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108B1 - 자동 주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주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108B1
KR920002108B1 KR1019870007781A KR870007781A KR920002108B1 KR 920002108 B1 KR920002108 B1 KR 920002108B1 KR 1019870007781 A KR1019870007781 A KR 1019870007781A KR 870007781 A KR870007781 A KR 870007781A KR 920002108 B1 KR920002108 B1 KR 920002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automatic pouring
weight
opening
molten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7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1353A (ko
Inventor
가즈요시 히마끼
히데아끼 나가요시
도시노부 단베
히로미 구기미야
Original Assignee
히다찌 긴조꾸 가부시끼가이샤
마쯔노 고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긴조꾸 가부시끼가이샤, 마쯔노 고오지 filed Critical 히다찌 긴조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1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18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39/00Equipment for supplying molten metal in rations
    • B22D39/04Equipment for supplying molten metal in ration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molten metal by 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inement Of Pig-Iron, Manufacture Of Cast Iron, And Steel Manufacture Other Than In Revolving Furna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주탕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자동 주탕장치의 일예를 도시하는 개략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자동 주탕장치를 제어하는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3a도는 본 발명의 자동 주탕장치의 일 작동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챠트.
제3b도는 용탕온도의 제어를 도시하는 플로우챠트.
제4도는 본 발명의 자동 주탕장치의 다른 작동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챠트.
제5도는 본 발명의 자동 주탕장치의 또다른 작동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챠트.
제6도는 슬라이딩식 노즐을 구비한 본 발명의 자동 주탕장치를 도시하는 부분확대 단면도.
제7도는 로타리식 노즐을 구비한 본 발명의 자동 주탕장치를 도시하는 부분확대 단면도.
제8도는 차폐식 노즐을 구비한 본 발명의 자동 주탕장치를 도시하는 부분확대 단면도.
제9도는 접종장치를 구비한 본 발명의 자동 주탕장치의 부분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탕 2 : 도가니
3 : 덮개 4 : 아아크 발생전극
6 : 보온 장치 7 : 노즐
8 : 유압 실린더 9 : 노즐 스토퍼
10 : 중량 센서 11 : 온도 센서
12 : 전자 밸브 14 : 마이프로컴퓨터
15 : 주형 16 : 탕구
30 : 접종장치 40 : 위치 센서
본 발명은 응용 금속(용탕)을 도가니로부터 주형에 자동적으로 주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 중량의 용탕을 온도 및 주탕속도를 제어하면서 자동적으로 주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가니를 갖는 주탕 장치로서는 경사 주입식의 것과 노즐스토퍼식의 것이 있으며, 비교적 소용량의 도가니에는 전자가 또 비교적 대용량의 도가니에는 후자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 주탕장치의 자동화에 따라 일정 중량의 용탕을 일정 온도로 주탕할 필요가 생겼다. 더우기, 각종의 주형에 대응할 수 있도록 용탕의 양과 주탕 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대용량의 노즐스토퍼식 도가니에서 다수의 작은 주형에 용융 금속을 주입하면, 용탕 전체량의 주탕이 완료하기까지에 장시간 요하고, 도가니 내의 용탕의 온도가 저하하여 구석구석까지 채워지지 않는 등의 주조 결함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도가니는 통상적으로 상면 개방형이 많으며, 용탕의 온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왕겨, 볏짚등의 보온재를 용탕의 표면에 투입하는 방법이 행해지고 있고, 또 간단한 덮개를 부착한 도가니도 사용되고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일시적인 보온은 될 수 있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도가니 주위에서 방열이 생겨서 용탕의 온도가 저하하기 때문에 어느 것도 온도 저하의 방지에는 커다란 효과를 기대할 수가 없다.
특히, 최초에 한 종류의 용탕을 주형에 주입하고 용탕이 응고한 후 다른 종류의 용탕을 주입하여 복합주물을 주조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최초의 한 종류의 용탕의 주입 중량의 변동은 ±1%로 유지할 필요가 있고, 또 용탕이 주입온도는 ±10℃ 관리할 필요가 있다. 현재까지, 그와같이 주탕량 및 용탕 온도를 정확히 제어할 수 있는 자동 주탕장치는 개발되어 있지 않다. 또,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많은 자동 주탕장치는 유도 가열식이기 때문에, 로내에 일정량의 용탕을 항상 남겨두지 않으면 아니 되고, 만약 로를 비어있게 한 경우에는 로의 승온에 많은 열 에너지가 필요하다. 더구나, 유도 가열식 자동 주탕장치는 필연적으로 중량이 증대하기 위한 정밀하게 출탕량에 제어를 행할 수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입 온도의 변동 및 주입용량의 변동을 최소로 유지할 수 있는 자동주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깊이 연구한 결과, 중량센서 및 온도센서의 신호에 의거하여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노즐의 개폐, 주탕시간 및 보온장치의 작동을 제어해 줌으로써, 주탕할 용탕량을 일정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용탕온도 및 주탕속도를 원하는 수준에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착안하였다. 즉, 본 발명의 제1자동 주탕장치는 상부에 덮개와 저부에 노즐을 갖는 용탕 수용용 도가니와, 노즐 개폐장치와, 중량센서와, 상기 중량센서에 의한 용탕 중량의 측정치에 의거하여 주입시간을 연산하는 마이크로컴퓨터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주입시간 만큼 상기 노즐을 개방하는 구동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2자동 주탕장치는 상부에 덮개와 저부에 노즐을 갖는 용탕 수용용 도가니와, 노즐 개폐 장치와, 상기 덮개를 관통하여 상하 이동 가능한 보온장치와, 중량센서와, 온도센서와, 상기 중량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에 접속된 마이크로컴퓨터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 접속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노즐 개폐장치를 구동하는 장치를 갖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중량센서에 의한 용탕 중량의 측정치에 의거하여 용탕의 주입시간을 연산하고, 또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한 온도 측정치가 원하는 수준에 도달해 있을 때에만 상기 노즐을 개방하는 신호를 상기 구동장치에 보내고, 상기 온도 측정치가 원하는 수준에 도달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노즐 개폐 장치를 구동하지 않고 상기 보온장치를 작동시켜서 용탕의 가열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보온장치는 전극 S극을 포함하며, 용탕과의 사이에 아크 방전에 따라 가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주탕장치를 도시하는 개략 종단면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용탕(1)을 수용하는 도가니(2)는 상부에 보온용 덮개(3)를 갖고, 덮개(3)에는 슬래그 차단부재(4)가 도가니(2)의 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또 덮개(3)를 관통하여 용탕(1)의 표면(1a)에 하단이 근접하고 있는 상하 이동 가능한 전극(5)을 갖는 보온장치(6)를 갖는다. 상기 전극(5)과 용탕(1) 사이는 아아크 방전하도록된 구조로 되어 있다. 게다가, 도가니(2)는 저부에 노즐(7)을 갖고, 노즐(7)은 유압 실린더(8)의 구동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한 노즐 스토퍼(9)에 의하여 개폐한다. 유압 실린더(8)의 구동은 전파 벨브(도시안됨)에 의해 제어된다. 또 유압 실린더(8)에는 노즐 스토퍼(9)의 상승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센서(40)가 설치되어 있다.
도가니(2)의 저면에는 중량센서(10)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노즐 스토퍼(9)의 내측에 온도 센서(11)로서 열전대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자동 주탕장치의 아래 쪽에는 노즐(7)의 개구부와 탕구(16)가 정합 되도록 된 위치에 주형(15)이 콘베이어 등에 의해 자동적으로 운반되어 정지된다.
여기서, 노즐(7)의 단면적을 A, 노즐(7)로부터 유출하는 용탕의 속도를 V, 용탕(1)의 높이를 h, 용탕 중량을 W라 하면, 이하의 관계가 성립한다.
Figure kpo00001
단, α는 도가니(2)자체에 의해 정해지는 계수이다. 상기 계수α는 도가니 자체에 따라 정해지는 계수로, 그 요인으로서는 도가니 형상, 노즐 스토퍼형상, 용탕의 점성이 생각될 수 있다. 그러므로, 실측값을 근거로 산출하게 된다.
실측의 방법은 도가니의 용탕 중량(Wn)을 측정해서, 주탕시간을 일정하게 할 때의 실제에 주탕 되어진 중량(Wn)을 측정함으로써 하기 산출식으로 구해진 값이다.
먼저 도가니 내 용탕 중량에서 hn을 산출해서, 유속(Vn)을 구한다.
Figure kpo00002
hn : 도가니 내 용탕 높이
AL: 도가니 내 단면적
ρ : 용탕 비중
그 다음 노즐 단면적과 유속(Vn)에 따라 이론 출탕 중량(Wxn)을 산출한다.
Wxn = An×Vn×S An : 노즐 단면적
그 다음으로는 실제에 주탕되어진 중량(Wn)과 이론 출탕중량(Wxn)에서 계수 αn을 계산한다.
실측값에서
Wxn > Wn 로 되므로
Wxn = Wn×αn라고 판정해서, αn을 산출한다. 이것에서 n회의 평균은 아래식과 같이 된다.
Figure kpo00003
참고로 α계수는 용탕 중량에 따라서 변동될 수 있기 때문에 실제상에는 용탕 중량의 영역마다 나누어서 정하고 있다. 예를들면, 용탕이 많을 때는 α= 0.9464로 하고, 적을 때는α= 0.8918로 한다.
주탕 해야 할 용탕 중량을 Q로 하고, 주탕시간을 S라 하면,
Figure kpo00004
이므로, Q는 주탕시간(S)뿐 아니라 노즐(7)의 단면적(A) 및 도가니 내의 용탕 중량(W)의 함수임을 알 수있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자동 주탕장치의 제어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마이크로컴퓨터(14)에는 중량센서(10), 온도센서(11) 및 위치센서(40)로부터의 신호가 입력하고, 전자 밸브(12), 표시램프(13), 보온장치(6) 및 접종장치(30)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3A도는 제2도의 장치에 의한 제어의 일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노즐 스토퍼(9)에 의해 노즐(7)을 폐쇄하고, 전극(5)을 상방으로 끌어올려, 이 상태에서 용해로(도시안됨)로 성분 조정한 용탕(1)을 도가니(2)에 주입한다.
주탕 조작을 개시하기 전에 초기 데이터로서 주탕해야 할 용탕 중량(Q) 및 계수(α)를 마이크로컴퓨터(14)에 입력한다(단계 A). 계수(α)는 각 도가니에 따라 다르며, 또한 도가니(2)내의 용탕량에 따라서도 변화하므로, 실측에 의해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용탕 중량(W) 및 주탕속도(V)를 실측함으로써 산출한 것을 입력 데이터로서 사용한다.
다음에, 도가니(2)내의 용탕중량(W)을 측정하고(단계 B), 소정의 중량(Wo)에 도달하고 있는가 없는가를 판단한다(단계 C). W< Wo의 경우는 용탕 보급지령을 내어 용탕의 보급을 행하고, W"
Figure kpo00005
Wo의 경우에는 이후의 단계로 진행한다. 필요한 주탕량(Q)과 용탕중량(W)으로부터 필요한 주입시간(S)을 연산한다(단계D). 전술한 바와 같이 주탕속도(V)와 용탕중량(W)과의 단계는 도가니마다 다르므로, 미리 실측에 의해 구해진 관계를 입력해 둠으로서, 그 관계를 이용하여 S=Q/V의 식으로부터 주탕시간(S)을 구한다.
단계D에서 구한 주탕시간(S)의 지령에 의거하여 노즐 스토퍼 구동장치의 전자 밸브(12)를 개방한다(단계 E). 그에 따라 노즐 스토퍼(9)는 상승하고, 노즐(7)이 개방된다. 이와 동시에 표시램프(13)가 점등된다. 필요한 용탕량(W)의 주탕이 완료하면(단계 G). 노즐 스토퍼(9)는 복귀하고(단계 H). 또 용탕 중량(W)의 측정(단계B)으로 되돌려진다. 이와같이 하여 주형으로의 주탕을 자동적으로 행한다.
제3도는 용탕온도 제어의 플로우챠트이다. 용탕온도(T)는 온도센서(11)에 의해 검출하여, 설정치(To)와 비교된다. T"
Figure kpo00006
To의 경우 보온장치는 오프로 되고, T<To의 경우 보온장치는 온으로 된다. 항상 용탕온도의 측정 및 제어를 행함으로써, 용탕온도를 인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제4도는 주탕량뿐 아니라 용탕온도도 제어하는 경우의 플로우챠트를 도시한다. 단계 A 내지 D는 제3a도 및 제3b도와 동일하다. 또한, 용탕 중량 및 온도의 측정은 항상 행해지고 있으므로, 단계 B는 용탕 중량(W)을 CPU로 판독하는 것이다.
용탕온도(T)를 판독하고(단계D), 소정의 온도(To)와 비교한다(단계 E). T `To의 경우 보온장치(6)가 온으로 되어 용탕의 가열을 행하고, T>To의 경우 보온장치(6)가 오프의 상태에서 일정시간 주탕을 대기한다. 이와같이 용탕온도(T)가 소정의 온도(To)와 같아질때까지 주탕을 개시하지 않는다. 또한, 실용상 T와 To와의 차가 약 10℃ 이내에 있으면, T=To로서 지장이 없다.
다음에, T=To일때에 주입시간(S)을 연산하고(단계F), 이하 제3a도 및 제3b도의 플로우챠트와 동일하게 단계 G 내지 J를 실행한다. 이 방식에 있어서의, 용탕온도 (T)가 소정온도(To)에 도달할 때까지 주탕이 개시되지 않고, 항상 최적온도의 용탕이 일정량 주탕되도록 용탕 가열 및 주탕의 지령이 나온다.
제5도는 주탕량(Q)과 용탕온도(T)와 주탕속도(V)를 제어하는 방식의 플로우챠트이다. 단계 A내지 F는 제4도의 플로우챠트와 동일하다. 주입시간(S)의 연산후, 주탕속도(V)를 설정치(Vo)로 조정하기 위해 노즐 스토퍼(9)가 정지해야 할 위치로 연산하고(단계 G), 그 정지 위치까지 노즐 스토퍼(9)를 상승시키기 위해 전자 밸브를 개방한다(단계 H,I). 노즐 스토퍼(9)의 상승은 소정의 정지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행해진다 (단계 J). 또한 노즐 스토퍼(9)의 정지위치의 설정은 미리 구해둔 노즐 스토퍼 개방도와 주탕속도(V)와의 관계로부터 구한다. 노즐 스토퍼(9)의 상승 정지 후 주탕이 완료하면 (단계 L), 노즐 스토퍼(9)는 복귀하고 (단계M), 주탕작업은 완료한다. 이 주탕작업을 전체 주형에 대해 자동적으로 행한다.
제5도의 방식에서는 주탕량(Q)을 설정치에 일정하게 유지할 뿐 아니라 용탕온도(T) 및 주탕속도(V)도 설정치에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노즐 스토퍼(9)의 개폐 및 상승 정지위치 및 보온장치(6)의 온.오프를 타이밍을 맞춰 제어하고 있다. 이상에 있어서는 도가니(2)로부터 용탕(1)을 출탕시킬 때에는 노즐을 개방하는 장치로서 노즐스토퍼식의 것을 설명하였지만, 각각 제6도, 제7도, 제8도에 도시하는 슬라이딩식, 로타리식, 차폐식의 것을 이용해도 좋다.
제6도는 슬라이딩식 노즐을 도시하며, 17은 도가니(2)의 저벽에 설치된 상부 노즐, 18은 상부 노즐(17)을 지지하는 고정판, 19는 고정판(18)의 하면을 미끄러지고 상하면을 개부하는 관통로(20)을 형성하는 개폐덮개, 21은 관통로(20)에 연결되도록 개폐 덮개(19)의 하면에 설치된 하부 노즐, 22는 개폐 덮개(19)를 미끄러지게 해주는 실린더이다. 실린더(22)의 구동에 의해 개폐 덮개(19)를 미끄럼 시켜, 관통로(20)를 거쳐 상부노즐(17)과 하부 노즐(21)을 일치시킴으로써, 도가니(2)중의 용탕(1)을 출탕하도록 하고 있다.
또, 제7도는 로타리식 노즐로서, 개폐 덮개(19')가 회전축(22')의 선단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개폐덮개(19')에는 회전축(22')을 중심으로 하여 등거리에 위치에 복수개의 관통로(20', 20',…)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각 관통로(20')에 연결되는 하부 노즐(21', 22',…)이 상기 개폐 덮개(19')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22')이 모터(도시안됨)에 의해 회전하면, 개폐 덮개(19')가 고정판(18)에 대해 미끄럼 회전하고, 각 관통로(20', 20',…)를 거쳐서 하부 노즐(21', 22',…)과 상부 노즐(17)이 연통하여, 도가니(2)중의 용탕(1)이 출탕한다.
게다가, 제8도는 차폐식 노즐로서, 23은 도가니(2)의 하부벽에 부착된 내화성 블록, 24는 내화성 블록(23)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원추형 관통구멍, 25는 관통구멍 (24)과 상부 노즐(17)을 연결해주기 위해 내화성 블록(23)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한 연통로, 26은 관통구멍(24)중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똑바른 관통로(27)를 갖는 원추형 내화성 플러그, 28은 연통로(25)의 직선상에 위치하여 내화성 블록(23)에 형성된 출탕로, 21"는 출탕로(28)에 이어지도록 내화성 블록(23)의 하면에 설치된 하부 노즐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이므로, 내화성 플러그(26)를 회전시킨 것만으로 도가니(2)중의 용탕(1)을 출탕 또는 정지시킬 수가 있다.
제9도는 도가니(2)의 노즐(7)의 아래쪽에 있어서 주형(15)의 탕구(16)근방에 설치된 접종장치(30)를 도시한다. 접종장치(30)는 접종제를 수용하는 호퍼(31)와, 호퍼(31)의 배출구(32)에 연결된 나사 이송기(33)와, 나사 이송기(33)의 나사(34)를 회전하기 위한 무단 변속 모터(35)와, 나사 이송기(33)의 선단에 부착된 노즐(36)과, 노즐(36)에 공기를 승급하는 관(37)을 갖는다. 접종장치(30)는 주형의 탕구(16)에 노즐 선단이 근접하도록 이동 가능 캐리지(도시안됨)상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접종장치(30)는 노즐스토퍼(9)와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마이크로컴퓨터(14)에 의해 주입시간(S)이 연산되고, 노즐 스토퍼 개방도에 따른 주탕속도(V)로 용탕이 노즐(7)로부터 출탕하면, 접종장치(30)도 작동하여 공기가 관(37)로부터 노즐(36)에 이송되므로, 접종제가 노즐 개구부로부터 탕구(16)내로 배출된다. 노즐 스토퍼(9)가 복귀하여 주탕이 완료하면, 접종장치(30)의 작동도 정지하고 다음의 주형이 도가니(2)아래로 반송되어 주탕이 개시할때까지 접종장치(30)는 대기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용탕의 주입 중량 및 용탕온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용탕을 주형에 정밀하게 일정 중량만큼 자동적으로 주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특히 본 장치를 2대를 이용하여 복합 주물을 주조하는 경우에 고품질의 것이 얻어진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 주탕속도도 일정 중량씩 주형에 주입할 수가 있어, 극히 품질이 안정된 주물을 능률 좋게 제조할 수가 있다.

Claims (14)

  1. 상부에 덮개와 저부에 노즐을 갖는 용탕 수용용 도가니와, 노즐 개폐장치와, 중량 센서와, 주탕할 용탕 중량(Q)과, 이론 출탕량과 실제 주탕량과의 비로 표시되는 계수(α)를 입력시키고, 상기 중량센서에 의한 용탕중량(W)의 측정치에 의거하여 주입시간(S)을 연산하는 마이크로컴퓨터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주입시간(S)만큼 상기 노즐을 개방하는 구동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노즐 개폐장치가 상기 덮개를 관통하여 상하 이동 가능한 상기 노즐스토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가 전자 밸브를 갖는 유압 실린더이고, 상기 중량 센서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전자 밸브가 개방하며, 그럼으로써 유압 실린더에 의해 상기 노즐스토퍼가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탕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탕온도 측정장치와 보온장치를 또한 갖고, 상기 용탕온도 측정장치에 의한 용탕온도의 측정치(T)가 설정온도(To)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보온장치가 작동하고, T가 To이상인 경우에는 보온 장치가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중량센서에 의한 용탕중량의 측정치에 의거하여 주입 시간 및 노즐스토퍼의 개방도를 연산하고, 그럼으로써 일정 중량의 용탕을 일정 속도로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스토퍼의 위치를 위치센서에 의해 검출하고, 검출위치와 노즐스토퍼 개방도의 설정치를 비교하여,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노즐스토퍼가 상기 설정치까지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하방에 접종장치를 갖고, 상기 접종장치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지령에 의해 상기 노즐의 개방과 타이밍을 맞추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탕장치.
  8. 상부에 덮개와 저부에 노즐을 갖는 용탕 수용용 도가니와, 노즐 개폐장치와, 상기 덮개를 관통하여 상하 이동 가능한 보온장치와, 중량센서와, 온도센서와, 상기 중량센서 및 온도센서에 접속한 마이크로컴퓨터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 접속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노즐 개폐장치를 구동하는 장치를 갖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중량센서에 의한 용탕 중량의 측정치에 의거하여 용탕의 주입시간을 연산하고, 또한 상기 온도센서에 의한 온도 측정치가 원하는 수준에 도달해 있을 때에만 상기 노즐을 개방하는 신호를 상기구동장치에 보내고, 상기 온도 측정치가 원하는 수준에 도달해 있지 않을때에는 상기 노즐 개폐장치를 구동하지 않고 상기 보온 장치를 작동시켜서 용탕의 가열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개폐장치가 상기 덮개를 관통하여 상하 이동 가능한 노즐 스토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탕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장치가 아아크 발생 전극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탕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가 전자밸브를 갖는 유압 실린더이며, 상기 중량센서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전자밸브가 개방하고, 그럼으로써 유압 실린더에 의해 상기 노즐 스토퍼가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탕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중량센서에 의한 용탕 중량의 측정치에 의거하여 주입 시간 및 노즐 스토퍼의 개방도를 연산하고, 그럼으로써 일정 중량의 용탕을 일정 속도로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탕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스토퍼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센서를 갖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가 검출위치와 노즐 스토퍼 개방도의 설정치를 비교하여,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노즐스토 퍼가 상기 설정치까지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탕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하방에 접종장치를 갖고, 상기 접종장치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지령에 의해 상기 노즐의 개방과 타이밍을 맞추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탕장치.
KR1019870007781A 1986-07-18 1987-07-18 자동 주탕장치 KR9200021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8125 1986-07-18
JP16812586 1986-07-18
JP295032 1986-12-12
JP295033 1986-12-12
JP29503486 1986-12-12
JP295034 1986-12-12
JP29503286 1986-12-12
JP29503386 1986-1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353A KR880001353A (ko) 1988-04-22
KR920002108B1 true KR920002108B1 (ko) 1992-03-12

Family

ID=27474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7781A KR920002108B1 (ko) 1986-07-18 1987-07-18 자동 주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21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93964B (zh) * 2019-06-13 2024-04-05 昆山金运新材料科技有限公司 汽车内饰件光控灌注及喷涂工艺及其所用的光控灌注模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353A (ko) 1988-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1528335A3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 запуском установки непрерывной разливки металла
US4460163A (en) Device and furnace for discharging measured quantities of molten metal
JPH0712530B2 (ja) 金属溶湯を鋳込む方法
JPH0716774B2 (ja) 複数の鋳型を使用する連続鋳造方法
JPS62101359A (ja) 複数の鋳片を持つ連続鋳造装置を始動する方法
KR920002108B1 (ko) 자동 주탕장치
US20150352635A1 (en) Method, Controller And Tundish Control System For A Continuous Casting Process
CN105499551A (zh) 一种封闭式浇注包及其使用方法
US384445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lting and pouring metal
KR102271702B1 (ko) 연속 잉곳 성장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4774999A (en) Process for automatic control of the startup of a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CA1272366A (en) Method for controlling early casting stage in continuous casting process
JPH037468B2 (ko)
KR910006067B1 (ko) 연속 주조 장치의 주입작업 개시 방법
EP109701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unter-gravity casting of metal
US3514018A (en) Equipment for mechanical charging casting apparatus
JPH11197796A (ja) 溶鋼の造塊装置
JPH08168871A (ja) 注湯装置
JP2939146B2 (ja) 加圧式注湯炉の自動注湯制御方法
JPS63149068A (ja) 自動注湯装置
JPS61226157A (ja) 溶融金属の連続的鋳造方法
CN201102063Y (zh) 铸钢恒温浇注设备
JPH09300064A (ja) 自動注湯方法
JPS62270264A (ja) 連続鋳造の鋳造初期制御方法
JPH036153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2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