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204Y1 - 무선 전화기의 인터컴/전화기 모드(Mode)자동 절환회로 - Google Patents

무선 전화기의 인터컴/전화기 모드(Mode)자동 절환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204Y1
KR920000204Y1 KR2019880018443U KR880018443U KR920000204Y1 KR 920000204 Y1 KR920000204 Y1 KR 920000204Y1 KR 2019880018443 U KR2019880018443 U KR 2019880018443U KR 880018443 U KR880018443 U KR 880018443U KR 920000204 Y1 KR920000204 Y1 KR 9200002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telephone
intercom
switching circuit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84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1159U (ko
Inventor
조규창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84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204Y1/ko
Publication of KR9000111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1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2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2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04M1/72505Radio link set-up procedures
    • H04M1/72513On hold, intercom or transfer communication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선 전화기의 인터컴/전화기 모드(Mode)자동 절환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드(Mode)자동절환회로 2 : 플립플롭(flip-flop) 회로
3 : 모드 동작부 4 : 음성 수신부
5 : 전화기 동작부 6 : 모드 사용표시회로
7 : 인터컴 (inter Com)동작부 8 : 인터컴 음성 송출회로
A : 신호 입력부 PHC : 포토 카플러
SW : 모드절환스위치 INV : 인버터회로
TR1-TR4: 트랜지스터 R1-R2: 저항
D : 다이오드 LED1-LED2: 발광다이오드
C : 콘덴서
본 고안은 무선 전화기에 있어서 인터컴과 전화기의 모드(Mode)자동절환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터컴 사용시 전화 신호가 착신되면 모드 스위치를 자동으로 전화기 모드로 절체되도록 하는 무선 전화기의 인터컴/전화기 모드 자동 절환회로에 관한 것이다.
인터컴과 전화기를 겸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무선 전화기의 인터컴/전화기 모드 절환 스위치는 무선 전화기의 몸체에 기계적인 구조로 설치되어 있어 인터컴 사용도중 전화 신호가 착선되면 전화기 모드로 절환 스위치를 조작하여 사용하였으나, 전화기 몸체와 핸드셀이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에는 사용자는 몸체가 놓여 있는 장소까지 이동하여 절환 스위치를 인위적으로 질환해야만 통화가 가능하게 되는 번거려움등 무선 전화기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문제점이 야기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몸체와 핸드셀 간에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라도 인위적으로 모드 절환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고 절환 회로에 의해 자동으로 절체될 수 있도록 하여 무선 전화기의 기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무선 전화기에 있어서, 전화 신호 입력부(A)에 저항(R1)을 거쳐 포토카플러(PHC)를 연결하고 상기 포토카플러(PHC)에는 저항(R2)과 인버터회로(INV)를 각각 접속하며 플립플롭최로(2)의 리세트 단자(RST)에는 저항(R4)(R3)를 통하여 인버터회로(INV)의 출력측에 연결되도록 하고 입력단자(CLK)에는 모드 절환스위치 (SW)를 출력단자(Q)에는 저항(R3)을 거쳐 트랜지스터 (TR1)의 베이스에 접속하며,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에는 저항(R6) (R7)을 통하여 모드 동작부(3)의 트랜지스터 (TR2)의 베이스에 연결한 모드 자동절환회로(1)를 구성하고, 상기 플립플롭회로(2)의 출력단자(Q)에 저항(R11)을 거쳐 인터컴 음성 송출 회로(8)인 트랜지스터 (TR4)의 베이스에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화기로서 사용할 때에는 음성 수신부(4)의 “로우(LOW)”출력에 의해 입력전원(B+)이 저항(R8)을 통하여 트랜지스터(TR3)가 턴온(turn on)되어 전화기 동작부(5)가 동작함과 동시에 저항(R10)을 거쳐 발광다이오드(LED2)가 점등되면서 전화기로서 사용함을 나타내게 된다.
한편 인터컴을 사용하고자 할때에는 모드 절환스위치(SW)를 1회 접속시키면 플립플롭회로 (2)의 출력단자에 펄스가 인가되어 출력단자(Q)에는 “하이 (High)”상태가 출력되고 상기 신호가 저항(R5)을 통해 트랜지스터 (TR1)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트랜지슨터 (TR1)를 턴온(turn on)시킴에 따라 저항(R7) (R6)에 의해 트랜지스터 (TR2)의 바이어스 전압이 결정되어 트랜지스터 (TR2)도 턴온상태가 된다.
따라서 인터컴 동작부(7)가 가동함과 동시에 저항(R9)를 점등시켜 모드 절환스위치 (SW)가 인터컴을 사용 할 수 있는 모드로 절환 되었음을 알게 되며, 이때 트랜지스터 (TR2)의 콜렉터 전압이 다이오드(D2)를 통해 트랜지스터 (TR3)의 베이스에 공급되므로서 트랜지스터 (TR3)는 오프(OFF)상태가 되어 전화기 동작부(5)의 전원도 차단시키게 되고 플립플롭회로(2)는 “하이”출력에 의해 트랜지스터 (TR4)가 턴온되어 인터컴 음성 송출 회로(8)를 동작시키게 된다.
또한 인위적으로 인터컴을 리세트시키고 전화기 모드로 사용하고자 할때에는 모드 절환 스위치(SW)를 1회 다시 접속하면 플립플롭회로(2)의 입력 단자에 펄스가 인가되면서 출력단자(Q)에는 “로우(LOW)”의 상태가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TR1)가 오프 상태가 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TR2)도 차단 상태가 되어 발광다이오드(LED1)가 소등되고 인터컴(7)가 동작을 종지하는 반면에 음성 수신부(4)의 출력을 받아 트랜지스터(TR3) 가 온(ON)상태가 됨으로서 전화기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한편 인터컴을 사용 중이거나 인터컴 모드 상태에서 전화 신호가 인가될 경우에는 전화 신호가 신호 입력부(A)의 저항(R1)을 통하여 포토카플러(PHC)를 동작시키게 되고, 따라서 입력전원(B+)은 저항(R2)을 거쳐 포토카플러(PHC)로 흐르게 되어 인버터회로(INV)에는 “로우(LOW)”상태로 인가된다.
그러므로 인버터회로(INV)의 출력은 반전되어 “하이(HIGH)”신호로서 저항(R3) (R4)을 통해 플립플롭 회로(2)의 리세트 단자(RST)에 입력되면 모드 절환스위치 (SW)의 입력 신호가 없어도 리세트 되어 출력 단자(Q)에는 “로우(LOW)”상태가 출력되어 진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 (TR1)를 동작시키지 못하여 따라서 트랜지스터 (TR2)도 오프되어 인터컴 동작부(7)와 인터컴 음성 송출회로(8)의 동작을 정지 시킴과 동시에 입력 전원(B+)이 저항(R8)을 통하여 트랜지스터(TR3)의 바이어스 전압으로 사용되어 턴온 상태가 되고 전화기 동작부(5)에 전원이 인가됨으로서 전화기 모드로 자동 절환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작용하는 본 고안은 통상의 무선 전화기에 간단한 모드 자동 절환회로(1)를 부가 함으로서 핸드셀과 몸체가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 인터컴으로 사용중이거나 모드 절환스위치(SW)를 인터컴 모드로 접속시켜 놓았을 때 전화 신호가 착신되면 자동적으로 전화기 모드로 절환되어 사람이 직접 무선 전화기의 몸체로 가서 모드 절환스위치(SW)를 절체시키는 번거로움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응답 속도가 신속하여 무선 전화기의 기능을 크게 향상시킨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통상의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모드 자동 절환회로(1)에 모드 동작부(3)와 인터컴 송출회로(8)를 연결시켜 모드자동 절환회로(1)의 출력에 따라 모드가 자동으로 절환되도록 구성된 무선전화기의 인터컴/전화기 모드 자동 절환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자동 절환회로(1)은 전화신호 입력부(A)와 스위치 (SW)의 출력신호를 플립플롭회로(2)에 인가토록하여 상기 플립플롭(2)의 출력에 따라 모드가 바뀌도록 구성된 무선전화기의 인터컴/전화기 모드(MODE)자동 절환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동작부(3)에 의해 선택된 로드를 표시하기 위하여 모드사용 표시회로(6)을 상기 모드동작부(3)의 출력단에 구성한 무선전화기의 인터컴/전화기 모드(MODE)자동 절환회로.
KR2019880018443U 1988-11-11 1988-11-11 무선 전화기의 인터컴/전화기 모드(Mode)자동 절환회로 KR9200002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8443U KR920000204Y1 (ko) 1988-11-11 1988-11-11 무선 전화기의 인터컴/전화기 모드(Mode)자동 절환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8443U KR920000204Y1 (ko) 1988-11-11 1988-11-11 무선 전화기의 인터컴/전화기 모드(Mode)자동 절환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159U KR900011159U (ko) 1990-06-04
KR920000204Y1 true KR920000204Y1 (ko) 1992-01-15

Family

ID=19281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8443U KR920000204Y1 (ko) 1988-11-11 1988-11-11 무선 전화기의 인터컴/전화기 모드(Mode)자동 절환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20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159U (ko) 199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26508A4 (en) CIRCUIT FOR REGULATING THE TRANSMISSION AND THE WORLDWIDE USING THE WIRELESS DEVICE
US4899372A (en) Multi use telephone extension control circuit and device providing lockout for privacy
KR920000204Y1 (ko) 무선 전화기의 인터컴/전화기 모드(Mode)자동 절환회로
KR100338642B1 (ko) 핸즈프리 킷과 연결된 무선 단말기의 제어 장치
JPS5899049A (ja) 携帯形無線電話機のダイヤル照明装置
ATE307446T1 (de) Digitale zwischenschatltung mit niedrigem leistungsverbrauch
KR930015494A (ko) 무선전화기의 수신감도에 따른 송신출력 조정장치
JP2506658B2 (ja) ボタン電話装置
KR0130235Y1 (ko) 셀루라폰의 모드 절환 회로
KR0121612Y1 (ko) 원터치형 후크 스위치를 구비한 전화기
KR930006984Y1 (ko) 펄프식 전화교환기와 톤식 전화교환기가 혼재된 장소에서의 통신교환용 전환스위치
JPH0273729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の給電制御方法
KR920005401Y1 (ko) 전화기
KR930000962Y1 (ko) 무선전화기 휴대장치
KR890002197B1 (ko) 무선전화기의 전화/인터컴 기능 자동 절환회로
KR940002282Y1 (ko) 음량조절 및 표시기능을 갖는 무선전화기
KR900008979Y1 (ko) 볼듐조정겸용 오디오뮤트 표시회로
KR890000418Y1 (ko) 전화기용 신호음 선별장치 회로
KR910001733B1 (ko) 무선전화기 충전시 송수신 전원 차단회로
KR940003290A (ko) 무선전화기 핸드셋의 전원차단시 통화종료처리회로
KR900001443Y1 (ko) 출력 신호 레벨 조절회로
KR890005719Y1 (ko) 전화기의 병렬선로 상태 감지회로
JPS6366454B2 (ko)
JPH0320944B2 (ko)
KR960028015A (ko) 장거리 발신 제어장치를 구비한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