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733Y1 - 건축용 부대시설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부대시설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733Y1
KR920001733Y1 KR2019890016294U KR890016294U KR920001733Y1 KR 920001733 Y1 KR920001733 Y1 KR 920001733Y1 KR 2019890016294 U KR2019890016294 U KR 2019890016294U KR 890016294 U KR890016294 U KR 890016294U KR 920001733 Y1 KR920001733 Y1 KR 9200017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member
fixing device
wall
fixing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62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9320U (ko
Inventor
서진호
Original Assignee
서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진호 filed Critical 서진호
Priority to KR20198900162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1733Y1/ko
Publication of KR9100093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3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7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7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8Non-releasabl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축용 부대시설의 고정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전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 수용부재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용부재 2 : 너트부
3 : 삽입부 4 : 타격부
5 : 고정부재
본 고안은 가옥의 주방이나 세면시설등을 천정이나 벽에 고정설치하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이트 벽체에 수용부재를 직접 타격시켜 용이하게 매설될 수 있게 하는 건축용부대 시설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부대시설의 고정장치는 못에 의한 고정력만으로는 지탱하기 어려운 비교적 중량이 무거운 시설물을 콘크리이트 벽체에 고정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그러한 고정장치는 일반적으로 별도의 수용부재를 벽체에 매설시킨 후 이 수용부재에 못이나 볼트와 같은 고정 부재를 끼워 설치대상물을 고정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고정장치는 중공상의 소켓 또는 앵커볼트와 같은 수용부재를 콘크리이트 벽체에 매설시키기 위해 설치공을 형성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드릴머어신을 구비하여 천공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있었고 이와같은 천공작업은 일반인이 수행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어 부대시설을 다른 장소로 이전하거나 새로이 설치코져 할 때에는 전문업체와 의뢰하여야 하는 경제적 부담은 물론 드릴머어신의 사용시에 설치벽면이 손상되어 미관을 해치는 등의 결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수용부재를 타격식으로 콘크리트벽에 용이하게 매설시킬 수 있게 하는 건축용 부대시설의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는데, 이 수용부재는 비교적 강질의 금속 재질로 된 몸체의 선단부에 끝이 뾰족한 삽입부를 갖추고 후단부에는 타격을 가할 때 발생되는 충격으로부터 너트부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보강턱을 갖춘 타격부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본 고안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와 제 2 도의 1은 수용부재이고, 5는 고정부재이다. 상기 수용부재(1)는 통상에서와 같이 몸체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중공 상의 내주면에 너트부(2)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용부재에 있어 본 고안은 몸체의 선단에 끝이 뾰족한 삽입부(3)를 구성시키며, 후단의 측벽에는 타격시 발생되는 충격으로부터 나선의 변형을 방지하기위해 보강턱을 돌설시킨 타격부(4)를 갖추어 직접 타격식으로 매설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5는 일반적인 고정부재(5)로서, 상기 수용부재(1)의 너트부(2)에 나사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다음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울트 머리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의 나사부(5a,5b)를 갖추어서 너트(6)로 체결하도록 고정나사를 구성하여,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의 몸체 후단부 외주면에 나사부를 갖추어 설치시 이를 외부로 개방시켜 너트(6)로 체결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주방 또는 목욕탕 설비등 건축물의 부대시설을 콘크리이트벽이나 천정에 고정설치하기 위해 설치벽체(8)의 소정위치를 설정하여 수용부재(1)의 삽입부(3) 끝단을 설정된 위치에 수평으로 일치시킨 후 후단의 타격부(4)측을 타격하게 되면 끝이 뾰족한 삽입부(3)가 벽체로 삽입되면서 몸체 전체가 벽체내에 매설된다.
이때 후단측벽에 돌설된 타격부(4)는 타격시 몸체에 형성된 너트부(2)에 직접 충격이 가해져 나선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수용부재(1)의 매설이 완료되면 이에 설치대상물(7)의 고정공을 일치시켜 고정부재(5)로 체결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콘크리이트 벽등의 설치장소에 수용부재를 직접 타격식으로 용이하게 매설하여 비교적 중량이 무거운 주방시설물이나 세면시설물등을 전문업체에 의뢰하지 않고 일반 가정에서 용이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도록함을 특징으로 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너트부를 가지는 중공상의 소켓등으로 구성되는 수용부재를 벽체에 매설시킨 후 이에 고정부재를 끼워 설치대상물을 설치하는 건축물부대시설의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를 벽체에 직접 타설할 수 있도록 몸체 선단에 끝이 뾰족한 삽입부가 구비되며 몸체 후단의 측벽에 보강턱을 돌설시킨 타격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부대 시설의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용부재의 몸체 후단 외주면에 소정폭으로 나사부가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는 건축용부대시설의 고정장치.
KR2019890016294U 1989-11-03 1989-11-03 건축용 부대시설의 고정장치 KR9200017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6294U KR920001733Y1 (ko) 1989-11-03 1989-11-03 건축용 부대시설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6294U KR920001733Y1 (ko) 1989-11-03 1989-11-03 건축용 부대시설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9320U KR910009320U (ko) 1991-06-28
KR920001733Y1 true KR920001733Y1 (ko) 1992-03-13

Family

ID=19291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6294U KR920001733Y1 (ko) 1989-11-03 1989-11-03 건축용 부대시설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17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9320U (ko) 199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9921A (en) Anchor bolt for friable material
KR920001733Y1 (ko) 건축용 부대시설의 고정장치
PL186361B1 (pl) Element mocujący
DK1085220T3 (da) Boltanker
KR100708539B1 (ko) 고정용 앵커
GB2115868A (en) Expanding-anchor step iron
KR100723261B1 (ko) 구조물 설치용 인서트
KR910009559Y1 (ko) 건축용 앵커
EP1548205A1 (en) Assembly of devices for fixing panels to a wall and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method
NO175987B (no) Murbinder og verktöy for montering av denne
JP3382194B2 (ja) 構築用インサート
KR200200382Y1 (ko) 도어 스톱퍼
KR200372237Y1 (ko) 타격돌기를 가진 앙카볼트
KR19990041342U (ko) 앵커볼트
KR950001419Y1 (ko) 타격앵커
JPS6318810Y2 (ko)
KR19990038694U (ko) 개량 앵커 볼트
GB2206135A (en) Cavity wall ties for brick (outer) & timber inner skins
KR20220001170A (ko) 앙카볼트
KR200396511Y1 (ko) 고정용 앵커
JPS6347246Y2 (ko)
JPS587853Y2 (ja) コンクリ−ト構築物に埋込む照明器具等の取付け具
JP2000213142A (ja) 外装板の取付構造及び釘金物
EP1057948A3 (en) Dry fixing system
EP1165924A1 (en) Device to be used when mounting frames or similar pa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