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976B1 - 종이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종이 이송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20001976B1 KR920001976B1 KR1019880011926A KR880011926A KR920001976B1 KR 920001976 B1 KR920001976 B1 KR 920001976B1 KR 1019880011926 A KR1019880011926 A KR 1019880011926A KR 880011926 A KR880011926 A KR 880011926A KR 920001976 B1 KR920001976 B1 KR 9200019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ar
- lever
- drive shaft
- fixed
- shaf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24—Detents, brakes, or couplings for feed rollers or plate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06—Resilient conne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절단사시도.
제2도는 주요부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연결레버체와 구동축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탄성체가 변형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절단사시도.
제6도는 주요부의 분해사시도.
제7도는 트랙터가 구동되고 있지 않은 상태의 측면도.
제8도는 트랙터가 구동되고 있는 상태의 측면도.
제9도는 탈성체 부착부의 모든 부품을 분해한 분해사시도.
제10도는 탄성체 부품이 일체화된 분해사시도.
제11도는 탄성체가 변형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12도는 기어의 톱니 가장자리가 맞닿은 상태의 부분측면도.
제13도는 기어의 톱니 가장자리가 맞닿은 상태의 탄성체의 변형을 나타낸 측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를 나타낸 주요부의 정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를 나타낸 주요부의 정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를 나타낸 주요부의 정면도.
제17도는 종래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제18도는 제17도의 일부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3 : 플래튼(제1종이 이송부) 24 : 플래튼기어
28 : 트랙터(제2종이 이송부) 25 : 구동기어(제1기어)
29 : 트랙터기어(제2기어) 30 : 구동축
31 : 레버 35 : 회전레버
36 : 아이들기어 38 : 고정레버
40 : 탄성체 45 : 스토퍼
46 : 핀치로울러 47, 48 : 홈
49 : 핀 52 : 안내판
55 : 슬라이드홈 59 : 지지부
62 : 돌기 71 : 인장코일스프링
72, 72 : 탄성판 74 : 토오션스프링
A, B: 연결기어기구
본 발명은 프린터등에 있어서의 종이 이송장치에 관계되며, 특히, 낱장을 이송하기 위한 플래톤이나 팬포울드(fanfold)지를 이송하는 트랙터와 같은 2종의 종이 이송부를 구비한 종이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래의 프린터에 있어서는, 낱장종이와 팬포울드지의 두가지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요구되어 있다. 그러나, 낱장종이와 팬포울드지에서는 급지의 방식이 달라서, 그 사용시에는, 프린터의 옆에서 전환시켜줄 필요가 있다. 각각의 급지방식으로는, 낱장종이의 경우에는 그 낱장종이가 핀치로울러에 의해 플래튼에 꽉 눌려져서, 플래튼과의 마찰력에 의해 플래튼의 회전에 따라 이송되는 방식과, 팬포울드지의 경우에는, 그 팬포울드지의 옆부분에 형성된 연속구멍이 트랙터와 맞물려서, 트랙터의 구동에 따라 이송되는 방식이다.
그러나, 실제에서는 팬포울드지에 한창 인자하고 있는 중에, 일시적으로 낱장종이에 인자할 필요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팬포울드지를 기기로부터 완전히는 빼내지 않고, 트랙터에 물려진 상태로, 플래톤으로부터 후퇴시켜 소정 위치에서 대기하도록 하여, 플래튼에는 핀치로울러에 의해 낱장종이를 인접시켜 인자를 행하고, 그것이 종료된 후, 다시 팬포울드지를 플래튼에 두루감아서, 인자를 다시 시작하는 일이 종종 행해진다. 이때, 항상 트랙터에 동력이 전달되고 있으면, 대기중의 팬포울드지가 이동해버리고, 종이 걸림 또는 인자중단위치의 불명확등, 불편한 일이 일어난다. 그 때문에, 팬포울드지에 인자하는 경우에는 트랙터에 동력전달을 하고, 낱장종이에 인자를 행할 때에는 전달을 끊을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전환장치로서, 종래 제17도 제18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기구가 있다. 플래튼(1)은 플래튼축(2)에 고정되고,, 회전이 자유롭게 대략 수평으로 프레임(도시안됨)에 부착되어, 인자헤드(3)가 상기 플래튼(1)을 따라서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구동기어(4)는 상기 플래튼축(2)의 한쪽끝에 고정되고, 동력원(도시안됨)에 직결한 동력기어(5)와 항상 맞물려 있다. 한편 트랙터(6)는 트랙터축(7)을 가지며, 이 트랙터측(7)의 한쪽끝에는, 트랙터기어(8)가 고정되고, 이 트랙터기어(8)는 상기 구동기어(4)와 동일 평면에 있으나, 그 구동기어(4)와는 맞물리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연결기어(9)는 기다란 판형상의 연결판(10)의 한쪽끝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고, 이 연결판(10)의 다른쪽 끝에는 평행한 2변을 가진 이형형상의 구멍(11)이 뚫어 설치되어 있다. 또, 회전축(12)은 상기 플래튼(1)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회전축(12)의 한쪽끝에는, 레버(13)가 고정되어 있으며, 다른쪽 끝에는 일부가 절삭되어 단면이 평행한 2변을 갖는 이형부분(1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이형부분(14)은, 상기 연결기어(9)를 지지하고 있는 상기 연결판(10)의 상기 구멍(11)으로 압입되어져 상기 회전축(12)과 상기 연결판(10)은 고정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 연결기어를 지지하는 상기 연결판(10)은, 상기 레버(13)의 조작에 의해 상기 회전축(12)이 회전되게 함으로써, 임으로 상기 연결기어(9)가 상기 회전축(12)을 중심으로 훤호형상으로 이동하여 상기 구동기어(4) 및 상기 트랙터기어(8)에 맞물리는 위치, 또는 이격하는 위치에 오도록 한 배치로서 프레임(도시안됨)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하여 상기 구동기어(4)와, 상기 트랙터기어(8) 및 상기 연결기어(7)는 연결기어기구(A)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기록지로서는 낱장종이와 팬포울드지가 사용되나, 낱장종이에 인자할 때는, 레버(13)를 제16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즉, 앞쪽에서 맞은편쪽으로 회전하므로써, 회전축(12)과 여기에 고정된 연결판(10)이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하고, 연결기어(9)가 구동기어(4) 및 트랙터기어(8)로부터 이격하고, 트랙터(6)로의 동력전달은 끊기게 된다.이때 낱장종이는 핀치로울러에 의해 플래튼(1)에 압접되어, 마찰에 의한 플래튼(1)이 회전에 따라 이송되고, 플래튼(1)을 따라서 왕복이동하는 인자헤드(3)에 의하여 인자가 행하여진다.
한편, 팬포울지에 인자할 때는, 레버(13)를 제17도에서, 시계방향, 즉, 맞은편에서 앞쪽으로 회전하여 고정함으로써, 회전축(12)과 여기에 연결판(10)이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하고, 연결기어(9)가 구동기어(4) 및 트랙터기어(8)와 맞물려서 트렉터(6)에의 동력전달이 행하여진다.
또, 핀치로울러는 플래튼(1)으로부터 이격하고, 팬포울지의 옆부분의 연속구멍이 트랙터(6)와 맞물림되게 한다. 그리하여, 팬포울드지는 플래튼(1)의 표면에 대해 미소한 미끄러짐을 수반하면서, 트랙터(6)의 이송량에 따라 이송되어, 이하 낱장종이와 같이 왕복이동하는 인자헤드(3)에 의하여 인자가 헝해진다.
상기한 기구에 의한 트랙터(6)에의 동력전달의 전환은, 조작도 간편하고, 유효한 것이 된다. 그러나, 이동한 연결기어(9)는 구동기어(4) 및 트랙터기어(8)에 가장 적합하게 맞물리는 위치에 오도록 설계되어 있기는 하지만, 실제로 원호형상으로 이동하는 1매의 기어가 2매의 기어의 양쪽에 정확히 맞물림 하도록 제작한다는 것은 대단히 높은 정밀도를 필요로 하며, 만약, 한쪽의 기어와는 최적의 맞물림 상태가 확보되었어도, 한쪽의 기어에 맞물림이 잘 안되는 경우가 많다. 또, 기어가 이동할때 잘 맞물리지 않고, 톱니끝 끼리가 맞닿은 상태로 강제적인 압접이 행하여져 톱니의 손상이나 축의 뒤틀림이 발생하는 수도 있고, 가령 맞물려도, 부품정밀도의 오차는 항상 존재하므로, 기어가 깊게 물려 들어가거나 또는 얕게 맞물리게 되는 경향이 있다. 기어가 깊이 맞물림된 상태에서 기기를 동작시키면, 기어톱니의 마모속도가 증가하고, 기계의 손모가 현저하며, 또 구동저항이 크기 때문에, 인자가 비뚤어지는 수가 있다.
한편, 맞물림이 얕으면 맞물림 불량이나 백래쉬가 너무 커서 기어이송의 부정확 때문에, 역시 인자의 비뚤어짐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 연결기어는 기다란 판형상의 연결판의 앞끝에 지지되어 있을 뿐이어서 그 지지는 취약하여 급지의 역전조작등에 의해 기어에 과대한 토오크가 걸리면, 간단히 구동기어(4) 및 트랙터기어(8)로부터 빠져서 작동불량을 일으킨다.
대책으로서는, 부품정밀도를 높여 반드시 연결기어(9)가 최적 위치에 오도록 하고, 또, 기어의 회전각도를 제어하여 톱니끝 끼리가 맞닿는 일이 없도록 하는 방법이나, 이동 후의 기어 위치가 확실히 고정되고, 또, 위치의 미세조정이 가능한 기구로 하는 방법등이 생각되나, 어느 것도 장치가 복잡하게 되고, 설계나 제작의 어려움, 정비성 및 조작성의 악화등의 여러가지 문제외에도, 가격이 높아져서, 현실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제1종이 이송부와 제2종이 이송부와의 선택적인 구동을 확실하게 행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제1종이 이송부와 제2종이 이송부에 각각 설치된 기어에 맞물리는 아이들 기어의 맞물림이 지나치게 강하거나 약하게 되는 일이 없도록 행하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제1종이 이송부와 제2종이 이송부에 각각 설치한 기어에 맞둘리는 아이들기어의 맞물림을 탄성적으로 행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목적은, 제1종이 이송부와 제2종이 이송부에 각각 설치한 기어에 맞물리는 아이들기어의 맞물림 상태를 안정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1종이 이송부에 연결됨과 동시에 구동기어에 의해 구동되는 제1기어와, 제2종이 이송부에 연결된 제2기어를 동일 평면내에 있어서 서로 이격시켜 설치하고,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와의 축심과 평행한 구동축을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하여, 이 구동축에 고정된 고정레버와 상기 구동축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된 회전레버를 설치하고, 상기 회전레버의 앞끝에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가 서로 맞물리는 아이들기어를 부착하여, 상기 고정레버와 상기 회전레버를 탄성체에 의해 결합시켜, 이로써, 아이들기어의 제1기어 및 제2기어와의 맞물림을 확실하게 하고, 또한, 그 맞물림이 지나치게 강하거나, 또 약하지도 않는 양호한 맞물림 상태를 얻을 수가 있으며, 제1종이 이송부와 제2종이 이송부의 선택적인 구동을 확실하게 행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4도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인자헤드(21)가 수평방향으로 왕복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이 인자헤드(21)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된 플래튼축(22)에 제1종이 이송부가 되는 플래튼(23)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래튼축(22)의 한쪽끝부분에는, 제1기어가 되는 플래튼기어(24)가 고정되어 있다. 이 플래튼기어(24)에서는 도시가 안된 구동부에 연결된 구동기어(25)가 맞물려 있다.
한편, 단면이 각형인 트랙터 구동축(26)과 단면이 원형인 가이드축(27)이 평행으로 구비되어, 이들 트랙터 구동축(26)과 가이드축(27)에 제2종이 이송부가 되는 트랙터(28)가 위치조절이 자유롭도록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트랙터 구동축(26)의 끝부분에는 상기 플래튼기어(24)와 동일 평면내에 위치하고 또 상기 플래튼기어(24)와 이격된 제2기어가 되는 트랙터기어(29)가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플래튼기어(24)와 상기 트랙터기어(29)의 각각의 축심과 평행으로 구동축(30)이 구비되어, 이 구동축(30)의 끝부분에는 수동으로 움직이기 위한 레버(31)가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 구동축(30)의 다른쪽 끝에는, 양면을 평행으로 절삭한 이형형상의 걸어맞춤부(32)와 빠짐방지를 위한 홈(33)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구동축(30)에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맞춰진 둥그런 구멍형상의 부착구멍(34)이 형성된 회전레버(35)가 형성되어있다. 이 회전레버(35)의 앞 끝에는, 상기 플래튼기어(24)와 상기 트랙터기어(29)에 함께 맞물림하는 아이들기어(36)가 회전히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30)의 걸어맞춤부(32)에 걸어맞춤하는 이형형상의 고정구멍(37)이 형성된 고정레버(3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 회전레버(35)는 상기 고정레버(38)보다 그 길이가 긴 것이며, 양자의 마주보는 면에는 일정하 두께의 고무등으로 된 끼워맞춤구멍(39)을 가진 탄성체(40)가 접합하고, 접착등에 의한 상기 고정레버(38)와 상기 회전레버(35) 및 상기 탄성체(40)가 일체화되어, 이로부터, 연결레버체(41)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연결레버체(41)는, 상기 회전레버(35)의 부착구멍(34)과 상기 탄성체(40)의 끼워 맞춤구멍(39)을 상기 구동축(30)에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맞춘 후에 상기 고정레버(38)의 고정구멍(37)을 걸어맞춤부(32)에 회전방향으로 고정적으로 걸어맞춤시키고, 상기 홈(33)에 끼워넣어지는 체결링(42)에 의해 상기 구동축(30)에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레버(31)를 잡고 구동축(30)을 회전시킴으로써, 연결레버체(41)의 회전레버(35)를 부착한 아이들기어(36)는, 플래튼기어(24)와 트랙터기어(29)에 함께 맞물림하거나, 또는, 함께 그 맞물림이 풀리거나 어느 한쪽의 상태로 된다. 그래서, 플래튼기어(24)는 구동기어(25)에 의해 항상 구동되어 있다.
이 상태로 아이들기어(36)가 플래튼기어(24)와 트랙터기어(29)에 맞물러 있지 않을때는 플래튼기어(24)만이 구동되어, 플래튼(23)이 회전한다. 이에 따라서, 낱장의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또, 아이들기어(36)를 플래튼기어(24)와 트랙터기어(29)에 맞물리게 하면, 그 구동축(30)의 정지위치는 일정하게 정해져 있는 것이고,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탄성체(40)가 변형하여 아이들기어(36)를 플래튼기어(24) 및 트랙터기어(26)에 탄성적으로 맞물린다. 이로 인해서, 기어의 맞물림이 너무 강하거나, 또는 그 맞물림이 너무 약하지 않고, 적당한 세기로 그 맞물림이 행해져서, 동력전달을 양호하게 행한다. 이에 따라, 트랙터(28)는 구동되고, 팬포울드등의 연속용지를 원활하게 이송한다.
이와 같이 하여, 탄성체(40)가 작용하기 때문에, 구동축(30)의 회전에 의한 아이들기어(36)의 정지위치의 설정은, 엄밀한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부품정밀도가 낮아도 좋고, 조립시의 조정도 간단하여 좋다.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제5도 내지 제13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부분과 동일부분은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설명도 생략한다. 먼저, 제5도 내지 제8도에 의거 설명한다.
인자헤드(21)가 제1종이 이송부가 되는 플래튼(23)을 따라서 왕복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또 구동기어(25)가 제1기어로서의 플래튼기어(24)에 맞물려 있음과 동시에 제2의 종이이송부가 되는 트랙터 구동축(26)에 의해 구동되고, 또한 그 트랙터 구동축(26)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회전이 자유로운 스토퍼축(44)의 한쪽끝에는 스토퍼(45)가 고정되어 있고, 제1종이 이송부가 되는 플래튼(23)에 대향하도록 핀치로울러(46)가 부착되어 있다.
이 핀치로울러(46)는 상기 플래튼(23)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45)에는 소정거리로 이격시킨 홈(47)과 홈(48)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레버(31)의 핀(49)을 상기 홈(47)에 끼워넣으면 최종 연결기어(53)는 제2기어로서의 트랙터기어(29)와 맞물리는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핀치로울러(46)는 상기 플래튼(23)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유지되어 상기 핀(49)을 상기 홈(48)에 끼워넣으면 상기 최종 연결기어(53)는 상기 트랙터기어(49)와 맞물리지 않는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핀치로울러(46)는, 상기 플래튼(23)이 압접되는 위치에 유지되도록 각각의 부재는 배치되어 있다.
또, 프레임(도시안됨)에는 플래튼과 평행으로 제1축(50)이 세워 설치되고, 제1연결기어(51)가, 플래튼 기어(24)와 항상 맞물리도록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그래서, 이 제1축(50)과 플래튼축(22)과의 축심간 거리는, 상기 제1연결기어(451)와 플래튼기어(24)가 가장 적당하게 맞물림기어의 중심간 거리에 일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제1축(50)에는 구부러진 기다란 판형상의 안내판(52)이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고, 이 안내판(52)에는, 최종 연결기어(53)가 핀(54)에 의해 상기 제1연결기어(51)와 항상 맞물리도록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플래튼기어(24)와 상기 제1연결기어(51), 상기 최종 연결기어(53) 및 트랙터기어(29)에 의해 연결기어기구(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안내판(52)에는 한쪽끝에서 구부러진 부분 부근까지 도달하는 슬룻형상의 슬라이드홈(55)과, 상기 최종 연결기어(53)를 지지하는 상기 핀(54)이 부착되는 핀구멍(56) 및, 상기 제1축(50)이 끼워맞춤되는 제1축구멍(57)이 뚫어 설치되어 있으며, 특히, 이 제 1축구멍(57)과 상기 핀구멍(56)과의 중심간 거리는, 상기 제1연결기어(51)와 상기 최종 연결기어(53)가 최적으로 맞물리는 기어의 중심간 거리에 일치되게 뚫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홈(55)에는, 상기 안내판(52)의 중심쪽에 위치되는 구부러진 부분(58)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부러진 부분(58)에는 지지부(59)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유동판(60)과 구동축(30)의 부착구조를 제9도 내지 제11도에 나타낸다. 먼저, 기다란 판형상의 상기 유동판(60)에는, 한쪽끝에 구동축(30)에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맞춤하는 헐거운 구멍(61)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쪽 끝에는 돌기(62)가 부착되는 돌기구멍(63)이 뚫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판(60)과 대면하도록 형성된 회전판(64)의 한쪽끝에는, 평행한 2변을 갖는 이형구멍(65)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회전판(64)에 유사형상으로 고무등으로서 된 탄성체(66)에도 구동축(30)이 관통하는 구멍(67)이 뚫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판(60)과 상기 탄성체(66) 및 상기 회전판(64)은 접착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구동축(30)은 레버(31)와 반대쪽의 앞끝의 일부가 평면으로 절삭되고, 평행한 2면을 가진 형상의 단면이 이형부분(58)으로 되어, 여기에 홈(69)이 파여져 있다. 그래서, 일체로 되어 있는 상기 유동판(60), 상기 탄성체(66) 및 상기 회전판(64)에, 상기 유동판(60)쪽에서 구동축(30)이 삽입되어 상기 이형부분(68)이 상기 이형구멍(65)에 끼워맞춤되어, 체결링(70)이 상기 홈(69)에 끼워맞춰진다.
그리하여, 구동축(30)과 상기 회전판(64)은 고정되고, 회전판(64)과 상기 유동판(67)은 상기 탄성체(66)의 탄력에 의해 지지된다. 그런데, 상기 유동판(60)에 고정된 상기 돌기(62)가 상기 안내판(52)의 상기 슬라이드홈(55)에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맞춤되어 부착되어 있다.
제5도 내지 제7도에서와 같이, 레버(31)의 핀(49)이 홈(48)에 있을 경우에는, 상기 유동판(60)은 도면 중에서 왼쪽으로 경사되어 상기 돌기(62)는 상기 슬라이드홈(55)의 가장 바깥쪽 끝부근에 있고, 상기 최종연결기어(53)가 트랙터기어(29)와 맞물리지 않는 위치가 된다.
또 핀(49)이 홈(47)에 있는 경우에는 제8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유동판(60)은 도면중에서 오른쪽으로 경사되어 상기 돌기(62)는 상기 슬라이드홈(55)의 상기 구부러진 부분(58)에서 오른쪽에 있는 상기 지지부(59)에 있고, 상기 최종 연결기어(53)가 트랙터기어(29)와 맞물리는 위치가 되도록 각각의 부재는 프레임(도시안됨)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낱장종이에 인자를 할때에는, 구동축(30)이 제7도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이 구동축(30)에 고정된 회전판(64) 및 이것과 탄성체(66)를 통해서 일체로 결합된 유동판(60)이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각도 만큼 회전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돌기(62)가 안내판(52)의 슬라이드홈(55)을 가장 바깥쪽 끝 부근까지 미끄러져서, 안내판(52)을 제1축(50)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당겨 내린다. 이 상태에서는, 최종 연결기어(53)는 트랙터기어(29)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이동하여 지지되고, 트랙터(28)로의 동력전달은 행하지 않는다.
또, 팬포울드지에 인자할 경우는, 제8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동축(30)과, 여기에 고정된 회전판(64) 및 이것과 탄성체(66)를 통해서 일체로 결합된 유동판(60)이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로 회전된다.
이로써, 돌기(62)가 슬라이드홈(55)의 구부러진 부분(58)을 지나 지지부(59)까지 미끄러져서, 안내판(52)을 제1축(50)을 중심으로하여 시계방향으로 눌러올린다. 이에 의해, 최종 연결기어(53)는 트랙터기어(29)에 압접한 위치로 유지되어, 트랙터(28)에 동력을 전달한다.
또, 제8도에서와 같이, 슬라이드홈(55)은 그 한쪽끝이 둔각으로 구부려저 있고, 그 구부러진 부분(58)에 지지부(59)를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최종 연결기어(53)가 트랙터기어(29)와 맞물리는 경우, 즉, 돌기(62)가 이 지지부(59)에 있는 경우, 인자기의 역전조작등에 의해, 최종 연결기어(53)가 트랙터기어(29)로부터 이격하는 방향, 즉 제8도중, 안내판(52)이 반시계방향으로 눌려 내려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도, 돌기(62)에 작용하는 힘은 구동축(30)을 향하는 힘이고, 이로 인해서 유동판(60)에 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최종 연결기어(53)와 트랙터기어(29)는 간단히는 빠지지 않고, 최종 연결기어(53)의 위치를 유지한다.
또, 실제로 사용하는 기어는, 대부분은 톱니끝이 평평하다. 예컨대, 최종 연결기어(53)가 트랙터기어(29)로부터 이격한 위치에서 맞물리는 위치로 이동할때,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끝이 맞닿아 버리고, 양호하게 맞물리지 않는 일이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제13도에서와 같이 최종 연결기어(53)의 톱니끝이 트랙터기어(29)의 톱니끝에 맞닿은 시점에서 최종 연결기어(53)의 이동은 정지한다. 그리하여, 회전판(64)은 소정각도로 회전되지만, 한편, 유도판(53)의 회전은 탄성체(66)에 인장한 상태로 정지하고, 돌기(62)는 지지부(59)에는 도달하지 않는다.
또, 톱니가장자리가 맞닿아 있는 동안, 최종 연결기어(53)는 트랙터기어(29)에 계속압박하고, 제1연결기어(51)가 회전되어 최종 연결기어(53)가 회전하면, 톱니끝은 풀려서 유동판(55)이 회전하고, 최종 연결기어(53)는 트랙터기어(29)와 양호하게 맞물리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또, 이때 최종 연결기어(53)를 트랙터기어(29)에 압박하는 힘은 변형된 탄성체(66)가 원상태로 되돌아가게 하는 힘 뿐인 것이므로 기어의 파손등은 일어나지 않는다.
또, 회전판(64)의 회전각도는, 구동축(30)의 축심에서 핀(49)까지의 거리 및 스토퍼(45)에 구비된 홈(47, 48)의 위치등에 의해 결정되는 값이고, 탄성체(66)의 복원력을 고려하여, 최종 연결기어(53)가 트랙터기어(29)와 맞물리는 각도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동후의 최종 연결기어(53)는, 변형된 탄성체(66)가 원상태로 되돌아가게 하는 힘에 의해 트랙터기어(29)에 항상 압접되어, 확실하게 맞물림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안내판(52)의 회전중심을 연결기구의 제1연결기어(51)의 축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예컨대, 안내판(52)의 회전중심을 플래튼기어(24)의 축인 플래튼축(22)으로 하는 등의 기구도 가능한 것이다.
다음에, 제14도에 의한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의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설명도 생략한다. 먼저, 본 실시예는, 고무등으로된 탄성체(40)를 대신하여 인장코일스프링(71)으로 한 것이다. 이 인장코일스프링(71)은, 그의 양끝을 회전레버(35)와 고정레버(38)에 각각 고정시킨 것이다.
따라서, 고정레버(38)의 회전에 의거하여 회전레버(35)는 인장코일스프링(71)을 통해서 회전력을 받고, 이것에 의해, 탄성직으로 회전하여 플래튼기어(24)와 트랙터기어(29)가 맞물림되는 것이다. 또한, 제15도에 의거한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의 실시예와 같이, 제1의 실시예와 동일부분은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설명도 생략한다. 먼저, 본 실시예는, 고무등으로된 탄성체(40)를 대신하여, 회전레버(35)와 고정레버(38)에 각각 고정되어 서로 그 자유단을 대면 접촉시킨 판스프링에 의한 탄성판(72,73)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고정레버(38)의 회전에 의거하여 회전레버(35)는 탄성판(72,73)을 통해서 회전력을 받고, 이것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회전하여 플래튼기어(24)와 트랙터기어(29)에 맞물림 된것이다. 또, 이 경우, 탄성판(72,73)으로서는, 어느 한쪽에서만 설치시켜도 좋다.
다음에 제16도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회전레버(35)와 고정레버(38)와의 사이에 코일형상의 토오션스프링(74)을 구비한 것이다.
Claims (8)
- 제1종이 이송부에 연결됨과 동시에 구동기어에 의해 구동되는 제1기어와, 제2종이 이송부에 연결된 상기 제1기어와 동일 평면내에 위치하여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 제2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의 축심과 평행한 구동축과, 이 구동축에 고정된 고정레버와, 상기 구동축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됨과 동시에 앞끝에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에 함께 맞물리는 아이들기어가 부착된 회전레버와, 이 회전레버와 상기 고정레버를 연결하는 탄성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이송장치.
- 제1항에 있어서, 고정레버와 회전레버를 소정 두께의 고무로 된 탄성체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이송장치.
- 제1항에 있어서, 탄성체를 코일스프링에 의해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이송장치.
- 제1항에 있서서, 탄성체를 판스프링에 의해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이송장치.
- 제1종이 이송부에 연결됨과 동시에 구동기어에 의해 구동되는 제1기어와, 제2종이 이송부에 연결된 상기 제1기어와 동일평면내에 위치하여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 제2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의 축심과 평행한 구동축과, 구동축의 한쪽끝에 고정됨과 동시에 핀을 구비한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의 핀이 선택적으로 걸어맞춰져서 상기 조작레버의 위치를 정하는 2개의 홈이 형성된, 회전이 자유로운 스토퍼와, 상기 구동축에 고정된 고정레버와, 상기 구동축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됨과 동시에 앞끝에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에 함께 맞물리는 아이들기어가 부착된 회전레버와, 이 회전레버와 상기 고정레버를 연결하는 탄성체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이송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스토퍼가 고정된 스토퍼 축에 플래튼과 접촉분리하는 핀치로울러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이송장치.
- 제1종이 이송부에 연결됨과 동시에 구동기어에 의해 구동되는 제1기어와, 제2종이 이송부에 연결된 상기 제1기어와 동일 평면내에 위치하여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 제2기어와, 상기 제1기어 또는 상기 제2기어의 어느 하나의 기어에 맞물림하는 기어와, 이 기어의 기어축에 회전이 자유릅게 부착됨 과 동시에 슬롯 형상의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안내판과, 상기 기어와 항상 맞물림과 동시에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에 함께 맞물리도록 상기 안내판에 부착된 아이들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의 축심과 평행한 구동축과, 이 구동축에 고정된 고정레버와, 상기 구동축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됨과 동시에 앞끝에 상기 안내판의 상기 슬라이드홈에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넣는 돌기가 부착된 회전레버와, 이 회전레버와 상기 고정레버를 연결하는 탄성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이송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안내판의 슬라이드홈에 구부러진 부분과 지지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62232964A JPH07110732B2 (ja) | 1987-09-17 | 1987-09-17 | 紙送り装置 |
JP62-232964 | 1987-09-17 | ||
JP33663087A JPH0753462B2 (ja) | 1987-12-28 | 1987-12-28 | 紙送り装置 |
JP62-336630 | 1987-12-2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90005584A KR890005584A (ko) | 1989-05-15 |
KR920001976B1 true KR920001976B1 (ko) | 1992-03-07 |
Family
ID=26530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80011926A KR920001976B1 (ko) | 1987-09-17 | 1988-09-15 | 종이 이송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4936695A (ko) |
KR (1) | KR92000197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751621B2 (ja) * | 1990-10-31 | 1998-05-18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プリンタ |
JP3028107B2 (ja) * | 1991-04-11 | 2000-04-04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プリンタの連帳単票切換え装置 |
US5483264A (en) * | 1992-12-21 | 1996-01-09 | Goldstar Co., Ltd. | Apparatus for flattening thermosensitive recording paper of a facsimile machine |
JP2002087635A (ja) * | 2000-09-12 | 2002-03-27 | Canon Inc | シート材搬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記録装置、記録機構付き撮像装置 |
US7306216B2 (en) * | 2002-12-30 | 2007-12-1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power switching apparatus, and driving apparatus of multi-function machine using the same |
KR100561408B1 (ko) * | 2003-12-01 | 2006-03-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스캐닝장치 및 그 기어손상방지방법 |
US7758038B2 (en) * | 2005-12-05 | 2010-07-20 |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 Printer having compact media pick-up device |
US7681876B2 (en) * | 2005-12-05 | 2010-03-23 |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 Printer having disengageably gear driven media pick-up roller |
US7735955B2 (en) | 2005-12-05 | 2010-06-15 |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 Method of assembling printhead capping mechanism |
US7530559B2 (en) * | 2006-04-12 | 2009-05-12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Booklet maker |
JP2008207940A (ja) * | 2007-02-27 | 2008-09-11 | Brother Ind Ltd | 画像形成装置及びシート供給装置 |
JP5096873B2 (ja) * | 2007-11-01 | 2012-12-12 | キヤノン株式会社 |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US10315439B2 (en) | 2017-07-15 | 2019-06-11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Transmissions with retention noses |
CN108214603A (zh) * | 2018-02-05 | 2018-06-29 | 保定市诚信纸业有限公司 | 一种大回旋切纸机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115849A (en) * | 1938-05-03 | Primary voting mechanism | ||
US2701479A (en) * | 1952-01-17 | 1955-02-08 | Honeywell Regulator Co | Recorder drive mechanism |
JPS4914650B1 (ko) * | 1969-05-31 | 1974-04-09 | ||
US3961542A (en) * | 1975-01-10 | 1976-06-08 | International Harvester Company | Control linkage for hydrostatic transmission |
US4360279A (en) * | 1980-07-02 | 1982-11-23 |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 Printing paper feeding mechanism |
JPS60155U (ja) * | 1983-06-17 | 1985-01-05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印字装置の用紙給送装置 |
IT1196758B (it) * | 1984-11-19 | 1988-11-25 | Olivetti & Co Spa | Alimentatore di supporti di stampa per una macchina per scrivere o simili macchine da ufficio |
JPS61255876A (ja) * | 1985-05-09 | 1986-11-13 | Tokyo Electric Co Ltd | 印字機の紙送り装置 |
IT1183923B (it) * | 1985-08-20 | 1987-10-22 | Olivetti & Co Spa | Dispositivo di comando per rullini premicarta di macchine scriventi |
JPS6299171A (ja) * | 1985-10-28 | 1987-05-08 | Ricoh Co Ltd | フオ−ムトラクタ内蔵型プリンタ |
JPS62249772A (ja) * | 1986-04-23 | 1987-10-30 | Brother Ind Ltd | プリンタ |
-
1988
- 1988-09-15 KR KR1019880011926A patent/KR92000197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8-09-19 US US07/245,830 patent/US4936695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4936695A (en) | 1990-06-26 |
KR890005584A (ko) | 1989-05-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20001976B1 (ko) | 종이 이송장치 | |
JP3644637B2 (ja) | ロータリカッタ装置及びプリンタ | |
KR930000181B1 (ko) | 인자기 | |
KR950007740B1 (ko) | 프린터 | |
US7258335B2 (en) | Eliminating drag of media sensor in printer media transport | |
US5882126A (en) | Laterally adjustable print head | |
EP0326168A2 (en) | Switching mechanism of paper holding roller of a printer | |
EP0473884A1 (en) | System for aligning sheets in printers | |
JPS58187384A (ja) | 印字装置 | |
US4533074A (en) | Anti-backlash forms feed mechanism | |
US4859098A (en) | Paper feeder for a printer | |
US6170348B1 (en) | Swing arm transmission for driving sheet feed mechanism of a printing device media input tray | |
JPH01174475A (ja) | 紙送り装置 | |
JPS62231779A (ja) | 連続用紙の紙送り機構 | |
JPH0517245Y2 (ko) | ||
US5456399A (en) | Tractor mechanism compensating for paper taper | |
KR200201689Y1 (ko) | 스템핑롤러 구동장치 | |
JPH0630763Y2 (ja) | 搬送路をそなえたプリンタ | |
JP3415941B2 (ja) | プリンタの紙送り機構 | |
JP3049756B2 (ja) | プリンタの紙送り装置 | |
JPH07276720A (ja) | 紙送り装置 | |
GB2141692A (en) | Friction roller pair for moving paper and the like | |
JPH07110732B2 (ja) | 紙送り装置 | |
JP2853571B2 (ja) | 印字用紙排出装置 | |
JPH0568988U (ja) | 印字媒体搬送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60306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