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795Y1 - 잭 - Google Pa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795Y1
KR920000795Y1 KR2019890018885U KR890018885U KR920000795Y1 KR 920000795 Y1 KR920000795 Y1 KR 920000795Y1 KR 2019890018885 U KR2019890018885 U KR 2019890018885U KR 890018885 U KR890018885 U KR 890018885U KR 920000795 Y1 KR920000795 Y1 KR 9200007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ain body
hole
substrate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88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3096U (ko
Inventor
정진택
Original Assignee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정진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정진택 filed Critical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88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795Y1/ko
Publication of KR9100130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30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7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7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본 고안의 저면부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4 : 접속공
5a, 5b, 5c, 5d, 5e, 5f : 단자 7 : 삽착공
8 : 유도홈 10a, 10b, 10c, 10d, 10e, 10f : 단자공
12a, 12b : 체결핀 13a, 13b : 체결공
본 고안은 기폰 및 소형화가 필요한 전화기나 퍼스컴의 키보드 등의 인터페이스용에 적합한 잭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잭은 기능회로수에 따라 그에 적합한 소요 갯수의 단자를 본체에 장착한 것으로 단자의 납땜부위가 본체에 일렬로 배열되어 있어 기능회로수가 많을 경우 본체의 부피가 커지는 경향때문에 적용기기의 소형화에 어려움이 따랐을 뿐만 아니라 단자를 바로 기판의 단자공에 끼우고 납땜해야 하기 때문에 납땜작업시 유통하게 되어 기판장착성이나 기판보지성이 낮아지므로 전기적 특성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판장착성을 높이기 위해 본체좌우에 체결핀을 형성하고 6개의 단자를 기판상에 2열로 배치되게 그 한단부를 교호로 절곡시켜 본체를 소형화함과 동시에 2-6극의 범위내에서 기능 회로수를 선택 조정할수 있게 하므로써 원가절감을 기할수 있고 플러그와 접속되는 단자 상단부에 회로의 전기적 특성에 맞추어 4가지 금도금을 선택 조정할수 있도록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 중앙부에는 탄착편(2)을 가진 통상의 플러그(3)가 삽착될수 있는 접속공(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3)는 그 접속부위가 하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단자 또한 본체(1)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단자는 제1단자 내지 제6단자(5a, 5b, 5c, 5d, 5e, 5f)로 이루어진다.
단자(5a, 5b, 5c, 5d, 5e, 5f)의 상단부에는 본체(1) 후면에 형성된 개구부(6)에 걸처지게 탄력 설치되고, 중간부는 본체(1) 하부에 관통되어 있는 삽착공(7)내에 긴밀하게 삽착되어지며 하단부는 본체(1) 하단의 유도홈(8)상에서 절곡되어 본체(1) 하부로 돌출하게 된다.
본체(1) 하단의 유도홈(8)은 각각 관통되어 있는 삽착공(7)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제1단자(5a)와 제3단자(5c) 및 제5단자(5e)가 절곡되는 유도홈(8)은 상기 각 단자(5a, 5c, 5e)가 본체(1) 후방에 일렬로 위치할수 있도록 짧게 형성되어 있고, 제2단자(5b)와 제4단자(5d) 및 제6단자(5f)가 절곡되는 유도홈(8)은 상기 각 단자(5b, 5d, 5f)가 본체(1) 전방에 일렬로 위치할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기판(인쇄배선기판 : 9)상에는 상기 각 단자(5a, 5b, 5c, 5d, 5e, 5f)가 대응하여 삽설될수 있는 제1단자공 내지 제6단자공(10a, 10b, 10c, 10d, 10e, 10f)이 2열로 천공되어진다.
또, 본체(1) 하단의 좌우측에는 절개부(11)를 가진 체결핀(12a, 12b)이 돌출되어 있다.
이 체결핀(12a, 12b)은 기판에의 장착성 및 보지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기판 (9) 상에는 상기 체결핀(12a, 12b)이 대응되게 삽설될수 있는 체결공(13a, 13b)이 단자공(10a, 10b, 10c, 10d, 10e, 10f)양측에 천공되어진다.
상기한 바 있는 각 단자(5a, 5b, 5c, 5d, 5e, 5f)의 상단부, 즉 플러그(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위에는 회로특성에 띠라 4가지 금도금이 선택적으로 행하여 지게 된다. 예컨데, 은(Ag)합금인 경우에는 0.1㎛, 백금(Pt)합금인 경우에는 0.38㎛, 동(Cu)합금인 경우에는 0.76㎛, 순금인 경우에는 1.27㎛정도에서 결정된다.
또한, 본 고안은 6개의 단자가 장착된 경우를 실시예로 제시하고 있지만 제2도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기능회로수가 2극인 경우에는 제1단자(5a) 및 제2단자(5b)만이 본체(1) 상에 장착되며, 기능회로수가 4극인 경우에는 제1단자(5a)와 제2단자(5b) 뿐만 아니라 제3단자(5c) 및 제4단자(5d)가, 기능회로수가 6극인 경우에는 제5단자( 5e) 및 제6단자(5f)가 본체(1)상에 장착되어지는 것으로 기능회로수에 따라 본체(1)상에 단자를 선택적으로 장착시킬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1단자(5a)가 제1단자공(10a)에, 제2단자(5b)는 제2단자공(10b)에, 제3단자(5c)는 제3단자공(10c), 제4단자(5d)는 제4단자공(10d), 제5단자(5e)는 제5단자공(10e), 제6단자(5f)는 제6단자공(10f)에 각각 삽설되고, 체결핀(12a, 12b)은 체결공(13a, 13b)에 삽설될수 있도록 본체(1)를 기판(9)상에 장착한후 기판(9) 하부에서 각 단자(5a, 5b, 5c, 5d, 5e, 5f)상에 납땜을 가하면 본체(1)가 기판(9)상에서 유동치 않고 견고하게 장착되어져 신뢰성이 높은 작업효율을 유지할수 있으며 납땜후 플러그(3)를 접속하거나 뽑더라도 2열로 배열된 각 단자(5a,…,5f) 및 체결핀(12a, 12b)에 의하여 신뢰성이 높은 기판보지성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그 기판장착성 및 기판보지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소형화되어 소형화를 필요로 하는 키폰이나 전화기 또는 퍼스컴의 키보드 등의 인터페이스용으로 적합하며 기능회로 수를 조정할수 있어 기능회로수에 따르는 별도의 본체 제작이 불필요해 원가절감에 기여할수 있으며 단자의 도금 또한 소요되는 회로의 전기적특성에 따라 선택 조정할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플러그(3) 하방의 접속부위가 본체(1) 하방에서 접속될 수 있는 접속공(4)을 갖는 잭에 있어서, 본체(1)하부에 6개의 삽착공(7)을 관통시켜 선택된 단자(5a,…, 5f)의 중간부가 긴밀하게 삽착될수 있게 하고 각 삽착공(7)의 단부에는 각단자(5a,…, 5f)의 하단부가 2열로 교호되게 절곡될수 있는 유도홈(8)을 가지며 본체(1) 양측에 기판(9)에 체결될수 있는 절개부(11)를 갖는 체결핀(12a, 12b)을 돌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KR2019890018885U 1989-12-13 1989-12-13 KR9200007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8885U KR920000795Y1 (ko) 1989-12-13 1989-12-13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8885U KR920000795Y1 (ko) 1989-12-13 1989-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096U KR910013096U (ko) 1991-07-30
KR920000795Y1 true KR920000795Y1 (ko) 1992-01-31

Family

ID=19293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8885U KR920000795Y1 (ko) 1989-12-13 1989-12-13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79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096U (ko) 199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6496B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for attaching the same to a printed circuit board
US4787853A (en) Printed circuit board with through-hole connection
JP3330559B2 (ja) 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US6699065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EDs mounted on an internal PCB
EP0908980A3 (en) Card connector with improved grounding terminal
US6011319A (en) Integrated circuit assembly for power and electronics
JPH0247071B2 (ko)
US4405188A (en) Electrical socket with discreet impedance element attached thereto
US6086427A (en) Edge connector receiving module for bussing interconnections
KR920000795Y1 (ko)
KR940001485A (ko) 표면 장착용 전기 커넥터의 단자
JPS60136396A (ja) 接続端子を備えた膜回路
US6663445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taggered contacts
KR920000796Y1 (ko)
US6382987B1 (en) Electronic card connector with improved adapter device
JP3775163B2 (ja) モジュラーコネクタ
US20050059278A1 (en) Card edge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s
JP3300164B2 (ja) ジャック板
JP3150082B2 (ja) 高速伝送対応コネクタ
JPS5818200Y2 (ja) ソケツト
KR200144480Y1 (ko) 와이어 콘넥터의 단자 유동 방지구조
KR920000798Y1 (ko) 전선연결용 코넥터
JP2814770B2 (ja) 表面実装コネクタ
KR910007973Y1 (ko) 기판연결용 납땜터미날
KR19990010248A (ko) 피씨비의 연결코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1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