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089B1 - 가입자의 룸상태를 교환기를 통해 외부컴퓨터로 전송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가입자의 룸상태를 교환기를 통해 외부컴퓨터로 전송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089B1
KR920000089B1 KR1019880008009A KR880008009A KR920000089B1 KR 920000089 B1 KR920000089 B1 KR 920000089B1 KR 1019880008009 A KR1019880008009 A KR 1019880008009A KR 880008009 A KR880008009 A KR 880008009A KR 920000089 B1 KR920000089 B1 KR 920000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subscriber
message
circui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8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1200A (ko
Inventor
안교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08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089B1/ko
Publication of KR900001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입자의 룸상태를 교환기를 통해 외부컴퓨터로 전송하는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시스템의 연결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교환기 시스템의 블럭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교환시스템의 가입자회로의 블럭도.
제4도는 제2도에 도시된 교환시스템의 중앙처리장치의 블럭도.
제5도는 제2도에 도시된 교환시스템의 입/출력 인터페이스의 블럭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메세지 구성도.
제8도는 메세지에 사용되는 디지트의 변환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OT : 가입자룸의 전화기 EXH : 교환기
HC : 컴퓨터 10 : 중앙처리장치
20 : 가입자회로 30 : 톤발생회로
40 : 링발생회로 50 : 스위치회로
60, 70 : 복합주파수 송·수신회로 80 : 트렁크회로
90 : 입출력회로
본 발명은 교환기와 룸(Room) 관리용 컴퓨터를 상호연결하여 가입자 전화기가 있는 룸에서 직접 전화기를 이용하여 룸의 상태를 입력하도록 서비스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가입자 룸의 상태를 점검하려면 사람이 인위적으로 컴퓨터의 단말에 입력시키어야 하였다. 즉, 룸내에 설치된 내선가입자 전화기로 컴퓨터 단말이 설치된 운영실로 전화를 걸어 룸의 현상태 예를들면, 객실의 사용여부, 전원차단여부, 청결상태, 비품상태등을 음성으로 전달하면 컴퓨터 단말을 운용하는 사용자가 해당가입자의 룸상태를 컴퓨터에 입력시키어 룸의 상태를 관리하여 왔다.
그러므로 사설교환기를 사용하는 호텔의 룸 또는 빌딩의 사물실과 이들의 상태정보를 가지고 관리하기 위한 컴퓨터가 직접 연결동작되지 않고 사설교환기와 컴퓨터가 독자적으로 운용됨으로서 객실 또는 사무실 관리가 효율적이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입자룸의 전화기로 적접 다이얼링하여 이의 다이얼링 디지트로서 가입자가 속한 룸의 각종상태 정보를 직접 룸관리용 컴퓨터에 전송하여 룸관리에 효율을 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연결 구성도로서, 가입자회로(20)와 디지탈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는 입/출력회로(I/O Circuit)(90)를 내장하고 있는 전자 사설교환기(EPABX)(EXH)의의 가입자회로(20)에 룸내에 설치될 전화기(이하 룸가입(ROT)가 접속되어 있고, I/O 회로(90)에 관리용 컴퓨터(HC)가 RS-232C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제2도는 제1도 교환기 시스템 블럭도로서, 참조번호 10은 중앙처리장치로 시스템의 모든 동작제어를 담당하며 소정 프로그램(program)을 수행시켜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참조번호 20은 가입자회로로서 상기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에 의해 룸가입자(ROT)에 통화전류를 공급하고, 가입자의 훅크-온/오프를 검출하여 그 결과를 상기 중앙처리장치(10)에 보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참조번호 30은 톤발생회로로서 교환기(EXH)에 사용되는 각종 톤을 발생시키는 회로로서 카덴스(Cadence)는 중앙처리장치(10)의 프로그램에서 조정한다.
참조번호 40은 링발생회로로서 가입자에게 착신되는 호가 존재할때 상기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에 의해 링을 울려주기 위한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이다.
참조번호 50은 스위치회로로서 상기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를 받아 가입자회로(20)와 후술하는 트렁크회로(80) 및 복합주파수 송수신회로(70, 60)등의 접속을 하며 통화로를 제공한다.
참조번호 60은 복합주파수 수신회로(DTMF Receiver)로서, 버튼식 전화기를 사용하는 가입자를 위한 회로이다.
상기 복합 주파수 수신회로(60)의 동작은 하기와 같다.
가입자가 훅크오프(Hook off)시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에 의해 가입자회로(20)와 복합 주파수 수신회로(60)가 스위치(50)가 연결되어 패스(path)가 형성된다. 이때 룸가입자(ROT)가 버튼(button)을 누를때 이에 상응하는 디지트(digit) 정보인 듀얼톤(dual tone)이 상기 가입자회로(20)에 전달된다.
상기의 듀얼톤(dual tone)은 상기 가입자회로(20)내에서 PCM으로 변환된 후, 형성된 패스를 통해 상기 복합 주파수 수신회로(60)내의 코덱(CODEC)에 전달되어 다시 듀얼톤으로 변환되고, 이것을 수신하여 듀얼톤을 디코딩하여된 데이터(data)를 중앙처리장치(10)에서 읽어 분석하도록 입력시킨다.
참조번호 70은 복합주파수 송신회로로서, 국선이 DTMF 가입자로 연결될때 DTMF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회로이다. 이의 동작은 하기와 같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0)로부터 수신된 디지트데이터(digit data)를 송신회로의 DTMF 제넬레이터(DTMF generator)에서 분석하여 듀얼톤(Dual tone : 이중음)을 생성한다. 상기 이중음은 상기 복합 주파수 송신회로(70)내부의 코덱(CODEC)을 통해 PCM으로 변환되어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를 받아 스위칭회로(50)의 하이웨이패스(highway path)가 형성되고 이 패스를 통해 후술한 트렁크회로를 통해 전달된다.
참조번호 80은 트렁크회로로서 음성주파수의 송수신 및 시그날링(signalling)을 제어하는 부분으로 상기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에 의해 외부회로와 연결을 담당한다.
참조번호 90은 입출력회로로서, 외부컴퓨터(HC)와 사설교환기가 연결되는 부분이다.
제3도는 제2도의 가입자회로의 블럭도로서, 1차 보호회로(201), 링릴레이(202), 트랜스퍼머인 2차보호회로(203), 슬릭(204), 밸란스회로(205), 콤보코덱(206), 티삭(TISAC)(207), 3상태버퍼(3-State Buffer)(208), 쓰기보호회로(209), 디코더(210), 멀티플렉서(MPX)(211), 어드레스래치(Addressable Latch)(212), 에러표시회로(213)으로 구성되며 이 회로는 공지의 회로이다.
상기의 동작은 하기와 같이 된다.
1차 및 2차 보호회로(201)(203)는 가입자선로(L+)(L-)에서 유기되는 외부서지(Surge) 전압으로부터 가입자회로(20) 및 시스템을 보호하며 가입자선로(L+)(L-)의 전류를 감시하여 훅크-온/오프(HOOK ON/OFF)를 감지하고, 이 상태를 버퍼에 저장하여 중앙처리장치(10)가 인식할 수 있게 한다.
가입자에게 링을 줄때는 슬릭(204)을 통해 링릴레이(202)를 동작시키게 되고 링소스로부터 DC-48V가 중첩된 20㎐ 80Vrms의 링신호가 전화기(ROT)로 보내진다. 콤보코덱(206)은 송수신신호의 여파, 부호화 및 복호화에 사용되며 티삭(207)은 통화로인 채널(Channel) 할당에 사용된다.
제4도는 제1도의 중앙처리장치의 상세도로서, 프로세서(Microprocessor)(100), 톤룸(101), 톤주소 및 클럭발생부(102), 리던던트회로(103), 메모리(104), 백업회로(105), 비동기 입출력 장치(106), 디코딩회로(108), 펄스발생기(109), 버퍼(110), 레디발생기, 인터럽트 핸들러(112), 시계칩(113) 게인콘트로(114), 회의회로(115)로 구성되며, 50은 제1도의 스위치회로이고 톤룸(101)은 톤발생회로(30)이며, 이와 같이 구성된 제4도의 회로는 공지된 회로이다.
상기 제4도의 동작은 하기와 같다.
스위치회로(50)는 프로세서(100)의 제어를 받아 통화로를 연결해 주며, 톤룸(101)에는 각종 톤의 정보가 들어 있어 프로세서(100)의 제어를 받아 통화로가 연결된 호출자 가입자에게 발신톤을 준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100)는 리던던트회로(103)로 이중화될 수 있으며 각 메모리(104)(Memory)의 내용을 관장,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104)는 백업회로(105)에 의해 전원(power)이 오프(OFF)시에도 한동안 정보를 유실하지 않는다. 또한 비동기 입출력포트(106)는 시스템과 외부장치와의 통신포트로 터미널(Terminal) 및 프린터(Printer), 모뎀(Modem), 및 후술하는 제5도의 라인 드라이버(901)과 라인리시버(913)를 통해 컴퓨터(Computer)(HC)등이 연결되는 포트이다.
프로세서(100)는 디코딩회로(108)에 의해 각 회로 및 가입자등의 주소번지를 인식하여 데이터(data)를 주고 있으며,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를 행한다.
제5도는 제1도의 제2도에 각각 도시된 입출력회로(90)의 상세 블럭도로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드라이브하는 라인드라이버(901) 상기 라인드라이버(901) 데이터를 변조하여 출력하는 모뎀(902)과, 외부 컴퓨터 등과 같은 단말기의 데이터를 라인 인터패이싱하는 다수의 RS-232C(903-906)과, 소정의 수신데이터 리시브 데이터로 전송하는 라인리시버(Line Receiver)(913)(911)과 상기 라인드라이버(901)의 데이터를 스위칭하여 상기 RS-232C(903-906)으로 스위칭 입력시키거나 수신데이터를 라인리시버에 입력시키기 위한 스위치(907-910)로 구성된다.
상기 제5도에 있어서, 송신할 데이타는 라인드라이버(901)를 통해 모뎀(902)으로 연결되거나, RS232C(903-906)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비동기 입출력장비와 연결되어 송신되며, 이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스위치(907-910)를 거쳐 라인리시버(913)를 통해 중앙처리장치(10)가 인식할 수 있도록 변환된다. 상기 제5도에서는 RS-232C 포트가 4개인 것을 고려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로서, 외부컴퓨터(HC)와 가입자 전화기를 상기 교환기(EXH)의 통화로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가입자 전화기에서 직접 룸상태를 입력하여 전송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7도는 교환기와 컴퓨터 사이에 교환되는 메세지의 구성형태를 나타낸 것이며 특히 에러검사부호는 전송상의 선로에서 생기는 에러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제8도는 메세지의 일부형과 콘트롤신호인 ENQ, ACK등이 동일한 형태를 갖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메세지 구성시 입력디지트를 변환하기 위한 기초 변환표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임의의 룸내에 있는 룸가입자 전화기(룸가입자)(ROT)가 훅크-오프하면, 이는 제3도의 가입자회로(20)의 회로가 “훅-오프”를 검출하여 제4도와 같은 중앙처리장치(10)내의 프로세서(100)에 입력시킨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100)는 톤주소 및 클럭(102)을 제어하여 톤발생회로(30)의 톤룸(101)으로부터 발신음을 발생시키어 스위칭회로(50)를 통해 룸가입자(ROT)에게 붙여준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룸가입자(ROT)가 기능코드(Fucntion Code)를 다이얼링하면, 이는 가입자회로(20)와 복합주파수 수신회로(60)를 통해서 입력된다. 따라서 룸가입자(ROT)에서 입력시킨 기능코드는 상기 복합주파수 수신회로(60)에서 다이얼 디지트 디지탈 데이터(Dial Digit Digital Data)로 변환되어 제4도와 같은 중앙처리장치(10)내의 프로세서(100)에 입력된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100)는 제6도 6a과정에서 입력되는 디지트가 기능코드인가를 검색하며, 기능코드가 아닐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톤발생회로(30)의 톤룸(101)을 제어하여 6r과정에서 에러음을 연결 송출한다.
상기 6a과정에서 입력디지트가 기능코드라고 판단될때 중앙처리장치(10)내의 프로세서(100)은 입력되는 디지트를 메모리(104)에 저장하면서 차기의 입력디지트가 룸의 상태코드인지를 6b과정에서 검색한다.
상기 6b의 검색결과가 룸상태코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프로세서(100)는 전술한 6r과정에서 톤룸(101)을 제어하여 룸가입자(ROT)에게 에러음을 붙여주고, 룸상태 코드이면(6c)과정에서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룸서버의 번호를 입력받아 이것들을 (6d)과정에서 메세지로 변환(Formating)한다. 이때 상기 과정에서 설명된 기능코드, 룸상태코드, 룸서버(Room Server)번호는 하기와 같은 것을 의미한다.
* 기능코드 : 교환기 시스템이 제공하는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입력하는 코드로 일반적으로 *,#이 선행된 후 디지트를 수반하여 , 이는 교환기 시스템에 사용자가 사용하려는 기능을 인식시켜 주기 위해 입력하는 코드이다. 이때 교환기 시스템은 각 기능코드를 인식하여 소정프로그램에 의해 그에 맞는 서비스를 수행하게 된다.
* 룸상태코드 : 룸의 현재상태를 나타내는 코드로 보통·숫자로 정의하여 사용한다. 예를들면 디지트 “1”이면 룸이 비어있는 상태, 디지트 “2”이면 청소가 완료된 상태등을 표시할 수 있다. 룸상태코드는 사용자가 임의로 코드를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 룸서버번호 : 사용자의 고유번호로서 보통객실 관리자의 고유번호(ID)이다. 상기 (6a), (6b), (6c)과정에서 기능코드, 룸상태코드, 룸서버 번호가 입력되면 중앙처리장치(10)내지 마이크로프로세서(100)는 (6d)과정에서 룸상태 코드와 룸가입자의 전화번호, 룸서버번호를 제7도와 같은 메세지로 변환한다. 이때 제7도의 메세지 형태에서 메세지 시작부호와 메세지 끝부호 및 에러검사부호를 제외한 내용은 니블(nibble) 단위의 디지트로 구성되는데 제8도를 디지트 변환표를 사용한다. 이는 메세지의 시작부호, 끝부호 및 콘트롤 신호인 ENQ, ACK등과 메세지의 내용이 동일한 바이트로 되어 혼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상기 (6d)과정에서 제7도와 같이 변환된 데이터는 메세지를 출력하기 위해 중앙처리장치(10)내지 프로세서(100)가 (6e)과정에서 출력 버퍼에 큐잉시킨다.
예를들어 룸전화번호가 423이면 제7도의 룸전화번호 항목은 433F의 값을 갖게 된다.
메세지 시작부호와 메세지 끝부호는 02와 03의 값을 사용하는데 이들과 에러검사 부호를 제외한 항목들에서 “0”의 값이 존재하면 혼동이 되므로 이 세항목을 제외한 항목에 “0”이 존재할때 이 값은 AH(16진수)값으로 바꾸어준다. 그외의 값은 그대로 사용한다. 예를들어 내선번호가 423번인 가입자룸에서 이 기능을 수행할때 룸상태 코드가 5이고 사용자 즉 룸서버 번호가 1234이고 메세지 종류번호가 11 그리고 현재까지 총 8번째의 메세지를 보냈다고 하면 송출할 메세지 구성은 다음과 같다.
02 : 메세지 시작부호
11 : 메세지 종류번호
85 : 메세지 순서번호 및 룸상태코드
3F : 룸전화번호
42
34 룸서버번호
12
03 : 메세지 끝부호
DC : 에러검사부호
상기와 같이 변환되어지는 메세지가 (6e)과정에서 출력버퍼에 큐잉되어지면, 중앙처리장치부(10) 내부의 프로세서(100)는 비동기 입출력포트(106)를 통해 입출력포트(90)에 접속된 컴퓨터(HC)로 (6f)과정에서 ENQ 신호를 송출한다. 이 ENQ (Enquiry)신호는 보낼 메세지가 존재할때 상대편에게 메세지를 현재 보내도 좋으냐는 뜻으로 보내는 한바이트(byte)의 데이터(data)로서 보통은 5H의 값이다.
상기 입출력포트(90)에 접속된 컴퓨터(HC)로부터 이에 대한 응답으로 ACK (Acknowledge)가 올 수도 있고 NAK(Non Acknoledgement)가 올 수도 있으며, 아예 무응답인 경우도 있다.
상기와 같이 ENQ의 신호는 제4도의 비동기 입출력포트(106)를 통해 제5도의 송신드라이버(901)로 입력되어져 각 비트가 ±12V의 신호레벨로 변환된다.
상기와 같이 변환된 신호는 스위치(907)를 통해 RS-232C 포트(963)과 연결된 제1도의 컴퓨터(HC)에 전달된다. 관리용 컴퓨터(HC)가 ENQ 신호를 입력하여 자신의 상태를 판단후 이에 다른 응답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들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이면, 응답(ACK)신호를 송출한다.
상기의 응답신호(ACK)는 RS-232C(903)와 스위치(907)를 통해 라인리시버(913)로 수신되면 TTL 레벨의 데이터로 변환되어 제4도의 비동기 입출력포트(106)에 입력됨으로써 인터럽트에 의해 프로세서(100)가 인식한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10)내의 프로세서(100)가 (6g)과정에서 응답신호(ACK)가 수신하였다고 인식한 뒤, 출력버퍼에 큐잉시키어 제7도와 같이 저장된 메세지를 동일한 경로를 통해 (6i)과정에서 외부컴퓨터(HC)로 전송한다. 이때 외부컴퓨터(HC)는 메세지 시작부호와 메시지 끝부호를 통해 한 메세지의 단위를 인식하고 에러검사부호에 의해 수신된 메세지에 에러가 포함되었는지를 알게된다. 보통 에러검사부호는 한 메세지의 내용을 배타적합(Exclusive-OR)함으로서 구한다.
만약 (6g)과정에서 소정시간 동안 응답신호(ACK)가 수신되지 않으면 중앙처리장치(10)내 프로세서(100)는 (6h)과정에서 ENQ 신호 송출을 3번 시도하였는가를 검색하여 아닐때에는 3번까지 (6f)과정의 ENQ 신호 송출과정을 반복한다. 상기 (6h)과정에서 ENQ 신호를 3번 시도하였다고 판단하면 프로세서(100)는 (6r)과정에서 에러음을 룸가입자(ROT)에게 송출한다.
상기 (6i)과정에서 메세지를 송출한 중앙처리장치(10)의 프로세서(100)는 (6j)과정에서 외부컴퓨터(HC)로부터 메세지 수신을 완료하였음을 나타내는 응답신호(ACK)가 수신되는가를 검색하고, 미도착시에는 (6k)과정을 수행하여 메세지 송출을 세번까지 재송출을 시도한다.
한편 상기의 메세지를 수신하는 외부컴퓨터(HC)는 메세지를 잘받았다는 의사를 나타내는 응답메세지를 교환기(EXH)에 보내기 위해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여 응답신호(ACK)를 송출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응답신호(ACK)를 송출한 외부컴퓨터(HC)는 교환기(EXH)로부터 수신된 메세지를 분석하여 에러가 없을 때에는 수신메세지를 내부에서 처리한 후 확인 메세지를 송출하기 위하여 수신 준비가 되었는가를 문의하는 ENQ 신호를 전술한 RS-232C(903)를 통해 교환기(EXH)에 보낸다.
상기 외부컴퓨터(HC)로부터 송출되어지는 응답신호(ACK)와 ENQ 신호는 전술한 경로를 거쳐 중앙처리장치(10)내의 프로세서(100)에 입력되어진다.
따라서 교환기(EXH)의 중앙처리장치(10)내에 있는 프로세서(100)는 (6j), (6l)과정에서 응답(ACK) 및 ENQ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하고, ENQ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6m)과정에서 송신하여도 좋다는 신호를 송출한다.
이에 외부컴퓨터(HC)가 상기 응답신호(ACK)를 수신하여 제1도의 교환기(EXH)의 입출력포트(90)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은 경로로 확인 메시지를 송출하면, 교환기(EXH)의 중앙처리장치(10)내의 프로세서(100)는 (6n)과정에서 이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6n)과정에서 메세지를 수신하였을때 중앙처리장치(10)내의 프로세서(100)는 올바른 메세지인가를(6o)과정에서 검색한다. 즉 메세지가 도착했을때 이전에 보낸 메세지에 대한 확인 메세지가 틀림없으면 톤발생회로(30)를 제어하여 (6q)과정에서 가입자에게 확인음을 주고 아니면 전술한 (6r)과정을 수행하여 에러음을 주게된다.
가입자는 에러음을 듣게되면 전과정을 되풀이 하게 되고, 확인음을 듣게되면 룸상태의 데이터전송이 성공한 것으로 알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환기가 설치된 장소의 관리 컴퓨터와 교환기를 연동시켜 편리하게 룸을 관리함으로써 호텔의 경우 룸서버는 방의 상태를 검사하여 룸의 전화기로 룸의 상태를 컴퓨터에 입력하여 고객관리에 효율을 기할수 있으며, 일반빌딩의 경우 빌딩 관리요원이 빌딩순찰시 각 룸의 상태를 기록할 필요없이 직접 룸의 전화를 사용하여 컴퓨터에 입력할 수 있어 호텔객실 관리 및 빌딩관리의 자동화를 실행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가입자의 룸상태를 교환기를 통해 외부컴퓨터로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룸내의 설치된 가입자 전화기로부터 입력되는 다이얼링 디지트가 기능코드인가를 검색하여 기능코드가 아닐때 에러음을 가입자에게 송출하는 제1단계(6a, 6r)와, 상기 제1단계(6a, 6r)의 검색결과가 기능코드일때 차기입력 디지트가 룸상태 코드인가를 검색하는 제2단계(6b)와, 상기 제2단계(6b)의 검색결과가 룸상태 코드일때 입력되는 룸서버 번호를 입력하고 룸상태코드가 아닐때 에러음을 송출하는 제3단계(6c, 6r)와, 상기 제1, 제2, 제3단계(6a, 6b, 6c)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전송 메세지 형태로 포맷팅하여 출력 버퍼에 규잉하는 제4단계(6d, 6e)와, 데이터 송수신 프로토클에 의해 외부컴퓨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정상시에 상기 제4단계(6e, 6f)에서 규잉시킨 메세지를 상기 컴퓨터에 전송하고, 컴퓨터로부터의 응답메세지를 분석하는 제5단계(6f-6o)와, 상기 제5단계(6f-6o)의 수신데이터의 분석결과가 송신메세지에 대한 응답메세지일때 확인음을 상기 가입자에게 송출하고, 송신 메세지에 대한 응답메세지가 아닐때 에러음을 가입자에게 송출하는 제6단계(6q-6r)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의 룸상태를 교환기를 통해 외부컴퓨터로 전송하는 방법.
KR1019880008009A 1988-06-30 1988-06-30 가입자의 룸상태를 교환기를 통해 외부컴퓨터로 전송하는 방법 KR920000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8009A KR920000089B1 (ko) 1988-06-30 1988-06-30 가입자의 룸상태를 교환기를 통해 외부컴퓨터로 전송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8009A KR920000089B1 (ko) 1988-06-30 1988-06-30 가입자의 룸상태를 교환기를 통해 외부컴퓨터로 전송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200A KR900001200A (ko) 1990-01-31
KR920000089B1 true KR920000089B1 (ko) 1992-01-06

Family

ID=19275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8009A KR920000089B1 (ko) 1988-06-30 1988-06-30 가입자의 룸상태를 교환기를 통해 외부컴퓨터로 전송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0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140A (ko) * 1999-12-03 2001-07-02 박경주 생물막 접촉 담체의 고정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200A (ko) 1990-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67351B1 (en) Signal multiplexing circuit
JP2584433B2 (ja) 呼出信号の間の無音期間に選択された電話機にデ−タメツセ−ジを伝送する方法及び装置
US5359598A (en) Voice server for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KR920000089B1 (ko) 가입자의 룸상태를 교환기를 통해 외부컴퓨터로 전송하는 방법
US7352849B2 (en) SMS switching private branch exchange system and method
JPS5897954A (ja) 網制御装置
JPS61293065A (ja) フアクシミリの自動発呼装置
US5937061A (en) Power saving control apparatus for simple electronic exchange system
IE49774B1 (en) Digital telephone station
JPH0433184B2 (ko)
JPH11187433A (ja) 電話装置
JP2944873B2 (ja) ビル管理装置
JP2519499B2 (ja) ダイヤル装置
JP2694394B2 (ja) Isdn電話装置
KR950008115B1 (ko) 대역내 신호전송장치의 통신모드 전환방법
JPS6277745A (ja) 音声デ−タ統合交換システム
KR850001222B1 (ko) 전화기용 원격 제어장치
SU1270906A1 (ru) Устройство идентификации абонента
JP2629599B2 (ja) ファクシミリ同時同報機能付きボタン電話装置
JP2754816B2 (ja) フアクシミリダイヤリング方式
JP3750748B2 (ja) 構内交換機及びボタン電話装置
JPS58130650A (ja) 日時指定送信方式
JPS61164359A (ja) データ通信装置
JPH0548765A (ja) 情報通信装置
JPS6374364A (ja) ボタン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