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038B1 - 전망용 엘리베이터 승강차 - Google Patents

전망용 엘리베이터 승강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038B1
KR920002038B1 KR1019860008937A KR860008937A KR920002038B1 KR 920002038 B1 KR920002038 B1 KR 920002038B1 KR 1019860008937 A KR1019860008937 A KR 1019860008937A KR 860008937 A KR860008937 A KR 860008937A KR 920002038 B1 KR920002038 B1 KR 920002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passengers
entrance
hoist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8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5022A (ko
Inventor
박재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860008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2038B1/ko
Publication of KR880005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5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망용 엘리베이터 승강차
제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전망용 엘리베이터의 설치 개략도,
제2도는 종래의 전망용 엘리베이터 승강차를 보인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출입구를 보인 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승강차를 보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안내레일 9 : 승강차
12,13 : 전망창 14 : 입구
15 : 출구
본 발명은 전망용 엘리베이터 승강차에 관한 것으로 승강차에 출구와 입구를 별도로 각각 설치하고 전망창을 좌·우측으로 연장 설치하므로서 승객의 출입 및 전망활동에 편리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전망용 엘리베이터 승강차는 제2도에서와 같이 건물내측으로 승강차 도어(1)와 외측으로 전망차(2)이 설치된 승강로벽(3)의 일측에 브라켓트(4)를 고정하고 브라켓트(4)내에는 안내레일(5)을 설치하여 균형추(6)를 안내하도록 하였고 외측에 전망창(7)과 내측에 도어(8)를 설치한 승강차(9)는 승강로벽(3)과 브라켓트(4)에 고정된 안내레일(5)을 따라 승강로(10)내에 승강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는 승강차(9)가 승강되는 승강로(10)내에서 균형추(6)의 설치가 불가피하므로 균형추(6)의 설치부분에는 전망창을 설치할 수 없어서 그만큼 승강차(9)내의 전망부위가 축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승강차(9)내에 탑승한 승객은 전망활동을 하기 위해 대부분 전망창(7) 주위에 몰리게 되어 혼잡을 이루는 반면 제2도의 "A"부위에는 빈 공간이 되는 사례가 많았다.
그리고 승객이 승강차(9)내에 만원이 될 경우에 "A"부위에 위치한 승객은 더 이상 전망창(7)쪽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위치에 있는 한 전망창(7)주위에 몰려있는 승객에게 시야를 침해당해 사실상 전망활동이 불가능하였고 이로 인해 "A"부위에 있는 승객은 단 한번의 승강차(9)주행으로 전망을 충분히 할 수 없기 때문에 하차를 하지 않고 계속 승강차(9)에 남아 있게 되어 전망용 엘리베이터의 이용효율이 저하될 뿐 아니라 많은 혼잡이 발생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하나의 출입구로 출입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승강차(9)가 각층에 정차할 때 승강차(9)내에서 하차하는 승객과 승강장에서 승강차(9)로 탑승하는 승객이 서로 충돌할 위험이 있게 되고 승객간의 마찰에 의해 승객의 승하차 시간이 오래 걸려 전망용 엘리베이터의 가동효율이 그만큼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결점을 해소하고자 승강로의 내측 중심에 균형추를 설치하고 이의 양측으로 출구와 입구를 양분하여 설치하므로서 승객의 승하차를 신속하게 하고 전승객이 전망활동을 편안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로벽(3)의 건물 외측으로 전망창(2)이 설치되고 승강차(9)의 외측으로는 전망창(7)이 각각 설치되는 전망용 엘리베이터 승강차에 있어서, 승강차(9)를 "ㄷ"형으로 구성하여 그 중심 공간부에 균형추(6)를 설치하고, 균형추(6)는 승강로벽(3)에 고정된 브라켓트(4)내의 안내레일(5)에 의해 안내되도록 하면서, 승강로벽(3)의 좌·우측과 승강차(9)의 좌·우측에 전망창(12)(13)을 각각 연장설치하고 출입구를 입구(14)와 출구(15)로 양분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먼저 1층에서 대기중인 승강차(9)에 탑승하면 승강차(9)가 상승하게 되면서 승강차(9)내에 탑승한 승객은 제4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망하게 되고 승강차(9)는 다음층에 도착하게 된다.
곧이어 승강 및 승강차 도어(1)가 열리게 되면 전망활동을 끝낸 승객은 출구(15)를 통해 하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동시에 또다른 승객이 입구(14)를 통해 승강차(9)에 탑승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승강장에서 승강차(9)에 탑승하여 전망하고져 대기중인 승객은 제3도와 같이 입구 표시판의 지시에 의해 입구쪽에 대기하고 있다가 탑승하면 되는 것이고 승강차(9)에서 승강장으로 하차하려는 승객은 출구(15)쪽에서 대기하고 있다가 하차하면 되므로 승객간의 충돌이 전혀 발생하지 않고 승하차 시간도 대체적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그만큼 승강차의 가동 효과를 증대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승강로 면적내에서 균형추가 위치하는 부분을 승강차가 주행할 때 승객이 용이하게 전망할 수 없는 위치, 즉 제2도의 "A"부위에 설치하므로서 전망창을 양측벽으로 연장하여 설치할 수가 있어서 전망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 전망용 승강차의 균형추가 승강로 면적을 축소시키면서 일측 벽면에 설치되므로서 전망창 부위의 면적이 축소되어 전망효과가 저하되고 출입구를 하나만 설치하여 승객의 출입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가동 효율이 저하되었던 것에 비해 본 발명은 균형추를 승강차 중심에 설치하고 출입구를 별도로 설치하며 전망창을 양측면으로 연장설치하므로서 승강차내의 전망부위가 최대로 확장되어 승객이 골고루 주위 경관을 전망할 수 있게 될뿐만 아니라 승객의 출입시 승객상호간의 충돌이 방지되어 승객에게 심리적 위압감을 해소시켜주게 되고 또한 승객의 출입시간도 대폭적으로 줄어들어 엘리베이터 가동효율도 증대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승강벽(3)의 건물 외측으로 전망창(2)이 설치되고 승강차(9)의 외측으로는 전망창(7)이 각각 설치되는 전망용 엘리베이터 승강차에 있어서, 승강차(9)의 중심쪽에 균형추(6)를 배치하면서 승강로벽(3)의 좌, 우측과 승강차(9)의 좌, 우측에는 전망창(12)(13)을 각각 연장설치하고 승강차(9)의 출입구를 입구(14)와 출구(15)로 양분하여 사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망용 엘리베이터 승강차.
KR1019860008937A 1986-10-24 1986-10-24 전망용 엘리베이터 승강차 KR920002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8937A KR920002038B1 (ko) 1986-10-24 1986-10-24 전망용 엘리베이터 승강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8937A KR920002038B1 (ko) 1986-10-24 1986-10-24 전망용 엘리베이터 승강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5022A KR880005022A (ko) 1988-06-27
KR920002038B1 true KR920002038B1 (ko) 1992-03-10

Family

ID=19252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8937A KR920002038B1 (ko) 1986-10-24 1986-10-24 전망용 엘리베이터 승강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203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5022A (ko) 198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94123C (fi) Vetopyörähissi
US5906251A (en) Traction sheave elevator
US5833031A (en) Appendable elevator system
JP2593289B2 (ja) 下部に駆動機械を備えたトラクションシーブ型エレベータ
RU2577445C2 (ru) Система с несколькими кабинами в шахте лифта
US7467691B2 (en) Elevator installation, a method of operating this elevator installation, and method of modernizing an elevator installation
US20080053756A1 (en) Elevator installation with car and counterweight and method for arrangement of an elevator installation
CA2310184C (en) Traction sheave elevator, hoisting unit and machine space
JP2003519061A (ja) エレベータかごの点検開口
US20020185338A1 (en) Rope elevator
US6651780B1 (en) Traction sheave elevator, hoisting unit and machine space
JPH08208159A (ja) エレベータドア用頭上支持ビームおよびドア駆動装置
WO2020190115A1 (ko)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JPH11106159A (ja) エレベーター
US6026937A (en) Elevator cab
JPH04226285A (ja) エレベータ群内のエレベータの選択方法
CN111362103A (zh) 一种背包龙门架式电梯
KR920002038B1 (ko) 전망용 엘리베이터 승강차
EP1195346A1 (en) Elevator device
JP3448890B2 (ja) マルチカー方式エレベータの運行制御装置
JP2001063935A (ja) エレベータ装置
JPH03166187A (ja) 建物用垂直輸送システム
EP1053969A2 (en) Elevator
JP2526699B2 (ja) 主索なしエレベ―タ―の運行路
SU937309A1 (ru) Лифтовый подъемни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1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