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201Y1 - 건물의 배연창 자동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건물의 배연창 자동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201Y1
KR920001201Y1 KR2019890007940U KR890007940U KR920001201Y1 KR 920001201 Y1 KR920001201 Y1 KR 920001201Y1 KR 2019890007940 U KR2019890007940 U KR 2019890007940U KR 890007940 U KR890007940 U KR 890007940U KR 920001201 Y1 KR920001201 Y1 KR 9200012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rotating shaft
bevel gear
place
f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79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0872U (ko
Inventor
박갑일
Original Assignee
박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갑일 filed Critical 박갑일
Priority to KR20198900079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1201Y1/ko
Publication of KR9100008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8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2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2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05F1/00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by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05F15/61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usin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4Disengaging means
    • E05Y2201/216Clu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1Adjustable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5Emergency conditions
    • E05Y2800/252Emergency conditions the elements functioning only in case of emergenc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물의 배연창 자동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적합한 일 구성례에 따른 배연창 개폐장치의 발췌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장치의 설치상태 정면 발췌도로서 배연창이 닫힌 상태.
제3도는 제2도에 상응하는 측면 발췌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장치의 설치상태 정면 발췌도로서 배연창이 열린 상태.
제5도는 제4도에 상응하는 측면 발췌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개폐구 4 : 고정플레이트
5 : 제1작동간 6 : 제2작동간
7 : 제1연결간 8 : 제2연결간
9 : 활지구 10,11,12 : 회전축
10',11',12' : 베벨기어 13 : 브래킷
14 : 스프링 15,17 : 클러치 기어
16 : 솔레노이드 18 : 가동자
19 : 스위치박스
본 고안은 각종 건물에 설치되는 배연창(排煙窓) 을 화재발생시 자동적으로 열어줌과 동시에 방재실과 같은 건물의 감시인력이 상주하는 곳에 비상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한 건물의 배연창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텔이나 사무실 용도의 대형빌딩이나 실내체육관, 대형창고등과 같이 밀폐된 공간이 많은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실제 화기로 인한 인명피해보다 건물내부의 밀폐구역이나 통로에 들어차는 유독가스 및 연기로 인한 인명피해가 더 심한 실정이며, 따라서 현재 건축되고 있는 일정규모 이상의 대헝건물에는 일정의 화재감지기를 설치하여 화재시 이를 감지한 상기 화재 감지기로 부터의 신호에 의해 자동개방될 수 있는 배연창을 의무적으로 기준면적이상 설치운용토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안출한 것으로, 특히 고장이 거의 없는 간명한 구조로서 설치가 간편하고 설치비가 저렴한 동시에 실재의 화재상황에서 오차없이 정확히 작동하여 배연창을 적시에 열어줌으로써 유독가스 및 연기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연창의 개방과 동시에 건물감시 인력이 상주하는 곳에 비상신호를 보내어서 화재에 신속히 대처토록 할 수 있는 최선의 효과적인 배연창 자동개폐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에 적합한 본 고안의 선택된 일 구성례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중 부호 1은 본 고안중 통상의 배연창(2)을 그 일측에 고정지지하여 이 배연창(2)을 창틀(3)에 구속유지시키고 또 이를 개폐작동시키는 배연창 개폐구를 나타내며, 이 개폐구(1)는 창틀(3)측에 고정되는 하나의 고정플레이트(4)와, 이 고정플레이트(4)의 하부에 그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작동간(5)과, 배연창(2)을 고정지지한 몸통적소가 이 제1작동간(5)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작동간(6)과, 상기 제1작동간(5)의 중앙부 근처에 몸통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간(7)과, 이 제1연결간(7)의 제1작동간(5)에 연결되지 않은 다른쪽 단부 및 상기 제2작동간(6)의 제1작동간(5)에 연결되지 않은 다른쪽 단부사이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한 제2연결간(8)과, 이 제2연결간(8)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4)의 안내홈(4')에 안내홈(4')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게 구속설치된 활지구(9)로써 구성된다. 상기 개폐구(1)는 그 제1작동간(5)이 고정플레이트(4)하부에 대한 구속지점을 중심으로 일측(제2도, 4도상에서는 전방, 3도,5도 상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활지구(9)가 고정플레이트(4)의 안내홈(4')을 따라 하강함과 동시에 이 제1작동간(5)과 연동하는 제2작동간(6), 제1 및 제2연결간(7)(8)등은 각각의 구속지점들을 따른 회동과 하강동작이 동시에 함께 어우러진 복합동작을 수행하여 그 제2작동간(6)에 고정된 배연창(2)을 창틀(3)에서 열어주게 되고, 열린 후 상기 제1작동간(5)이 반대측으로 회동하면 앞서의 역동작을 거쳐 배연창(2)을 닫아주도록 작동된다.
본 고안은 화재발생시 상기 배연창 개폐구(1)의 제1작동간(5)을 일측으로 소정각도 자동회동시켜 배연창(2)을 자동적으로 열어주고, 이와함께 별도의 스위치박스를 작동시켜 이로부터의 전기적 신호가 임의의 정해진 장소로 도달되게 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기 제1작동간(5)의 회전중심 단부에 베벨기어(10')를 가진 회전축(10)을 결합 고정하고, 상기 베벨기어(10')에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베벨기어(11')(12')를 동시 치합설치하되 이들 각 베벨기어(11')(12')로 부터 회전축(11)(12)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뻗쳐지게 연장 형성하여 브래킷(13)에 각각 축지지시키며, 상기 일측 회전축(11)과 브래킷(13)사이에 스프링(14)을 비틀림 탄설하고, 타측 회전축(12)상의 적소에는 클러치기어(15)를 고정설치하여 이에 솔레노이드(16)에 의해 상기 회전축(12)의 축선방향으로 이동자재하는 클러치기어(17)를 치합하고, 상기 회전축(12)상의 다른쪽 적소에 나사부(12")를 형성하여 이에 가동자(18)를 나사결합으로 설치하 는 한편 브래킷(13)적소에는 상기 가동자(18)에 의해 적시에 작동될 수 있는 스위치박스(19)를 부설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함께 상기 회전축(12)의 반대쪽 단부에는 또 다른 베벨기어(12''')를 고정설치하여 이에 베벨기어(20)를 치합하고, 이 베벨기어(20)로 부터의 연장축이 소기의 핸들축(도시되지 않음)과 적합히 연결되게 함으로써 상기 장치를 통해 예의 배연창(2)이 비상개방된 후 이를 수동으로 닫아줄 수 있도록 한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클러치기어(15)(17)상호간의 결합 상태를 수동으로 해제 시킬 수 있는 수단을 장치에 적합히 구비시켜 필요시 배연창(2)을 수동개방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 완전한 자동조작시스템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베벨기어(20)로 부터의 연장축이나 혹은 회전축(11)을 모터(도시되지 않음)로 회전시켜 배연창을 개폐토록 할 수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6'는 솔레노이드(16)의 작동아암, 21은 클러치기어(17)를 클러치기어(15)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상기 탄발시키는 스프링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2, 제3도는 상술한 본 고안의 장치를 통해 설치된 배연창(2)이 창틀(3)에 대해 닫혀져 있는 최초상태(평시상태)를 도시한 것인데, 이 상태에서는 각 회전축(10)(11)(12)들이 상기 배연창(2)을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최대한 회전되어 스프링(14)이 회전축(11)에 대해 이 회전축(11)을 배연창(2)을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최대한의 비틀림 탄발력을 부여하고 있고 솔레노이드(16)의 작동아암(16')에 구속된 클러치기어(17)는 회전축(12)상의 클러치기어(15)에 치합되어 있어 상기 회전축(10)(11)(12)들이 스프링(14)의 힘에동 불구하고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잡아주어서 배연창(2)의 폐쇄상태를 안정적으로 고수시키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면 이를 감지한 화재 감지기(도시되지 않음)가 신호를 보내어 솔레노이드(16)를 작동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16)는 그 작동아암(16')을 잡아당겨 이 작동아암(16')단부에 연결구속된 클러치기어(17)를 도면상 하방으로 일정거리 이동시켜주게 됨으로써 클러치기어(15)(17)들간의 치합상태(클러칭상태)가 해제되며 이와 동시에 스프링(14)의 탄발력을 거스르는 상태로 고정되어 있던 회전축(10)(11)(12)들은 그 고정상태로 부터 해제되어(클러치기어(17)가 클러치기어(15)로 부터 떨어짐으로써)스프링(14)의 힘과 베벨기어(10')(11')(12')들간의 치합상태를 통해 동시에 일정 각도를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축(10)단부에 고정되어 있던 제1작동간(5)이 상기 회전축(10)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도면상 반 시계방향(배연창(2)의 개방방향)으로 정해진 각도만큼 회동하여 이와 연동하는 제2작동간(6)에 고정된 배연창(2)을 창틀(3)로 부터 열어주게 되는 것이다.
이때, 회전축(12)상의 나사부(12")에 나사결합으로 설치되어 있는 가동자(18)는 상기 나사부(12')상에서 그 나사산의 진행을 따라 회전축(12)의 축선방향으로 일정거리를 직선이동하여 스위치박스(19)의 스위치를 눌러주게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치박스(19)는 임의의 정해진 장소, 예컨대 방재실등 건물감시 인력이 상주하는 곳으로 전기적 신호를 보내어서 화재발생시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이러한 일련의 배연창 개방작동은 화재발생즉시 거의 동시에 그리고 확실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져서 화재로 인해 실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유독가스 및 연기를 신속히 배출시킴으로써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고 화재발생에 최대한 신속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한편 배연창(2)이 닫혀져 있는 최초 상태에서 앞서 언급한예와 같이 수동조작수단을 통해 클러치기어(15)(17)간의 치합 상태를 수동으로 해제시켜주면 상기 배연창(2)을 수동개방시킬 수 있으며, 열린 배연창(2)은 클러치기어(15)(17)를 상호 떨어뜨린 상태에서 베벨기어(20)의 연장축에 핸들축을 결합회전시켜 (혹은 연장축을 모터로 회전시켜)이를 다시 닫아줄 수 있다.
여기에서는 본 고안의 장치가 전후 방향을 개폐되는 배연창에 적용된 상태로 도시설명되어 있으나 이를 좌우방향으로 개폐되는 배연창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또 상술한 그 성요소들 및 설치상태 역시 본 고안의 기술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합한 수정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고장이 없는 간결한 구성으로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비용이 저렴하면서도 화재발생시 신속, 정확하게 작동하여 배연창을 자동개방시킴과 동시에 소기의 비상신호를 발함으로써 실내 유독가스 및 연기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고 화재에 신속대처토록 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지닌 것이다.

Claims (1)

  1. 고정플레이트(4)와 이에 구속작동되는 제1및 제2작동간(5)(6), 제1및 제2연결간(7)(8), 활지구(9)로 구성되는 통상의 배연창 개폐구(1)를 창틀 일측에 설치하되 그 제1작동간(5)의 회전중심단부에 베벨기어(10')를 가진 회전축(10)을 결합고정하고, 창틀이 다른쪽에 회전축(11)(12)을 축지지한 브래킷(13)을 설치하되 그 회전축들의 마주보는 단부에 형성한 베벨기어(11')(12')를 상기 베벨기어(10')에 치합시키며, 상기 일측 회전축(11)과 브래킷(13) 사이에 스프링(14)을 비틀림 탄설하고, 타측 회전축(12)상의 적소에는 클러치기어(15)를 고정설치하여 이에 솔레노이드(16)에 의해 이동자재하는 클러치기어(17)를 치합하고, 이 회전축(12)상의 다른쪽 적소에 나사부(12")를 형성하여 이에 가동자(18)를 나사결합시켜 설치하는 한편, 브래킷(13) 적소에는 상기 가동자(18)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치박스(19)를 부설하여서 된 건물의 배연창 자동개폐장치.
KR2019890007940U 1989-06-08 1989-06-08 건물의 배연창 자동개폐장치 KR9200012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7940U KR920001201Y1 (ko) 1989-06-08 1989-06-08 건물의 배연창 자동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7940U KR920001201Y1 (ko) 1989-06-08 1989-06-08 건물의 배연창 자동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872U KR910000872U (ko) 1991-01-23
KR920001201Y1 true KR920001201Y1 (ko) 1992-02-14

Family

ID=19286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7940U KR920001201Y1 (ko) 1989-06-08 1989-06-08 건물의 배연창 자동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120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764B1 (ko) * 1996-07-04 2004-03-1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파워윈도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872U (ko) 1991-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7214A (en) Damper blade actuating mechanism
US4348835A (en) Automatic door opening device
US5755468A (en) Power striker with over-ride capabilities
US20010055947A1 (en) Electric power modulated lead screw actuated dampers and methods of modulating their operation
KR101789664B1 (ko) 구동부 및 감속부를 개선한 창문 폐쇄 장치
CA1294295C (en) Safety mechanism for power operated door
US7194840B2 (en) Closure operator having a handle that rotates as the closure rotates
KR20180088107A (ko) 배연창 개폐장치
US5511284A (en) Door hold open device
KR920001201Y1 (ko) 건물의 배연창 자동개폐장치
JPS61130588A (ja) 開戸自動開閉装置
CA2211418A1 (en) Electrical window operator
EP0629762B1 (en) Compact window operator
EP0629763B1 (en) Counterbalanced window operator
GB2098475A (en) Damper blade actuating mechanism
EP0300992B1 (de) Brandschutzeinrichtung für Luftleitungen
KR920001200Y1 (ko) 건물의 배연창 자동 개폐장치
EP3241965B1 (en) Electric device for opening and automatically closing doors with flexible and rigid leafs
JP2544585Y2 (ja) 冷蔵庫等の自動開閉扉
JP3962819B2 (ja) ドア開放補助装置
JP2005105798A (ja) 横軸回動窓の換気システム装置
DE102006028876A1 (de) Vorrichtung zur Schließfolgeregelung für zweiflügelige Drehtüren
JPS63145864A (ja) 直線往復駆動ユニツト
KR100424971B1 (ko) 환기창의 자동 개폐장치
KR200322426Y1 (ko) 배연창의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2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