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012Y1 - 테이프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재생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20001012Y1 KR920001012Y1 KR2019890013859U KR890013859U KR920001012Y1 KR 920001012 Y1 KR920001012 Y1 KR 920001012Y1 KR 2019890013859 U KR2019890013859 U KR 2019890013859U KR 890013859 U KR890013859 U KR 890013859U KR 920001012 Y1 KR920001012 Y1 KR 92000101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row
- magnetic head
- iron core
- gear
- operation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0—Manually-operated control; Solenoid-operated control
- G11B15/106—Manually-operated control; Solenoid-operated control mechanically operated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08—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Landscapes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인 테이프재생 장치의 사시도.
제2도 내지 제4도는 동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자기헤드 24 : 재생조작부재
28 : 계지기구 37 : 전자 플랜저
39 : 코일 40 : 가동 철심
46 : 연동부재
본 고안은 정지 상태에서 재생모드로의 이행과 재생모드에서 정지상태로의 이행을 단일한 전자플랜저에 의하여 행하도록 한 테이프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플랜저를 사용하여 모드전환을 행하도록 한 테이프 재생장치는 실공소 61 -38111호 공보등으로 이미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 종류의 장치는 정지 상태에서 재생 또는 녹음 모드로 이행시키기 위하여 2개의 전자 플랜저를 사용하고 이고 구성이 복잡하고 더구나 장치가 대형화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전자 플랜저로 직접 자기헤드를 착설한 헤드 착설판, 핀치롤러를 착설한 핀치롤러 지지부재, 및 리일받이 제동판 등를 이동시켜야 하는 구성이고 더구나, 재생 또는 녹음 동작중 계속하여 전자석에 통전해 두지 않으면 안되었기 때문에 전자플랜저로서는 대형인 대용량의 것이 필요하고, 이점에서도 장치가 대형화 되고 또한, 소비전력이 증대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모드 전환을 전자플랜저를 사용하여 행하는 것이면서 간단한 구성으로 소형화에 적합하고, 또한 소비전력도 적은 테이프 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재생조작 부재의 밀어넣은 위치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기동하는 테이프 구동용 모터의 회전력으로 자기 헤드 및 핀치롤러를 테이프 재생위치로 이동시켜서 상기 재생 조작부재를 계지기구에 의해 밀어넣는 위치에 계지하여 재생모드를 유지하도록한 테이프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기헤드의 위치에 따라서 회전 방향의 위치를 달라지게 하는 가동 철심 및, 통전으로 이 가동철심을 그 축심선에 따른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통전 정지에 의하여 이 가동 철심을 그 축심선에 따른 타방향으로 복귀시키는 코일을 가진 전자플랜저와, 상기 자기헤드가 정지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코일에의 순간적인 통전에 수반한 상기 가동철심의 일방향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재생 조작부재를 밀어 넣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자기헤드가 재생동작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코일에의 순간적인 통전에 수반한 상기 가동철심의 일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계지기구를 해제 동작시키고, 상기 재생조작부재에 대한 계지를 해제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자기헤드가 정지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전자플랜저의 코일에 순간적으로 통전하면, 가동철심이 그 축심선을 따른 일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이동에 연동하여 재생 조작부재가 연동부재에 의하여 밀어 넣는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재생동작이 설정된다.
또, 자기헤드가 재생동작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전자 플랜저의 코일에 순간적으로 통전하면, 가동철심을 자기헤드가 정지 위치에 있을때의 회전방향 위치와 다른 위치로 회전된 상태로 그 축심선에 따른 일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이동에 의하여 계지기구가 해제 동작되어서 재생 조작부재에 밀어 넣는 위치로의 계지가 해제 된다.
이하, 본 고안의 1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인 테이프 재생 장치의 사시도이고, 동도면중(1)은 헤드착설판으로서, 도시 아니한 기판의 상면에 화살표(A, B)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헤드 착설판(1)의 선단부 중앙과 후단부 양쪽에 각각 천설된 장공(21, 22, 23)이 상기 기판의 상면에 돌설된 가이드 축(31, 32, 33)에 이동 가능하게 감합되고, 이들 장공 (21-23)의 범위내에서 헤드 착설판(1)이 화살표(A, B)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헤드 착설판(1)의 후단부 중앙 상면에서는 자기헤드(4)가 착설되어 있다.
그리고, 헤드 착설판(1)이 화살표(A)방향으로 최대한 이동 하였을때, 자기헤드 (4)가 재생 위치로 되어서 도시하지 않은 테이프에 접촉된다.
또, 헤드착설판(1)이 화살표(B)방향으로 최대한 이동 하였을때, 자기헤드(4)가 테이프에서 떨어져서 정지위치로 된다.
헤드착설판(1)은 예를들면, 인장코일 스프링으로 된 복귀스프링(5)에 의하여 항상 화살표(B)방향 (정지위치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이 복귀 스프링(5)의 일단은 헤드 착설판(1)의 후단부 한쪽의 스프링 고정구멍 (6)에, 타단은 상기 기판의 상면에 돌설된 제1스프링 고정돌부(7)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상기 기판의 하면에는 결치기어(8)가 회전 가능하게 축지되어 있다.
이 결치기어(8)는 외주부 1개소에 결치부(8a)를 갖고 또한, 나머지 외주부 전체가 유치부(8b)로 되어 있다. 이 결치기어(8)의 유치부(8b)는 상기 기판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되어서 도시하지 않은 테이프 구동용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동기어 (9)와 맞물리고, 이 구동기어(9)의 회전력으로 결치기어(8)가 일방향(도면중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된다.
결치기어(8)의 상면에는 캠(10)이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 캠(10)은 결치기어(8)의 회전방향(화살표 (C)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향하는데 따라, 결치기어(8)의 회전 중심으로 부터의 거리가 점차 증가하는 소용돌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캠(10)의 결치기어(8)의 회전 중심으로 부터의 거리가 가장 짧은점(10a)과 가장 긴점(10b)간은 대략 지름방향에 따라 직선형상부(10c)로 연속되어 있다. 캠(10)에는 회동레버(11)에 돌설된 캠 섭접돌기(12)가 섭접되어 있다.
회동레버(11)는 평면 L자 형상을 이루고, 그 대략 중앙부가 결치기어(8)의 윗쪽에 위차하여 상기 기판의 하면에 화살표 (D, E)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지되어 있다.
회동레버(11)의 일측변(11a)의 대략 중간부 한쪽 가장자리에 상기 캠 섭접돌기 (12)가 돌설되어 있다. 회동레버(11)의 상면에는 토션스프링(13)이 장착되어 있다.
이 토션스프링(13)의 중앙 코일부(13a)가 회동레버(11)의 일측변(11a)의 대략 중앙 상면에 상방을 향하여 돌선된 제1스프링 고정돌기(14)에 고정되어 있다. 토션스프링(13)의 한쪽 스틱 형상부(13b)의 단부가 회동레버(11)일측변(11a)의 타측변 (11b)쪽 단부에 뚫어 설치된 스프링 고정공(15)에 고정되어 있다.
토션 스프링(13)의 다른쪽 스틱 형상부(13c)의 대략 중간부가 회동레버(11) 일측변(11a)의 타측변(11b)쪽 단부 다른쪽 가장자리에 상방을 향하여 돌설된 제2스프링 고정돌기(16)에 고정되어 있다.
토션스프링(13)의 다른쪽 스틱 형성부(13c)의 단부는 후방에서 헤드착설판 (1)의 후단쪽 하면 중앙에 하방을 향하여 돌설된 수압스틱(17)에 대향 시켜져 있다.
그리고 캠 섭접돌기(12)가 캠(10) 결치기어(8)의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짧은 점(10a)에 섭접될 때는 자기헤드(4)가 정지 위치에 있으나, 결치기어(8)의 회전에 수반한 캠(10)의 작용으로 회동레버(11)가 화살표(D)방향으로 회동 되므로서, 토션스프링(13)의 다른쪽 스틱 형상부(13c)가 수압스틱(17)을 전방으로 압압하고 헤드 착설판(1)이 복귀 스프링(5)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하여 캠섭접돌기(12)가 캠(10)의 결치기어(8)의 회전 중심으로 부터의 거리가 가장 긴점(10 b)에 섭접 되었을때에, 자기헤드(4)가 재생 위치로 된다.
회동 레버(11)는 헤드 착설판(1)의 복귀 스프링(5)의 탄지력이 헤드착설판(1 ), 수압스틱(17) 및 토션스프링(13)을 통하여 전달되므로서 화살표(E)방향으로 회동 탄지되어 있다.
결치기어(8)는 그 결치부(8a)가 구동기어(9)에 대항되는 위치에 있어서, 트리거 아암(18)으로 회전이 금지된다.
이 트리거 아암(18)은 그 대략 중간부가 결치기어(8)의 윗쪽에 위치하여 상기 기판의 하면에 화살표(F, G)방향으로 회동 자유롭게 축받이 되어 있다.
트리거 아암(18)의 일단부 하면에는 계합돌기(19)가 돌설 되어 있다.
이 계합돌기(19)는 회동레버(11)의 위치에 따라, 결치기어(8)의 상면 소정 개소에 설치된 제1, 제2계합부(20a, 20b)의 회전 궤도상에 택일적으로 유치하는 것이다.
트리거 아암(18)은 그 계합돌기(19)가 결치기어(8)의 계합부(20a)에 계합하는 방향, 즉, 화살표(F)방향으로 복귀 스프링(21)에 의하여 탄지되어 있다. 이 복귀 스프링(21)은 코일 스프링으로 되고, 그 일단부가 트리거 아암(18)의 타단부에 천설된 스프링 고정공(22)에, 또한 타단부가 후술하는 계지기구(28)를 구성하는 슬라이드판(2 9)의 상면에 돌설된 스프링 고정돌부(23)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트리거 아암(18)의 계합돌기(19)가 결치기어(8)의 계합부(20a, 20b)의 어느것에 계합되어 있을때에도 그 결치부(8a)가 구동기어(9)에 대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트리거 아암(18)은 재생조작부재(24)의 밀어 넣는 위치(화살표(H)방향)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복귀 스프링(21)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도면중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서, 그 계합돌기(19)를 결치기어(8)의 제1계합부(20a)의 회전궤도상에서 제2계합부(20b)의 회전궤도상으로 전위시키고, 돌기(19)가 제1계합부(20a)에서 빠져 제2계합부(20b)에 계합되기 까지 동안 결치기어(8)의 회전을 1회전 가까이에 걸쳐서 허용한다.
재생조작부재(24)는 상기 기판의 하면쪽에 위치하여 화살표(H, J)방향(헤드 착설판(1)과 동일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재생조작부재(24)는 세정판 형상의 주체(24a)의 한쪽 가장자리의 대략 중간부에 상방을 향해서 제1계합돌기(25)를 돌설함과 동시에, 주체(24a)의 한쪽 가장자리의 후단부 근방에 하방을 향하여 제2계합돌기(26)를 돌설하고, 또한 주체(24a)의 후단부에 상방을 향하여 계합벽(27)을 돌설하여서 된다. 그리고, 재생조작부재(24)가 화살표 (H)방향으로 밀어 넣어지면, 그 제1계합돌기(25)가 트리거 아암(18)의 타단부를 압압 하므로 이 트리거 아암(18)이 복귀스프링(21)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화살표(G)방향으로 회동된다.
재생조작부재(24)는 계지기구(28)에 의하여 밀어 넣는 위치(화살표(H)방향위치)에 계지된다.
계지기구(28)의 주요부는 슬라리드판(29)으로 된다. 이 슬라이드판(29)은 세장판재로 되고 결치기어(8)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상기 기판의 하면에 헤드착설판(1)의 이동방향과 직교 방향(도면중 화살표(K, L)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슬라이드판(29)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고 한쌍의 장공(301, 302)이 천설되고 이들 장공(301, 302)은 상기 기판의 하면에 돌설된 가이드축(311, 312)에 감합되고, 이들 장공(301, 302)의 범위내에서 슬라이드판 (29)이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슬라이드판(29)의 소정 개소에는 입구 부분에 경사부(32)를 설치한 계합홈(3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재생조작부재(24)의 제2계합돌기(26)가 슬라이드판(29)의 계합홈(3 3)에 계합함으로써 재생 조작부재(24)가 밀어 넣는 위치에 계지되고 재생모드가 유지된다.
슬라이드판(29)은 복귀 스프링(34)에 의하여 재생조작 부재(24)를 밀어 넣는 위치에 계지하는 방향 즉, 화살표(k)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이 복귀스프링(34)은 코일 스프링으로 되고, 그 일단부가 슬라이드판(29)의 한쪽 가장자리에 하방을 향하여 돌설된 스프링 고정돌기(35)에 또한 타단부가 상기 기판의 하면에 돌설된 제2스프링 고정돌기(36)에 각각 괘지되어 있다.
재생조작부재(24)의 밀어 넣는 위치로의 이동 및 재생 조작부재(24)의 밀어 넣는 위치에 있어서의 계지의 해제는 단일한 전자플랜저(37)에 의하여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이 전자 플랜저(37)는 케이싱(38)내에 배설된 코일(39)과, 이 코일(39)의 중심공(도시생략)내에 그 축심선에 따른 화살표(M, N)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고 또한 화살표(O, P)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 넣어진 원기둥 형상 가동 철심(40)으로 된다.
이 코일(39)에서 외방으로 연출되어 있는 가동철심(40)의 선단부에는 이것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압압스틱(41)이 관통 고정되어 있다.
가동철심(40)은 코일 (39)에 통전되는 것에 의하여 화살표(M)방향으로 끌어 들여지고, 코일(39)에의 통전을 정지하는 것에 의하여 복귀 스프링(42)에 의하여 화살표 (N)방향으로 돌출한다.
복귀 스프링(42)은 코일 스프링으로 되고, 그 일단부가 압압 스틱(41)의 상단에, 또한 타단부가 상기 기판의 하면에 돌설된 제3스프링 고정돌부(43)에 각각 고정 되어 있다.
또 가동철심(40)은 복귀 스프링(44)에 의하여 화살표(P)방향으로 회동 탄지되어 있다.
이 복귀 스프링(44)은 코일스프링으로 되고, 그 일단부가 압압 스틱(41)의 하단부 근방에, 또한 타단부가 상기 기판의 하면에 돌설된 제4스프링 고정돌부(45)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가동철심(40)의 압압스틱(41)의 하단부는 가동철심(40)의 회전방향의 위치에 따라 연동부재(46)또는 슬라이드판(29)에 택일적으로 계합 가능하게 된다.
연동부재(46)는 중앙부 수직벽(46a)의 상단 한쪽에 제1수평벽(46b)을, 또한 하단 한쪽에 제1수평벽(46b)과 직교방향을 향해서 제2수평벽(46c)을 각각 돌설하여서되고 수직벽(46a)의 상단면이 상기 기판의 하면에 화살표 (Q, R)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지되어 있다. 제1수평벽(46b)의 선단에는 수직상방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압압편(47)이 설치되고, 연동부재(46)가 화살표(R)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하여 압압편 (47)이 재생 조작부재(24)의 계합벽(27)을 전방으로 압압하여 이 재생 조작부재(24)를 화살표(A)방향으로 밀어 넣도록 된다.
제2 수평벽(46c)의 선단부에는 압압스틱(41)의 하단부와 계합 가능한 계합턱부 (4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복귀스프링(44)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가동철심(40)이 화살표(O)방향으로 회동 위치된 상태에서는 압압스틱(41)이 수직 상태로 되어서, 그 하단부가 계합턱부(48)에 대향하도록 된다.
이 상태로 코일(39)에 순간적으로 통전되므로서, 가동철심(40)이 복귀 스프링 (42)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화살표(M)방향으로 이동하면, 압압수틱(41)으로 연동부재 (46)가 화살표(R)방향으로 압압 회동되고, 재생조작부재(24)가 화살표(H)방향으로 밀어 넣어지는 것이다.
연동부재(46)는 복귀스프링(49)에 의하여 도면중 반시계방향 즉, 압압편(47)이 재생 조작부재(24)의 계합벽(27)에서 이간되는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이 복귀스프링(49)은 코일 스프링으로 되고, 그 일단부가 제2수평벽(46c)의 스프링 고정공(50)에, 또한 타단부가 상기 기판의 하면에 돌설된 제5스프링 고정돌부(5 1)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또, 복귀 스프링(44)의 탄지력으로 가동철심(40)이 화살표(P)방향으로 회동위치된 상태에서는 압압스틱(41)이 제3도와 같이 경사된 상태로 되어, 그 하단부가 슬라이판(29)의 단부에 설치한 계합턱부(29a)에 대향되도록 된다.
이 상태에서 코일(39)에 순간적인 통전됨으로서 가동철심(40)이 복귀 스프링 (42)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화살표(M)방향으로 이동하면, 압압스틱(41)으로 슬라이드판(29)이 복귀 스프링(34)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화살표(L)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그 계합홈(33)이 재생조작부재(24)의 제2계합돌기(25)에 대한 계지위치에서 이탈하도록 된다. 가동철심(40)의 회전방향 위치는 제어레버(52)로 제어된다. 이 제어레버(52)는 평면 L자 형상을 이루고, 그 중앙부가 상기 기판의 하면에 화살표(S, T)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지되어 있다.
제어레버(52)가 화살표(S)방향으로 회동 위치 될때, 그 일측변(52a)은 가동댈심(40)과 대략 평행 상태로서 압압 스틱(41)을 수직상태로 유지한다(복귀스프링(44)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가동철심(40)의 화살표(P) 방향으로의 회전을 금지시킨다. 또, 제어레버(52)가 화살표(T)방향으로 회동 위치되어, 그 일측변(52a)이 압압스틱(41)에서 이반되어 있을때는 가동철심(40)이 복귀스프링(44)의 탄지력으로 화살표(P)방향으로 회동한다.
제어레버(52)는 복귀 스프링(53)에 의하여 화살표(S)방향으로 회동 탄지되어 있다.
이 복귀 스프링(53)은 코일 스프링으로 되고, 그 일단이 제어레버(52)의 타측변 (52b)의 선단에 천설된 스프링 고정공(54)에, 또한 타단부가 상기 기판의 하면에 돌설된 제6스프링 고정돌부(55)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복귀스프링(53)에 의한 제어레버(52)의 화살표(S)방향으로의 회동 한계 위치는 그 타측변(52b)이 상기 기판의 하면에 돌설된 스토퍼스틱(56)에 당접되는 것에 의해 구제되어 있다.
제어레버(52)의 타측벽(52b)에는 직각 상방으로 돌출하는 당접벽(57)이 설치되고, 이 당접벽(57)에 대응하여 회동 레버(11)의 타측변(11b)의 선단 한쪽 가장자리에는 직각 하방으로 돌출하는 압압벽(58)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동 레버(11)가 화살표(D)방향으호 회동화여 자기헤드(4)가 재생위치로 이동하는데 수반하여 회동레버(11)의 압압벽(58)이 제어레버(52)의 당접벽(57)을 압압하므로서, 이 제어레버(52)가 복귀스프링(53)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화살표(T)방향으로 회동된다.
재생조작부재(24)의 계합벽(27)에는 이 재생용 누름보턴(59)에 설치된 계합홈 (59a)이 계합되어 있다.
이 누름보턴(59)은 상기 기판에 축(60)을 통하여 화살표(U, V)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누른보턴(59)을 압압하여 화살표(V)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하여서도 재생조작부재(24)를 화살표(H)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이것을 밀어 넣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재생조작부재(24)는 도시없는 복귀 스프링에 의하여 복귀 방향(화살표(J)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또한, 재생조작부재(24)의 밀어 넣는 위치 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자기헤드(4)와 함께 도시없는 핀치롤러가 테이프 재생위치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테이프 재생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정지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즉, 헤드착설판(1)은 복귀스프링(5)에 의해 화살표(B) 방향으로 탄지되도, 자기헤드(4)를 정지 위치에 유지하고 있다.
또, 회동레버(11)가 화살표(E) 방향으로 회동 위치하여, 그 캠 섭접돌기(12)가 캠(10)의 결치기어(8) 회전 중심으로 부터의 거리가 가장 짧은점(10a)에 섭접 위치하고, 회동레버(11)은 압압벽(58)은 제어레버(52)의 당접벽(57)에서 이반되어 있다.
또, 결치기어(8)의 결치부(8a)가 구동기어(9)에 대향하는 상태로, 결치기어 (8) 제1계합부(20)에 트리거 아암(18)의 계합돌기(19)를 계합시키고 있다.
또, 재생조작부재(24)는 화살표(J)방향으로 이동된 복귀 위치에 있고, 슬라이드판(29)은 화살표(K) 방향으로 이동된 위치에 있어, 연동부재(46)의 압압편(47)이 재생 조작부재(24)의 계합벽(27)에서 이반되어 있다.
또, 제어레버(52)의 제1측벽(52a)이 압압스틱(41)에 당접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가동철심(40)은 압압스틱(41)이 수직상태로 되는 화살표(0) 방향 회동 위치에 유지되어 이 압압스틱(41)의 하단부가 연동부개(46)의 계합턱부(48)에 대향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정지 상태에 있어서, 전자플랜저(37)의 코일(39)이 순간적으로 통전되면, 가동철심(40)의 복귀스프링(42)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화살표(M)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수반하여 압압스틱(41)의 하단부에 의하여 연동부재(46)의 제2수평벽(46c)의 선단이 계합턱부(48)가 압압되므로, 이 연동부재(46)가 복귀스프링(49)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화살표(R)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연동부재(46)의 회동에 의하여 그 제1수평벽(46b) 선단의 압압편(47)이 재생조작부재(24)의 계합벽(27)을 밀기 때문에 이 재생조작부재(24)가 화살표(H) 방향으로 이동하고, 누름보턴(59)은 화살표(V) 방향으로 회동한다.
재생조작부재(24)의 화살표(H) 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그 제2계합돌기 (26)가 슬라이드판(29)의 경사부(32)에 섭접하고, 슬라이드판(29)을 복귀스프링(3 4)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화살표(L) 방향으로 일단 이동시킨후, 제2계합돌기(26)가 경사부(32)를 타고 넘으면, 슬라이드판(29)의 화살표(K) 방향으로의 복귀에 의하여 제2계합돌기(26)가 계합홈(33)에 계지된다.
또한, 연동부재(46)은 복귀 스프링(49)의 탄지력으로 전자플랜지(37)로의 동전 정지와 동시에 화살표(ℓ) 방향으로 회동 복귀하지만 재생조작부재(24)는 계지기구 (28)에 의하여 그대로 밀어 넣는 위치에 멈추어 진다.
또, 재생조작부재(24)의 화살표(H) 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제1계합돌기 (25)가 트리거 아암(18)을 압압하기 때문에 이 트리거 아암(18)이 복귀 스프링(21)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화살표(G) 방향으로 회동하여 그 계합돌기(19)가 결치기어(8)의 제1계합부(20a)에서 분리되고, 제2계합부(20b)의 회전 궤도상으로 이동한다(제2도의 상태).
이에 수반하여 결치기어(8)는 도시없는 초기 회전력 부여 수단에 의하여 초기 회전력이 주어져 있기 때문에 그 유치부(8b)가 구동기어(9)에 맞물릴때까지 화살표 (C) 방향으로 회전한다.
유치부(8b)가 구동기어(9)에 맞물린 후는 이 구동기어(9)의 회전력으로 화살표 (C)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결치기어(8)의 이전에 수반하여 이것과 일체로 형성된 캠(10)의 작용으로 회동레버(11)가 화살표(D)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 회동에 수반하여 토션스프링(13)에 의하여 수압스틱(17)이 압입되기 때문에 헤드 착설판(1)이 복귀 스프링(5)의 탄자력에 저항하여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결치기어(8)가 최기위치(제1도에 표시하는 위치)에서 화살표(C) 방향으로 1회전 가까이 회전하여 회동레버(11)의 캠 섭접돌기(12)가 캠(10)의 결치기어 (8)의 회전 중심으로 부터의 거리가 가장 긴점(10b)에 섭접 위치 되었을때, 헤드 착설판(1)이 화살표(A) 방향으로 최대한 이동되어서 자기헤드(4) 및 핀치롤러를 모두 재생위치에 위치시킨다.
이 상테에 있어서는 결치기어(8)의 결치부(8a)가 재차 구동기어(9)와 대향되고, 더구나 트리거 아암(18)의 계합돌기(19)가 결치기어(8)의 제2계합부(20b)에 계합되는 것에 의하여 결치기어(8)의 회전이 금지되어 진다.
또, 회동레버(11)의 회동에 수반하여 그 압압벽(58)이 제어레버(52)의 당접벽 (57)을 압압하기 때문에 이 제어 레버(52)가 복귀 스프링(53)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화살표(T) 방향으로 회동하여 그 일측변(5a)이 압압 스틱(41)에서 이반된다.
이에 따라, 압압스틱(41)과 일체로 가동철심(40)이 복귀 스프링(44)의 탄지력으로 화살표(P) 방향으로 회동되어서 압압스틱(41)이 연동부재(46)의 계합턱부(48)의 대향 위치에서 분리되어 경사진 상태로 되어서 그 하단부가 슬라이드판(29)의 계합턱부(29a)에 대향된다(제3도의 상태).
이와 같이 하여 재생동작이 개시 되는데, 이것을 정지시키려면 한번 더 전자플랜지(37)를 통전하면 된다.
즉, 재생모드에 있어서는 압압스틱(41)의 하단부가 제3도와 같이 계합턱부 (29a)에 대향되어 있으므로 전자플랜저(37)의 코일(39)에 순간적으로 통전하면, 가동철심(40)이 화살표(M) 방향으로 이동할시에 압압스틱(41)의 하단으로 계합턱부(29 a)를 압압하고 슬라이드판(29)을 복귀 스프링(34)에 저항하여 화살표(L)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문에, 제4도와 같이 슬라이드판(29)의 계합홈(33)에서 재생조작부재(2 4)의 제2계합돌기(26)가 분리되고, 다음순간, 재생조작부재(24)가 도시 없는 족귀 스프링의 탄지력으로 화살표(J) 방향으로 복귀하고, 누름보턴(59)도 화살표(U) 방향으로 회동 복귀한다.
재생조작부재(24)의 정지 위치로의 복귀에 수반하여 그 제1계합돌기(25)가 트리거 아암(18)에서 이반되기 때문에 이 트리거 아암(18)은 복귀 스프링(21)의 탄지력으로 화살표(F) 방향으로 회동하고, 그 계합돌기(19)가 결치기어(8)의 제2계합부(20 b)에서 분리되어 제1계합부(20a)의 회전궤도상으로 이동한다.
그리하면, 결치기어(8)는 상술한 초기 회전력 부여 수단에 의하여 화살표(C)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기 때문에 동방향으로 조금 회전하고 이에 의하여 회동레버(11)의 캠 섭접돌기(12)가 캠(10)의 직선 형상부(10c)를 통하여 결치기어(8)의 회전 중심으로 부터의 거리가 가장 짧은 점(10a)으로 바로 낙하한다.
즉, 회동레버(11)가 화살표(E) 방향으로 급속 회동하고 이에 수반하여 헤드 착설판(1)이 복귀 스프링(5)의 탄지력으로 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하여, 자기헤드(4) 및 핀치롤러 모두 정지 위치로 복귀시킨다.
또, 캠 섭접돌기(12)가 캠(10)의 결치기어(8) 회전중심으로 부터의 거리가 가장 짧은점(10a)에 섭접하게 되고, 동시에 트리거 아암(18)의 게합돌기(19)가 결치기어(8)의 제1계합부(20a)에 계합되는 것에 의하여 이 결치기어(8)의 회전이 그 위치에서 금지된다.
또 회동레버(11)가 화살표(E) 방향으로 회동하는데 수반하여 제어레버(52)가 복귀 스프링(53)의 탄지력으로 화살표(S) 방향으로 회동 복귀하고, 그 일측변(52a)에서 압압 스틱(41)을 수직상태로 밀어 복귀 시키고, 가동철심(40)을 복귀 스프링(44)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화살표(0) 방향으로 회동 복귀 시키고, 압압스틱(41)의 하단이 연동부재(46)의 계합턱부(48)에 대향하여 제1도에 표시하는 정지상태로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테이프 재생장치는 재생조작 부재의 밀어 넣는 위치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기동하는 테이프 구동용 모터의 회전력으로 자기헤드 및 핀치롤러를 테이프 재생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재생조작부재를 계지기구에 의하여 밀어 넣는 위치에 계지하여 재생모드를 유지하도록 한 테이프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기헤드의 위치에 따라서 회전방향의 위치를 달라지게 하는 가동철심 및 통전에 의하여 이 가동철심을 그 축심선에 따른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통전 정지로 이 가동철심을 그 축심선에 따른 타방향으로 복귀 시키는 코일을 가진 전자플랜저와, 상기 자기헤드가 정지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코일의 순간적인 통전에 수반한 상기 가동철심의 일방향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재생조작부재를 밀어 넣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자기헤드가 재생동작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코일의 순간적인 통전에 수반한 상기 가동철심의 일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계지기구를 해제 동작시키고, 상기 재생조작부재에 대한 금지를 해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모드 전환을, 전자플랜저를 사용하여 행하는 것이면서도 간단한 구성으로 수행하여 소형화에 적합하고, 또한 소비전력도 적은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Claims (1)
- 재생조작부재(24)의 밀어 넣는 위치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기동하는 테이프 구동용 모터의 회전력으로 자기헤드(4) 및 핀치롤러를 테이프 재생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재생조작부재를 계지기구(28)에 의하여 밀어넣는 위치에 계지하여 재생모드를 유지하도록 한 테이프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기헤드(4)의 위치에 따라서 회전방향의 위치를 달라지게 하는 가동철심(40)의 통전에 의하여 이 가동철심(40)을 그 축심선에 따른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통전 정지에 의하여 이 가동철심(40)을 그 축심선에 따른 타방향으로 복귀시키는 코일(39)을 가진 전자플랜저(37)와, 상기 자기헤드(4)가 정지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코일(39)로의 순간적인 통전에 수반한 상기 가동철심 (40)의 일방향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재생조작부재(24)를 밀어 넣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동부재(46)를 구비하고, 상기 자기헤드(4)가 재생동작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코일(39)의 순간적인 통전에 수반한 상기 가동철심(40)의 일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계지기구(28)를 해제 동작시켜서 상기 재생동작부재(24)에 대한 계지를 해제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재생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90013859U KR920001012Y1 (ko) | 1989-09-23 | 1989-09-23 | 테이프 재생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90013859U KR920001012Y1 (ko) | 1989-09-23 | 1989-09-23 | 테이프 재생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06274U KR910006274U (ko) | 1991-04-24 |
KR920001012Y1 true KR920001012Y1 (ko) | 1992-02-08 |
Family
ID=19290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90013859U KR920001012Y1 (ko) | 1989-09-23 | 1989-09-23 | 테이프 재생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20001012Y1 (ko) |
-
1989
- 1989-09-23 KR KR2019890013859U patent/KR92000101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06274U (ko) | 1991-04-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S63313337A (ja) | 磁気テープカセット装置 | |
KR920001012Y1 (ko) | 테이프 재생장치 | |
US4591932A (en) | Auto-reverse mechanism for tape recorders | |
US4799116A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uto-reverse tape recorder having a mode-changing mechanism | |
JPS6029079Y2 (ja) | カセット式記録再生装置のカセットエジェクト防止装置 | |
JPH0418097Y2 (ko) | ||
JPH0743791Y2 (ja) | テープレコーダ装置 | |
KR100427358B1 (ko) |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가이드장치 | |
JPS6325535Y2 (ko) | ||
US4030134A (en) | Apparatus for turning rotor for each desirable angle by driving force of capstan drive system | |
JPH039139Y2 (ko) | ||
JP2935120B2 (ja) | テーププレーヤ | |
JPH05973Y2 (ko) | ||
JPH0433564Y2 (ko) | ||
JPH0548250Y2 (ko) | ||
JP2583847Y2 (ja) | カセットホルダロック機構 | |
JPS6316033Y2 (ko) | ||
JPH0337170Y2 (ko) | ||
JPH0249006Y2 (ko) | ||
JPH0337160Y2 (ko) | ||
JPS6052493B2 (ja) | テ−プレコ−ダのカセット排出装置 | |
JPS609940Y2 (ja) | テープレコーダの自動切換装置 | |
JPS6143774B2 (ko) | ||
JPS6141140Y2 (ko) | ||
KR100194445B1 (ko) | 테이프 레코더의 모드 전환 기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