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8539B1 - 고정용 앵커 - Google Patents

고정용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8539B1
KR100708539B1 KR1020050059475A KR20050059475A KR100708539B1 KR 100708539 B1 KR100708539 B1 KR 100708539B1 KR 1020050059475 A KR1020050059475 A KR 1020050059475A KR 20050059475 A KR20050059475 A KR 20050059475A KR 100708539 B1 KR100708539 B1 KR 100708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body
fastener
installation
anch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9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3474A (ko
Inventor
김재용
김병근
김재호
Original Assignee
김재용
김병근
김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용, 김병근, 김재호 filed Critical 김재용
Priority to KR1020050059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8539B1/ko
Publication of KR20070003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3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8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8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14Non-metallic plugs or sleeves; Use of liquid, loose solid or kneadable material therefor
    • F16B13/141Fixing plugs in holes by the use of settabl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12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with thread-engaging surfaces formed by inserted coil-springs, discs, or the like; Independent pieces of wound wire used as nuts; Threaded inserts for holes
    • F16B37/122Threaded inserts, e.g. "rampa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Dow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용 앵커에 관한 것으로, 설치를 위한 천공작업이 필요 없고, 어두운 설치 장소에서도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으며, 보다 향상된 체결력을 발휘할 수 있고, 특히 횡방향 하중에 대해서도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는 고정용 앵커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측은 못박이공구의 타격팁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되고 그 타측 단부에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피고정물의 연결을 위한 나사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연결몸체와, 이 연결몸체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외부로 노출된 그 선단부가 뾰족하게 연장되고 연결몸체 내부에 위치된 단부에는 타격헤드가 구비된 축형 체결구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몸체의 개구부를 통해 못박이공구의 타격팁에 장착한 상태로 체결구를 발사시켜 설치면에 고정되도록 된 고정용 앵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고정용 앵커 {Anchor for fixing}
도 1은 종래의 스트롱앵커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용 앵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 앵커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앵커 110 : 연결몸체
111 : 결합공 113 : 나사부
120 : 체결구 121 : 타격헤드
130 : 결합링
본 발명은 콘크리트 바닥이나 벽체에 소정 피고정물을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앵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고, 향상된 체결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고정용 앵커에 관한 것이다.
스트롱앵커는 건설공사나 기계설치공사, 전기공사 등 다양한 공사 현장에서 구조물이나 배관 등의 고정에 사용되는 것으로, 도 1에 종래의 스트롱앵커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트롱앵커(10)는 금속관 형태로 이루어지되, 일측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피고정물의 결합을 위한 나사부(13)가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복수의 절개홈(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각 절개홈(11) 사이에 확개편(12)이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양측단의 외경이 다르도록 테이퍼진 고정부재(20)와 함께 사용된다. 이러한 스트롱앵커(10)는, 예를 들어 콘크리트 벽체에 피고정물을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콘크리트 벽체에 드릴로 구멍을 뚫고, 이 구멍에 상기 고정부재(20)를 삽입한 후 강하게 밀어 넣으면 상기 확개편(12)이 고정부재(20) 외주면을 타고 벌어지면서 구멍 내에 고정되므로 상기 나사부(13)에 피고정물을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트롱앵커(10)는 설치부에 드릴로 천공을 해야만 설 치가 가능하며, 이는 작업 소요 시간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드릴 작업에 따른 소음과 분진 발생으로 인해 작업환경을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천공된 구멍 내에 매입 설치되기 때문에, 특히 조명 시설이 설치되지 않아 어두운 공사 현장에서 설치해 놓은 스트롱앵커의 위치를 찾기가 쉽지 않아 작업 지연 및 불편함을 유발하는 등 종래의 스트롱앵커는 설치 작업 시 작업능률과 작업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스트롱앵커(10)는 고정부재(20)에 의해 확개편(12)이 천공된 구멍의 내벽면에 가압되어 체결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확개편(12)의 일부에만 하중이 집중되어 체결력이 약할 수밖에 없고, 특히 외부에서 횡방향 하중이 가해지면 유동이 발생하면서 체결력이 현저하게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를 위한 천공작업이 필요 없고, 어두운 설치 장소에서도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으며, 보다 향상된 체결력을 발휘할 수 있고, 특히 횡방향 하중이 가해져도 유도이 발생되지 않아 체결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고정용 앵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측은 못박이공구의 타격 팁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되고 그 타측 단부에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피고정물의 연결을 위한 나사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연결몸체와, 이 연결몸체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외부로 노출된 그 선단부가 뾰족하게 연장되고 연결몸체 내부에 위치된 단부에는 타격헤드가 구비된 축형 체결구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몸체의 개구부를 통해 못박이공구의 타격팁에 장착한 상태로 체결구를 발사시켜 설치면에 고정되도록 된 고정용 앵커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고정용 앵커에서, 상기 연결몸체의 개구부 입구측에는 설치 중에 나사부의 진입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면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정용 앵커는, 상기 연결몸체 내부의 결합공 형성부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구가 관통되는 연질재질로 이루어진 결합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용 앵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며, 도 4는 그 설치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용 앵커(100)는 상부가 개구되고 하측단부에 결합공(111)이 형성된 원통형의 연결몸체(110)와, 이 연결몸체(110)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상기 결합공(111)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선단부가 뾰족하게 연장된 축형 체결구(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몸체(110)의 내주면에는 피고정물(30)의 체결을 위한 나사부(113)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120)의 연결몸체(110) 내부에 위치된 단부에는 타격헤드(121)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구(120)는 통상의 콘크리트용 못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공(111)은 체결구(120)가 끼워진 상태에서 약한 외력이 가해져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체결구(12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되어 화약식 또는 공압식으로 작동되는 기존의 못박는 공구(이하, '못박이공구'로 칭함)에 앵커(100)를 장착할 때 적합한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몸체(110)의 개구부 입구 측에는 컷팅된 면취부(115)가 형성되어 설치 작업 시 나사부(113)의 진입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는 피고정물(30)의 결합 시에 나사부(113)의 손상으로 인해 체결이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용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고정용 앵커(100)는 못을 박는데 사용되는 기존의 화약식 또는 공압식 못박이공구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다. 즉, 못박이공구의 타격팁의 선단부에 상기 연결몸체(110)의 개구부를 끼운 다음 설치면에 대고 공구를 발사동작시키면 체결구(120)가 전진되어 설치면 내부로 박혀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설치면에 드릴 등을 이용한 별도의 천공작업이 필요 없어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고, 드릴 작업에 따른 작업환경 악화도 방지할 수 있으며, 설치면 외부로 노출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설치장소가 어두운 경우에도 그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하여 피고정물(30)의 고정작업을 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축형의 체결구(120)가 설치면 내부에 박혀 그 전체가 벽체에 강한 압력을 가하면서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종래의 스트롱앵커에 비해 그 체결력이 우수하게 되고, 특히 횡하중이 가해져도 유동이 발생되지 않아 장기간에 걸쳐 그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연결몸체(110)의 내주면에 나사부(113)가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나사부(113)가 연결몸체(11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용 앵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구성된 연결몸체(110) 및 체결구(1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구(120)와 연결몸체(110)의 결합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연결몸체(110)의 내측에 결합링(130)이 구비된 것이다. 이 결합링(130)은 앵커의 사용 전에 연결몸체(110)로부터 체결구(120)의 이탈은 방지하되, 못박이공구에 의해 발사된 체결구(120)의 전진을 방해하지 않도록 플라스틱이나 고무 등의 연질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연결몸체(110)의 결합공(111)과 체결구(120)의 크기가 서로 대응되지 않아도 연결몸체(110)와 체결구(120)의 결합 상태가 유지되므로, 보다 범용으로 생산 및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못박이공구를 이용하여 별도의 천공작업 없이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설치 시의 작업능률과 작업편의성이 향상되고 소음 및 분진에 의한 작업환경 악화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결구 전체가 벽면 내부에 박혀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그 체결력이 향상되고, 특히 횡하중에 의한 유동이 발생되지 않아 장기간에 걸쳐 그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일측은 못박이공구의 타격팁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되고 그 타측 단부에는 결합공(111)이 형성되며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피고정물(30)의 연결을 위한 나사부(113)가 형성된 원통형의 연결몸체(110)와, 이 연결몸체(110)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상기 결합공(111)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외부로 노출된 그 선단부가 뾰족하게 연장되고 연결몸체(110) 내부에 위치된 단부에는 타격헤드(121)가 구비된 축형 체결구(120)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몸체(110)의 개구부를 통해 못박이공구의 타격팁에 장착한 상태로 체결구(120)를 발사시켜 설치면에 고정키고, 상기 연결몸체(110)의 개구부 입구측에는 설치 중에 나사부(113)의 진입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면취부(115)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몸체(110) 내부의 결합공(111) 형성부에는 상기 체결구(120)가 관통되는 연질재질로 이루어진 결합링(130)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용 앵커.
  2. 삭제
  3. 삭제
KR1020050059475A 2005-07-02 2005-07-02 고정용 앵커 KR100708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475A KR100708539B1 (ko) 2005-07-02 2005-07-02 고정용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475A KR100708539B1 (ko) 2005-07-02 2005-07-02 고정용 앵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338U Division KR200396511Y1 (ko) 2005-07-04 2005-07-04 고정용 앵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474A KR20070003474A (ko) 2007-01-05
KR100708539B1 true KR100708539B1 (ko) 2007-04-18

Family

ID=37870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9475A KR100708539B1 (ko) 2005-07-02 2005-07-02 고정용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85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0052A (ko) * 2019-07-19 2021-01-27 김성주 건축 구조물용 핀 앙카
KR102381592B1 (ko) 2020-10-21 2022-03-31 김정래 콘크리트 내설용 철근스페이서 일체형 다용도 복합 인서트장치
KR20230045852A (ko) 2021-09-29 2023-04-05 김은륜 콘크리트 앵커 스페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3103U (ko) * 1989-08-11 1991-04-02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3103U (ko) * 1989-08-11 1991-04-02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0052A (ko) * 2019-07-19 2021-01-27 김성주 건축 구조물용 핀 앙카
KR102278317B1 (ko) * 2019-07-19 2021-07-15 김성주 건축 구조물용 핀 앙카
KR102381592B1 (ko) 2020-10-21 2022-03-31 김정래 콘크리트 내설용 철근스페이서 일체형 다용도 복합 인서트장치
KR20230045852A (ko) 2021-09-29 2023-04-05 김은륜 콘크리트 앵커 스페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474A (ko) 200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90234T3 (es) Cuerpos de pinza expansibles con característica antirrotación basada en dedo en sección, abrazaderas, insertos y sistemas de los mismos
US7752944B2 (en) Multi-use expansion anchor and system for setting the same
JP4813300B2 (ja) 硬い基礎構造用の固定素子
KR102307193B1 (ko) 세트 앵커볼트
US20080292421A1 (en) Self-drilling wall anchor device
KR100708539B1 (ko) 고정용 앵커
US20080292422A1 (en) Self-drilling wall anchor device
US8915686B2 (en) Unitary, strike, drop-in anchor for concrete and the like
KR200396511Y1 (ko) 고정용 앵커
US20100264191A1 (en) Nail pin anchor setting tool
US20040163229A1 (en) Installation tool for setting anchors
KR20080082395A (ko) 앵커 볼트
KR100823850B1 (ko) 앵커볼트
KR102419254B1 (ko) 건축용 앵커
US20210025422A1 (en) Joining system for mechanically joining two materials
EP3333434B1 (en) Wall fixings
KR100681888B1 (ko) 고장력 앵커
KR200394428Y1 (ko) 앵커볼트
KR20090001363U (ko) 스트롱 앙카
US5123791A (en) Rock anchor
KR200394408Y1 (ko) 앵커볼트
KR100871684B1 (ko) 원터치형 스트롱 앙카
KR20170096665A (ko) 앙카볼트
JP2005220963A (ja) アンカーボルト
KR950001419Y1 (ko) 타격앵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