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4070B1 -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보조기억장치를 이용한 내선 단말기의 고유정보를 변경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보조기억장치를 이용한 내선 단말기의 고유정보를 변경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4070B1
KR100594070B1 KR1019990013101A KR19990013101A KR100594070B1 KR 100594070 B1 KR100594070 B1 KR 100594070B1 KR 1019990013101 A KR1019990013101 A KR 1019990013101A KR 19990013101 A KR19990013101 A KR 19990013101A KR 100594070 B1 KR100594070 B1 KR 100594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terminal
extension
unique information
storage device
auxiliary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3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6187A (ko
Inventor
류영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13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4070B1/ko
Publication of KR20000066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6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04M3/546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in private branch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5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network data storage and management
    • H04M2203/558Data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설시스템에서 보조기억장치를 이용한 내선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변경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내선 단말기의 고유 정보인 내선번호, 페이징 존, 발신 등급, 내선 그룹, 국선 그룹을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하여 시스템 교체시 또는 좌석 이동시 별도의 셋팅없이 보조기억장치의 교체만으로 내선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사설 교환시스템, 보조기억장치, 내선 단말기

Description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보조기억장치를 이용한 내선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변경하는 방법{METHOD FOR CHANGING INFORMATION OF KEYPHONE BY SECONDARY MEMORY IN PRIVATE EXCHANGE SYSTEM}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설 교환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선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선 단말기에서 보조기억장치가 교체되었을때 데이터베이스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본 발명은 사설 교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조기억장치를 교체하여 내선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변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설 교환시스템에서는 내선 가입자와 내선 가입자간 또는 국선 가입자와 내선 가입자간의 통화로를 연결해준다.
이러한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종래 내선 단말기의 기억장치는 단순히 재다이얼링 또는 단축 다이얼링등을 간단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종래 내선 단말기는 내선 변경시 또는 새로운 시스템으로 교체될 때 시스템에서 상기 내선 단말기에 대한 모든 데이터를 수정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종래 사설 교환시스템에서는 내선 가입자가 일시적으로 좌석을 이동하더라도 내선을 변경해주어야만 사용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운용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 사용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새로운 보조기억장치를 내선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변경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내선 가입자가 좌석 이동시 내선 단말기의 보조기억장치만을 교체하여 이전 정보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내선 가입자의 내선 번호, 페이징 존, 발신 등급, 내선 그룹, 국선 그룹등의 고유 정보를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하여 시스템 교체시 또는 좌석 이동시 내선단말기의 보조기억장치만을 교체하므로써 데이베이스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설 교환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설 교환시스템의 개략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제어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사설 교환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11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어 흐름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스위칭부(112)는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국선 접속부(113)와 내선 접속부(114)간의 통화로를 스위칭하고, DTMF 수신부(115) 및 DTMF 송신부(116)로부터 수신 또는 송신되는 DTMF신호를 스위칭하고, 톤 발생부(118)에서 생성된 톤신호를 스위칭한다. 국선 접속부(113)는 국선을 시져하여 국선 통화 루프를 형성하며,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국선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스위칭부(112)로 제공하고, 스위칭부(112)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국선으로 송신한다. 내선 접속부(114)는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접속된 내선 단말기들(121∼12n)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스위칭부(112)로 제공하고, 스위칭부(112)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해당 내선 단말기로 전달한다. DTMF 수신부(115)는 스위칭부(112)로부터 입력되는 DTMF신호를 분석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여기서 스위칭부(112)로 입력되는 DTMF신호는 상기 국선가입자가 발생한 전화번호 또는 내선 가입자가 발생한 전화번호가 된다. DTMF 송신부(116)는 제어부(110)에서 출력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DTMF신호로 변환하여 스위칭부(112)로 출력한다. 여기서 DTMF 송신부(116)에서 출력되는 DTMF신호는 내선측에서 국선측을 호출할 시 발생한 국선 가입자의 전화번호가 된다. 링 발생부(117)는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링신호를 발생하여 내선 접속부(114)를 통해 내선 단말기(121∼12n)로 공급한다. 톤 발생부(118)는 제어 부(110)의 제어하에 각종 톤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칭부(112)로 출력한다. 내선 단말기(121∼12n)는 내선 번호, 페이징 존, 발신 등급, 내선 그룹, 국선 그룹등의 고유 정보를 삽입된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한다. 이때, 내선 단말기(121∼12n)는 상기 보조기억장치를 내선 가입자가 임의로 착탈할 수 있으며, 내선 가입자가 좌석을 이동할때 상기 보조기억장치만을 꺼내서 이동한 좌석의 다른 내선 단말기로 상기 보조기억장치를 삽입하면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기억장치는 휴대 및 내선 단말기로부터의 착탈이 용이한 플래쉬 메모리나 스마트 카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보조기억장치를 이용한 내선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보조기억장치를 이용하여 내선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200)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시스템이 재시작(clear restart)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시스템이 재시작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10)단계에서 제어부(110)는 내선 접속부(114)로부터 내선 단말기들(121~12n)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받아들일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내선 단말기들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받아들일 것으로 판단되면, 제(220)단계에서 제어부(110)는 모든 데이터베이스를 클리어한다. 제(230)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내선 단말기가 백업 전화기(backup phone)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백업 전화기는 내선 단말기에 내선 가입자의 고유 정보를 저장하는 보조기억장치가 교체 삽입되어 있는 전화 기를 말한다. 상기 내선 단말기가 백업 전화기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240)단계에서 제어부(110)는 내선 접속부(114)를 통해 상기 내선 단말기로 백업 데이터의 전송을 요구한다. 제(250)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상기 내선 단말기로부터 교체된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백업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60)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백업 데이터로 데이터베이스를 설정한다. 제(270)단계에서 제어부(110)는 백업할 데이터가 더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백업할 데이터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90)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정상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내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받아들이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80)단계에서 제어부(110)는 모든 백업 데이터베이스를 클리어한다. 제(285)단계에서 제어부(110)는 데이터베이스를 디폴트 상태로 인스톨하고, 제(290)단계에서 정상 동작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내선 단말기의 보조기억장치가 교체되었을 때 데이터베이스를 재설정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내선 단말기의 보조기억장치를 교체할 때 데이터베이스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310)단계에서 제어부(110)는 내선 접속부(114)를 통해 소정 내선 단말기가 접속되면, 제(320)단계에서 상기 접속된 내선 단말기에 보조기억장치가 교체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접속된 내선 단말기에 보조기억장치가 교체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330)단계에서 제어부(110)는 내선 접속부(114)를 통해 상기 접속된 내선 단말기로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내선 가입자에 대한 고유 정보의 전송을 요구한다. 제(340)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상기 내선 단말기의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고유 정보를 수신하면, 제(350)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고유 정보로 데이터베이스를 설정한다. 제(360)단계에서 제어부(110)는 백업할 데이터가 더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백업할 데이터가 더 이상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370)단계에서 제어부(110)는 데이터를 상기 내선 단말기로 인스톨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내선 가입자가 좌석을 이동할때 내선 단말기의 보조기억장치만을 새로 삽입하여 내선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내선 단말기의 보조기억장치를 사용하여 그 이동성을 최대한 높여 잠시 좌석을 이동하더라도 내선 가입자의 정보를 보조기억장치의 교체만으로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다.

Claims (2)

  1. 내선 가입자의 고유 정보를 저장하며, 소정 내선 단말기로부터의 착탈이 가능한 보조기억장치를 구비하는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보조기억장치를 이용한 내선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변경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스템 재시작되면, 접속된 내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받아들일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된 내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받아들일 것으로 판단되면, 데이터베이스를 클리어하는 과정과,
    상기 내선 단말기의 보조기억장치가 교체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내선 단말기의 보조기억장치가 교체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내선 단말기로 데이터 전송을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내선 단말기의 교체된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를 전송받아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보조기억장치를 이용한 내선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변경하는 방법.
  2. 내선 가입자의 고유 정보를 저장하며, 내선 단말기로부터 착탈이 용이한 보조기억장치를 적어도 구비하는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내선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변경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 내선 단말기가 접속되면, 상기 내선 단말기의 보조기억장치가 교체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내선 단말기의 보조기억장치가 교체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내선 단말기로부터 상기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고유 정보의 전송을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내선 단말기로부터 변경된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고유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고유 정보로 데이터베이스를 변경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보조기억장치를 이용한 내선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변경하는 방법.
KR1019990013101A 1999-04-14 1999-04-14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보조기억장치를 이용한 내선 단말기의 고유정보를 변경하는 방법 KR100594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3101A KR100594070B1 (ko) 1999-04-14 1999-04-14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보조기억장치를 이용한 내선 단말기의 고유정보를 변경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3101A KR100594070B1 (ko) 1999-04-14 1999-04-14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보조기억장치를 이용한 내선 단말기의 고유정보를 변경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187A KR20000066187A (ko) 2000-11-15
KR100594070B1 true KR100594070B1 (ko) 2006-06-28

Family

ID=19579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3101A KR100594070B1 (ko) 1999-04-14 1999-04-14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보조기억장치를 이용한 내선 단말기의 고유정보를 변경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407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4625A (ko) * 1993-11-05 1995-06-16 게르하르트 로테르 회전식 진동댐퍼
KR950014625B1 (ko) * 1991-01-12 1995-12-11 금성정보통신주식회사 사설교환기의 가입자 데이타 변경 입·출력장치
KR960027929A (ko) * 1994-12-13 1996-07-22 구자홍 키폰전화기의 데이타 자동 변경 장치
KR970056541A (ko) * 1995-12-29 1997-07-31 유기범 키폰전용단말기의 등록 방법
JPH09233504A (ja) * 1996-02-27 1997-09-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要素送出選択方法および情報要素送出選択装置
KR20000010013A (ko) * 1998-07-29 2000-02-15 윤종용 키폰시스템의 단말 고유정보 자동 세팅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4625B1 (ko) * 1991-01-12 1995-12-11 금성정보통신주식회사 사설교환기의 가입자 데이타 변경 입·출력장치
KR950014625A (ko) * 1993-11-05 1995-06-16 게르하르트 로테르 회전식 진동댐퍼
KR960027929A (ko) * 1994-12-13 1996-07-22 구자홍 키폰전화기의 데이타 자동 변경 장치
KR970056541A (ko) * 1995-12-29 1997-07-31 유기범 키폰전용단말기의 등록 방법
JPH09233504A (ja) * 1996-02-27 1997-09-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要素送出選択方法および情報要素送出選択装置
KR20000010013A (ko) * 1998-07-29 2000-02-15 윤종용 키폰시스템의 단말 고유정보 자동 세팅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6002792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187A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2117B1 (ko) 휴대 전화 장치
KR100406071B1 (ko) 통신시스템
KR100232865B1 (ko) 교환시스템의 자동 리다이알 방법
KR100594070B1 (ko)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보조기억장치를 이용한 내선 단말기의 고유정보를 변경하는 방법
KR100293992B1 (ko) 사설교환시스템에서통화요금전환방법
KR200203361Y1 (ko) 발신자 표시 및 자동 다이얼 기능을 갖는 단말기
KR100279945B1 (ko) 교환시스템의착신호처리방법
GB2305814A (en) Voice mailing system
KR100446520B1 (ko) 키폰시스템에서 컴퓨터를 이용한 다이얼링 방법
KR100566231B1 (ko) 교환시스템의 메모 기능 및 그 메모 기능을 이용한 다이얼링방법
KR19990069674A (ko) 간이교환 시스템에서의 선택 수신 방법
KR100469743B1 (ko) 사설교환기에서 디사를 통한 단축다이얼링 방법
KR100606006B1 (ko) 키폰시스템의단말고유정보자동세팅장치및방법
KR100547826B1 (ko) 사설교환기의 통화중 메모 방법
KR100424632B1 (ko) 키폰시스템에서 주야간 모드 설정 방법
KR100557105B1 (ko) 키폰전화기에서 파노라마 방식에 의한 문자 정보를출력하는 방법
KR910003922B1 (ko) 일반 전화기 전용 간이 교환시스템의 인스톨 데이타 변경방법
GB2222350A (en) Selectively using alternative telephone networks with phonecard
KR100464362B1 (ko) 키폰시스템에서 호 픽업 방법
KR100378400B1 (ko) 교환시스템의무선단말자동호출방법
KR920007138B1 (ko) 디지트 송출시간 제어방법
KR100506263B1 (ko) 사설교환기에서개선된자동재다이얼방법
KR950004413B1 (ko) 사설 자동 구내 교환기간의 상호 가입자 호출방법
KR100492961B1 (ko) 사설교환시스템에서디티엠에프송출장치및방법
CN1157542A (zh) 呼叫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