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949B1 -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949B1
KR920001949B1 KR1019890016107A KR890016107A KR920001949B1 KR 920001949 B1 KR920001949 B1 KR 920001949B1 KR 1019890016107 A KR1019890016107 A KR 1019890016107A KR 890016107 A KR890016107 A KR 890016107A KR 920001949 B1 KR920001949 B1 KR 920001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drive
elevator
hoistway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6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9555A (ko
Inventor
남기백
Original Assignee
금성기전 주식회사
김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기전 주식회사, 김회수 filed Critical 금성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16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1949B1/ko
Publication of KR910009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엘리베어터의 구동장치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제2도는 동상의 구성을 보인 횡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확대 횡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B-B선 종단면도.
제6도는 제3도의 C-C선 확대 종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D-D선 종단면도.
제8도는 제3도의 E-E선 확대 종단면도.
제9도는 제3도의 B부 확대도.
제10도는 제9도의 F-F선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승강로 2 : 승강차
3 : 균형추 6 : 구동모터
8 : 구동축 9 : 구동 스프로킷
13 : 하부 브래키트 14 : 지지용 본트
16 : 코일스프링 19 : 상부 브래키트
23 : 회전축 24 : 종동 스프로킷
26, 26' : H형강 31, 31' : 상부 시이브
33 : 와이어 로우프 39 : 구동체인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강로의 상부에 기계실의 설치가 용이하지 못하거나, 구동모터의 구동시이브(sheave)와 와이어로우프 사이의 마찰력 저하 또는 승객 및 화물의 과적으로 인한 승강차의 추락 및 미끄러짐현상을 방지하기 적당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로(41)의 양 내벽 상부에 걸림턱(41')(41″)이 형성되어 수개의 H형강(42)이 고정되고, 상기 H형강(42)에 구동시이브(sheave)(43)를 갖는 구동모터(44)가 고정됨과 아울러 종동시이브(4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 및 종동시이브(43)(45)에 감기는 와이어로우프(46)의일측단부에는 승강차(47)가 고정되고, 그 타측단부에는 균형추(48)가 고정되며, 상기 승강로(1)의 저면 양측에 승강차(47) 및 균형추(48)의 미끄러짐 또는 추락시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승강차 완충기(49) 및 균형추 완충기(5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승강차(47) 및 균형추(48)의 저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와이어로우프(46)의 하중을 보상하기위한 보상체인(compensation chain)이 각각 고정되는 한편,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로(41)의 양측벽에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브래키트(51)에는 안내레일(52)이 각각 고정되며, 상기 승강차(47) 및 균형추(48)의 양측면 중간부에는 상기 안내레일(52)에 안내되는 안내슈(guide shoe)(53)가 각각 고정된 구조로서 도면중 미설명부호 54는 기계실, 55는 최하층을 보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는 구동모터(44)의 구동으로 승강차(47)와 균형추(48)는 와이어로우프(46)에 의하여 상대적인 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승객 및 화물을 원하는 위치로 운송시키게 되며, 상기 승강차(47)와 균형추(48)는 그들의 안내슈(53)가 승강로(47)의 안내레일(52)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유동됨이 없이 안정하게 상, 하 직선운동을 하게된다. 또한, 승강차(47)가 추락되거나 또는 승객 또는 화물의 과적으로 인하여 최하층(55)에서 하측으로 미끄러지는 경우에는 승강차완충기(49)에 의하여 그 충격을 완하시켜 승객 및 화물을 보호함은 물론, 승강차(47) 및 균형추(48)가 손상을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차(47) 및 균형추(48)의 저면에 각각 고정되는 보상체인은 승강차(47)의 승강행정이 일정수준이상만 되면 상기 와이어로우프(46)의 무게를 보상해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그 보상체인의 무게는 상기 와이어로우프(46)의 무게와 거의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는 반드시 승강로(41)의 상부에 기계실(54)이 요구되는 구조로서 설치작업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공간이 충분하지 못한 건물은 설치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으며, 이와 같이 승강로(1)의 상부에 기계실(54)을 설치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못한 경우에는 승강로(1) 상부의측벽을 허물고 그 후면공간을 사용하거나, 균형추(48)를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동력원치(Winch)를 직접 승강시키는 등의 방법이 알려지고 있으나, 상기한 장치는 건물에 손상을 주거나 대용량의 구동모터가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승강차(47)에 승객 또는 화물이 과적되어 구동시이브(45)와 와이어로우프(5)의 마찰이 저하될 경우에는 승강차(47)가 미끄러지거나 추락하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반드시 승강차완충기(49) 및 균형추완충기(50)가 필요로 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경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강로의 상부에 기계실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없는 장소에 적당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승강로의 저면에 기계실을 설치하여 그 설치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한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보상체인을 사용하지 않고 승강차 및 균형추의 저면을 연결하는 구동체인에 일정텐션을 유지시키게 하고,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상기 구동체인을 연동시켜 승강차 및 균형추를 구동시킴으로써 승강차의 추락 및 미끄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확대 횡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B-B선 종단면도, 제6도는 제3도의 C-C선 확대 종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D-D선 종단면도. 제8도는 제3도의 E-E선 확대종단면도, 제9도는 제3도의 B부 확대도, 제10도는 제9도의 F-F선 횡단면도를 각각 보인 것이며, 도면중 1은 승강로, 2는 승강차, 3은 균형추를 각각 보인 것이다.
상기 승강로(1)의 저면 일측에는 좌, 우 1쌍의 받침대(4)(4')가 각각 고정되어 있고, 상기 받침대(4)(4')에는 저면의 각 모서리부에 방진고무(5)가 부착된 구동모터(6)의 받침대(7)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6)의 구동축(8)에는 구동 스프로킷(9)과 브레이크드럼(10)이 삽입고정되어 있고, 상기 구종 스프로킷(9)과 브레이크드럼(10)은 수개의 볼트(11) 및 너트(12)로서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승강로(1)의 저면타측에는 양측에 고정플랜지부(13a)를 구비한 단면이
Figure kpo00001
형상인 하부 브래키트(13)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하부 브래키트(13)의 상면 양측에는 수개의 삽입공(13b)이 각각 형성되어 지지용 볼트(14)가 각각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브래키트(13)의 저면에는 상기 지지용 볼트(14)를 안내하는 볼트가이드(15)가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용볼트(15)의하측으로 완충용스프링(16) 및 지지편(17)이 각각 삽입되어 있고, 상기 지지용볼트(15)의 하측단부에는 너트(18)가 각각 체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용볼트(14)의 상부는 단면이
Figure kpo00002
형상인 상부 브래키트(19)의 양 삽입공(19a)으로 삽입되어 있고, 상기 상부 브래키트(19)의 직하측에 위치한 지지용볼트(14)의 나사부에는 너트(20)가 각각 체결되어 상, 하부 브래키트(19)(13)의 사이에는 일정간격이 유지되어 있다.
상기 상부 브래키트(19)의 양측에는 베어링(21)을 각각 구비한 베어링하우징(22)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21)의 내륜에는 회전축(23)이 각각 고정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23)의 중간부에는 종동스프로킷(24)이 고정되어 있다.
또 한편, 상기 승강로(1)의 양 내벽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25)(25')에는 좌, 우 1쌍의 H형강(26)(26')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H형강(26)(26')의 양측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축(27)(27')이
Figure kpo00003
형상의 볼트(28)(28') 및 너트(29)(30)에 의하여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축(27)(27')의 중간부에는 상부시이브(31)(31')가 베어링(32)으로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차(2) 및 균형추(3)의 상면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고정되는 와이어로우프(33)는 상기한 양 상부 시이브(31)(31')에 안내됨과 아울러, 상기 승강차(2) 및 균형추(3)의 저면에는 브래키트(34)가 각각 고정되어 있고, 상기 브래키트(34)의 하측으로부터 삽입되는 행거볼트(35)의 상부에는 너트(36)가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브래키트(34)의 직하측에 위치한 행거볼트(35)의 나사부에는 너트(37)가 체결되어 있다.
상기행거볼트(35)의 하부에는 핀공(35a)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핀공(35a)에 삽입고정되는 연결봉(38)에 의하여 구동체인(39)의 양단부가 각각 연결고정되어 있고, 상기 구동체인(39)은 구동모터(6)의 구동스프로킷(9) 및 보조 스프로킷(24)에 안내되어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엘리베어터의 구동계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차(2) 및 균형추(3)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통상적인 안내수단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40은 최하층을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구동되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는 구동모터(6)가 구동됨에 따라 구동스프링(9)이 회전하게 되면 그 구동스프로킷(9) 및 종동스프로킷(24)에 지지되어 있는 구동체인(39)과, 승강차(2) 및 균형추(3)의 상부에 고정됨과 아울러 양 상부시이브(31)(31')에 지지되어 있는 와이어로우프(33)가 연동하게 되므로 승강차(2) 및 균형추(3)는 통상적인 안내수단의 안내를 받으며 서로 상대적인 방향으로 승강운동을 하면서 승객 및 화물을 원하는 위치에 운송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는 구동체인(39)의 텐션(tension)유지가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 바, 구동체인(39)이 늘어나는 경우에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부브래키트 조립체(A)가 양 완충용 스피링(16)의 탄성을 이기며 하강하게 되므로 구동체인(39)의 텐션을 증가시키게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수동에 의하여 너트(18)을 조이거나 풀어 구동체인(39)의 텐션을 증감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는 구동모터(6)을 승강로(1)의 저면에 설치하여 종래의 경우와 같이 별도의 기계실을 설치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설치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으며, 종래의 경우와 같은 완충기 및 보상체인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승객 또는 화물의 과적으로 인한 와이어로우프(33)와 상부시이브 (31)(31')와의 마찰력 저하로 승강차(2)가 미끄러지거나 추락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등의 현저한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1)

  1. 구동모터(6)의 구동으로 승강차(2) 및 균형추(3)가 승강로(1)의 통상적인 안내수단의 안내를 받으며 서로 상대적인 방향으로 승강되게 한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승강로(1)의 저면 일측에 구동모터(6)를 구종하고, 상기 구동모터(6)의 구동축(8)에 구동스프로킷(9)을 고정하며, 상기승강로(1)의 저면타측에 고정되는 하부브래키트(13)에는 양측에 지지용볼트(14)를 각각 삽입하여 코일스프링(16)으로 탄력지지하고, 상기 지지용볼트(14)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브래키트(19)에는 중간부에 종동스프로킷(24)이 고정된 회전축(23)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승강차(2) 및 균형추(3)의 저면에는 구동스프로킷(9) 및 종동스프로킷(24)에 안내되는 구동체인(39)의 양단부를 각각 고정하고, 상기 승강로(1)의 상부에 고정되는 좌, 우 1쌍의 H형강(26)(26')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상부 시이브(31)(31')를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승강차(2) 및 균형추(3)의 상면에 고정되는 와이어로우프(33)를 안내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KR1019890016107A 1989-11-07 1989-11-07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KR920001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6107A KR920001949B1 (ko) 1989-11-07 1989-11-07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6107A KR920001949B1 (ko) 1989-11-07 1989-11-07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9555A KR910009555A (ko) 1991-06-28
KR920001949B1 true KR920001949B1 (ko) 1992-03-07

Family

ID=19291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6107A KR920001949B1 (ko) 1989-11-07 1989-11-07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194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9555A (ko) 199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3724A (en) Compensation and rope elongation arrangement
KR100853662B1 (ko) 견인 로프풀리 엘리베이터
US6193016B1 (en) Dual sheave rope climber using flat flexible ropes
CA2126122C (en) Traction sheave elevator with drive machine below
KR10061846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536816B2 (ja) 昇降装置
CN101528582B (zh) 电梯
EA008635B1 (ru)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лифта и узел для доставки лифта
US5036954A (en) Elevator
EA008314B1 (ru)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лифта и лифт
AU2004291362A1 (en) Elevator rope compensation device
EP3227220A1 (en) Elevator arrangement with multiple cars in the same shaft
KR101130160B1 (ko) 축소된 승강로 크기를 갖는 엘리베이터 설치
KR920001949B1 (ko)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JPH10231077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H0351285A (ja) エレベータかごのバランス調整装置
US3896905A (en) Elevator system
JP4558336B2 (ja) エレベータの駆動装置
JP4641738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N217808191U (zh) 一种轿厢自张紧的自爬升电梯系统
CA2120545C (en) Compensation and rope elongation arrangement
EP1911715A1 (en) Elevator system having drive motor located at the bottom portion of the hoistway
JP2000118911A (ja) エレベータ
JPS6233193B2 (ko)
CN115180486A (zh) 一种轿厢自张紧的自爬升电梯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6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