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730Y1 - 인자헤드 - Google Patents

인자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730Y1
KR920000730Y1 KR2019870012227U KR870012227U KR920000730Y1 KR 920000730 Y1 KR920000730 Y1 KR 920000730Y1 KR 2019870012227 U KR2019870012227 U KR 2019870012227U KR 870012227 U KR870012227 U KR 870012227U KR 920000730 Y1 KR920000730 Y1 KR 9200007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stopper
case
armature
printing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22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3091U (ko
Inventor
요시유끼 가와까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800030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0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7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7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matrix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2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impact or pressure on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2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impact or pressure on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print wires
    • B41J2/235Print head assembl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pact Prin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자헤드
제1도는 인자헤드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인자헤드의 종단면도.
제3도는 제2도와 상이한 동작상태에 있어서의 인자헤드의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제2의 실시예에 관한 인자헤드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코어부 12 : 하우징부
14 : 나사 16 : 케이스
20 : 제1돌출부 22 : 제2돌출부
26 : 베이스 27 : 링
28 : 코어 36 : 프린트 회로기판
38 : 스페이서 40 : 수지
42 : 아마튜어 가이드 46 : 가이드 돌기
48 ; 아마튜어 50 : 프레스링
60 : 노즈부 62 : 선단 가이드판
68 : 인자 와이어
본 고안은 인자헤드, 특히 와이어 도트 매트릭스 프린터에 사용되는 인자헤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인자헤드는 일반적으로 서로 나사로 고정된 하우징부 및 코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아마튜어 가이드에는 다수의 아마튜어가 지지되고 있는 동시에 아마튜어와 대향해서 스토퍼가 장착되어 있다.
각 아마튜어로 부터는 인자 와이어가 돌출되어 있고, 이들의 인자 외이어의 선단은 2열로 배열되어 있다.
또 하우징에는 아마튜어를 스토퍼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코어부는 아마튜어의 수에 대응되는 복수의 코어와 각 코어에 감겨진 복수의 코일과,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기판을 구비하고, 이들은 케이스내에 수납되어 있다. 코어부를 하우징부에 연결한 상태에서, 아마튜어는 각각 대응하는 코어와 대향함과 동시에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트랜스링에 의하여 일부가 코어에 압접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각 아마튜어는 코어와의 접촉위치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이 가능하고, 아마튜어가 회동하므로써 인자핀이 그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한다.
인자 동작시에 있어서 기판에 의하여 소망의 코일에 통전되면 대응하는 코어에 자속이 발생한다. 이 자속에 의하여 아마튜어가 코어에 흡인되어 스프링의 가압력에 대향하여 코어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에 의하여 인자 와이어가 하우징에서 돌출하여 기록지에 소망의 인자를 실시한다. 또 코일에의 통전이 해제되면 아마튜어는 스프링에 의하여 가압되어서 스토퍼에 접하는 초기위치로 회동된다. 따라서 인자핀은 기록지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이 구성된 인자헤드는 하기의 문제가 있다.
통상, 아마튜어가 스프링으로 가압되어 초기위치로 복귀할때 아마튜어는 스토퍼에 충돌되기 때문에 스토퍼는 비교적 큰 충격을 받는다.
그리고 이 스토퍼는 아마튜어 가이드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충격력은 아마튜어 가이드에도 작용한다.
따라서, 아마튜어 가이드는 상기의 충력을 감당할 수 있도록 충분한 두께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아마튜어 가이드 및 인자헤드의 박형화 및 소형화가 어렵다.
또 스토퍼는 그 단부가 아마튜어 가이드에 지지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의 충격을 받았을때 심하게 진동하여 소음의 발생원이 되기 쉽다.
각 인자와이어의 스트로크를 결정하는 아마튜어의 회도량은 아마튜어에 접한 코어부분과 스토퍼의 상호위치 관계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서된 인자헤드의 경우, 코어와 스토퍼는 별개의 부분, 즉 코어부와 하우징부로 각각 형성된다. 그 때문에 코어와 스토퍼의 상호의 위치결정을 우수한 정밀도로 실시하기가 어렵고, 인자 와이어의 스트로크를 정확히 조정하기가 어렵다. 또 인자헤드 작동중 코어는 열을 발생하고, 이 열은 아마튜어 가이드 및 아마튜어를 통하여 스토퍼에도 전달된다. 그러나, 상기 구성의 경우 스토퍼의 방열 효율이 나빠서 열에 의하여 스토퍼가 변형하는 위험이 있다. 스토퍼가 변형된 경우에는 아마튜어의 위치 결정을 할수 없고, 정확한 안자조작이 곤란하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인자 와이어의 스트로크를 정확히 결정할 수 있는 동시에 스토퍼의 진동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소형화가 가능한 인자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인자헤드에 의하면 아마튜어가 충돌하는 스토퍼를 코어부에 설치하고 있다.
이하에 도면에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의 도시와 같이 인자헤드는 코어부(10) 및 하우징부(12)를 구비하고, 이들은 나사(14)에 의하여 상호 고정된다.
코어부(10)는 대략 직사각형의 케이스(16)를 가지고, 이 케이스의 외면에는 냉각 핀(17)이 형성되어 있다.
또 케이스(16)에는 오목부(recess)(18)가 형성된다. 케이스(16)는 오목부(18)의 바닥부로 부터 돌출된 제1의 돌출부(20)와 복수의 제2의 도출부(22)를 가지고 있다. 제1의 돌출부(20)는 오목부(18)의 중심에 위치하고, 제2의 돌출부(22)는 돌출부(20)의 바깥쪽에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떨어져서 설치된다. 그리고 돌출부(20)의 선단면(20a)에는 스토퍼(24)가 나사(25)에 의하여 장착된다. 이 스토퍼(24)는 선단면(20a)에 밀착된 원반형상의 베이스(26)와 베이스에 열 접착 고정된 고무링(27)을 가지고 있다.
또, 링(27)은 탄성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고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합성수지로 형성되어도 좋다. 케이스(16)의 오목부(18)내에는 스토퍼(24)와 동축으로 또한 스토퍼의 외측에 환상의 코어(28)가 수용되어 위치하고 있다.
코어(28)는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져서 환상으로 배열된 다수, 예를 들면 24개의 대(坮)형 기둥모양의 외측에 기둥부(30)와 이들의 코어내측에 위치한 링모양의 내측기둥부(32)를 가지고 있다. 이들의 각 대형 기둥 부(30)에는 이 코어에 자속을 발생시키기 위한 코일(34)이 감겨있다.
그리고 코어(28)는 제2돌출부(22)의 선단면에 접한 상태로 케이스(16)의 오목부(18)내에 수용된다. 또 코어(28)의 후방에 스페이서(38)를 통하여 프린트 회로기판 (36)이 설치되고, 그 일단부는 케이스(16)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각 코일(34)은 프린토 회로기판(3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프린트 회로기판은 도시를 생략한 전원에서 공급된 전력을 소망의 코일로 유도한다. 프린트 회로기판(36)과 코어(28)의 사이에는 이들 사이를 절연하는 스페이서(38)가 설치된다. 그리고 코어(28)의 외주와 오목부(18)의 내면과의 사이 및 프린트 회로기판(36)과 오목부의 바닥부와의 사이의 공간에는 에폭시나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절연성을 지니는 수지(40)가 충전된다. 또 오목부(18)와 프린트 회로기판(36)의 사이에는 스페이서(70)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부(12)는 직사각형 모양의 아마튜어 가이드(42)를 구비하며, 이 아마튜어 가이드는 나사(14)에 의하여 케이스(16)의 상면에 고정된다. 아마튜어 가이드(42)의 중심에는 스토퍼(24) 및 코어(28)와 동축으로 위치한 관통구멍(44)이 형성된다. 그리고 아마튜어 가이드(42)의 케이스(16)측의 표면상에는 관통구멍(44)의 근방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떨어진 다수의 가이드돌기(46)가 형성된다. 인접하는 2개의 가이드 돌기(46) 사이에는 판형상의 아마튜어(48)가 장착된다. 그것에 의하여 다수의 즉 24개의 아마튜어(48)는 방사상으로 배열되고,각 아마튜어의 내단부는 스토퍼(24)와 대향되는 동시에 외단부는 대응하는 대형 기둥부(30)와 대향하고 있다. 아마튜어(48)와 아마튜어 가이드(42)의 사이에는 프레스링(50)이 배치된다. 각 아마튜어(48)의 중간부는 프레스링(50)에 의하여 코일(28)의 링모양의 기둥부(32)의 단부 가장자리에 압접되고 있다. 그것에 의하여 각 아마튜어(48)는 그 중간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내단부가 스토퍼 (24)에 인접하는 초기위치(제2도)와 외단부가 대형 기둥부(30)에 접근하는 인자위치 (제3도)와의 사이를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마튜어 가이드(42)의 케이스(16)와 반대측의 표면에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디스크 판(52) 및 하우징(54)이 순서적으로 나사(56)에 의하여 고정된다. 디스크판(52)의 중심부에는 방사상으로 뻗은 다수의 절단홈이 형성되고, 이 중심부는 케이스(16)측으로 절곡되어 다수의 즉 24개의 판 스프링(58)을 형성하고 있다. 각 판 스프링(58)은 아마튜어 가이드(42)의 관통구멍(44)을 관통해서 대응하는 아마튜어(48)의 내단부에 접하고 있다.
따라서, 각 아마튜어(48)는 판스프링(58)에 가압되어 초기위치로 지지되고 있다. 하우징(54)은 아마튜어 가이드(42)의 관통구멍(44)과 동축으로 돌출한 가운데에 구멍이 형성된 노즈부(60)를 가지고 있다. 노즈부(60)의 돌출단 및 중간부에는 선단 가이드판(62) 및 중간 가이드판(64)이 각각 평행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가이드판(62)에는 상호 평행을 이루는 2열고 배치된 다수의 도시없는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고, 가이드판(64)에는 도시를 생략한 2열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각 아마튜어(48)의 내단에는 인자와이어(68)가 고정되고, 아마튜어(48)로부터 관통구멍(44) 및 노즈부(60)내를 통해서 노즈부(60)의 선단까지 뻗어있다. 인자와이어 (68)는 노즈부(60)를 통과하는 사이에 가이드판(62,64)에 형성된 가이드구멍 및 슬릿에 의하여 방향이 변경되어 와이어의 선단은 2열로 정렬되는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인자와이어(68)는 아마튜어(48)의 회동에 따라 축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된다. 인자와이어(68)의 선단은 아마튜어(48)가 초기위치에 있을때 선단 가이드판(62)과 동일평면성에 위치하고, 아마튜어가 인자위치에 있을때 가이드판(62)에서 약 0.3㎜ 돌출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인자헤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상, 각 아마튜어(48)는 스피링(58)으로 가압되어 제2도의 도시와 같이 내단부가 스토퍼(24)의 고무링(27)에 접한 초기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인자와이어(68)의 선단은 선단 가이드판(62)으로 부터 돌출하지 않은 상태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프린트 회로기판(36)을 통하여 소망의 코일(34)에 통전되면 이들의 코일에 대응하는 코어(28)에서 자속이 발생한다. 그것에 의하여 이들의 코어(28)와 대향하는 아마튜어(48)의 외단부는 코어 방향으로 흡인되어 아마튜어는 제3도의 도시와 같이 인자위치로 회동된다. 아마튜어(48)의 회동에 따라 인자와이어(68)는 제3도에 있어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인자와이어의 선단은 가이드판(62)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한다. 이때 인자와이어(68)의 선단은 예를들면 잉크리본을 통하여 기록지(도시생략)에 인자를 실시한다. 코일(34)에서 통전이 해제되면 각 아마튜어(48)는 스피링(58)에 의하여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이에 따라 인자와이어(68)의 선단은 기록지로 부터 떨어진다.
또, 아마튜어(48)의 초기위치 및 인자와이어(68)의 이동량 즉 돌출량은 스토퍼 (24)의 설치위이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인자헤드의 조립시에 있어서 스토퍼(24)와 코어(28) 사이에 위치 결정은 이하의 공정으로 실시된다.
우선, 케이스(16)의 저면(16a)을 기준면으로 하여 제1돌출부(20)의 선단면 (20a)을 가공하여 제1돌출부(20)의 높이를 소정의 값으로 한다. 다음에 코어(28), 스페이서(38), 기판(36) 및 스페이서(70)가 케이스(16)의 오목부(18)에 수용되어 수지(40)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어서 케이스(16)의 저면(16a)을 기준면으로 하여 코어(28) 및 케이스(16)의 선단면(16a)이 소정의 높이로 동시 가공된다. 이에 의하여 아마튜어(48)의 지지점이 되는 링모양 기둥부(32)의 위치 및 아마튜어의 초기위치를 결정하는 스토퍼(24)의 위치가 정확히 결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인자헤드는 이하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스토퍼(24) 및 코어(28)는 동일부재, 즉 케이스(16)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상호 위치를 정확히 가공할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24)와 코어(28)의 상호 위치에 의하여 결정되는 아마튜어(48)의 회동량 및 인자와이어(68)의 스트로크를 정화하고 또 쉽게 결정할 수 있다.
또 케이스(16)는 수지(40)에 의하여 질량이 큰 코어(28)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아마튜어(48)가 인자위치로 부터 초기위치로 복귀할때 스토퍼(24)에 충돌하여 발생하는 충격은 질량이 큰 코어(28)와 케이스(16)에 의하여 흡수된다. 따라서 스토퍼(24)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어 소음의 발생을 감소시킬수 있다. 또 상기 충격은 하우징부(12)의 아마튜어 가이드(42)에 거의 전달되지 아니하므로 가이드(42)를 그다지 강하게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아마튜어 가이드(42)의 박형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므로 인자헤드 전체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인자 조작시에 코일(34) 및 코어(28)에서 발생한 엷은 케이스(16). 아마튜어 (48)등을 통하여 스토퍼(24)에 전달된다. 그러나, 스토퍼(24)는 케이스(16)에 고정되어 있고, 이 케이스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외부공기와의 접속면적이 크고, 그 결과 방열효율이 높다. 따라서 스토퍼(24)의 열은 케이스(16)를 통해서 효과적으로 방출되는 동시에 코일(34) 또는 코어(28)의 열이 케이스를 통해서 스토퍼에 지나치게 가열되어 변형할 염려가 없고, 아마튜어(48)의 위치결정을 정확히 실시할 수가 있다. 또 코어(28)의 외주와 케이스(16) 사이에 수지(40)가 충전되고 있으므로 수지(40)가 없는 경우와 비교해서 코일(34) 또는 코일(28)로부터 케이스(16)에의 방열효과가 높아진다. 또 수지(40)는절연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코일(34)과 케이스(16) 사이의 절연 내압이 상승하여 인자헤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고안의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취지에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4도의 도시와 같이 스토퍼(24)는 나사(25)에 의하여 직접 코어 (28)의 저벽(33)에 나사 고정된다. 또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1)

  1. 케이스(16)와 상기 케이스내에 설치되며 복수의 기둥부(30,32)를 갖는 코어(28)와, 상기 기둥부내에서 자속을 발생하도록 기둥부 주위에 감겨있는 복수의 코일(34)과, 케에스내에 설치되며 상기 코어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는 스토퍼 (24)와, 상기 코어와 상기 케이스의 결합수단(40)을 포함하는 코어부(10)와, 아마튜어 가이드(42)와, 각기의 아마튜어가 코어에 대하여 인접하는 중간부와 스토퍼에 대향하는 내단부와 대응하는 기둥부에 대향하는 외단부를 가지며, 상기 아마튜어는 상기 내단부가 스토퍼에 대하여 인접하는 초기위치와 상기 내단부가 스토퍼로 부터 떨어지는 인자위치 사이에서 상기 중간부를 지지점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아마튜어 가이드에 의해 지지되며, 대응하는 상기 기둥부에 대한 소정의 위치에 아마튜어가이드에 의해 배치되는 복수의 아마튜어(48)와, 대응하는 아마튜어, 가 회동함에 따라, 각각 아마튜어로 부터 돌출하며, 인자 작동을 위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인자와이어(68)와, 상기 아마튜어를 초기위치로 가압하는 가압수단(58)을 포함하며 상기 코어부에 결합된 하우징부(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자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상기 하우징부쪽에 오목부(18)를 가지며, 상기 스토퍼와 상기 코어와 오목부내에 수용되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자헤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가 스토퍼와 동심인 원둘레를 따라 스토퍼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오목부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자헤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상기 오목부의 저부로 부터 돌출되고 선단면 (20a)을 갖는 돌출부(20)를 가지며, 상기 스토퍼가 상기 돌출부의 선단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톡징으로 하는 인자헤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가 상기 돌출부의 선단면에 고정된 베이스(26)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기둥부와 동축인 고리형 탄성부재(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자헤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가 상기 코어 하부에 고정된 절연 스페이서(38)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가 상기 스페이서에 고정되고 기둥부와 결합된 저벽(33)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가 상기 코어의 저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자헤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가 상기 코어 저벽에 고정된 베이스(26)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기둥부와 동축인 고리형 탄성부재(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자헤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가 동축이 되도록 상기 기둥부 내측에 위치하는 환상형 내측 기둥부(32)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기둥부가 상기 아마튜어의 개개의 중간부에 대해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자헤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튜어가 상기 코어의 축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신장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자헤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가 케이스내에 갭으 형성하며 수용되고, 상기 결합수단이 갭내에 주입된 절연수지(40)을 포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헤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가 소정의 코일을 여기시키기 위해 케이스태에 배열되고 상기 코일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프린트 회로기판(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자헤드.
KR2019870012227U 1986-07-28 1987-07-27 인자헤드 KR92000073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6114604U JPS6323041U (ko) 1986-07-28 1986-07-28
JP61-114604(??) 1986-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091U KR880003091U (ko) 1988-04-11
KR920000730Y1 true KR920000730Y1 (ko) 1992-01-23

Family

ID=14642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2227U KR920000730Y1 (ko) 1986-07-28 1987-07-27 인자헤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832515A (ko)
JP (1) JPS6323041U (ko)
KR (1) KR92000073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19403B (it) * 1988-06-27 1990-05-11 Olivetti & Co Spa Testina di stampa ad aghi
JP2710631B2 (ja) * 1988-07-25 1998-02-10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ドットプリンタの印字ヘッド
JPH0239947A (ja) * 1988-07-29 1990-02-08 Seikosha Co Ltd 印字ヘッド
ATE84468T1 (de) * 1988-08-31 1993-01-15 Mannesmann Ag Matrixnadeldruckkopf der klappankerbauart.
DE3879212D1 (de) * 1988-12-01 1993-04-15 Mannesmann Ag Matrixnadeldruckkopf der klappankerbauart.
JPH02159242A (ja) * 1988-12-13 1990-06-19 Fujikura Ltd 硬性ファイバスコープ
DE9001868U1 (ko) * 1990-02-16 1991-06-20 Siemens Nixdorf Informationssysteme Ag, 4790 Paderborn, De
DE69104395T2 (de) * 1990-03-13 1995-02-09 Seiko Epson Corp Nagelpunktdruckkopf für Anschlagdrucker.
DE4242378C2 (de) * 1992-12-08 1996-03-14 Mannesmann Ag Matrixdruckkopf der Schlagbauart
JP3370434B2 (ja) * 1994-06-16 2003-01-27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硬性内視鏡
JP4531299B2 (ja) * 2001-07-02 2010-08-2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印字装置
DE102005021199B4 (de) * 2005-05-07 2013-06-06 Dascom Europe Gmbh Matrixnadeldruckkopf für Computerdruck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01049C3 (de) * 1972-01-11 1978-04-06 Winfried 4794 Schloss Neuhaus Schneider Mosaikdruckkopf
DE2342420A1 (de) * 1973-08-22 1975-03-13 Steinmetz Krischke Systemtech Mosaikdruckknopf
US3929214A (en) * 1974-09-18 1975-12-30 D & D Ass Wire matrix ballistic impact print head
US4060161A (en) * 1977-01-11 1977-11-29 Ncr Corporation Vibration dampening means for printing mechanism
US4230038A (en) * 1977-06-23 1980-10-28 Helmut Falk Matrix print head assembly
US4230412A (en) * 1978-03-17 1980-10-28 Helmut Falk Matrix print head assembly
JPS5722071A (en) * 1980-07-15 1982-02-04 Brother Ind Ltd Printing head of dot printer
JPS6212613Y2 (ko) * 1980-08-11 1987-04-01
JPS59101373A (ja) * 1982-12-01 1984-06-11 Tokyo Electric Co Ltd ドツトプリンタヘツド
US4555192A (en) * 1983-02-25 1985-11-26 Tokyo Electric Co., Ltd. Release type dot printer head
US4661002A (en) * 1983-08-19 1987-04-28 Canon Kabushiki Kaisha Dot matrix printer
JPS60193661A (ja) * 1984-03-15 1985-10-02 Tokyo Electric Co Ltd ドツトプリンタヘツド
US4594010A (en) * 1984-04-23 1986-06-10 Bsr, Ltd. Wire matrix print he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091U (ko) 1988-04-11
JPS6323041U (ko) 1988-02-16
US4832515A (en) 198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0730Y1 (ko) 인자헤드
US4915524A (en) Print wire guiding device for wire type dot printer
JPH032672B2 (ko)
EP0374673B1 (en) Wire-dot impact printer
EP0162586A2 (en) Wire matrix print head
EP0372557B1 (en) Wire-dot printer having printing wire driv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850673B2 (ja) ドットインパクト印字ヘッド
EP0106657B1 (en) Ballastic type wire printing head
JP2567150Y2 (ja) 印字ヘッド
US4629343A (en) Matrix printing device
US4647236A (en) Print head
JPH0126346B2 (ko)
JPH058133Y2 (ko)
KR960015883B1 (ko) 도트프린터헤드
JP2749986B2 (ja) ドットプリンタヘッド
JPS5842035B2 (ja) ドツトプリンタ用印字ヘツド
JPH0712681B2 (ja) ワイヤドツトプリンタ用印字ヘツド
EP0167228A2 (en) Assembling dot matrix print heads
JPH0451357B2 (ko)
JPH0457505B2 (ko)
JPS6333463B2 (ko)
JPS63183857A (ja) インパクトドツトヘツド
JPH0626896B2 (ja) ワイヤ式ドツトプリンタ
JPH09193422A (ja) ワイヤドットプリンタヘッド
JPH05116345A (ja) 印字ヘツ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