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837Y1 - 급지 장치 - Google Patents

급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837Y1
KR920000837Y1 KR2019880012107U KR880012107U KR920000837Y1 KR 920000837 Y1 KR920000837 Y1 KR 920000837Y1 KR 2019880012107 U KR2019880012107 U KR 2019880012107U KR 880012107 U KR880012107 U KR 880012107U KR 920000837 Y1 KR920000837 Y1 KR 9200008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aper feeding
feeding unit
paper
apparatus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21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251U (ko
Inventor
쮸우시 렌부쓰
Original Assignee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filed Critical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32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2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8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8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급지 장치
도면은 어느것이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
제1도는 본 고안의 외관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단면도.
제3도와 제4도는 본 고안을 각각 서로 다른 반대 방향에서 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치 본체 10 : 샤프트
11 : 급지 유니트 12 : 샤시
13 : 凹부 14 : 장공
16 : 나사구멍 23 : 커버
24 : 나사 25 : 관통구멍
본 고안은 프린터, 인쇄기, 전자 복사기등의 급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급지 유니트가 장치 본체에 대하여서 수평방향에서 장착되는 급지장치는 본원 출원인이 기히 제한하고 있다(실원소 60-162252호 참조).
이 급지 장치는 장치 본체내에 급지 유니트의 삽박(揷 )방향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연재(延在)하는 고정레일이 고설되며, 이 고정 레일상에 가동레일이 접동이 자재롭게 장착되며, 이 가동레일 상에 위치 조정부재에 의하여 급지 유니트가 장착되어 있으며, 전기한 가동레일 및 급지 유니트는 각각 전기한 위치 조정부재에 대하여서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나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같이 종래의 기술에서는 급지유니트를 장치 본체에서 인출한 상태로 장치 본체에 대한 급지유니트의 위치결정(약간조정)을 할 필요가 있었다.
그런데, 장치본체에서 급지 유니트를 인출하면, 안정상의 점에서 전원이 차단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조정할때마다 급지 유니트를 장치 본체내에 밀어넣어 동작시켜서 위치결정되었나 안되었나를 확인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동작시키면서 조정할 수 없으며, 작업능률의 향상을 기할 수가 없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장치본체내에 급지유니트의 장착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서 또한 수평방향으로 연재하는 샤프트가 고설되며, 급지유니트에서 전기한 샤프트에 계합할 수 있는 凹가 형성됨과 동시에 샤프트의 연재방향과 동일방향으로 길게 연재하는 장공이 개설되어 있으며, 장치 본체의 급지 유니트가 장착되는 측면에 커버가 장착되며, 그 커버의 전기한 급지유니트의 장공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그 장공을 삽통하여 장치 본체에 나입되는 나사가 삽통될 수 있는 관통공이 뚫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장치로서 장치 본체에 대한 급지유니트의 장착위치를 약간 조정(샤프트와 평행인 방향의 조정)하는 데에는 커버의 관통공에 삽통되어 있는 나사를 느슨하게하며, 전기한 급지유니트만을 좌우로 약간 움직여 줌으로서 급지 유니트를 외부에 인출할 필요가 없으며, 급지 동작을 시키면서 약간 조정을 행할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도면에 따라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은 어느 것이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전자복사기의 급지장치를 한 것으로 (1)은 복사기 본체이며, 그 상면에 원고대(2)와 원고커버(3)가 장착되며, 내부에 원고를 노광하기 위한 노광광학계(4)와 감광체드럼(5), 또한 현상장치(7)와 전사용 코로트론(8)등의 복사구조 부품이 구비되어 있다.
전기한 전사용 코로트론(8)의 급지방향에 따라 상류측에 본고안인 급지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이 급지장치의 본체는 전기한 복사기 본체(1)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장치 본체(1)의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평행인 측벽(9)사이에, 수평방향에 연재하는 원주상의 사프트(10)가 고설되어 있다.
급지유니트(11)는 전기한 측벽(9)에 평행인 면과 직교하는 면을 가지는 샤시 (12)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전기한 평행면의 선단부에는 전기한 샤프트(10)에 계합할 수 있는 凹부(13)가 각설되어 있다.
또, 직교하는 면에서 샤프트(10)의 연재방향과 평행인 방향에 길게 연재하는 장공(14)이 천설됨과 동시에 장치 본체(1)의 방향에 돌출하는 돌기(15)가 형설되어 있다.
또, 장치본체(1)의 전기한 장공(14)에 대응하는 부위에 나사구멍(16)이 천설됨과 동시에 전기한 돌기(15)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전기한 장공(14)과 동일한(17)이 뚫어져 있다.
급지 유니트(11)에는 2쌍의 급지 로울러(18)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급지로울러(18)의 하부에 각각 급지카세트(19)가 착탈자재롭게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기한 급지로울러(18)의 하류 측에는 상하방향에 요동 할 수 있는 가이드(2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이 가이드(20)의 하류측의 장치본체(1)측에 급지로울러(18)에 의하여 급송되어온 용지(21)를 일단 정지시킨후 재차 급송하기 위한 레지스터 로울러 짝(22)이 설치되어 있다.
또 장치 본체(1)의 급지 유니트(11)이 장착되는 측면에는 풀러스틱제의 커버 (23)가 고착되어 있다. 이 커버(23)의 전기한 장치 본체(1)의 나사구멍(16)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이 나사구멍(16)에 나입되는 나사(24)의 머리부가 삽통할 수 있는 관통구멍(25)가 뚫어져 있다.
그리고, 급지 유니트(11)를 장치 본체(1)에 장착하는 데에는 먼저 급지유니트 (11)를 상류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장치 본체(1)에 삽입하면, 샤시(12)의 凹부(13)를 샤프트(10)에 계합시켜서 고정한다. 이어서 전기한 나사(24)를 나사구멍 (16)에 나입하여서 가볍게 저지토록한다.
그렇게하면 전기한 돌기(15)는 장치 본체(1)측의 장공(17)에 삽입계합되며, 상하 방향의 위치 결정을 하게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커버(23)를 도시하지 않는 나사로서 장치 본체(1)에 고착한다.
이와같이 하여서 급지유니트(11)를 장치 본체(1)에 저지한 상태에서, 전자복사기를 동작시켜, 용지(21)의 진행방향으로 향하여 좌우측이 정확하게 위치 결정되어 있는 것이 확인 되려면 저지되어 있는 나사(24)를 그 상태에서 더욱 진착되도록 조여 주면 좋다.
그러나, 용지(21)의 좌우측이 정확하게 위치 결정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전자복사기를 동작시키면서, 작업자가 전기한 급지카세트(19)등을 잡아주면서, 급지유니트(11)를 전기한 샤프트(10)의 연재방향과 평행인 방향으로 약간 움직여 주면서 정확하게 위치 결정이 된것이 확인된 때에, 전기한 나사(24)를 더욱 고착 되도록 조여 주면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23)의 관통구멍(25)이 나사(24)의 머리부보다 큰 지름이므로 커버(23)는 이 나사(24)에 의하여 단단히 죄일 수 없으며, 커버(23)를 장치 본체(1)에 고착한 상태에서 전기한 급지유니트(11)를 약간 조정할 수 있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급지유니트를 장치 본체에서 인출함이 없이 그 장치 위치를 약간 조정하는 작업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장치를 동작시키면서 약간의 조정작업을 이행할수 있으므로 간편한 조정작업을 능률적으로 행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급지유니트(11)가 장치 본체(1)에 대하여서 수평방향에서 정작되는 급지 장치에 있어서, 장치 본체(1)내에 전기한 급지유니트(11)의 장착방향에 대하여서 직교하는 방향에서 또한 수평방향으로 연재하는 샤프트(10)가 고설되며, 급지유니트(11)에는 전기한 샤프트(10)에 계합할 수 있는 凹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샤프트(10)의 연재방향과 동일방향으로 길게 연재하는 장공(14)이 개설되어 있으며, 장치 본체(1)의 급지유니트(11)가 장착되는 측면에 커버(23)가 장착되며, 그 커버(23)의 전기한 급지유니트 (11)의 장공(14)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그 장공(14)을 삽통하여서 장치 본체(1)에 나입되는 나사(24)가 삽통될 수 있는 관통구멍(25)이 뚫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장치.
KR2019880012107U 1987-07-29 1988-07-27 급지 장치 KR92000083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7116189U JPS6421141U (ko) 1987-07-29 1987-07-29
JP(??)62-116189 1987-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251U KR890003251U (ko) 1989-04-12
KR920000837Y1 true KR920000837Y1 (ko) 1992-01-31

Family

ID=14681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2107U KR920000837Y1 (ko) 1987-07-29 1988-07-27 급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421141U (ko)
KR (1) KR92000083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6841Y2 (ja) * 1990-01-09 1996-11-13 株式会社リコー 給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421141U (ko) 1989-02-02
KR890003251U (ko) 1989-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0837Y1 (ko) 급지 장치
JP4480446B2 (ja) 定着装置の位置調整装置
JPS57202528A (en) Equipment of circulating and carrying original of copying machine
JP3738813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
JP2583321Y2 (ja) 給紙装置
JP2885677B2 (ja) プリント基板自動位置決め装置
JP2002244228A (ja) 角度調整機構
JPS6019627A (ja) 給紙装置
JPS59227637A (ja) 給紙カセツトのガイド板位置決め方法及びガイド板位置決め板
JP2516841Y2 (ja) 給紙装置
JP2008046154A (ja) 画像形成装置用構造体
JPH03288758A (ja) 帯状極低張力シートの位置決め方法
JPH02217883A (ja) 静電記録装置のイレーサ装置
JPS53113534A (en) Preventing device for erroneous fixing of sheet paper cassette
JPS59227636A (ja) 給紙カセツトの用紙後端ストツパの位置決め方法
JPS5616160A (en) Fitting unit of convergent light transmission material
JPH01104522A (ja) 給紙機構
JP3005587B1 (ja) ベルト張力調整機構
JP2835404B2 (ja) 印字装置
KR920002741Y1 (ko) 복사기의 레지스터 로울러 압력 조절장치
JPS6371032A (ja) 単票整送装置
JPS6019628A (ja) 給紙装置
KR910007280Y1 (ko) 용지 안내장치
JPH0416448A (ja) プリンタ装置
GB2224271A (en) Alignment for paper fee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