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136B1 - 차량용 축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축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136B1
KR920002136B1 KR1019880012999A KR880012999A KR920002136B1 KR 920002136 B1 KR920002136 B1 KR 920002136B1 KR 1019880012999 A KR1019880012999 A KR 1019880012999A KR 880012999 A KR880012999 A KR 880012999A KR 920002136 B1 KR920002136 B1 KR 920002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vehicle
crank
chassis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2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6417A (ko
Inventor
사르도 맥스
Original Assignee
도어 에스. 에이.
귀 카르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8713709A external-priority patent/FR2621276B1/fr
Priority claimed from FR8717625A external-priority patent/FR2624929B1/fr
Priority claimed from FR8800912A external-priority patent/FR2626218B1/fr
Application filed by 도어 에스. 에이., 귀 카르빌 filed Critical 도어 에스. 에이.
Publication of KR890006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1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 B29C70/16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 B29C70/2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oriented in a single direction, e.g. roofing or other parallel fibres
    • B29C70/205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oriented in a single direction, e.g. roofing or other parallel fibres the structure being shaped to form a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5/00Axle units; Parts thereof ; Arrangements for lubrication of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68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by 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layers, e.g. foam blocks
    • B29C70/86Incorporated in coherent impregnated reinforcing layers, e.g. by w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torsion-bar spring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torsion-bar springs only
    • B60G11/183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torsion-bar springs only arranged in a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torsion-bar springs only
    • B60G11/2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torsion-bar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4Torsion springs consisting of bars or tubes
    • F16F1/16Attachments or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6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made of fibre-reinforced plastics, i.e. characterised by their special construction from such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3Torsion spring
    • B60G2202/134Torsion spring comprising a transversal torsion bar and/or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3Torsion spring
    • B60G2202/135Stabiliser bar and/or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2Mounting of torsion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1Light weight materials
    • B60G2206/7101Fiber-reinforced plastics [FRP]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축어셈블리
제1도는 본 발명에 일치하는 축어셈블리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제2도의 선I-I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일치하는 축어셈블리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제1도의 선II-II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와 제2도에서 도시한 축어셈블리의 실시예의 한 구성요소의 개략 사시도.
제4도와 제5도는 제각기 본 발명에 일치하는 축어셈블리의 타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일치하는 축어셈블리에 있어서 아암을 보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한 구성요소의 개략측면도.
제7도는 보와 관련하여 제6도의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제8도는 제6도와 제7도에서 도시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일치하는 축어셈블리의 개략도.
제9도는 보가 본 발명에 일치하는 축어셈블리에 고정되는 방법을 예시하는 설명도.
제10도와 제11도는 합성재료 비틀림보를 고정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일치하는 수단의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섀시 2, 3, 50-53 : 휘일
4 : 지면 8, 55, 56, 74, 75, 100 : 단일보
13, 12, 57-60 ,103, 104 : 아암 25, 26 : 베어링
38, 120 : 파이버 61, 63, 70, 72 : 크랭크
65, 67, 76, 68 : 링크 106 : 슬라이브
112 : 펙 114 : 노치
123 : 돌출부
본 발명은 자동차, 또는 트럭과 같은 차량용 축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차량, 특히 트럭의 축어셈블리는 통상적으로 장체로 구성된 중량바아, 바아의 양단부에서 드럼, 브레이크 등과 같은 여러 구성부품을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 두 개의 저어널, 또는 스텁축 및, 지면과 접촉하기 위한 수단, 예를들면 휘일림에 고정된 압축공기 타이어등으로 이루어진 구성 요소들의 세트로 구성된다. 또한, 위와같은 축어셈블리는 바아와 차량 섀시사이에 평행하게 연결된 스프링과 충격흡수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비하여, 경량의 자동차의 경우에는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공들에 의해 "토션 바아축"으로 불리우는, 하나의 휘일에 대하여 하나의 크랭크로 구성된 수단이 사용된다. 이 수단은 일반적으로 강으로 만들어지므로 다루기가 힘들며, 만족할 만한 장점을 나타내지 못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단점을 경감시키는 반면, 사용목적에 관계없이 자동차와 같은 경량차량과 트럭과 같은 중량차량 모두에 사용하기 적당한 가볍고 컴펙트한 차량용 축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섀시, 지면과 접촉하기에 적당한 최소한 두개의 휘일 및, 상기 두휘일과 상기 섀시를 연결하여 두개의 평행평면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축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단일보, 보의 양단 사이에 위치한 한 지점이 섀시에 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 두개의 아암, 각각의 아암의 한 단부를 제각기 보의 양단부중의 하나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 및, 각각의 휘일을 상기 아암의 반대단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되었으며, 보의 양단부 사이에 위치된 상기 지점의 양 사이드에 배치된 보의 두 부분은 각각의 한 부분이 다른 한 부분에 대향한 방향의 비등방성비틀림탄성을 갖도록 하는 재료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도면에 관하여 단지예로서 서술한 다음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와 제2도는 예로서 트럭용 축어셈블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축어셈블리는 섀시(1), 지면(4)과 접촉하기에 적당한 두개의 휘일(Wheel)(2,3) 및 두 휘일(2,3)을 섀시(1)에 연결하여 두개의 평행평면(6,7)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5)으로 구성된다.
두 휘일(2,3)을 섀시에 연결하여 두개의 평면(6,7)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5)은 단부와 단부를 연속적으로 맞댄 다수의 부분, 또는 단일 부분으로 만들어진 연속보(beam) 즉 단일보(8)로 구성된다. 또한 수단(5)은 상기 보(8)를 그 양단부(11,12) 사이에 위치한 지점(10)에서 섀시에 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9)을 포함하며, 상기 지점은 상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차량을 안전하게 구동할 목적으로 대칭 작동하는 균일 축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해 보의 중간에 위치 선정된다. 어셈블리는 보의 각 단부(11,12)에서 아암(13,14)을 포함한다.
각각의 아암은 제각기, 보(8)의 양단부 중 하나에 고정된 제1단부(15 또는 16)를 가지며, 두 개의 휘일은 제각기 아암의 제2단부(17,18)에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회전휘일을 각각의 아암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은, 외부링(27 또는 28)을 휘일에 고정하면서, 볼 베어링과 같은 베어링(25 또는 26)의 중앙부(23 또는 24)를 구성하는 축(21 또는 22) 둘레에서 아암의 상응단부(17 또는 18)에 연결된 드럼브레이크부 캐리어(19 또는 20)로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아암의 단부는 디스크 브레이크 클램프 지지부에 연결될 수 있다. 위와같은 수단은 널리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는 더 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어셈블리는 보를 만드는 재료에 따라, 봉의 양단부(11,12)를 섀시(1)에 관해 고정된 축(29)상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보의 양단부를 섀시(1)에 관해 고정된 축(29)상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은 내부링(32 또는 33)을 보의 단부(11 또는 12), 또는 아암의 단부(15 또는 16)에 고정하고 외부링(34 또는 35)을 섀시(1)에 고정한 볼 베어링(30 또는 31), 또는 스무우드 베어링으로 구성된다.
제1도는 보의 양단부를 유지하기 위한 상기 수단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보는 베어링의 중앙부, 즉 중앙베어링 링(32 또는 33)을 직접 구성할수도 있다.
실제로, 두개의 휘일은 축어셈블리가 아래에서 서술한 바와같이 원활히 작동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공동축(39)상에 위치한다. 이 경우, 섀시고정지점(10)의 양쪽에 위치한 보의 두 부분(36,37)은 각각의 부분이 다른 부분에 대하여 대향 비등방성비틀림탄성을 갖도록 하는 재료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고정지점(10)쪽의 보의 두 단부에서 보의 두 부분(36,37)에 작용하는 비틀림력은 휘일(2)에서 보았을 경우에는 한 부분에 대해 시계 바늘 회전 반대방향으로 작용하고 휘일(3)에서 보았을 경우에는 다른부분에 대해 시계바늘 회전방향으로 작용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보는 부분(36)에 대해서는 한 방향(40)으로 감겨있고 다른 부분(37)에 대해서는 대향 방향으로 감겨있는 다수의 나사선형 파이버(38)로 구성된 원통형 실린더 형태의 합성재료로 만들어진다. 이 조건하에서, 보가 그 중간지점(10)에서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되면, 비틀림이 작용하는 화살표(42)로 표시된 시계바늘회전 반대방향의 회전은 와인딩 방향(40)의 파이버(38)가 비틀림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도록 쉽게 트랙션(traction) 되기 때문에 최적 상태로 제어될 것이다. 이것은 (43)으로 도시한 바와같은 다른 단부의 시계 바늘 회전방향의 회전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축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차량이 지면으로 이동할때 상기 축어셈블리를 갖는 차량은 휘일이 지면과 접촉하는 동안 섀시에 전달될 수 있는 작은 충격을 흡수 극복할 필요성을 야기하는 장애물과 조우하게 될 것이다.
이와같이, 휘일이 장애물과 조우할때, 충격은 보의 축에 관해 회전하는 휘일에 전달되며, 상기 전달은 레버 아암으로 작용하는 아암으로 제공된 링크에 의해 수행된다.
그러나, 보가 특정지점, 즉, 그 중간지점에서 회전이 방해되기 때문에, 또한 보가 비틀림탄성이 비등방성인 재료, 특히 파이버를 포함하는 합성재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충격에 의해 보에 작용하는 비틀림작용은 보내에서 단시간에 비틀림작용을 제어하기에 충분할만큼 급속하게 증가하는 매우 강한 반응력이 형성되도록 된다.
따라서, 휘일은 그 최초 균형위치, 즉 휘일에 작용되는 차량의 중량이 아암에 의해 휘일에 연결된 보의 부분에 작용하는 비클림과 상쇄되는 위치로 복귀된다.
위와같은 단일보 형태는 최소부피를 갖는 컴펙트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보를 만드는 재료의 특성과 소수의 구성 부분은 차량 효율을 개선할 필요성이 있는 선행기술의 어셈블리보다 훨씬 더 가벼운 축어셈블리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충격흡수 수단은 상기 보와 결합되어 있다. 충격흡수수단은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더 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아암은 보(8)의 양단부에 고정된 것으로 서술되어 있다.
일부경우, 고정수단은 축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차량이 이동하는 지면에 수직인 축에 관하여 1˚의 자유회전 각도를 갖는 연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은 "휘일 평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예를들어 지면에 수직인 회전축을 갖는 포오크형, 또는 U자형 커플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수단은 필요 회전각도가 얻어졌을때 연결수단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축어셈블리는 축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차량을 조종할 수 있도록 지면에 수직인 축에 관해 두 휘일을 회전하도록 하기 위해 아암의 대향단부(17,18)에서 동일 형태의 커플링을 포함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섀시의 각 사이드에서 하나의 휘일을 갖는축어셈블리에 적용하는데 적당하며, 보가 섀시에 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은 공지의 기구적인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보의 중간부가 섀시에 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수단이 간접적으로 제공되는 트럭 및 유사 차량에서 발견할 수 있는 바와같이, 서로 세로로 위치한 다수의 휘일을 포함하는 축어셈블리에 적용할 수도 있다.
제4도는 두개의 평행평면을 이루는 섀시(54)의 각 사이드에 두 개를 한쌍으로 하여 고정된 네개의 휘일(50-53)을 포함하는 축어셈블리의 제1실시예의 측면도이다. 어셈블리는 상술한 어셈블리에서와 같이, 보의 양단부를 그축상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과 결합된 두개의 단일보(55,56)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 실시예는 보의 중간지점과 섀시 사이에서 기구적인 링크를 갖는 수단을 포함하지 않는다.
두개의 보가 그 중간부에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축어셈블리는 제각기 두 보(55,56)중의 하나에 연결되어 보의 축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뻗어있는 두개의 크랭크(61,63)를 포함한다. 각각의 크랭크는 보의 축의 양쪽에 위치한 두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며, 하나의 보와 연결된 크랭크의 두 부분의 단부는 링크(65,67)에 의해 다른 하나의 보와 연결된 크랭크의 두 부분의 상응하는 단부에 연결되었다. 두개의 크랭크(61,63)는 섀시에 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각각의 지점, 즉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보(8)에 관하여 규정한 바와같은 각각의 보의 중간 지점(10)에서 두개의 보(55,56)에 고정된다. 이와같이, 두 크랭크는 두 고정 지점을 통과하는, 두개의 보의 축에 수직인 평면에 위치한다.
제4도에서 도시한 실시예에서, 동일 평면에서 세로로 위치한 두개의 휘일(50,52)은 보의 쌍의 양 사이드에 위치하며, 보는 앞에서 규정한 두 크랭크를 통과하는 평면의 동일 사이드에 위치한 보의 부분들이 대향 비등방성탄성을 갖도록 하는 합성재료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형태에 따라, 두개의 크랭크(61,63)와 링크(65,67)는 블록사변형을 구성한다. 이와같이, 보의 중간지점과 섀시를 직접 연결하는 것이 더 이상 요구되지 않는다.
이러한 연결은 섀시의 중량, 또는 축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차량의 중량하에서 보의 양단부에 작용하는 두쌍의 우력의 작용과 지면에 대한 휘일(50-53)의 반작용에 의해 간접적으로 획득되며, 상기 우력은 링크에 의해 작용되는 대향우력에 의해 상쇄된다. 따라서, 두쌍의 휘일(50-53)은 보의 단부에 위치한 베어링에 의한 보에 전달되는 섀시의 하중하에서 평형위치를 얻는다.
제4도에 도시한 축어셈블리의 각각의 보는 제1도에 관하여 서술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는 지면에 관한 섀시의 평형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 링크(65,67)는 작동기에 이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는 보의 각도르 쉽게 결정할 수 있는 각도값으로 미리 위치선정 할 수 있도록 하며, 두 보의 상대회전에 따라 아암(57-60)의 정위를 변화시킴으로서 보와 지면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즉, 차량의 균형위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섀시의 동일 사이드에 세로로 위치한 두개의 휘일은 휘일과 보를 연결하는 아암의 길이가 짧을지라도, 다소 긴 거리만큼 멀어져 있다.
제5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휘일을 두개의 보의 양 사이드에 세로로 매우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하며, 이 경우 보의 인접부분들은 동일방향의 비등방성탄성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보(74,75)와 연결된 크랭크(70,72)는 크랭크와 함께 교차 사변형을 형성하는 링크(76,78)에 의해 중간 연결된다. 이 실시예는 제4도에 관하여 상술한 동작특징에서 쉽게 추정할 수 있는 동작에 관한 어떤 문제도 야기하지 않는다.
제5도와 제6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3축어셈블리, 즉 섀시의 양 사이드에 세로로 배치된 세쌍의 휘일로 구성되는 축어셈블리에 적용하는데 유리하다.
이 경우, 섀시의 대향 사이드에 위치한 휘일의 쌍을 중간연결하는 세개의 보는 제4도와 제5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조합, 또는 제5도에서 도시한 실시예의 두개의 시리즈로 구성된 크랭크와 링크의 세트에 의해 중간 연결될 수 있다.
제4도에서 도시한 실시예의 두개의 시리즈는 한 부분의 연결에 필요한 링크의 길이에 관하여 특별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일치하는 3축어셈블리는 2축어셈블리로 쉽게 변환될 수 있다.
이 변환은 하나의 보와 연결된 휘일의 쌍을 지면에서부터 들어올리도록 링크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이러한 형태의 축어셈블리는 무거운 하중을 적재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4휘일 형태로 운행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무거운 하중을 운반할 수 있는 트럭, 또는 트레일러에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또한, 단지 하나의 단일보로만 구성되는 축어셈블리에 있어서, 보의 중간지점이 섀시에 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보의 중간지점에 고정된 크랭크와, 크랭크의 단부와 섀시를 연결하는 길이 가변링크로 구성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같은 차량의 평형위치의 링크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제4도와 제5도에 관하여 서술한 바와같이, 각각의 보에 연결된 크랭크의 양단부는 두개의 길이가변링크에 의해 중간연결된다. 그러나, 일부경우에는 두개의 크랭크를 연결하는 단지 하나의 링크만을 사용하여, 상기와 같은 축어셈블리를 갖는 차량의 중량의 작용하에서 지면에 의해 휘일에 작용되는 반응력에 의해 이 축어셈블리의 안정을 획득하고, 각 보의 중심점의 회전을 방지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제4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두 링크중 하나, 즉 링크(67)를 생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는 보에 작용되는 뒤틀림력을 흡수하도록 크랭크가 보에 고정된 위치근처에 리액션 베어링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하여, 단지 하나의 보를 포함하는 축어셈블리와 다수의 보를 포함하는 축어셈블리를 갖는 양호한 두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보와 연결된 각각의 크랭크는 작동기에 의해 섀시(54)에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의 상기 작동기는 차량의 적재 평행위치를 조정하도록 작동기 길이, 즉 보의 각 위치를 변환시키기 위해 예를들어 지시센터의 제어하에서 작동된다.
제6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에 일치하는 축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들 세도면은 동일 실시예를 예시하므로, 도면의 도시방식에 상관없이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로 표시된다.
도면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휘일을 생략한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한 축어셈블리는 양단부(101,102)에서 제각기 아암(103,104)을 갖는 단일보(100)를 포함한다. 각각의 아암(103,104)은 최소한 보의 측벽(108)의 부분(107) 둘레에서 보(100)와 접촉하며 보를 에워싸기에 적당한 최소한 하나의 슬리이브(Sleeve)(106)로 구성되는 고정수단(105)을 포함한다.
슬리이브(106)는 보(100)의 단부(101)에서 면(109)이 포획유지될 수 있는 저부(110)에 대한 쇼울더를 구성하는 요각부분(208)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다수의 펙(peg)(112)에 바람직한 최소한 하나의 펙(112)은 슬라이브(106)의 주변(111)에서부터 돌출한다. 이들 펙(112)은 보의 단부(101)가 슬라이브(106)에 수용되었을때 보(100)에서부터 떨어져있는 전방부(113)에서 커팅 외형을 갖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라운딩에지(115)를 갖는 노치(11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치(114)는 간단히 실시예에서 라운딩에지를 갖는 비노치펙 둘레에 감겨지는 파이버를 적당히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슬리이브(106), 특히 보의 단부(101)의 측벽(108)을 에워싸는 부분(107)은 펙에서부터 보의 중간부쪽으로 멀어지는 두께로 테이퍼된 외부벽(116)을 갖는다.
또한, 아암(103)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은 보(100)의 측벽(108)에 감겨있는 제1부분(121)과, 파이버(120), 특히 파이버의 부분(122)이 라운딩 외형(115)과 접촉하면서 노치(114)를 통과하도록 최소한 일부가 펙(112) 둘레에 감겨있는 제2부분(122)을 갖는 최소한 하나의 파이버(120)를 포함한다. 파이버(120)가 코트랙션력을 받기 때문에, 노치(114)의 외형을 위한 양호한 형태는 파이버의 파손을 야기하는 취약점을 산출할 수 있는 결함부의 형성을 방지한다.
파이버(120)의 제2부분(122)은 펙 둘레에 감긴 다수의 터언을 가질 수 있으며, 제2부분의 단부는 중합 또는 열경화성 아교와 같은 어떤 수단에 의해 펙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파이버의 제2부분(122)은 아암(103)에서부터 보(100)의 단부(101)까지 전달되는 힘분포의 연속성과 균일성을 보장하기 위해, 보(100)둘레에 감겨질 수도 있다.
특히 제8도에서, 파이버(120)는 도면을 간단 명료하게 하기위해 연속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고정시스템은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다수의 펙(112)으로 구성되며, 비틀림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힘을 획득하기 위한 충분한 양의 파이버(120)는 상기 다수의 펙(112)을 경유하여 감겨있다.
펙(112)은 파이버(120)의 와인딩에서부터 최소한 일부분(123)을 돌출하도록 하는 길이를 가져야 하며, 상기 돌출부(123)는 아암(103)의 단부(16)에 형성된 관통 하우징(125)의 주변(124) 둘레에 제공된 상보중공 잇날에 고정되기에 적당한 잇날을 구성한다. 슬리이브(106)는 나사, 키이, 용접 등으로 보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6도 내지 제8도의 축어셈블리에 있어서, 두개의 아암(103,104)은 쇼울더, 돌출펙 및 노치(114)를 지나며 펙둘레에 감겨진후 보둘레에 감기 파이버를 갖는 슬리이브로 구성된 상술한 수단에 의해 보의 두 단부(101,102)에 고정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보의 지점(132)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133)에 의해 차량의 섀시에 연결된 지점(132)의 양 사이드에 위치한 보의 두부분(130,131)은 제각기 다른 부분과 대향방향의 비등방성비틀림탄성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진다. 이 경우, 보(100)는 예를들어 파이버재료의 와인딩을 포함하는 합성재료로 만들어지며, 상기 와인딩은 보의 각 부분의 터언이 다른 부분의 터언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감긴 나선형 터언으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위와같은 보의 비틀림탄성의 손상을 저지하기 위해서, 상기에서 서술되며 펙 둘레를 통과하는 파이버(120)는 보의 두 부분을 구성하며 비등방성비틀림탄성의 현상을 제공하는 파이버의 감김과 동일한 핸디드니스(handedness)를 가지는 나선형 나사선의 형태로 감긴다. 이런 경우에, 파이버(120)는 섀시에 관해 회전하는 것을 지지하는 보의 지점(132)를 한정하는 평면(136)에서 실제로 발생하는 권선방향의 변화와 함께 한 방형의 제1권선(134)과 대향방향의 제2권선을 형성하기 위해서 보(130)의 두 부분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감길 수 있다.
상기에서 서술된 교정시스템의 구조물에 의존되는 양호한 실시예에서, 권선방향에서의 변화는 예를들면 상기에서 한정된 평면(136)과 같은 레벨인 보(100)을 둘러싼 제2슬리이브(140)에 의해서 얻어질 것이며, 상기 슬리이브관은 어떤 적당한 수단에 의해서 보의 둘레에, 특히, 본 발명의 서문에서 언급된 종래기술에서 서술된 것에 대해 고정된다.
이와같은 제2슬리이브(140)은 파이버(120)가 제3도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펙에 대해서 내리누르며 그래서 권선방향을 변화하도록 둥근 표면 윤곽선을 가지는 펙을 형성하는 슬리이브관 주위에 돌출부분(141)을 포함하며, 그것에 의해서 평면(136)의 양측에 두개 대향하게 수교되는 비등방성비틀림탄성을 얻게되며 보다 용이하게 그것의 단부로부터 토오크를 동과한다.
위와같은 실시예는 비등방성비틀림탄성을 유지하는 단일보를 포함하는 축어셈블리를 얻는 것을 가능케하며, 아암과 함께 차량의 섀시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제품을 구성할 수 있다.
위와같은 축어셈블리는 상기에서 서술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작한다. 축어셈블리의 동작은 여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서술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퀴가 장애물과 마주칠 때 아암(103)이 비틀림의 영향을 받는다면, 힘은 보(100)의 부분(130)에 적당하게 전달되며, 비틀림 제어는 파이버(120)에 관해 견인력으로 작용하며, 상기 부분(130)에 관해 권선을 팽팽하게 죄는 펙에 의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동일현상은 아암(104)에 적용된다. 파이버의 연속성은 대체로 차축어셈블리에 대해 균일성을 제공하는 것과, 두개 아암이 적당하게 유지되며 보의 단부와 함께 정확하게 확실히 연결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제2슬리이브(140)과 그것의 돌출부분(141)이 상기 표면에 관해 대칭이 되도록 그것의 쇼울더의 지부(110)에 대향하는 그것의 표면에 의해서 함께 연결되는 것을 제외하고, 제1슬리이브(106)와 동일한 두개 슬리이브에 의해 구성될 것이다. 본 실시예는 위와같은 축어셈블리의 비용을 절감한다.
차량의 섀시에 대해 또는 상기에서 서술된 바와같이 크랭크 또는 아암에 대해 합성보를 고정할 때 문제점이 존재할 수 있으며, 특히 합성 보의 중요한 특성중 하나 때문에, 즉, 그것의 세기는 만일 그것이 드릴된다면 손실될 것이다. 죔쇠부품을 용접하는 것은 실제적으로 불가능하며, 고정탭은 강철과 같은 종래 물질로 구성된다.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림 보를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보가, 도시된 바와같이 예를들면, 고체 또는 중공원통형 실린더(201)를 구성하기 위해서 합성물질과 함께 상기 서술된 기술을 이용함으로서 만들어 지는 것은 이미 설명되었다.
위와같은 보는 예를들면 열가소성 수지물질 또는 중합수지에 의해서 서로에 부착되는 유리 또는 탄소파이버의 파이버(202)의 권선에 의해서 구성될 것이다.
파이버의 제1단부가 고정되며 가능한 굳건하게 유지되는 위치에서 보의 둘레(203)에 관해, 테이프(204)의 형태에서 파이버(206)의 제1단부는 보의 둘레에 대항하게 굳건히 압력이 가해지는 다수의 터언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감긴다.
과잉두께는 보주위에 감기지 않는 테이프의 나머지(자유단)(207)와 함께 형성된다. 이런 과잉두께는 예를들면 2차권선(208)을 형성하기 위해서 그 자치에 상기 단부를 감음으로서 유리하게 구성된다.
2차 권선(208)이 완료될때, 그것은 제1단부(206)에 관해 감기는 테이프(204)의 제1단부와 함께 보에 의해서 형성된 1차 권선의 외측벽에 대해서 꺽인다.
이런 2차 권선은 보의 주변으로부터 돌출부를 형성하며, 이런 돌출부는 제10도와 제11도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구체적 형상을 돌출부에 제공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까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같은 형상은 2차 권선(208)이 강철과 같은 금속일 것이며, 다른 부분품, 예를들면 차량의 섀시에 대해 보를 연결하기 위한 부품으로서 이용되는 물질로 구성되는 부품(210)내에 제공되는 리세스(211)에서 가능한 매우 밀접하게 설비된다. 그후에, 상기에서 언급된 열경화성 또는 중합수지는 2차 권선(208)을 포함하는 상기 리세스내에 주조되며, 또한 리세스(211)는 이런 목적으로 주형으로서 작용한다. 이런 방법으로 만들어진 돌출부(212)는 리세스의 내부측 표면(213)에 대향하는 완벽한 설비이다.
상기에서 서술된 실시예는 유일한 예이다. 예를들면, 유리파이버와 같은 파이버는 감기전에 수지를 주입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서술된 실시예에서, 유일한 하나의 예는 돌출부를 만드는 것을 제공한다. 그러나, 가능한 매우 강하고 단단하게 접착되는 것이, 특히 비틀림 보를 유지할때 중요하다.
그러므로, 양호한 실시예에서, 다수의 제1테이프단부(220,221,222)는 보에 관한 1차 권선이 서로 중복되는 방법으로 테이프(204)와 같은 보(201)의 주변부에 동시에 감긴다. 그러나, 이와같은 권선은 규칙적으로 다소 떨어져서 유지되는 위치(224,225,226)에서 중단되며, 테이프의 자유단은 부품(210)내에 내측대응 리세스(211)를 설비하기 위해서 보의 주변부 주위에 균일하게 분포되는 돌출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에서 서술된 바와같이 그 자체에 감긴다.
전에 서술된 바와같이, 2차 권선이 그것의 대응하는 리세스(211)에 위치될때, 접착물질은 각 2차 권선의 터언 수를 고정하기 위해서 그리고 상기 권선 및 각 리세스의 내부 표면 사이에 존재하는 어떤 공간을 채우기 위해서 주조된다. 각 돌출부는 대응하는 리세스(211)의 내부측벽에 대항하는 완전한 구성일 수 있다.
그 결과로서, 다수의 리세스와 함께 공동작용하는 다수의 돌출부는 유지력과 특히 보(201)의 주변부 주위에 분포되는 비틀림 작용력과 함께 고정되는 완전한 설비를 제공한다.
리세스는 어떤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유리하게, 특히 보가 그것의 종축(230)에 관해 비틀리게 될때, 돌출부는 상기 크랭크의 중앙수선(232)이 축(230)에 가까이 통과하도록, 또는 상기 크랭크가 약간 요면형태가 되도록 최소한 하나의 부드럽게 경사진 크랭크(231)를 가지는 거의 톱니형태이다.
연결부품(210)에 관해, 그것은 용이하게 기계 제작되는 재료로 구성될 것이며, 그것에 의해서 다른 부분품에 연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연결부품은 단조 또는 주조될 것이며, 선택재료는 일반적으로 강철이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유지부품(210)은 상기에서 한정된 리세스(211)가 형성되는 측벽(242)내에 관통내경(241)을 포함하는 중심부분(240)을 포함한다. 이와같은 리세스는 상기 벽내에 직접 형성될 것이다.
그러한, 더 큰 공칭 직경의 내경을 만드는 것은 가능하며 전체 주변부 주위에 나란하게 병렬되는, 예를들면 대응하는 오리피스(상보하우징)(245)에 맞물리는 스터드(244)에 의해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거 가능한 모듈형 기소(243)와 함께 상기 내경을 일렬로 맞추는 것은 가능하다.
중심부분(240)은 두개 단부판(246,247)에 의해서 덮여지며, 단부판(247)은 예를들면, 중합수지가 상기에서 서술되는 바와같이 주조되기에 앞서서 고정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수지는 주입채널(250)과 입구오리피스(251)에 의해서 리세스내에 삽입될 것이다.
비틀림 보를 고정하기 위한 상기 서술된 시스템은 종래 시스템에 대해 부인할 수 없는 장점을 나타낸다. 2차 권선은 대응하는 리세스에 관해 정확하게 위치 선정되도록 용이하게 조절되며, 그것에 의해서 고정되는 안전성을 증가하며, 중합수지가 각 리세스내에 주조되므로, 고정부는 존재하는 어떤 틈새를 막음으로서 더욱 증진된다. 또한, 다른 펙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전체 시스템은 실행하기에 매우 단순하다.
상기 서술된 실시예에서, 돌출부 또는 과잉두께는 그 자체에 파이버의 한단부를 감음으로서 얻게된다. 그러나, 이용되는 수지와 파이버의 양을 경제화하도록, 비교적 부피가 큰 단부편(252)에 의해서 상기 단부를 클렘프 하는 것과, 선택적으로 상기 단부편을 따라 파이버를 감는 것은 바람직할 것이며, 단부편은 철과 같이 종래 재료로 구성될 것이다.
상기에서 서술된 실시예에서, 2차 권선의 터언수를 접착하기 위해 이용되는 물질, 즉 열경화성 수지 물질 또는 종합수지등은 연결부품(210)이 적당하게 위치될때 리세스내에 주입된다. 그러나, 상기 주조를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부품(210)이 특별한 수단, 즉 의심할 여지없이 제작을 복잡케 하는 주입채널(250)을 포함할 필요성이 있음을 도시하였다.
위와같은 결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보가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연결부품의 것과 동일한 리세스를 형판이 가지므로, 주형으로서 작용하는 형판을 이용함으로서 과잉두께 또는 2차 권선을 고정하는 것은 가능할 것이다.
형판은 그것들이 연결부품(210)과 밀접하게 연결하여 맞물려지도록 가질수 있는 최종 형태로 돌출부를 주형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수단을 포함한다. 주형이 종료될때, 형판은 제거되며 연결부품(210)에 의해서 교체되며, 연결부품의 리세스는 형판을 이용하여 얻게되는 과잉두께에 정확하게 설비된다. 단부판(247)은 연결부품(210)을 완성하기 위해서 적당한 곳에 설비하여 그것에 의해서 과잉두께를 적당한 곳에서 로크하여 고정부를 완료한다.
상기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연결부품(210)은 주입채널(250)과 같은 원가를 증가시키는 아이템을 생략할 수 있다.

Claims (28)

  1. 섀시(1), 지면(4)과 접촉하기에 적당한 최소한 두개의 휘일(2,3) 및 상기 두 휘일을 상기 섀시에 연결하여 두 개의 평행평면(6,7)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5)을 포함하는 축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단일보(8), 보의 양단부(11,12) 사이에 위치한 한 지점(10)이 상기 섀시에 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 두개의 아암(13,14), 각각의 아암의 한 단부를 제각기 보의 양단부중 하나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 및, 각각의 상기 휘일을 상기 아암의 반대 단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되었으며, 보의 양 단부 사이에 위치한 상기 지점의 양 사이드에 위치선정된 보(8)의 두 부분(36,37)은 각각의 부분이 다른 부분에 대하여 대향방향의 비등방성 비틀림 탄성을 갖도록 하는 재료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축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는 나선형으로 와인딩된 파이버(38)를 포함하는 합성재료이며, 상기 와인딩은 보의 두부분에서 대향 방향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축어셈블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의 한 지점이 상기 섀시에 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지점에서 상기 보(55,56; 74,75)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축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는 상기 보의 세로축에 수직인 평면에 위치 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축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에 연결된 크랭크의 한 단부 반대쪽에 위치한 상기 크랭크의 단부를 한 기준지점에 연결하기 위한 수단(65,67)을 포함하며, 상기 기준지점은 섀시와, 또다른 보에 연결된 또 다른 크랭크의 단부중의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축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에 연결된 크랭크의 한 단부 반대쪽에 위치한 상기 크랭크의 단부를 한 기준 지점에 연결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링크(65,67; 76,7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축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축어셈블리.
  8. 섀시(54), 지면과 접촉하기에 적당한 최소한 네개의 휘일(50-53) 및, 상기 휘일을 상기 섀시에 두개를 한쌍으로 연결하여 두개의 평행평면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되는 축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휘일을 상기 섀시에 두개를 한쌍으로 연결하여 두개의 평행평면에 유지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두개의 단일보(55,56; 74,75), 두개의 보의 단부를 제각기 두개의 평행축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 두쌍의 아암(57,60) 및, 각쌍의 각각의 아암은 그 한단부를 제각기 각각의 보의 양단부중 하나에 고정하면서 각각의 휘일을 그 반대단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며, 각각의 보의 양단부 사이에 위치한 각각의 지점들이 상기 섀시에 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되었으며, 각각의 상기 보가 그 양단부 사이에 위치한 지점에서 상기 섀시에 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지점에서 상기 보와 연결되어 상기보의 축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뻗어있는 크랭크(61,63; 70,72)로 구성되며, 하나의 보(55,74)와 연결된 크랭크(61,70)의 단부는 다른 하나의 보(56,75)와 연결된 다른 하나의 크랭크(63,72)의 단부에 링크(65,67; 76,78)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축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각각의 크랭크는 상기 보의 축의 양 사이드에 위치한 두 부분으로 구성되며, 하나의 보(55)와 연결된 크랭크(61)의 두 부분의 단부는 다른 하나의 보(56)와 연결된 하나의 크랭크(63)의 부분의 단부에 링크(65,67)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두개의 크랭크를 통과하는 평면의 동일 사이드에 위치한 보의 부분은 대향 방향의 비등방성탄성을 가지며, 상기 링트(65,67)와 크랭크(61,63)는 볼록사변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축어셈블리.
  10. 제8항에 있어서, 각각의 크랭크는 상기 보의 축의 양 사이드에 위치한 두 부분으로 구성되며, 하나의 보(55)와 연결된 크랭크(61)의 부분의 단부는 다른 하나의 보(56)와 연결된 다른 하나의 크랭크(63)의 부분의 단부에 링크(65,67)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두개의 크랭크를 통과하는 평면의 동일 사이드에 위치한 보의 부분은 동일방향의 비등방성탄성을 가지며, 상기 링크(65,67)와 크랭크(61,63)는 교차 사변형을 형성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축어셈블리.
  11. 제1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아암을 상기 보의 한 단부에 고정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보와 접촉하면서 상기 보를 에워싸는 슬리이브(106), 상기 슬리이브의 외부 벽(116)에 고정되어 외부벽에서부터 외부쪽으로 돌출하는 최소한 하나의 펙(112) 및, 상기 보의 둘레에 감겨있는 제1부분(121)과 최소한 상기 펙의 일부분을 에워싸는 제2부분(122)을 갖는 최소한 하나의 파이버(1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축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106)는 상기 보(100)의 단부(101)의 면(109)과 협력하는 쇼울더를 형성하는 요각부분(20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축어셈블리.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펙(112)은 보의 단부(101)가 슬리이브(106)에 수용될 때 보(100)와 대면하는 면과 반대되는 면(113)의 부분에서 노치(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축어셈블리.
  14. 제11항에 있어서, 보(100)의 단부(101)에서 측벽(108)을 에워싸는 상기 슬리이브(106)의 부분(107)은 상기 펙(112)을 유지하는 부분에서부터 보(100)의 중간부쪽으로 멀어지는 두께로 테이퍼된 벽(11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축어셈블리.
  15. 제11항에 있어서, 파이버(120)의 제2부분(122)은 상기 펙(112)을 다수의 터언으로 에워싸며, 상기 터언을 서로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축어셈블리.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버의 제2부분의 단부는 보(100)의 둘레에 감겨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축어셈블리.
  17. 제11항에 있어서, 차량의 섀시에 관한 회전이 방지되는 지점(132)의 양 사이드에 위치한 보(100)의 두부분(130,131)의 각각은 다른부분의 비등방성비틀림탄성에 대향한 방향의 비등방성비틀림탄성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져 있으며, 이 때문에 상기 파이버(120)의 제1부분(121)은 상기 보의 한 부분둘레에서 다른 부분의 터언에 대향한 방향의 나선형 터언으로 감겨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축어셈블리.
  18. 제17항에 있어서, 제각기 보(100)의 두 부분(130,131)에 감겨있는 파이버(120)의 두개의 제1부분(121)은 섀시에 관한 회전이 방지되는 보의 지점(132)을 통과하는 평면(136)에서 외인딩 방향을 변화시킴에 따라 연속 파이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축어셈블리.
  19. 제18항에 있어서, 와인딩 방향을 변화시키는 위치에서 상기 파이버(120)를 유지하기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축어셈블리.
  20. 제19항에 있어서, 와인딩 방향을 변화시키는 위치에 상기 파이버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평면(136)을 따라 상기 보(100)를 에워싸는 제2슬리이브(140)와 제2슬리이브를 보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슬리이브의 주변부는 와인딩 방향을 변화시킬때 파이버(120)가 돌출부분(141)에 지탱될 수 있도록 라운딩된 최소한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축어셈블리.
  21. 3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의 한 지점이 상기 섀시에 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수단과 상기 아암을 상기 보의 각각의 단부에 고정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보의 둘레(203)에 권선을 구성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권선은 1차 권선을 형성하기에 적당한 테이프(204) 형태의 파이버의 제1단부(206)에서부터 선결된 길이를 이루며, 상기 테이퍼의 다른자유단(207)은 과잉두께를 형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과잉두께는 1차 권선을 압박하며 상기 보를 에워싸는 연결부품(210)을 통하여 보어의 주변부에 형성된 리세스(211)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축어셈블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과잉 두께는 2차 권선(208)을 형성하기 위해 그 자체에 감긴 상기 테이프의 자유단(207)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축어셈블리.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권선(208)은 상기 리세스(211)의 형태와 동일하게 되도록 감겨진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축어셈블리.
  24. 제21항 내지 제2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211)는 중앙수선(232)에 상기 보의 축(230) 근처를 지나가는 크링크(231)를 포함하는 톱니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축어셈블리.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210)은 관통내경(241)을 갖는 중심부분(240)으로 구성되며, 상기 리세스는 상기 호울의 측벽(242)에 제공되며 두개의 단부판(246,247)은 상기 리세스의 두단부를 최소한 부분적으로 밀집시키기 위하여 상기 중심부분의 양 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축어셈블리.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제거 가능한 모듈형 기소(243)로 구성되며, 상기 부분은 상기 내경을 라이닝하며 또한 부분과 상기 내경의 측벽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축어셈블리.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보하우징(245)과 협력하기에 적당한 자웅형 스터드(24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축어셈블리.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과잉두께는 상기 테이프의 자유단(207)에 고정된 단부편(252)으로 구성되며, 상기 테이프의 상기 자유단(270)은 일정한 값의 부피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단부편 둘레에 감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축어셈블리.
KR1019880012999A 1987-10-05 1988-10-05 차량용 축어셈블리 KR9200021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713709A FR2621276B1 (fr) 1987-10-05 1987-10-05 Train de roulement pour vehicule du type automobile
FR87-13709 1987-10-05
FR8717625A FR2624929B1 (fr) 1987-12-17 1987-12-17 Encastrement d'une barre de torsion
FR87-17625 1987-12-17
FR88-00912 1988-01-27
FR8800912A FR2626218B1 (fr) 1988-01-27 1988-01-27 Train de roulement pour vehicule du type auto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417A KR890006417A (ko) 1989-06-13
KR920002136B1 true KR920002136B1 (ko) 1992-03-12

Family

ID=27251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2999A KR920002136B1 (ko) 1987-10-05 1988-10-05 차량용 축어셈블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883289A (ko)
EP (1) EP0311483B1 (ko)
JP (1) JPH0292707A (ko)
KR (1) KR920002136B1 (ko)
CN (1) CN1024454C (ko)
AU (1) AU611949B2 (ko)
DE (1) DE3876586T2 (ko)
IN (1) IN171681B (ko)
RU (1) RU179238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4776A (en) * 1989-08-07 1991-01-15 General Motors Corporation End attachment assembly for a twisted rope torsion bar
US5522567A (en) * 1994-12-28 1996-06-04 Rockwell International Corp.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a gliding vehicle
DE19738249A1 (de) * 1997-09-02 1999-03-11 Daimler Benz Ag Lenker, insbesondere für eine Radaufhängung eines Kraftfahrzeuges
DE102008001989A1 (de) 2008-05-27 2009-12-03 Zf Friedrichshafen Ag Verbundlenkerachse für ein Kraftfahrzeug
US9016703B2 (en) 2012-11-14 2015-04-28 Oshkosh Defense, Llc Co-axial sway bar for a suspension system
DE102013002710A1 (de) * 2013-02-16 2014-08-21 Audi Ag Radaufhäng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3002704A1 (de) * 2013-02-16 2014-08-21 Audi Ag Drehstabsystem für eine Fahrzeugachse eines zweispurigen Fahrzeuges
US10486486B2 (en) * 2015-05-08 2019-11-26 Magna International Inc. Tunable vehicle suspension assembly
JP6746304B2 (ja) * 2015-12-02 2020-08-26 日本発條株式会社 車両用スタビライザ装置
EP3280676B1 (en) 2016-04-08 2018-11-07 Oshkosh Corporation Leveling system for lift device
IT201700087619A1 (it) * 2017-07-31 2019-01-31 Sistemi Sospensioni Spa Assale torcente a struttura composita per sospensione posteriore di veicolo.
DE102019206436A1 (de) * 2019-05-06 2020-11-12 Schäfer MWN GmbH Mehrpunktlenker für ein Fahrwerk eines Fahrzeugs
DE102019206435A1 (de) * 2019-05-06 2020-11-12 Schäfer MWN GmbH Mehrpunktlenker für ein Fahrwerk eines Fahrzeugs
CN110466299A (zh) * 2019-08-29 2019-11-19 华南理工大学 一种基于麦克纳姆轮的扭杆悬挂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799899A (fr) * 1935-01-26 1936-06-22 Porsche Gmbh Suspension élastique, en particulier pour véhicules automobiles
US2613954A (en) * 1947-08-30 1952-10-14 Int Harvester Co Torsion-type axle suspension for tandem axle vehicles
DE968975C (de) * 1951-10-11 1958-04-10 Ernst Hahn Drehstabfederung fuer Zwillingsachsen von Fahrzeugen, insbesondere von Anhaengerfahrzeugen
DE1077539B (de) * 1953-04-08 1960-03-10 Bergische Achsen Kotz Soehne Drehstabgefedertes Doppelachsaggregat, insbesondere fuer Anhaengerfahrzeuge
DE1091879B (de) * 1957-07-13 1960-10-27 Bergische Achsen Kotz Soehne Doppelachsaggregat mit auf Drehmomentausgleich gekuppelter Drehstabfederung
DE1430802A1 (de) * 1963-02-23 1968-12-12 Daimler Benz Ag Radaufhaengung,insbesondere fuer die Hinterachse von Kraftfahrzeugen
US3722908A (en) * 1971-08-24 1973-03-27 W Whitley Torsion bar suspension system for tandem trailer wheels
IT996729B (it) * 1973-09-25 1975-12-10 Fiat Spa Sospensione per veicolo con barra di torsione registrabile angolarmen te
DE3248308A1 (de) * 1981-05-29 1983-07-28 Fumio Usui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hohlkoerpers
FR2520305B1 (fr) * 1982-01-28 1985-09-06 Aerospatiale Suspension a bras oscillants pour un train de deux roues d'un vehicule et systeme de rappel elastique et de couplage anti-roulis pour une telle suspension
FR2526377B1 (fr) * 1982-05-06 1985-11-08 Aerospatiale Suspension a bras oscillants pour un train de deux roues d'un vehicule
FR2576993B1 (fr) * 1985-02-01 1987-08-07 Silvatrim Sa Procede pour l'encastrement d'une barre de torsion
DE3535589C1 (de) * 1985-10-05 1987-01-02 Hans-Hermann Sieben Radaufhaengung fuer absenkbare Fahrzeugaufbauten,insbesondere fuer Anhaenger,frontangetriebene LKW(Bus-Kombi),Wohn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11949B2 (en) 1991-06-27
CN1032425A (zh) 1989-04-19
EP0311483B1 (fr) 1992-12-09
DE3876586T2 (de) 1993-06-24
AU2294988A (en) 1989-04-06
JPH0292707A (ja) 1990-04-03
KR890006417A (ko) 1989-06-13
EP0311483A1 (fr) 1989-04-12
US4883289A (en) 1989-11-28
DE3876586D1 (de) 1993-01-21
CN1024454C (zh) 1994-05-11
IN171681B (ko) 1992-12-05
RU1792380C (ru) 199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2136B1 (ko) 차량용 축어셈블리
US5090833A (en) Device for connecting a motor vehicle steering column to a shaft journal of a steering gear train
US4841801A (en) Connecting rod
US4473238A (en) Wheel suspension for vehicles
DE2744368A1 (de) Vorderradaufhaengung fuer zwei- und dreiradfahrzeuge
US3583728A (en) Trailer hitches
JPS6133308A (ja) 車台の2車輪用懸架装置
EP0136269B1 (en) Improvements in suspension systems for motor vehicles
US4773891A (en) Drive shaft of fibre-reinforced plastic material
JPS615925A (ja) 繊維強化樹脂構造体の接合方法
US4557622A (en) Adjustable torque rod
US4621834A (en) Suspension system for a set of vehicle wheels with rigid axle
US5946982A (en) Bicycle crank arm with multiple chain wheels
KR100297236B1 (ko) 반작용로드용관절구조
US4296641A (en) Rack and pinion gear bearing support
US3704740A (en) Suspension systems
US4909097A (en) Steering wheel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US4741223A (en) Steering wheel
US4343560A (en) Spigot joint
GB2207975A (en) Resilient mounting for a wheeled vehicle
EP0935129A2 (de) Mehrkomponenten-Messrad
JPH07113389B2 (ja) ねじりばね装置
US2994559A (en) Wheel
CN110475674B (zh) 轴系统
CA1172274A (en) Spigot assembly for attaching the knuckle of a vehicle suspension member to a relatively movable part of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