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678B1 - 사설교환기에 있어서 한번호로의 다중 호출방법 - Google Patents

사설교환기에 있어서 한번호로의 다중 호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678B1
KR910001678B1 KR1019880004786A KR880004786A KR910001678B1 KR 910001678 B1 KR910001678 B1 KR 910001678B1 KR 1019880004786 A KR1019880004786 A KR 1019880004786A KR 880004786 A KR880004786 A KR 880004786A KR 910001678 B1 KR910001678 B1 KR 910001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alling
group
telephone
phon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4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6817A (ko
Inventor
박순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04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678B1/ko
Publication of KR890016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6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14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private branch exch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사설교환기에 있어서 한번호로의 다중 호출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베이스 테이블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중앙처리장치부 20 : 스위칭부
30 : 가입자처리부
본 발명은 사설교환기에 있어서 한번호로의 다중 호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다수의 전화기에 다중번호를 중복 허용하여 그중 한번호를 호출시 상기 호출번호를 보유중인 모든 전화기가, 호출되도록 하되 호출중인 다수의 전화기중 하나만 응답하면 먼저 응답한 전화기와의 통화를 가능토록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번에 여러 전화기를 호출할 수 있는 일제 지령이 있다. 일제 지령은 일제 지령 그룹(Group)을 설정하여 일제 지령 번호와 함께 그 그룹의 대표번호를 다이얼링(Dialing)하면 그 그룹에 속하는 모든 전화기에 링(Ring)이 울려 그중 한 전화기가 응답하면 소정호가 형성됨과 동시에 다른 링이 진행중이던 전화기를 끊어지도록 한다. 즉, 한번호가 대표전화기가 되어 그 번호로 호출해야만 지정된 그룹의 모든 전화기를 호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반드시 상기 대표번호를 알아야만 전체를 호출할 수 있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표번호에 의한 다중호출을 배제하고 대표번호를 모르더라도 임의의 그룹에서 보유중인 번호중 한번호만 알면 상기 번호를 발신시 상기 번호를 보유하고 있는 모든 전화기를 호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블럭도로써, 중앙처리장치부(10)는 중앙처리장치(CPU) 및 램(RAM), 롬(ROM)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호처리의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가입자처리부(30)는 가입자전화기(A-D)에서 발생되는 모든 상황을 감지하여 가입자 콘트롤버스(31)를 통해 중앙처리장치부(10)에 그 상황을 보내고, 또한 중앙처리장치부(10)로부터 콘트롤을 받아 링을 구동시키는 등의 일을 처리한다 스위칭부(20)는 가입자전화기(A-D…)간의 통화로를 연결 또는 단락시키며 각종 톤(Tone)를 보유하고 있다. 스위칭부(20)도 또한 스위칭콘트롤버스(11)를 통해 중앙처리장치부(10)의 콘트롤을 받다 스위칭을 행하며, 가입자처리부(30)와 스위칭부(20) 사이는 통화로(21)가 있어 스위칭부(20)의 연결상태에 따라 가입자 전화기(A-D…)는 통화 또는 임의의 톤을 듣게 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베이스 테이블맵도로써, 시스템의 전원온에 롬(ROM) 또는 PC(Personal Computer)를 사용하여 디스크에 있는 내용을 램(RAM)에 복사해서 이용할 수 있다.(2A)는전화번호 테이블도이고, (2B)는 전화번호에 준하는 포트정보 테이블도이며, (2C)는 포트상태 테이블도이다. 전화번호 테이블(2A)은 가입자에게 부여된 전화번호(n3)(n4-nn)를 보유하고 있는 테이블이며, 전화번호 인덱스(n3I-nnI)는 그 전화번호를 갖고 있는 포트번호(P1-Pn) 및 갯수(n)를 가리킨다. 여기서 전화번호(n3-nn)는 전화기 사용자의 인식이 용이한 번호를 말하며, 포트번호(P1-Pn)는 시스템이 처리하기 쉽게 각 가입자에게 부여한 일련의 번호로서 각 가입자에게 하나씩 배정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 전화번호를 여러개의 포트에 지정한다. 즉 발신자는 한번호로 착시자와 통화하려 하지만 그 착신번호를 가진 포트가 여러개가 있음을 뜻한다. 전화번호에 준하는 포트정보 테이블(2B)은 상기 번호를 보유중인 포트의 갯수(n)와 상기 갯수만큼의 포트번호(P1-Pn)를 갖고 있다. 포트상태 테이블(2C)은 각 포트의 상태를 나타내며 본 발명에서는 통화중 또는 비통화중의 두가지 상태만 표시한다. 즉 통화중 상태란 수화기를 들거나 또는 착신측이 되어 링이 울리는 시점에서 수화기를 놓거나 링이 그냥 끊어지는 상태를 말하며 비통화중 상태는 사용자가 전화기에 아무런 동작도 취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한 포트에 본 발명과 같이 다중번호를 부여할 시에는 또다른 데이타 베이스가 필요하다. 즉, 포트에 따른 전화번호 테이블(2A), 그리고 그 전화번호 각각의 상태 테이블(2C)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번호를 따로 수신하고 있어 전화번호에 따른 포트정보 테이블(2B)만 있으면 본 발명의 기능 수행시 아무런 지장이 없으므로 다중번호를 중복 부여의 메모리 맵을 약하기로 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 일실시예를 제1-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소정 가입자전화기(D)에서 송수화기를 들면 가입자처리부(30)에서 이를 감지하여 정보를 중앙처리장치부(10)로 보낸다. 중앙처리장치부(10)는 제2도 포트상태 테이블(2C)의 P4S를 통화중 상태로 둔다. 그리고 스위칭부(20)를 콘트롤하며 P4포트에 다이얼톤을 연결시킨다. 이 시점에서 제3도의 흐름도가 시작된다. (가)과정에서 가입자전화기(D)에서 기능번호를 다이얼링하면 이 번호는 가입자처리부(30)를 통해 중앙처리장치부(10)에 수신된다. 이때 중앙처리장치부(10)는 스위칭부(10)를 통해 다이얼톤을 단락시킨다. (나)과정에서 본 기능번호를 수신하면 다음에 착신측번호를 수신한다. 이때 수신된 번호가 n4라 가정하면, (다)과정에서 수신된 n4와 동일한 번호가 전화번호 테이블(2A)에 있는지 조사한다. 만일 없다면 (라)과정에서 체킹되어 발신측 즉 P4에 결번음을 (타)과정에서 연결시킨다. 그러나 여기서는 n4가 있으므로 본 기능서비스를 행한다. (마) 과정에서 전화번호 테이블(2A)의 n4I에 의한 전화번호에 준하는 포트정보 테이블(2B)의 포트갯수(3)만큼의 포트들의 상태를 포트상태 테이블(2C)에서 체크한다. (바)과정에서 P1, P2, P3의 포트상태가 모두 통화중 상태이면 발신측인 P4에 통화중음을 (파)과정에서 연결시킨다. 본 예에서는 P1와 P2만 비통화중 상태라 가정하면, (사)과정에서 P1, P2 포트는 통화중 상태가 아니므로 가입자전화기(2A)와 가입자전화기(2B)에 링을 울려주고, (아)과정에서 발신측인 P4는 응답대기음(Ring Back Tone)을 연결시킨후 (자)과정에서 P1, P2중 P1이 응답했다고 가정하면, (차)과정에서 P4 포트와 P1 포트의 통화로를 연결하여, (카)과정에서 P2 포트의 링을 끊고 P2 포트의 상태 테이블(2C)에서 P2S는 비통화중 상태로 둔다. 이어서 (하)과정에서 P4, P1 포트가 통화를 종료하고 수화기를 놓으면 통화는 종료되고 포트상태 테이블(2C)의 P1S, P4S는 비통화중 상태로 둔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전화기에 다중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사용자는 임으의 그룹중 한번호로만 알아도 호출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대표번호를 기억해 둘 필요가 없고 몇몇 전화기에 사용자가 부재중일지라도 한 사용자만 있어도 그 호출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사설교환기의 한번호로의 다중번호 호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한번호로의 다중번호 호출기능번호를 수신하고 착신측 전화번호를 수신하는 제 1단계(가, 나)와, 상기 제 1단계(가, 나)에서 수신된 전화번호와 일치되는 번호를 전화번호 테이블에서 찾는 제 2단계(다, 라)와, 상기 제2 단계(다,라)에서 찾지 못했을때 발신측에 결번음을 들려주고 찾을때 전화번호 테이블에서 인덱스하는 포트정보 테이블에 나타나 있는 포트의 상태를 체크하여 모두 통화중인가를 체크하는 제 3단계(마, 바)와, 상기 제 3단계(마, 바)에서 통화중일때 발신측에 통화중음을 들려주고 통화중이 아닐때 통화중이 아닌 전화기에 호출음을 송출하고 발신측에 응답대기음을 송출하는 제 4단계(사, 아), 상기 제 4단계(사, 아)의 호출음에 의해 착신측에서 응답할때 응답한 포트와 통화로를 연결하며 호출중인 타포트를 호출중시킨 후 통화를 중지하는 제 5단계(자, 차, 카, 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KR1019880004786A 1988-04-27 1988-04-27 사설교환기에 있어서 한번호로의 다중 호출방법 KR910001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4786A KR910001678B1 (ko) 1988-04-27 1988-04-27 사설교환기에 있어서 한번호로의 다중 호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4786A KR910001678B1 (ko) 1988-04-27 1988-04-27 사설교환기에 있어서 한번호로의 다중 호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817A KR890016817A (ko) 1989-11-30
KR910001678B1 true KR910001678B1 (ko) 1991-03-18

Family

ID=19273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4786A KR910001678B1 (ko) 1988-04-27 1988-04-27 사설교환기에 있어서 한번호로의 다중 호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167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817A (ko) 1989-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5944A (en) Method of making call-wait and call-alternation in electronic private branch exchange (EPBX)
CA2191155C (en) Telecommunication system with remote call pick-up capabilities
KR910001678B1 (ko) 사설교환기에 있어서 한번호로의 다중 호출방법
JP3097114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制御方式ならびに電話機およびファクシミリ装置
Breen The picturephone® system: Customer switching systems
CA2556847A1 (en) Telephone exchang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group incoming of the same
KR930011389B1 (ko) 사설교환기에 있어서 리다이얼 방법
JP2936605B2 (ja) 端末識別による交換機の選択的着信転送方式
KR100324735B1 (ko) 키폰의 구내 페이징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JPH08242294A (ja) 着信加入者保護接続方法
AU708663B2 (en) A telephone arrangement
JPS5834671A (ja) 複数呼連続ダイヤル方式
JPS59154864A (ja) 不応答呼接続処理方式
JPS61278253A (ja) 発呼加入者番号通知方法
JPS58129868A (ja) 自動交換機
JPS58114690A (ja) 着信待合せ方式
GB970160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elephone line concentrator systems
JPH08251638A (ja) ダイヤルイン回線交換方式
JPS63294195A (ja) 複数メディア代表選択方式
JPH04150193A (ja) 構内交換機
JPS58134541A (ja) 通知方式
JPS63138851A (ja) 内線電話機呼出方式
JPS6212256A (ja) 自動交換装置における音声呼出方式
JPH0514502A (ja) 電子交換機システム
JPH0336864A (ja) キャンプオンの案内機能をもつ交換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