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955Y1 - 관로구 방수관 - Google Patents

관로구 방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955Y1
KR920000955Y1 KR2019900000170U KR900000170U KR920000955Y1 KR 920000955 Y1 KR920000955 Y1 KR 920000955Y1 KR 2019900000170 U KR2019900000170 U KR 2019900000170U KR 900000170 U KR900000170 U KR 900000170U KR 920000955 Y1 KR920000955 Y1 KR 9200009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duct
lid
pipe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01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4419U (ko
Inventor
양석화
Original Assignee
양석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석화 filed Critical 양석화
Priority to KR20199000001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955Y1/ko
Publication of KR9100144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44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9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955Y1/ko

Links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관로구 방수관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조립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접합 후랜지를 해체하고 뚜껑을 나착시킨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고정후랜지를 분리케 구성된 방수관의 분해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조립상태에서 접합 후랜지를 해체하고 뚜껑을 나착시킨 분해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시공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본 고안은 지중에 매설되는 케이블을 연결 배선하는 배선 닥트내로 배선시키고져 닥트벽을 관통케 하는 관로구 방수관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후랜지를 방수관과 분리식으로 성형 설시하고 접합후랜지도 분리식으로 성형하므로서 필요시에 뚜껑을 나착 밀봉케 구성하여 되는 것이다.
종래의 방수관을 접합후랜지와 고정후랜지가 고정식으로 되어 있어 운반 취급은 물론 지중에 매설시공시에도 매우 불편하였음을 경험하였을 것이다.
또한 뚜껑을 사용하기가 곤란하여 접합후랜지에 덮개판을 덧데어 놓고 조임볼트로 조여 주어야만 밀봉할 수가 있어 닥트내에 매설할때 투입되는 세멘몰탈의 투입을 방지할 수가 있었으므로 일일히 조임볼트와 너트를 조이거나 풀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야기되었던 것이다.
또한 일본 공개실용신안 공고 소 55-171783호와 같은 ″냉난방 배관용 벽면 통과 스리브″와 같은 것은 벽면을 통과하는 통부분에 누수방지를 위하거나 시공후 이탈방지를 위한 후랜지의 구성이 전혀 없어 이는 누수의 위험이 없는 평범한 지면의 건축물 벽면에 매설 시공케 한 것이므로 누수의 위험이 야기되는 곳에는 사용이 불가능 했음을 확인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시정하고져 제안된 것으로서 접합 후랜지를 나착 조립식으로 구성하므로서 닥트내에 매설코져 할때에는 접합 후랜지를 해체시킨 다음 뚜껑을 나착밀봉시켜 사용토록 하고 고정후랜지가 분리식으로 되어 있어 닥트를 성형시킬 때 고정후랜지가 닥트의 벽체 중시부에 위치케 결착관을 매설시공하므로서 현장에서는 관로구 방수관과 연결관만 연결시공하면 간편히 실시할 수 있게 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고정후랜지(5)의 상하부에 나착부(6)(6′)를 가진 결착관(7)(7′)을 설하여 하측은 관로구 방수관(1)의 상단 나착부(2)가 결착케 하고 상측은 상하단에 나착부 (8)(8′)를 가진 연결관(9)의 하단 나착부(8′)가 결착케 하고 상단 나착부(8)는 접합후랜지(3)와 뚜껑(4)이 나착 결합케 실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10은 닥트, 11은 닥트커버를 표시한다.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고정후랜지(5)가 분해 조립식을 되어 있어 닥트(10)를 성형할때, 고정후랜지(5)와 결착관(7)(7′)만 매설되게 하고 접합후랜지(3) 대신 뚜껑(4)을 나착 밀봉시킨 상태에서 매설시공하여 주므로 매설시공중 관로구 방수관 내로 투입되려는 세멘몰탕등의 투입을 방지하게 되어 시공이 간편하게 되며 일단 매설시공 후에 뚜껑(4)을 해체하고 접합후랜지(3)와 관로구 방수관(1)을 각각 연결시공하면 되므로 그 시공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되는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효과를 제공케 되는 것이다.

Claims (1)

  1. 고정후랜지(5)의 상하부에 나착부(6)(6′)를 가진 결착관(7)(7′)을 설하여 하측은 관로구 방수관(1)의 상단 나착부(2)가 결착케하고 상측은 상하단에 나착부 (8)(8′)를 가진 연결관(9)의 하단 나착부(8′)가 결착케하고 상단 나착부(8)는 접합후랜지(3)와 뚜껑(4)이 나착 결합케 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방수관.
KR2019900000170U 1990-01-10 1990-01-10 관로구 방수관 KR9200009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0170U KR920000955Y1 (ko) 1990-01-10 1990-01-10 관로구 방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0170U KR920000955Y1 (ko) 1990-01-10 1990-01-10 관로구 방수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4419U KR910014419U (ko) 1991-08-31
KR920000955Y1 true KR920000955Y1 (ko) 1992-02-06

Family

ID=19295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0170U KR920000955Y1 (ko) 1990-01-10 1990-01-10 관로구 방수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95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4419U (ko) 199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0376A (en) Plastic electrical box for installation in poured concrete
US4538837A (en) Anti-corrosion pipe apparatus
US5816510A (en) Grinder pump station
KR920000955Y1 (ko) 관로구 방수관
KR200216512Y1 (ko) 조립식 관로구
KR20090011547A (ko) 관 이음장치
KR920007348Y1 (ko) 분해식 매립 고정관을 가진 관로구 방수관
KR200142612Y1 (ko) 분기 지관 이음 소켓 부착장치
KR100372316B1 (ko) 방수용 조립식 지중 전력관로 이음장치
JPH0133901Y2 (ko)
JPH0133899Y2 (ko)
JP2600849Y2 (ja) 管路口防水装置の取付構造
JPS5917983Y2 (ja) 地下式メ−タボックスユニット
JPS6135830Y2 (ko)
KR101046543B1 (ko) 지중맨홀의 관로구에 이음관의 결합구조
JP2001115536A (ja) 継ぎ手構造
JPH0133900Y2 (ko)
KR20120037090A (ko) 지중매설관용 이음관
KR200224190Y1 (ko) 하수관의 가지관 접합구조
JPS643910Y2 (ko)
DK1129313T3 (da) Trækrør til opbygning af et system til transport under vand af fluid, energi eller signaler
KR200148351Y1 (ko) 전선 보호관의 이음장치
IE46680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inspection chambers
JPH0326766Y2 (ko)
KR960009792Y1 (ko) 하수도관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3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