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176B1 - 무선 주파수 신호 강도 측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주파수 신호 강도 측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176B1
KR920001176B1 KR1019830003634A KR830003634A KR920001176B1 KR 920001176 B1 KR920001176 B1 KR 920001176B1 KR 1019830003634 A KR1019830003634 A KR 1019830003634A KR 830003634 A KR830003634 A KR 830003634A KR 920001176 B1 KR920001176 B1 KR 920001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signal
sample
selecting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3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078A (ko
Inventor
죠셉 맥러프린 마이클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빈센트 죠셉 로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빈센트 죠셉 로너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40006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 H04B7/080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single receiver and antenna switching
    • H04B7/08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single receiver and antenna switching comparing all antennas before re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 H04B7/080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single receiver and antenna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 Channel Selection Circuits, Automatic Tuning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선 주파수 신호 강도 측정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신호 강도 측정장치를 양호하게 이용할 수 있는 무선 통신방식의 블록다이아그램.
제2도는 본 발명의 신호 강도 측정장치를 포함하는 주사 수신기의 블록도.
제3도는 레일레이 페이딩의 영향을 받는 RF 신호 포락선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신호 강도 측정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121,131 : 기준위치제어기 150 : 전화 중앙사무소
140 : 제어 터미날
본 발명은 일반적인 무선 주파수(RF) 신호 강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일레이와 같은 신속하고도 급격한 페이딩영향을 받는 RF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개선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RF 신호 강도는 아날로그 측정계 또는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에 의해 측정된 다수의 샘플을 평균함으로써 결정된다. 상기의 결과로 얻어지는 신호강도는 RF 신호가 신속하고도 급격하게 페이딩에 영향을 받지 않는한 아주 정확하다. 그러나, RF 신호가 신속하고도 급격한 페이딩의 영향을 받으며 단지 소수의 신호 강도샘플이 얻어진다면, 급격한 페이드동안 측정된 신호 강도샘플은 계산된 평균 신호 강도와 큰 오차를 가질 것이다. 급격한 페이딩동안 취해지는 샘플효과는 비교적 긴 시간에 걸쳐 여러 샘플을 얻음으로서 다소 경감될 수 있다. 그러나, 레일레이 페이딩으로 인해 다른 여러 RF 신호 강도를 신속하게 측정해야 하는 무선방식에서, 약간의 신호 강도 샘플의 평균치는 심한 페이드동안 취해진 샘플에 의해 나타나는 오차에 의한 실제의 평균 신호 강도를 정확하게 나타낼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심하고 급속한 페이딩 영향을 받는 RF 신호 강도를 비교적 짧은 시간에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개선된 강도측정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는 여러 RF 신호 강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개선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간략하게 말하자만, 본 발명은 레일레이 페이딩의 영향을 받는 RF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측정 방법을 구체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측정 방법은 선정된 시간 간격에 걸쳐 RF 신호 강도를 N번 샘플하고 샘플된 신호 강도중 가장 큰 크기를 갖는 신호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N은 1보다 큰 정수이다. 크기가 가장 큰 샘플은 가장 정확한 신호 강도를 나타내게 된다. 왜냐하면 실제평균 신호 강도는 최대 신호 강도에 인접할뿐 아니라 레일레이 페이딩에 비교적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개선된 RF 신호 강도 측정하는 장치는 RF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선정된 시간간격에 걸쳐 수신된 RF 신호를 N번(N은 1보다 큰 정수를 나타냄) 샘플하는 회로와 샘플된 신호 강도중 가장 크기가 큰 신호를 선택하는 회로를 포함한다.
제1도는 1977년 2월 모토롤라 및 미국 무선전화 서어비스가 연방 통신위원회 회보 제18262호에 발표한 내용으로 출원된 실험적 구획 무선전화 방식과 최근 1982년 모토롤라사가 ″모토롤라 다이나택 구획 무선전화 방식″이란 제목으로 발표한 방식으로 미국 특허 공보 제3,663,762호와 제3,906,166호에 공개된 구획적 무선전화 통신방식을 설명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획 방식은 지리적으로 넓은 면적에 걸쳐 위치하는 이동식 및 휴대용 무선 전화에 적용시킬 수 있는 전화를 제공하게 된다. 휴대용 무선전화는 미국 특허 공보 제3,962,553호 및 3,906,116호와 래리 씨.풀등이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제어되는 무선전화 송수신기″라는 제목으로 1980년 9월 15일 자로 출원한 미국 특허출원 제187,304호에 실려진 형태를 가지며, 이동식 무선전화는 모토롤라 서어비스 출판부에 의해 간행된 모토롤라 기기 편람 번호 68 PB 1039 E25에 실려 있는 형태를 갖는다. 상기의 지리학적 면적은 셀(10),(20) 및 (30)으로 구획되며, 상기 각 셀은 기준 스테이션 라디오(111),(121) 및 (131)과 이와 관련되는 기준 위치 제어기(112),(122) 및 (132)를 포함한다. 기준 위치 제어기(112),(122) 및 (132)는 데이타 및 음성 링크에 의해 무선전화 제어 터미날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터미날은 미국 특허 공보 제3,663,762호, 제3,764,915호, 제3,819,872호, 제3,906,166호 및 4,268,722호 발표된 터미날과 유사하다. 상기 데이타 및 음성 링크는 도선, 펄스코드복조 반송선, 마이크로웨이브 무선 채널 또는 다른 적절한 통신링크에 의해 제공된다. 다시 말하자면, 제어 터미날(140)은 이동식 및 휴대용 무선전화와 지상 통신선 전화간의 전화호출을 실행시키기 위해 종래의 전화 중앙사무소(150)로 연결된다.
제1도에 도시된 각 기준 스테이션 라디오(111),(121) 및 (131)는 적어도 하나의 이중 신호 채널과 다수의 이중 음성 채널을 작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송신기와 수신기를 구비한다. 각 기준 스테이션(111),(121) 및 (131)은 모토롤라사의 모토롤라 서어비스 출판부에 의해 1982년 간행된 모토롤로 기기 편람 번호 68 P81060 E30에 실려 있는 형태를 갖는다. 기준 스테이션 라디오(111),(121) 및 (131)은 각 셀(10),(20) 및 (30)의 중앙에 위치한다. 기준 스테이션 송신기는 하나의 전방향성 안테나에 연결되는 반면, 기준 스테이션 수신기는 두방향 또는 그 이상의 방향 또는 전방향성 안테나에 상호 결합된다. 제1도에서, 기준 스테이션 라디오(111),(121) 및 (131)는 각각 6개의 60°부채꼴 안테나를 포함한다. 각 부채꼴 안테나는 기본적으로는 셀(20)의 구간(21)과 같이 일부셀을 커버하며 통례적으로는 인접한 섹터 안테나의 적용면적이 중첩되는 적용 면적을 포함한다. 신호 채널은 정방향 수신 양식을 취하게 되므로, 6부채꼴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플랭크 제이.세니 2세와 제임스 제이.마쿨스키가 ″동시적 송수신 부채꼴 안테나 방식″이란 제목으로 1979년 3월 22일자로 출원한 미국 출원번호 제22757호와 플랭크 제이.세니 2세가 ″최대 무선 변화 결합기용 넓은 동적영역 배율기″라는 제목으로 1981년 6월 1일자로 출원한 미국 출원번호 제268613호에 실려진 바와 같이 최대 무선 선치검출 변화 결합기에 의해 결합된다. 더구나 셀의 적용 영역은 2 또는 이 이상의 섹터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를 결합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에 언급된 섹터 안테나와 이에 관련되는 수신장치는 미국 특허 공보 제4,101,836호 및 4,317,229호에 공개된 형태를 갖는다.
이동식 또는 휴대용 무선전화가 어떤 셀(20)를 떠나 다른 셀(10) 또는 (30)으로 들어갈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할려면, 기준 위치 제어기(122)에 의해 이동식 또는 휴대용 무선전화의 신호 강도가 조정되어야 한다. 이동식 또는 휴대용 무선전화의 신호강도가 아주 약할때는 이동식 또는 휴대용 무선전화는 다른 셀에 위치한 기준위치제어기(112)(132)로 헤드 오프되어 어떤 셀의 이중 음성 채널로부터 다른 셀의 이중 음성 채널로 변환된다.
본 발명을 이용하므로써, 무선주파수의 세기는 휴대용 무선전화의 경우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어 특정 휴대용 무선전화는 이와 이루어지는 통신이 약한 신호조건에 의해 저하되거나 방해되기전에 핸드오프된다.
제1도의 구획 시스템에 이용된 무선 주파수 신호 주파수가 실제적으로 800mHz이기 때문에, RF 신호는 레일레이 페이딩으로 알려진 무작위하고, 심하고 급속한 페이딩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휴대용 무선전화기로부터의 RF 신호의 강도를 정확하게 결정하는 문제는 모니터를 필요하는 많은 수의 휴대용 무선전화가 존재한다는 사실뿐만이 아니라, 휴대용 무선전화로부터의 RF 신호가 레일레이 페이딩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때문에 복잡하다.
즉, 기준위치제어기(112),(122),(132)는 많은 수의 휴대용 무선전화로부터의 신호강도를 신속하고 정확히 측정하여 통신과정에서 원치않는 신호저하 및 방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므로써, 휴대용 무선전화로부터의 신호강도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은 예정시간 간격동안 최소한 두번 무선전화의 RF 신호의 강도를 샘플링하여 각각의 경우에 가장 큰 크기를 갖는 샘플된 신호 강도를 선택하므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제3도의 RF 신호 포락선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 무선전화기에 대한 피크신호강도는 피크신호강도가 평균신호강도와 비교적 비슷하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된다. 또한, 피크신호강도는 0점에서 취한 샘플을 포함하는 많은 신호강도샘플의 평균치보다 실질적인 평균신호강도에 더 접근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 주사 수신기는 각 기준 스테이션 라디오(111),(121),(131)의 부채꼴 안테나에 연결되어 각 셀(10),(20),(30)내의 각 이동 무선전화의 피크신호강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주사수신기를 도시한다. 주사수신기는 제1도의 기저국라디오(111),(121),(131)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제2도의 주사 수신기는 기저국 라디오의 6개의 부채꼴 안테나 각각에 연결된다. 주변 인테페이스 어댑터(PIA)에 의해 안테나 선택장치(102)에 인가된 2진 입력신호는 안테나 선택장치(102)가 6개의 부채꼴 안테나중의 선택된 하나가 수신기(104)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다. 부채꼴 안테나 및 안테나 선택장치(102)는 미합중국 특허 제4,101,836호와 제4,317,229호에 언급된 것처럼 종래 구성이 될 수 있다.
수신기(104)는 종래의 합성수신기로 이의 수신주파수는 PIA(108)에 의해 수신기(104)에 인가된 11비트 데이타 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11비트 데이타 신호는 PIA(108)로부터의 스트로브 신호에 의해 수신기(104)의 레지스터(도시되지 않음)내로 스트로브된다. 수신된 RF 신호의 순간적인 강도에 비례하는 수신기(104)로부터의 출력(즉 포락선 검출기의 출력과 같음)은 수신기 출력의 크기를 8비트 데이타신호로 변환시키는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ADC)에 연결된다. ADC(106)는 PIA(110)에 의해 제어되어 PIA는 시작신호를 ADC(106)에 인가하여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 처리를 시작하도록 한다. ADC(106)은 600KHz 발진기(112)에 연결되며 120ms내에 변환을 완성시킨다.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이 완성될때, 완성된 신호는 ADC(106)에 의해 PIA(110)에 인가된다. ADC(106)은 내쇼날 세미컨덕터 코포레이션에 의해 제조된 ADC 0803과 같은 종래의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이다.
제2도의 주사 수신기의 동작은 마이크로프로세서(114)에 의해 제어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모토롤라형 MC 6800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종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예정된 시간간격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제4도의 플로우챠트를 실행하여 각 셀내에서 모든 활성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신호강도를 측정한다. 제4도의 플로우챠트가 끝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각 휴대용 무선전화기에 대한 신호강도를 측정하여 저장하며 6개의 부채꼴 안테나가 각 활성 휴대용 무선전화기로부터 수신한 가장 강한 RF 신호를 결정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PIA(108)(110)과 ROM(116)과 RAM(118)과 데이타버스(124)를 경유하여 데이타 인터페이스(120)와 어드레스 버스(126)와 타이밍신호(128)과 상호 연결되어 있다. ROM(116)은 부록내의 서브루틴과 같은 활성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신호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서브루틴을 포함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RAM(118)은 제어프로그램 및 서브루틴의 실행동안 이용되는 스크래치 패드기억이다. 데이타 인터페이스(120)는 제2도의 주사 수신기와 제1도의 기저위치 제어기(112),(122),(132)내의 다른 처리 회로 사이에 종래의 데이타 링크를 제공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4), PIA(108),(110), ROM(116), RAM(118), 데이타 인터페이스(120)는 종래의 집적회로장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즉,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모토롤라형 MC 6800 마이크로프로세서이며, PIA(108),(110)는 모토로라형 MC 6821 주변 인터페이스 어댑터이며 ROM(116)은 모토로라형 MCM 68A 316 2Kx8ROM이며 RAM(118)은 두개의 모토로라형 MCM 2114 1Kx4RAM′S이며 데이타 인터페이스(120)은 모토로라형 MC 6850이나 MC 6852 데이타 어댑터이다.
제4도에는 제2도의 마이크로프로세서(114)에 대한 제어 프로그램의 플로우챠트가 도시되어 있다. 플로우챠트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모든 전송 주파수에서 주기적으로 실행된다. START 블럭(402)에서 입력되어 블럭(404)로 진행하며 활성주파수의 하나는 제2도의 수신기(104)로 로드된다. 다음, 블럭(406)에서 부록의 SCAN 서브루틴이 실행된다. SCAN 서브루틴은 가변 COUNT에 의해 결정된 각 부채꼴 안테나를 여러번 샘플하여 어드레스 IDAT에서 시작된 각 부채꼴 안테나에 대한 가장 큰 샘플을 저장한다. 이 주사는 각 부채꼴 안테나에 대해 신호 강도 측정치 사이에 임의 시간 다양성을 제공한다. 그후 블럭(408)에서는 가장 큰 샘플을 갖는 부채꼴 안테나는 어드레스 IDAT, IDAT+1, IDAT+2, IDAT+3, IDAT+4, IDAT+5에서 지정된 6개의 샘플을 비교하므로써 식별된다. 선택된 부채꼴 안테나 및 이의 샘플된 신호 강도는 특정 주파수상에서 동작되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와 관련된 위치내에 저장될 수 있다. 다음, 블럭(410)에서 모든 동작주파수가 주사되었는가에 대한 체크가 이루어진다. 만일 모든 동작 주파수가 주사되었다면, 긍정 브랜치가 RETURN 블럭(412)으로 취해지고 그렇지 않다면 부정 브랜치가 블럭(404)으로 취해진다음 동작 주파수를 주사한다.
요약하면, 비교적 짧은 주기동안 레일레이 페이딩 영향을 받는 RF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는 개선된 방법 및 장치가 설명된다. 본 방법 및 장치는 특히 구획 우선 전화시스템내에 이용하기 적합하며, 여기에서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신호강도를 신속하고 정확히 측정하여 이 신호가 무선전화기와 통신할때 각 구획에서 구획까지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부록]
아래의 테이블 I는 제4도의 플로우챠트내의 블럭(406)에 언급된 SCAN 서브루틴에 대한 프로그램을 나타낸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모토로라형 MC 6800 마이크로프로세서용 기억명령 I로 코드화 되어 있다. 이 기억명령은 적당한 어셈블리에 의해 기계코드 명령으로 어셈블된다. 모토로라형 MC 6800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기억명령 및 동작은 1977년에 발표된 모토로라세미클럭터 프로덕트 인코포레이티드로터 유용한 R.U사우던 처 ‘6800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래밍’에 자세히 언급되어 있다.
[테이블 I 주사 서브루틴]
이 서브루틴은 6개의 부채꼴 안테나로부터 신호 강도를 측정하여 각 안테나에 대한 가장 강한 값을 저장한다. 6개의 부채꼴 영역을 통해 25개의 주사가 얻어진다.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Claims (10)

  1. 레일레이 페이딩의 영향을 받으며 기하학적인 영역(10,20,30)내의 알려지지 않은 위치를 갖고 있는 다수의 원격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가장 강한 무선 주파수(RF)신호를 수신하여 여러 무선채널로 전송하는 다수의 안테나(각각의 안테나는 기하학적인 영역(10,20,30)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신호를 갖고 있는 수신수단(111,121,131)에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무선채널을 결정하는 방법이 (a) 상기 수신수단(104)을 순차적으로 무선채널 각각에 동조시키는 단계, 및 (b) 각각의 무선채널에 대하여 (i) 상기 수신수단을 선정된 순서로 각각의 안테나에 결합시키는 단계(404), (ii) 선정된 시간간격동안 각각의 안테나에 결합되는 동안 수신신호 출력신호를 N번 샘플링하는 단계(406), 여기서 N은 1보다 큰 정수임, (iii) 모든 안테나를 샘플링한 후에, N 샘플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모든 안테나에 대한 N 샘플중 어느 것의 크기보다도 더 큰 크기를 갖도록 안테나를 선택하는 단계(4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채널 결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선정된 시간후에 상기 단계(b)를 반복하는 단계(404,406,40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채널 결정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연속적인 선택된 시간간격으로 단계(b)를 반복하는 단계(404,406,40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채널 결정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단계(ii)는 수신수단 출력신호의 각 샘플을 디지탈형 샘플로 변환시키는 단계(40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채널 결정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단계(iii)는 각각의 안테나에 대한 가장 큰 샘플을 선택하는 단계(408)와, 무선채널상의 통신을 위해서 다른 모든 안테나의 가장 큰 샘플의 크기보다 더 큰 샘플을 갖고 있는 안테나를 선택하는 단계(40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채널 결정방법.
  6. 레일레이 페이딩의 영향을 받으며 기하학적인 영역(10,20,30)내의 알려지지 않은 위치를 각각 갖고 있는 다수의 원격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가장 강한 무선 주파수(RF)신호를 수신하여 여러 무선채널로 전송하는 다수의 안테나의 각 무선채널을 결정하는 장치(112,122,132)에서 상기 안테나의 각각은 기하학적인 영역(10,20,30)으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신호를 갖고 있는 수신수단(111,121,131)에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는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수단(104)을 순차적으로 무선채널의 각각에 동조시키는 수단(108)과, 각각의 무선채널에 대하여 상기 수신수단을 선정된 순서로 각각의 안테나에 결합시키는 수단(102,108)과, 각각의 무선채널에 대하여 선정된 시간간격동안 각각의 안테나에 결합되는동안 수신수단 출력신호를 N번 샘플링하는 수단(106,110)(여기서 N은 1보다 큰 정수임)과, 각각의 무선채널에 대하여 N 샘플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모든 안테나의 N샘플중 어느것의 샘플크기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 안테나를 선택하는수단(1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채널 결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수단(106,110)은 선정된 시간후에 각각의 안테나에 대한 수신신호 출력신호의 제2N샘플 세트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채널 결정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수단(106,110)은 연속적인 선정된 시간간격동안 각각의 안테나에 대한 수신수단 출력신호의 부가적인 N샘플 세트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채널 결정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수단(106,110)은 수신수단 출력 신호의 각 샘플을 디지탈형 샘플로 변환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채널 결정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114)은 각각의 안테나에 대한 가장 큰 샘플을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채널 결정장치.
KR1019830003634A 1982-08-03 1983-08-03 무선 주파수 신호 강도 측정 방법 및 장치 KR9200011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0512382A 1982-08-03 1982-08-03
US405123 1982-08-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078A KR840006078A (ko) 1984-11-21
KR920001176B1 true KR920001176B1 (ko) 1992-02-06

Family

ID=23602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3634A KR920001176B1 (ko) 1982-08-03 1983-08-03 무선 주파수 신호 강도 측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EP (1) EP0114890B1 (ko)
JP (1) JPS59501530A (ko)
KR (1) KR920001176B1 (ko)
AT (1) ATE26052T1 (ko)
AU (1) AU561186B2 (ko)
CA (1) CA1209210A (ko)
DE (1) DE3370422D1 (ko)
DK (1) DK163700C (ko)
FI (1) FI75958C (ko)
HK (1) HK97489A (ko)
IL (1) IL68987A (ko)
MX (1) MX153718A (ko)
NO (1) NO161890C (ko)
SG (1) SG57689G (ko)
WO (1) WO19840006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53971B (en) * 1984-10-30 1993-02-03 Secr Defenc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ionospheric sounding
DE3508285C1 (de) * 1985-03-08 1992-03-26 Siemens Ag Funkueberleitstelle fuer ein Mobilfunknetz
JPH0278331A (ja) * 1988-09-14 1990-03-19 Nec Corp 移動通信用送受信装置
DE69024386T2 (de) * 1989-03-15 1996-05-30 Nec Corp Vorrichtung zur Interferenzdetektion in einem digitalen beweglichen Kommunikationssystem
BR9105908A (pt) * 1990-10-01 1992-11-03 Motorola Inc Aparelho de transferencia de dados,sistema de radiotelefone digital e processo de responder a um evento de disparo simples
US5396224A (en) * 1991-11-22 1995-03-07 Hewlett-Packard Company Telemetered patient location system and method
CN108964738B (zh) * 2018-04-11 2021-09-28 莫志刚 一种用于轨道交通车地无线系统的车载天线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08349A (fr) * 1966-11-24 1968-01-05 Lannionaise D Electronique Soc Dispositif automatique de commutation d'antenne
US3564287A (en) * 1968-07-25 1971-02-16 Us Navy Maximum seeking zero order hold circuit
US3860872A (en) * 1970-02-05 1975-01-14 Pye Ltd Multiple receiver selection system
US3896375A (en) * 1974-02-06 1975-07-22 United Kingdom Government System for monitoring and indicating peak values of a time varying signal
US3973197A (en) * 1974-07-22 1976-08-03 Koehring Company Peak detector
FR2319905A1 (fr) * 1975-08-01 1977-02-25 Thomson Csf Dispositif de compression de bande et systeme radar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US4069455A (en) * 1976-11-11 1978-01-17 General Electric Company Arrangement for maintaining reception of a radio receiver on the stronger of two signals
FR2379820A1 (fr) * 1977-02-02 1978-09-01 Cit Alcatel Indicateur de puissance d'un signal
US4183087A (en) * 1978-03-07 1980-01-08 Hughes Aircraft Company Peak deviation sampling
JPS5630654A (en) * 1979-08-21 1981-03-27 Toyo Electric Mfg Co Ltd Peak value detection system
US4295099A (en) * 1979-09-05 1981-10-13 Honeywell Inc. Peak det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57689G (en) 1989-12-29
IL68987A (en) 1986-12-31
WO1984000653A1 (en) 1984-02-16
DK163700B (da) 1992-03-23
DK176784A (da) 1984-04-03
EP0114890B1 (en) 1987-03-18
FI841285A (fi) 1984-03-30
KR840006078A (ko) 1984-11-21
AU561186B2 (en) 1987-04-30
JPS59501530A (ja) 1984-08-23
DK176784D0 (da) 1984-04-03
DK163700C (da) 1992-08-10
FI841285A0 (fi) 1984-03-30
DE3370422D1 (en) 1987-04-23
ATE26052T1 (de) 1987-04-15
HK97489A (en) 1989-12-15
IL68987A0 (en) 1983-10-31
FI75958B (fi) 1988-04-29
FI75958C (fi) 1988-08-08
NO161890C (no) 1989-10-04
AU1942483A (en) 1984-02-23
NO161890B (no) 1989-06-26
EP0114890A1 (en) 1984-08-08
EP0114890A4 (en) 1984-10-11
CA1209210A (en) 1986-08-05
NO841285L (no) 1984-04-02
MX153718A (es) 1986-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931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strength of a radio signal frequency
US4654879A (en) Cellular mobile radio subscriber location detection
US6526279B1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a mobile terminal supporting mobile assisted signal strength measurements for a plurality of networks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US4608711A (en) Cellular mobile radio hand-off utilizing voice channel
US448548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duplex radio channels and scanning duplex radio channels assigned to mobile and portable radio telephones in a cellular radiotelephone communications system
KR100368704B1 (ko)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프 후보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US4751725A (en) VOX remote unit control in a cellular system
KR920001176B1 (ko) 무선 주파수 신호 강도 측정 방법 및 장치
KR920001177B1 (ko) 무선주파수 신호 제어방법 및 장치
US20050085230A1 (en) Circuit and method for producing a pilot strength measurement message
GB2409610A (en) Network acquisition in accordance with one of a plurality of radio access technologies
GB2369967A (en) Received signal measurement using a diversity antenna
GB2319142A (en) Base site selection in a cellular radio communication system
GB2302632A (en) A Method of Entering a Service State in a Weak Field
JPH02303236A (ja) 自動車電話方式
WO2000002405A1 (e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