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537Y1 - 압전진동자 - Google Patents

압전진동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537Y1
KR920001537Y1 KR2019890014324U KR890014324U KR920001537Y1 KR 920001537 Y1 KR920001537 Y1 KR 920001537Y1 KR 2019890014324 U KR2019890014324 U KR 2019890014324U KR 890014324 U KR890014324 U KR 890014324U KR 920001537 Y1 KR920001537 Y1 KR 9200015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vibrator
front plate
support rod
fasten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43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6436U (ko
Inventor
김종태
정웅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 주식회사
서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 주식회사, 서주인 filed Critical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43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1537Y1/ko
Publication of KR9100064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4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5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5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8Mounts; Supports; Enclosures; Casing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Landscapes

  • Transducers F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압전진동자
제 1 도는 압전진동자의 외관사시도.
제 2 도는 종래의 압전진동자의 수직단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에 사용되는 지지봉의 외관사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 압전진동자의 수직단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지지봉의 외관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면판 13 : 보울트 체결공
20 : 리타판 30 : 지지봉
31', 32' : 상하측 체결보울트부 33 : 중앙몸통부
34 : 단턱 40, 50 : 세라믹소자
본 고안은 초음파세척기등에 사용되는 압전진동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 설명하면, 세라믹소체에 전기적 또는 기계적 힘을 가할때 기계적 또는 전기적 힘으로 변환되어 나타나게 되는데, 이중 본 고안 기술분야는 압전진동자에 전기적 힘을 가해 주었을때 기계적인 초음파진동을 발생하게 되는 압전진동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척기등에 사용되는 압전진동자는 일예로써, 제 1 도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은 외형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압전진동자는 크게, 수조통에 진동을 전달하는 전면판(10)과 전기적 신호를 받아 초음파의 기계적 신호를 발생하는 세라믹소자(40,50)의 초음파진동을 일방향으로만 전달하는 리타판(20)과 상기 각 구성부분을 결합하는 지지봉(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판(10)에는 제 2 도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중심 상,하부위에 직경이 서로 다른 상, 하측보울트 체결홈(11,12)이 형성되며, 상기 상측보울트 체결홈(11)에는 제 3 도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은 지지봉(30)의 하측체결 보울트부(32)가 결합되고 상기 하측보울트 체결홈(12)에는 초음파 세척기의 수조통(도시생략)에 형성되는 체결용 보울트가 결합된다.
한편, 전면판(10)의 상측보울트 체결홈(11)에 지지봉(30)의 하측체결 보울트부(32)를 완전결합 시킨후에는, 지지봉(30)의 중앙몸통부(33)에 보스(70)를 끼우고 이어서 전극판(51), 세라믹소자(50), 전극판(41), 세라믹소자(40) 그리고 리타판(20)을 차례로 삽입한 후, 상기 리타판(20) 상부로 돌출된 지지봉(30)의 상측체결 보울트부(31)에 체결너트(60)를 결합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세라믹 압전진동자에서는, 전면판(10)의 내부 상,하측 보울트 체결홈(11,12)이 각기 다른 직경으로 가공되고, 또한 지지봉(30)의 하단선단부와 전면판(10) 내부상측 나사홈(11)의 바닥면이 완전밀착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상측보울트 체결홈(11)의 바닥면을 정밀가공 해야되므로 공수의 증가와 가공시의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게 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면판의 가공공수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또한 조립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게되는 압전진동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은 전면판의 상,하측 나사홈을 동일직경으로 관통시켜 형성하고, 지지봉의 중앙몸통부에는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봉의 상,하체결 보울트의 길이를 동일하게 가공한다는데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4 도 및 제 5 도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전면판(10')의 중심내부의 보울트체결공(13)을 동일직경으로 관통시켜 형성하고, 상기 전면판(10')의 보울트체결공(13)에 결합되는 지지봉(30')에는 그의 중앙몸통부(33')의 직경을 상기 보울트 체결공(13)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여 단턱(34)을 가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지지봉(30')의 상,하측 체결보울트부(31',32')는 동일규격으로 형성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4 도 및 제 5 도에서 전면판(10')의 상부로부터 지지봉(30')의 하측체결 보울트부(32')를 삽입하여 체결해가면 상기 전면판(10')의 상단면(14)에 상기 지지봉(30')의 단턱(34)이 걸리게 되므로 더 이상 진행되지 않고 고정된다.
이후, 보스(70')를 끼우고 전극판(51), 세라믹소자(50), 전극판(41), 세라믹소자(40) 및 리타판(20)을 차례로 삽입한 다음, 상기 리타판(20)의 상부로 돌출되는 상측체결 보울트부(31')에 체결너트(60)를 조여, 최종세라믹 압전진동자를 완성한다.
이후, 상기 압전진동자를 뒤집어 그의 전면판(10')의 중심하부에 남아있게 되는 보울트 체결공(13)을 수조통(도시생략)에 형성되는 체결보울트에 결합시켜서 초음파 세척기를 조립하게 된다.
이와 같은 조립과정에서 체결너트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면 세라믹소자(40,50)의 주파수특성이 변화하거나 또는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세라믹소자(40,50)에 일정한도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세라믹소자(40,50)의 특성변화 파손방지 수단으로서, 상기한 지지봉(30')의 중앙몸통부(33')에 형성된 상하단턱(34)이 그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상하 단턱(34)이 전면판(10')의 상단면과 리타판(20)의 내부단턱(21)에 걸리게 되므로 무리한 체결에 의한 세라믹 압전소자의 특성변화 및 파손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종래의 압전진동자의 전면판(30)에는 서로 관통하지 않으면서 각기 다른 직경을 가지는 상,하보울트 체결홈(11,12)을 형성하게 되므로 동일특성의 세라믹소자를 본 고안과 같이 사용한다고 할때 전기적 특성이 바뀌게 되지만, 이는 세라믹소자의 조성을 변경하여 주는 것으로 충분히 커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압전진동자용 전면판의 가공시간이 단축되고, 조립공정에서의 세라믹 소자의 주파수 특성변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봉의 상,하체결 보울트가 동일규격으로 제작되므로 조립 작업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Claims (2)

  1. 전면판, 세라믹소자, 리타판 및 지지봉으로 구성되는 압전진동자에 있어서, 전면판(10')에는 동일직경의 보울트 체결공(13)이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전면판(10')에 체결되는 지지봉(30')에는 상,하단턱(34)을 가지는 중앙몸통부(33')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30')의 상,하측 체결보울트부(31',32')가 동일규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자.
KR2019890014324U 1989-09-30 1989-09-30 압전진동자 KR9200015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4324U KR920001537Y1 (ko) 1989-09-30 1989-09-30 압전진동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4324U KR920001537Y1 (ko) 1989-09-30 1989-09-30 압전진동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436U KR910006436U (ko) 1991-04-25
KR920001537Y1 true KR920001537Y1 (ko) 1992-03-05

Family

ID=19290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4324U KR920001537Y1 (ko) 1989-09-30 1989-09-30 압전진동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153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0220A (ko) * 2002-12-09 2004-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싸이클론 집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436U (ko) 1991-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0706A (en) Connector assembly for a piezoelectric transducer
KR970010655B1 (ko) 초음파 혼의 캐퍼레리 유지구조
KR920001537Y1 (ko) 압전진동자
KR920001536Y1 (ko) 압전진동자
JP3207830B2 (ja) 木ねじによる固定構造
JPH0550789U (ja) 板材の取付構造
KR0174614B1 (ko) 통신기기 단말기의 벽면 고정용 장치
KR200160335Y1 (ko) 직결식 세탁기의 모우터콘트롤러 케이스와 백커버의 결합구조
KR900010197Y1 (ko) 낚시대의 하단 밀봉구조
JP2006300605A (ja) 非共振型ノッキングセンサ
KR0138542Y1 (ko) 텔레비전용 회로기판 결합부재
JP2534555Y2 (ja) エアクリーナの支持構造
JPH063190Y2 (ja) スタータ装置取付構造体
KR930000294Y1 (ko) 수지제 지지구
KR920008106Y1 (ko) 압전부저
KR100463607B1 (ko) 전기배선용 러그의 스트랜드 전선 고정구조
KR930004643Y1 (ko) 전동기의 인출선 체결용 너트
JP2552259Y2 (ja) 超音波ホーンのキヤピラリ保持構造
KR0152494B1 (ko) 볼트 및 너트의 체결기구
KR0129949Y1 (ko) 세탁기의 베이스와 아웃케이스의 체결장치
RU1787105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реплени в руко тке с центральным отверстием инструмента со ступенчатым по длине хвостовиком
JPH0613366Y2 (ja) 合成樹脂製部品の取付ボス構造
JPH0645720Y2 (ja) 防振ゴムの取り付け構造
KR0117388Y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 고정용 브라켓
KR19990059702A (ko) 노크 센서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