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254B1 - 건축용 앵커 - Google Patents

건축용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254B1
KR102419254B1 KR1020210100361A KR20210100361A KR102419254B1 KR 102419254 B1 KR102419254 B1 KR 102419254B1 KR 1020210100361 A KR1020210100361 A KR 1020210100361A KR 20210100361 A KR20210100361 A KR 20210100361A KR 102419254 B1 KR102419254 B1 KR 102419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hole
wedge
insert sleeve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동익
Original Assignee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10100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2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 F16B13/063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by the use of an expand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14Elements with s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Dow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앵커에 관한 것으로, 웨지너트(50)의 중심에 나사결합되고, 천공홀(21)의 끝부분에 지지되는 엔드스크류(52); 인서트 슬리브(30)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직경을 갖고, 천공홀(21)의 입구에 압입되어 중공볼트(40)를 돌리는 동안 인서트 슬리브(3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압입부(36); 클레비스바(63)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반원지지부(66)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용 앵커{Anchor}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부착물을 설치하는데 이용하는 건축용 앵커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형성된 천공홀 내부에서 다점 지지가 가능하도록 한 건축용 앵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앵커는 철골구조 또는 목조 기둥의 밑부분이나, 구조물과 콘크리트 또는 철근콘크리트의 기초를 연결하는 것의 통칭으로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들이 있다.
이러한 앵커의 종류를 간단히 살펴보면 크게 3종류로 분류할 수 있는데, 매립형 앵커와 스트롱 앵커 및 케미컬 앵커로 분류할 수 있다.
매립형 앵커는, 앵커의 끝부분에 중량물인 콘크리트 기초블록이 부착된 것으로, 콘크리트 기초블록과 함께 앵커볼트의 하단을 땅에 매입해서 설치하며, 주로 지주 등을 설치할 때 사용된다.
스트롱 앵커는, 단부가 절개된 확장관의 중심으로 볼트를 통과시키고, 볼트의 단부에 원추형 쐐기를 형성한 것으로, 콘크리트 바탕면에 천공된 구멍에 확장관을 삽입한 다음 펀치로 확장관의 끝부분을 가격하면 쐐기에 의해 확장관의 절개된 부분이 벌어지면서 구멍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케미컬 앵커는, 콘크리트 바탕면에 구멍을 천공한 후 주제와 경화제로 이루어진 이액형 접착제를 튜브를 통해 천공된 구멍에 주입한 다음 앵커볼트와 함께 경화시켜서 고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매입형 앵커는 콘크리트 벽면에 적용하는 것이 어렵고, 스트롱 앵커는 확장관의 벌어진 부분에만 의존해서 지지력을 얻기 때문에 다른 부분의 유격이 심해 흔들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케이컬 앵커는 이액형 접착제가 경화되는 동안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부착물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추가로 고정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692189호(공고일 2017.01.03.)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35784호(공고일 2003.12.11.)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56403호(공고일 2011.10.28.)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67348호(공고일 2013.06.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견고한 지지력을 얻을 수 있고, 체결이 간편한 건축용 앵커를 제공함에 있다.
삭제
삭제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건축용 앵커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형성된 천공홀로 삽입되고, 중심을 관통하는 볼트삽입구멍을 갖는 인서트 슬리브; 인서트 슬리브의 후단 중심에 형성되는 헤드지지구멍; 인서트 슬리브의 선단부에서 후단을 향해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고, 인서트 슬리브의 둘레를 따라 서로 등각을 이루는 가이드 슬롯; 볼트삽입구멍을 통해 천공홀의 중심에 위치되고, 헤드지지구멍에 지지되는 볼트헤드를 갖는 중공볼트; 중공볼트의 중심에 형성되는 관통구멍; 관통구멍에 형성되는 암나사부; 중공볼트의 선단에 결합되고, 볼트헤드와 가까워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형 외주면을 갖는 웨지너트; 웨지너트의 후단부에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고, 웨지너트의 둘레를 따라 서로 등각을 이루는 회전방지 돌기; 웨지너트의 원추형 외주면에 밀착되는 오목한 원추면을 갖고, 웨지너트의 둘레을 따라 서로 등각을 이루는 분할웨지; 분할웨지의 선단에서 후단을 향해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고, 분할웨지의 둘레를 따라 서로 등각을 이루며, 회전방지 돌기를 안내하는 안내홈; 분할웨지의 후단부에서 가이드 슬롯을 향해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고, 분할웨지의 둘레를 따라 서로 등각을 이루는 클레비스바; 클레비스바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약수축홈; 클레비스바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클레비스바의 끝부분과 약수축홈의 사이에 위치되는 강수축홈; 인서트 슬리브의 외주면에 환형으로 형성되고, 약수축홈과 만나는 약정지홈; 인서트 슬리브의 외주면에 환형으로 형성되고, 강수축홈과 만나는 강정지홈; 약수축홈과 약정지홈에 끼워지는 약수축링; 강수축홈과 강정지홈에 끼워지는 강수축링을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웨지너트의 중심에 나사결합되고, 천공홀의 끝부분에 지지되는 엔드스크류; 인서트 슬리브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직경을 갖고, 천공홀의 입구에 압입되어 중공볼트를 돌리는 동안 인서트 슬리브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압입부; 클레비스바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반원지지부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천공홀(21)에 압입되는 압입부(36)에 의해 중공볼트(40)를 돌리는 동안 인서트 슬리브(3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중공볼트(40)를 돌리는 동안 클레비스바(63)와 가이드 슬롯(33)에 의해 분할웨지(6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회전방지 돌기(51)와 안내홈(62)에 의해 웨지너트(50)가 공회전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압입부(36)와 분할웨지(60)가 천공홀(21)의 내부에서 서로 짝을 이루어 2점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앵커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웨지너트(50)에 의해 분할웨지(60)가 확장된 후 엔드스크류(52)를 전진시켜서 천공홀(21)의 끝부분에 밀착시키면, 엔드스크류(52)의 반력에 의해 웨지너트(50)와 분할웨지(60)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웨지너트(50)와 분할웨지(60) 간의 유격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약수축링(70)과 강수축링(71)의 극명한 탄성복원력 차이로 인해 클레비스바(63)와 분할웨지(60)의 턴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분할웨지(60)가 확장되면서 클레비스바(63)가 턴할 때 클레비스바(63)의 끝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반원지지부(66)가 가이드 슬롯(33)의 끝부분에 선접촉된 상태에서 미끄러지기 때문에 턴동작이 부드럽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 단면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을 반대편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웨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20)에 형성된 천공홀(21)로 삽입되고, 중심을 관통하는 볼트삽입구멍(31)을 갖는 인서트 슬리브(30); 인서트 슬리브(30)의 후단 중심에 형성되는 헤드지지구멍(32); 인서트 슬리브(30)의 선단부에서 후단을 향해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고, 인서트 슬리브(30)의 둘레를 따라 서로 등각을 이루는 가이드 슬롯(33)을 포함한다.
헤드지지구멍(32)은, 예를 들면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헤드(41)의 높이와 동일한 깊이로 형성할 수 있으며, 볼트삽입구멍(31)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한다.
가이드 슬롯(33)은, 예를 들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레비스바(63)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해서 웨지너트(50)에 의해 분할웨지(60)가 확장될 때 분할웨지(60)가 인서트 슬리브(30)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은 볼트삽입구멍(31)을 통해 천공홀(21)의 중심에 위치되고, 헤드지지구멍(32)에 지지되는 볼트헤드(41)를 갖는 중공볼트(40); 중공볼트(40)의 중심에 형성되는 관통구멍(42); 관통구멍(42)에 형성되는 암나사부(43)를 포함한다.
볼트헤드(41)의 중심에는 도 1,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렌-렌치 또는 드라이버와 같은 체결도구를 결합하기 위한 다각홈(44)을 형성하며, 이러한 다각홈(44)을 이용해서 중공볼트(40)에 강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볼트(40)에 형성된 암나사부(43)에는 콘크리트 구조물(20)에 설치되는 부착물(81)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볼트(80)가 결합되며, 다각홈(44)의 최단폭 보다 체결볼트(80)의 나사산 외경을 더 작게 형성해서 체결볼트(80)와 다각홈(44)의 간섭 및 접촉을 회피한다.
관통구멍(42)에 형성되는 암나사부(43)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관통구멍(42)의 선단 일부분에 형성할 수 있으나 꼭 이러한 것에 한정하지 않고 관통구멍(42) 전체에 암나사부(43)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중공볼트(40)의 선단에 결합되고, 볼트헤드(41)와 가까워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형 외주면을 갖는 웨지너트(50); 웨지너트(50)의 후단부에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고, 웨지너트(50)의 둘레를 따라 서로 등각을 이루는 회전방지 돌기(51)를 포함한다.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너트(50)의 중심에는 중공볼트(40)가 결합되는 나사구멍(53)을 관통형으로 형성한다.
본 발명은 웨지너트(50)의 원추형 외주면에 밀착되는 오목한 원추면(61)을 갖고, 웨지너트(50)의 둘레을 따라 서로 등각을 이루는 분할웨지(60); 분할웨지(60)의 선단에서 후단을 향해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고, 분할웨지(60)의 둘레를 따라 서로 등각을 이루며, 회전방지 돌기(51)를 안내하는 안내홈(62); 분할웨지(60)의 후단부에서 가이드 슬롯(33)을 향해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고, 분할웨지(60)의 둘레를 따라 서로 등각을 이루는 클레비스바(63)를 포함한다.
분할웨지(6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4개가 한 조를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클레비스바(63)의 내주면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중공볼트(40)와 동심을 이루고, 중공볼트(40)의 수나사부 외경보다 약간 큰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면(67)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클레비스바(63)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약수축홈(64); 클레비스바(63)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클레비스바(63)의 끝부분과 약수축홈(64)의 사이에 위치되는 강수축홈(65); 인서트 슬리브(30)의 외주면에 환형으로 형성되고, 약수축홈(64)과 만나는 약정지홈(34); 인서트 슬리브(30)의 외주면에 환형으로 형성되고, 강수축홈(65)과 만나는 강정지홈(35); 약수축홈(64)과 약정지홈(34)에 끼워지는 약수축링(70); 강수축홈(65)과 강정지홈(35)에 끼워지는 강수축링(71)을 포함한다.
약수축링(70)은 강수축링(71) 보다 약한 탄성복원력을 지닌 것으로, 예를 들면 약수축링(70)은 고무 오링으로 구성할 수 있고, 강수축링(71)은 스프링 강선을 C자 모양으로 절곡한 강선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약수축링(70)과 강수축링(71)은 서로 극명한 탄성복원력 차이를 갖게 된다.
중공볼트(40)에 의해 웨지너트(50)가 볼트헤드(41)가 위치된 방향으로 당겨질 때 분할웨지(60)가 웨지너트(50)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면서 천공홀(21)의 내주면에 강하게 밀착되는데, 이때 강수축링(71)과 약수축링(70)의 극명한 탄성복원력 차이에 의해 분할웨지(60)가 클레비스바(63)의 끝부분을 중심으로 턴하면서 확장된다.
인서트 슬리브(30)에 형성된 약정지홈(34)과 강정지홈(35)은, 약수축링(70)과 강수축링(71)이 각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수축될 때 탄성복원력을 완전하게 잃어버리기 전에 수축을 저지해서 약수축링(70)과 강수축링(71)의 이탈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은 웨지너트(50)의 중심에 나사결합되고, 천공홀(21)의 끝부분에 지지되는 엔드스크류(52); 인서트 슬리브(30)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직경을 갖고, 천공홀(21)의 입구에 압입되어 중공볼트(40)를 돌리는 동안 인서트 슬리브(3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압입부(36); 클레비스바(63)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반원지지부(66)를 포함한다.
엔드스크류(52)는 도 2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단부 중심에 육각홈이 형성된 무두 렌치볼트와 같은 것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중공볼트(40)에 형성된 관통구멍(42)과 웨지너트(50)에 형성된 나사구멍(53)을 통해 알렌-렌치 또는 육각드라이버를 진입시키고 엔드스크류(52)에 형성된 육각홈에 결합하면 엔드스크류(52)를 돌려서 전진시킬 수 있다.
즉, 웨지너트(50)에 의해 분할웨지(60)가 천공홀(21)에 밀착된 상태에서 엔드스크류(52)를 돌려서 천공홀(21)의 끝부분에 밀착시킨 후 전진방향으로 더 돌리면, 엔드스크류(52)의 반력에 의해 웨지너트(50)가 분할웨지(6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지지점 증대로 인한 견고한 지지력을 얻을 수 있다.
압입부(3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홀(21)의 내경보다 약간 큰 외경으로 형성하며, 인서트 슬리브(30)를 천공홀(21)에 삽입한 후 인서트 슬리브(30)의 후단부를 망치와 같은 타격도구로 가격하면, 압입부(36)가 천공홀(21)에 강제로 압입되는데, 이때 천공홀(21)의 내부에서 분할웨지(60)와 거리를 두고 서로 짝을 이루어 2점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 앵커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반원지지부(66)가 가이드 슬롯(33)의 끝부분에 선접촉된 상태로 미끄러지면서 클레비스바(63)와 분할웨지(60)의 턴동작을 부드럽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20)에 형성된 천공홀(21)에 인서트 슬리브(30)를 삽입한 다음 망치와 같은 타격도구를 이용해서 인서트 슬리브(30)의 후단을 가격하면, 압입부(36)가 천공홀(21)로 압입된다.
이후 중공볼트(40)의 볼트헤드(41)에 형성된 다각홈(44)에 알렌-렌치와 같은 체결도구를 결합해서 중공볼트(40)를 체결방향으로 돌리면, 중공볼트(40)의 선단에 결합되어 있는 웨지너트(50)가 볼트헤드(41)를 향해 움직이게 된다.
이때 인서트 슬리브(30)는 압입부(36)에 의해 천공홀(21)에 고정되어 회전할 수 없고, 분할웨지(60)는 클레비스바(63)와 가이드 슬롯(33)에 의해 회전할 수 없으며, 웨지너트(50)는 회전방지 돌기(51)와 안내홈(62)에 의해 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웨지너트(50)의 공회전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웨지너트(50)가 천공홀(21)의 내부에서 볼트헤드(41)를 향해 움직이면, 웨지너트(50)의 원추형 외주면과 분할웨지(60)에 형성된 원추면(61) 간의 미끄럼 작용에 의해 분할웨지(6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인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면서 천공홀(21)에 밀착되어 쐐기 형태로 박히게 된다.
이때 클레비스바(63)의 끝부분에 형성된 반원지지부(66)를 기점으로 분할웨지(60)가 확장되면서 약수축링(70)과 강수축링(71)의 내경이 탄성복원력을 지닌채 벌어지게 되며, 약수축링(70)과 강수축링(71)의 극명한 탄성복원력 차이로 인해 클레비스바(63)와 분할웨지(60)의 확실한 턴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중공볼트(40)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42)과 웨지너트(50)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구멍(53)을 통해 알렌-렌치 또는 육각드라이버를 진입시키서 엔드스크류(52)에 형성된 육각홈에 결합한 다음 엔드스크류(52)를 전진방향으로 돌리면, 엔드스크류(52)의 선단이 천공홀(21)의 끝분에 밀착되면서 정지된다.
이때 엔드스크류(52)를 전진방향으로 더 돌리면, 반력이 웨지너트(50)에 작용되면서 웨지너트(50)와 분할웨지(60)는 더욱 강한 힘으로 밀착되고, 웨지너트(50)와 분할웨지(60) 간에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압입부(36)와 분할웨지(60)는 천공홀(21)의 내부에서 서로 짝을 이루어 2점 지지하는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앵커를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20)의 표면에 부착물(81)을 밀착시키고, 부착물(81)에 형성된 구멍으로 체결볼트(80)를 통과시켜서 중공볼트(40)에 형성된 암나사부(43)에 결합하면, 부착물(81)을 콘크리트 구조물(2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20 : 콘크리트 구조물 21 : 천공홀
30 : 인서트 슬리브 31 : 볼트삽입구멍
32 : 헤드지지구멍 33 : 가이드 슬롯
34 : 약정지홈 35 : 강정지홈
36 : 압입부 40 : 중공볼트
41 : 볼트헤드 42 : 관통구멍
43 : 암나사부 44 : 다각홈
50 : 웨지너트 51 : 회전방지 돌기
52 : 엔드스크류 53 : 나사구멍
60 : 분할웨지 61 : 원추면
62 : 안내홈 63 : 클레비스바
64 : 약수축홈 65 : 강수축홈
66 : 반원지지부 67 : 원호면
70 : 약수축링 71 : 강수축링
80 : 체결볼트 81 : 부착물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콘크리트 구조물(20)에 형성된 천공홀(21)로 삽입되고, 중심을 관통하는 볼트삽입구멍(31)을 갖는 인서트 슬리브(30);
    상기 인서트 슬리브(30)의 후단 중심에 형성되는 헤드지지구멍(32);
    상기 인서트 슬리브(30)의 선단부에서 후단을 향해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 슬리브(30)의 둘레를 따라 서로 등각을 이루는 가이드 슬롯(33);
    상기 볼트삽입구멍(31)을 통해 상기 천공홀(21)의 중심에 위치되고, 상기 헤드지지구멍(32)에 지지되는 볼트헤드(41)를 갖는 중공볼트(40);
    상기 중공볼트(40)의 중심에 형성되는 관통구멍(42);
    상기 관통구멍(42)에 형성되는 암나사부(43);
    상기 중공볼트(40)의 선단에 결합되고, 상기 볼트헤드(41)와 가까워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형 외주면을 갖는 웨지너트(50);
    상기 웨지너트(50)의 후단부에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웨지너트(50)의 둘레를 따라 서로 등각을 이루는 회전방지 돌기(51);
    상기 웨지너트(50)의 원추형 외주면에 밀착되는 오목한 원추면(61)을 갖고, 상기 웨지너트(50)의 둘레을 따라 서로 등각을 이루는 분할웨지(60);
    상기 분할웨지(60)의 선단에서 후단을 향해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할웨지(60)의 둘레를 따라 서로 등각을 이루며, 상기 회전방지 돌기(51)를 안내하는 안내홈(62);
    상기 분할웨지(60)의 후단부에서 상기 가이드 슬롯(33)을 향해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할웨지(60)의 둘레를 따라 서로 등각을 이루는 클레비스바(63);
    상기 클레비스바(63)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약수축홈(64);
    상기 클레비스바(63)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클레비스바(63)의 끝부분과 상기 약수축홈(64)의 사이에 위치되는 강수축홈(65);
    상기 인서트 슬리브(30)의 외주면에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약수축홈(64)과 만나는 약정지홈(34);
    상기 인서트 슬리브(30)의 외주면에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강수축홈(65)과 만나는 강정지홈(35);
    상기 약수축홈(64)과 상기 약정지홈(34)에 끼워지는 약수축링(70);
    상기 강수축홈(65)과 상기 강정지홈(35)에 끼워지는 강수축링(71);
    을 포함하는 건축용 앵커에 있어서,

    상기 웨지너트(50)의 중심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천공홀(21)의 끝부분에 지지되는 엔드스크류(52);
    상기 인서트 슬리브(30)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직경을 갖고, 상기 천공홀(21)의 입구에 압입되어 상기 중공볼트(40)를 돌리는 동안 상기 인서트 슬리브(3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압입부(36);
    상기 클레비스바(63)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반원지지부(6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앵커.
KR1020210100361A 2021-07-30 2021-07-30 건축용 앵커 KR102419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361A KR102419254B1 (ko) 2021-07-30 2021-07-30 건축용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361A KR102419254B1 (ko) 2021-07-30 2021-07-30 건축용 앵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254B1 true KR102419254B1 (ko) 2022-07-11

Family

ID=82396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361A KR102419254B1 (ko) 2021-07-30 2021-07-30 건축용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2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119B1 (ko) * 2022-08-25 2023-02-06 포에이시스템 주식회사 연약 건설구조물 천공홀에 피구조물을 고정하기 위한 다목적 볼트유니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784Y1 (ko) 2003-09-25 2003-12-11 박경진 앵커볼트
KR100609150B1 (ko) * 2003-12-06 2006-08-09 박병곤 앵커
KR200456403Y1 (ko) 2009-04-09 2011-10-28 송용석 앵커볼트
KR200467348Y1 (ko) 2012-02-28 2013-06-07 송현기공 주식회사 앵커볼트
KR101692189B1 (ko) 2015-11-30 2017-01-03 김용운 쐐기핀을 구비한 앵커볼트
JP2021025201A (ja) * 2019-07-31 2021-02-22 株式会社ケー・エフ・シー あと施工アンカー及びその設置構造、あと施工アンカーの撤去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784Y1 (ko) 2003-09-25 2003-12-11 박경진 앵커볼트
KR100609150B1 (ko) * 2003-12-06 2006-08-09 박병곤 앵커
KR200456403Y1 (ko) 2009-04-09 2011-10-28 송용석 앵커볼트
KR200467348Y1 (ko) 2012-02-28 2013-06-07 송현기공 주식회사 앵커볼트
KR101692189B1 (ko) 2015-11-30 2017-01-03 김용운 쐐기핀을 구비한 앵커볼트
JP2021025201A (ja) * 2019-07-31 2021-02-22 株式会社ケー・エフ・シー あと施工アンカー及びその設置構造、あと施工アンカーの撤去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119B1 (ko) * 2022-08-25 2023-02-06 포에이시스템 주식회사 연약 건설구조물 천공홀에 피구조물을 고정하기 위한 다목적 볼트유니트
EP4328457A3 (en) * 2022-08-25 2024-03-13 4A Systems Co., Ltd. Multi-purpose bolt unit for fixing object to drilled hole of soft construction structure
US11959294B2 (en) 2022-08-25 2024-04-16 4A Systems Co., Ltd. Multi-purpose bolt unit for fixing object to drilled hole of soft construction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3129A (en) Bolt anchoring device with improved plug portion of bolt
US4963062A (en) Single-piece, pre-shaped anchor
CA1141999A (en) Expanding anchor bolt assembly
KR101946896B1 (ko) 후시공 앵커, 후시공 앵커의 시공 방법, 후시공 앵커 시스템 및 회전 방지 지그
JPH01502522A (ja) プラスチック材料製拡張および座屈プラグ
KR102307193B1 (ko) 세트 앵커볼트
US6450745B2 (en) Dowel with a weakened section adjoining the leading threaded end thereof
JP6321875B1 (ja) アンカーボルト及びアンカーボルトを用いた固定方法
KR102419254B1 (ko) 건축용 앵커
US20080292421A1 (en) Self-drilling wall anchor device
TW201727085A (zh) 用於夾持膨脹部分的膨脹錨具
US5749688A (en) Screw fixing plug
US20070160418A1 (en) Quick assembly bolt jacket
JP2012504214A (ja) 締結装置
US20080292423A1 (en) Self-drilling wall anchor device
KR101575099B1 (ko) 이지 앵커 볼트
KR200473296Y1 (ko) 세트 앙카
GB2111581A (en) Clips for conduits
US20220341452A1 (en) Expansion Anchor
KR100708539B1 (ko) 고정용 앵커
TW201712193A (zh) 附防逆轉機構的錨栓
KR101691770B1 (ko) 건축용 앵커
KR100276988B1 (ko) 볼트고정장치
JPS6129850Y2 (ko)
JP7357548B2 (ja) アンカー、アンカーを取り付けた足掛け具およびアンカーの固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