 상대자 정보 화면 표시 장치및 방법
KR920002785B1 (ko) 전화기에 있어서 통화중 전화번호 메모방법
KR920002206B1 (ko) 내선가입자의 자가 진단방법
KR100378400B1 (ko) 교환시스템의무선단말자동호출방법
KR100594070B1 (ko)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보조기억장치를 이용한 내선 단말기의 고유정보를 변경하는 방법
KR900004471B1 (ko) 사설교환기에서 강제 승급에 의한 통화 방법
KR100487186B1 (ko) 간이교환시스템에서내선가입자별링서비스방법
KR920011072B1 (ko) 국선가입자에 대한 사설교환기의 기능 서비스 방법
KR100464362B1 (ko) 키폰시스템에서 호 픽업 방법
KR20000046551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호 방법
KR970009129A (ko) 전전자 교환기의 악의호 정보 접수 및 안내 방법
JPS62117449A (ja) ペ−ジ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