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082B1 - 공통선 신호장치의 신호단말 그룹장치 - Google Patents
공통선 신호장치의 신호단말 그룹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20000082B1 KR920000082B1 KR1019880009649A KR880009649A KR920000082B1 KR 920000082 B1 KR920000082 B1 KR 920000082B1 KR 1019880009649 A KR1019880009649 A KR 1019880009649A KR 880009649 A KR880009649 A KR 880009649A KR 920000082 B1 KR920000082 B1 KR 9200000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signal terminal
- bus
- common line
- grou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일반적인 전자교환기의 구성도.
제2도는 통상의 공통선 신호장치 구성도.
제3도는 종래의 공통선 신호장치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신호단말그룹 구성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신호단말마스터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중계선 서브시스템 112 : 중계선 정합장치
111, 121, 131, 141, 151 : 상호 프로세서 통신네트워크(IPC)
113, 123, 143 : 타임스위치 120 : 공통선 신호장치 서브시스템
122 : 공통선 신호장치 130 : 접속망서브 시스템
132 : 공간스위치 140 : 가입자서브시스템
142 : 가입자정합장치 150 : 유지보수서브시스템
152 : 시스템 유지보수센터 200 : 엑세스스위치모듈프로세서
210a-210n : 메시지 처리 프로세서 230 : 신호단말네트워크
240a-240n, 340, 440 : 신호단말그룹 250 : 레벨 1 정합장치
341 : 패킷 팬아웃(PF) 342a-342n : 프로토콜 핸들러(PH)
343 : 컨트롤 팬아웃(CF) 441 : 신호단말마스터
442, 531, 543 : 보터(Voter) 및 노드정합회로
443, 511, 522 : 제어회로 444, 532, 542 : 유지보수회로
445, 512, 521, 533, 541 : 이중화회로 446a-446n : 신호단말
447 : 데이터전달 버스군 448 : 유지보수신호군
510, 520 : 프로세서부 530, 540 : 논리부
550, 551 : 신호단말 네트워크노드
본 발명은 전자교환기의 공통선 신호장치 중에서 공통선 신호장치 용량의 증설 및 감축의 기본단위가 되는 신호단말그룹에 관한것으로 특히 일정규모 이상의 신호단말을 그룹화하여 자체의 유지보수 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공통선 신호장치의 규모가 커질때 용량의 증설 및 시스템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고 자체의 이상검출 및 재구성 기능을 가짐으로써 높은 신뢰도를 보장하기 위한 공통선 신호장치의 신호단말그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교환기간 공통선 신호방식의 범주에서 향후 전개될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을 위한 핵심적인 요소가 No. 7 신호방식의 MTP(Messag e Transfer Part) 프로토콜은 X.25 프로토콜 및 ISDN의 D 채널 프로토콜등과 같이 계층적 구조를 가지며 레벨 1,2 및 3으로 구성된다.
또한 공통선 신호장치는 메시지 형태의 교환기간 신호정보를 발생시켜서 타교환기로 보내거나 타교환기에서 송출되어 오는 신호메시지를 착신메시지와 경과(Transit)메시지로 구분하여 경과메시지인 경우에는 루팅(Routing)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이와같은 계층적 구조의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장치는 교환기에 따라 독특한 구조를 취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교환기내의 특정모듈에 집중시켜 실현하고 있으며 대체로 프로토콜의 계층에 따라 하드웨어를 분리시키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전자교환기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입력 중계선 서브시스템(110)의 신호데이터링크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메시지는 중계선 정합장치(112)와 타임스위치(113)를 통하여 접속망서브시스템(130)내의 공간스위치(132)를 경유하여 공통선 신호장치 서브시스템(120)내의 타임스위치(123)까지 미리 고정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로(path)를 거쳐 공통선 신호장치 서브시스템(120)내의 집중되어 실현된 공통선 신호장치(122)로 들어오게 된다.
상기 공통선 신호장치(112)에서는 프로토콜의 레벨 3까지를 처리하여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IPC(Inter Processor Communication)(121)와 상기 접속망서브시스템(130)내의 TPC(131)를 경유하여 상기 중계선 서브시스템(110)에 실현되어 있는 IPC(11 1)를 거쳐서 레벨 4인 사용자부(user part)로 보내거나 적절한 출력 중계선으로 루팅시켜 타교환기로 중계한다.
또한 상기 중계선 서브시스템(110)내의 레벨 4로부터 생성된 신호메시지는 상기 공통선 신호장치 서브시스템(120)의 공통선 신호장치(122)로 접수되어 적절한 출력중계선의 신호데이터링크를 경유해서 타교환기로 송출된다.
제2도는 본 발명이 수용되는 통상의 공통선 신호장치 구조도로서 No. 7 신호방식의 프로토콜 구조에 맞도록 신호장치도 각 레벨의 특성에 따라 계층적 구조를 갖는다.
상기 공통선 신호장치의 각 신호단말그룹(240a-240n)내의 신호단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링크는 레벨1 정합장치(250)에서 32개 단위로 접선하여 2,048Mbps의 신호군으로 멀티플렉싱한 후 타임스위치의 입력단으로 인가되어 원하는 트렁크회로(도시되지않음)를 거쳐 상대 교환기로 신호메시지가 전달됨으로써 레벨1 기능이 수행된다.
레벨 2 기능인 신호링크기능은 신호단말에서 수행되는데 이 신호단말은 본 신호장치의 모듈성증진을 위해 16개 혹은 32개 단위로 모듈화되어 신호단말그룹(240a-240n)을 형성하되 그룹내의 신호단말은 하나의 신호데이터링크로 입출력되는 신호메시지를 처리한다.
한편 레벨 3 기능인 신호망 기능중 상위기능인 신호망 관리기능은 억세스스위칭모듈프로세서(200)에서 수행되며 하위기능인 신호메시지 처리기능은 메시지 처리 프로세서(210a-210n)에서 각각 수행된다.
상기 메시지 처리 프로세서(210a-210n)는 신호단말 네트워크(230)를 통해 신호단말그룹(240a-240n)내의 신호단말로부터 입력된 신호 메시지를 IPC(121)를 거쳐 해당 사용자부로 루팅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를 상기 해당 신호단말로 루팅하는 전용 프로세서로서 레벨 3 기능중 신호메시지 처리기능만을 담당한다.
상기 신호단말 네트워크(230)는 최대 32개의 신호단말 노드(Node)를 수용할 수 있는 직렬버스로 단방향으로는 10Mbps의 전송속도를 갖는데 삼중화되어 TMR(Triple Modular Redundancy)형태로 운용외며 상기 신호단말 네트워크(230)상의 각 노드는 고유의 어드레스를 갖고 있으며 라운드 로빈(Round Robin)방식으로 상기 버스를 점유하여 메시지를 송출한다.
또한 상기 각 노드에는 메시지의 발착신 유니트로서 하나의 메시지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신호단말그룹이 연결되는데 상기 각 노드는 자신과 직접 접속되어 있는 메시지 착발신 유니트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신호단말 네트워크(230)로 송신하는 동작과 상기 신호단말 네트워크(230)상의 메시지중 자신과 접속되어 있는 메시지 발착신 유니트로 향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착신지로 보내주는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노드와 메시지 발착신 유니트간에는 표준화 인터페이스의 4가지의 차동신호로 접속되는데 이는 메시지 발착신 유니트에서 노드로 데이터를 송출하는 송신데이터신호, 메시지 발착신 유니트가 노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데이터신호, 송신데이터와 수신데이터의 전송기준클럭으로서 메시지 송수신 유니트에서 노드로 공급하는 클럭 신호 및 노드의 장애상태를 메시지 발착신 유니트로 알려주는 경보신호가 그것이다.
제3도는 종래의 신호단말그룹(340)을 도시한 것으로 CF(Control Fanout)(3 43)와 PF(Packet Fanout)(341)는 2계위로 설계된 패킷버스의 중재기(Arbitrator)로서 하나의 CF(343)에 6개의 PF(341)가, 하나의 PF(341)에 16개의 PH(Protocol Handler)가 각각 수용된 구조로서 총 96개의 PH가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패킷버스를 점유하고 한번 점유하면 10Mbps의 고속 데이터를 전 PH에 방송(Broad casting)하여 메시지내의 어드레스 필드에 의하여 지정된 PH가 수신하게 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위해서 프로토콜의 레벨 3 기능중 메시지 처리기능(루팅기능을 포함)이 각 PH에서 하향실현됨으로써 매 PH마다 대용량의 루팅테이블이 필요하게 되어 있으며 또한 총 96개의 패킷버스가 6개의 PF에 나누어 수용됨으로써 다량의 케이블링이 필요하게 되고 상기 PF들은 많은 백플레인 핀(Back Plane Pin)이 필요하게 되며 다수의 PH가 라운드로빈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각 PH마다 필연적으로 고가의 고속데이타 송수신용 칩(Chip)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표준화 인터페이스를 만족시키면서 교환기내 공통선 신호장치의 필요 용량에 따른 신호단말의 증설 및 감축의 기본 단위로서 최소 용량에서 최대 용량까지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고 자체 유지보수 기능을 가지면서 No. 7 공통선 신호방식의 계층적 프로토콜중 레벨 2 기능을 수행하는 신호단말과 그 유지보수를 위한 최적화된 모듈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신호단말그룹(44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로서 본 신호단말그룹(440)은 신호단말(446a~446n)과 신호단말 버스 및 신호단말마스터(441)로 구성되며 상기 신호단말 버스는 데이터전달 버스군(447)과 유지보수신호군(448)으로 구분되고 상기 신호단말마스터(441)는 보터(Voter) 및 노드정합회로(442)와 제어회로(443) 유지보수회로(444) 및 이중화회로(445)로 구성되는데 각 부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신호단말 버스중 데이터전달 버스군(447)은 최대 32개의 신호단말을 수용할 수 있는 직렬(Serial)버스로서 데이터 송신버스와 데이터 수신버스, 데이터 송수신 클럭, 동기신호 및 데이터 송신버스 점유신호등의 5가지 신호로 구성되는데 상기 각 신호는 삼중화되어 TMR 방식으로 운용된다.
이와같이 5조의 신호로 구성된 하나의 데이터전달 버스군(447)에 다수의 신호단말을 수용함으로써 케이블링이 간단하여질 뿐만 아니라 프로토콜의 레벨 3 기능을 전담하여 처리하는 메시지 처리 프로세서를 둠으로써 각 신호단말에 루팅기능을 실현할 필요가 없게되고 최대 32개의 신호단말사이에서만 버스중재를 하면 되므로 낮은 데이터전송 속도로도 충분히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데이터 송수신 클럭과 동기신호는 상기 신호단말마스터(441)의 유지보수회로(444)에서 발생시켜 모든 신호단말(446a-446n)에게 버스형태로 공급한다.
상기 데이터 송신버스와 데이터 수신버스는 직렬 통신버스로서 각각 신호단말(446a-446n)이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버스이며 데이터 수신버스는 신호단말 네트워크노드가 데이터의 송신기(Transmitter)가 되고 각 신호단말은 데이터의 수신기(Receiver)가 된다.
따라서 상기 신호단말(446a-446n)들은 데이터 수신버스상의 메시지중 착신주소가 자신의 주소와 같은 메시지를 수신하면 되지만 송신버스의 경우 데이터의 수신기는 신호단말 네트워크노드이고 송신기는 신호단말(446a-446n)로서 다수의 데이터 송신기가 존재함으로 인한 데이타의 충돌을 막기 위하여 한번에 하나의 신호단말만이 데이터를 송출하도록 해야한다.
이와같은 데이터송신버스의 중재(Arbitration)를 위하여 각 신호단말(446a-446n)과 신호단말마스터(441)에 8비트 중재카운터를 두고 동기신호와 데이터 송신버스 점유신호를 두되 모든 중재카운터는 동기신호에 의하여 서로다른 이진수 값으로 프리세트된 후 데이터 송수신용 클럭에 의하여 값이 증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중재카운터가 증가할 수 있는 최고값에 도달하면 상기 신호단말(446a-446n)은 송출할 메시지가 있을 경우에 데이터 송신버스 점유신호를 송출하고 메시지를 송출하며 상기 데이터 송신버스 점유신호는 버스형태로 모든 신호단말(446a-446n)과 신호단말마스터(441)에 전달되어 모든 중재카운터가 동시에 정지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데이터 송신버스 점유신호를 송출(Assert)한 신호단말은 자신의 메시지 송출이 끝나면 데이터 송신버스 점유신호를 거두어 (Negate)들임으로써 모든 중재카운터가 증가를 계속하도록 하며 모든 중개카운터가 동기신호에 의하여 서로 다른값으로 프리세트됨으로 동시에 두개이상의 신호단말에서 메시지가 송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신호단말마스터(441)내부의 중재카운터는 동기신호에 의하여 프리세트될때 다른 모든 중재카운터의 초기값보다 작은 값으로 프리세트되게 하고 이 값이 최고값에 달했을때 동기신호를 송출하게 함으로써 데이터 송신버스의 점유권이 신호단말그룹내의 모든 신호단말에게 공평하게 분배되도록 한다.
이렇게하여 신호단말은 신호단말 네트워크노드로부터 전송되어온 수신메시지를 언제든지 수신할 수 있으며 송신메시지의 경우 라운드로빈 방식으로 송신차례가 돌아오므로 한번 데이터 송신버스의 점유권을 부여 받으면 신호단말 네트워크노드와 풀 듀플렉스(Full Dupler)통신이 가능하게 되며 각 신호단말이 데이터 송신버스를 한번에 점유할 수 있는 최대 점유시간을 미리 결정해 둠으로써 데이터전달 버스를 데이터의 송신을 위하여 기다려야하는 최대시간이 결정되어 있는 데이터 송수신 버스로서 운용되게 한다.
상기 유지보수신호군(448)은 신호단말그룹 구분신호와 신호단말 구분신호, 클럭속도 구분신호, 마스터명령전달 및 신호단말 상태 읽음신호, 신호단말그룹 경보신호, 데이터송신 확인신호, 데이터수신 확인신호 및 데이터수신 확인 요청신호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신호단말그룹 구분신호는 공통선 신호장치내에서 2개이상의 신호단말그룹(400)이 수용될 경우 그룹간의 물리적 구분을 나타내는 신호로서 동일 신호단말그룹내의 모든 신호단말에 버스형태로 전달되고 각 신호 단말은 필요할때 해당 입출력 포트를 액세스하여 알 수 있으며 상기 신호단말 구분신호는 동일 신호단말그룹(440)내 신호단말의 물리적 주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신호단말은 이에 해당하는 입출력포트를 액세스하여 알 수 있다.
상기 클럭속도 구분신호는 변경 가능하게 설계된 송수신 데이터의 속도를 각 신호단말기로 알리기 위한 신호로서 각 신호단말은 자체의 데이터송신과 관련되는 에러 검출의 기준데이터로 활용되고 상기 데이터 송신 확인신호는 각 신호단말에서 유지보수회로(444)로 자신이 데이터 송신버스를 점유중임을 알리는 신호로서 상기 유지보수회로(444)는 이 신호들을 비교분석하여 데이터 송신버스 점유와 관련한 에러를 검출하며 상기 데이터수신 확인신호와 데이터수신 확인요청신호는 데이터 수신버스 운용상의 에러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로서 상기 유지보수회로(444)에서 데이터 수신버스상의 메시지 수신주소를 확인한 후 해당 신호단말도 데이터수신 확인요청신호를 보내고 신호단말은 데이터를 수신중일 경우 데이터수신 확인신호를 보내게 하여 수신데이터가 상실되는 경우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이다.
상기 마스터명령 전달 및 신호단말 상태 읽음신호는 상기 유지보수회로(444)에서 신호단말그룹(440)내에 에러를 감지한 후 개별 신호단말로 시스템 리세트등의 각종 명령을 데이터전달 버스를 경유하지 않고 전달함과 동시에 각 신호단말별로 장애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게 설계된 버스신호이고 상기 신호단말그룹 경보 신호는 각 신호단말이 자체의 장애상태를 검출하여 이를 유지보수회로(444)로 알리기 위한 버스신호로서 상기 유지보수회로(444)에서는 신호단말그룹 경보신호가 감지되면 각 신호단말의 상태를 읽어봄으로써 상기 신호단말그룹(440)내의 장애 발생위치를 알 수 있으며 이에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신호단말(446a-446n)은 프로토콜 처리회로와 신호단말버스 정합회로 및 레벨 1 정합회로로 구성되며 상기 프로토콜 처리회로는 범용 중앙처리장치(CPU)와 메모리로 구성되어 본 신호단말그룹에서는 공통선 신호방식 프로토콜중 레벨 2 전체를 수행하지만 필요에 따라 다양한 프로토콜을 실현하여 수행하게 함으로써 본 신호단말그룹이 공통선 신호장치 뿐만 아니라 수행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패킷처리기 그룹등으로 응용될 수 있게한다.
상기 신호단말 버스정합회로는 레벨 2 처리가 끝난 메시지를 레벨 3 처리부로 보내고 받기 위하여 신호단말 버스의 점유를 위한 중재와 메시지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상기 레벨 1 정합장치는 신호단말과 교환기내의 타임스위치와의 정합을 담당하는 곳으로서 각 신호단말로 부터 송신되어 오는 64Kbps 또는 56Kbps의 신호메시지를 2,048Mbps의 PCM 프레임(Pulse Code Modulation Frame)으로 멀티플렉싱하여 타임스위치로 전송함과 동시에 그 역기능도 수행하는데 이러한 레벨 1 정합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상기 신호단말(446a-446n)내부의 레벨 1 정합회로에서 수행한다.
제5도는 신호단말마스터(441)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신호단말마스터(441)는 크게 프로세서부(510)(520)와 논리부(530)(540)로 나누어지며 이 둘은 각각 이중화되어 동작과 대기(Active/Standby)형태로 운용되는데 상기 두 프로세서부(510)(520)간에서는 자체 이중화제어가 수행되고 상기 두 논리부(530)(540)간에도 자체 이중화 제어가 수행되며 필요시 동작중인 프로세서가 논리부의 동작과 대기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논리부(530)(540)는 모든 입력신호들을 동작 또는 대기상태에 관계없이 수신하고 모든 출력신호들은 동작중인 논리부에서만 구동하며 대기중인 논리부에서는 고임피던스(High Impedance)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부(510)(520)에서는 논리부(530)(540)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동작중인 프로세서부에서만 구동되게 함으로써 상기 프로세서부(510)(520)와 논리부(530)(540)사이에 교차접속(Cross Connection)제어가 가능하게 한다.
상기 프로세서부(510)(520)는 논리부(530)(540)에서 수집한 신호단말그룹내부의 각종 장애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그 결과를 데이터전달 버스를 통하여 시스템 유지보수센터 또는 레벨 3 기능으로 보고하거나 상기 시스템 유지보수센터 또는 레벨 3 기능으로부터 수신된 유지보수 관련명령에 따라 각 신호단말과 논리부(530)(540)를 제어한다.
상기 프로세서부(510)(520)는 상기 논리부(530)(540)를 제어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레벨 1 정합장치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고 이중화된 프로세서부는 데이터전달 버스(447)를 통한 메시지 송수신 가능에 장애가 없으면 동작 또는 대기상태에 관계없이 상기 데이터전달 버스(447)를 점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부(510)(520)는 동작 또는 대기상태에 따라서 서로 다른 잡(Job)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논리부(530)(540)는 자체 이중화 기능과 함께 보터(Voter) 및 노드정합회로(531)(543)와 유지보수 회로(532)(542)로 구성하며 상기 유지보수회로(532)(542)에서는 첫째로 데이터전달 버스(447)의 운용에 필요한 동기신호와 데이터 송수신 클럭을 발생시켜 신호단말그룹 전체에 공급함과 동시에 이들 신호의 정상여부를 감시하고 두번째로 데이터 송신버스 감시회로를 두어서 전송순서에 맞는 신호단말이 메시지를 송출하고 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고 에러시에는 메시지에 나타난 송신주소와 전송차례에 맞는 신호단말의 주소를 보관하되 두개 이상의 신호단말이 동시에 메시지를 송출한 경우 이들 신호단말을 구분해 낼 수 있는 데이터를 보관하며 하나의 신호단말이 규정시간 이상으로 데이터 송신버스를 점유하고 있을때 이를 감지하여 상기 프로세서부(510)(520)로 알린다.
세째로 데이터 수신버스 감시회로를 두어서 데이터 수신버스상의 메시지에 나타난 착신주소에 해당되는 신호단말이 메시지를 수신하고 있는가를 판정하여 에러시에 해당 신호단말을 구분할 수 있는 데이터를 보관하며 네째로 장애가 검출된 신호단말을 신호단말 버스에서 분리시켜 데이터전달 버스를 통한 메시지의 송수신을 불가능하게 하거나 이후 필요시 다시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특정 신호단말의 시스템 리세트를 시킬 수 있고 신호단말의 자체시험을 요구할 수 있는 신호단말마스터 명령전달기능과 장애가 발생한 신호단말의 장애원인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두는데 이 두가지 기능을 하나의 회로로 구성한 마스터명령 전달 및 신호단말 상태읽음회로를 둔다.
다섯째로 삼중화신호 감시회로를 두어서 TMR 방식으로 운용되는 각 신호의 3라인(Line)중에서 데이터 결정순간의 논리상태가 나머지 두라인과 같지않은 라인을 검출하여 에러가 발생한 라인을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를 보관한다.
상기 논리부(530)(540)에서는 상기 기능들을 논리회로로 구성하고 에러 검출시에는 인터럽트를 프로세서부(510)(520)로 보내서 상기 프로세서부(510)(520)가 필요한 데이터를 논리부(530)(540)에서 수집하여 장애상태를 판단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게 되며 또한 마스터명령을 전달하거나 신호단말 상태를 읽을 경우에도 논리부(530)(540)를 경유하여 수행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프로세서부(510)(520)와 논리부(530)(540)사이에는 데이터버스와 어드레스버스, 명령래치신호, 인터럽트 및 논리부 이중화 제어신호를 둔다.
상기 보터(Voter)는 데이터전달 버스군(447)내의 각 신호마다 하나씩 두는데 세 라인으로 구성된 각 신호선의 논리상태를 비교하여 두 라인 이상에서 같은 상태를 보일 경우 이를 진리(True)로서 인정하는 장치로서 이는 신호단말그룹내의 모든 신호단말과 신호단말마스터(441)내의 프로세서부(510)(520)와 논리부(530)(540)에 각각 존재한다.
상기 노드정합회로(530)(543)는 신호단말 네트워크노드(550)(551)로부터 입력되는 수신데이터를 데이터의 가공이나 버퍼링(Buffering)없이 신호단말버스로 전달하고 신호단말버스상의 송신데이터를 데이터의 가공이나 버퍼링없이 상기 신호단말 네트워크노드(550)(551)로 전달하며 데이터 송수신에 필요한 기준클럭을 상기 신호단말 네트워크노드(550)(551)로 공급하고 노드의 장애상태를 나타내는 경보신호를 접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노드정합회로(531)(543)는 서로 다른 신호단말 네트워크노드(550)(551)와 정합되며 상기 논리부(530)(540)의 동작과 대기상태에 따라 상기 논리부(530)와 신호단말 네트워크노드(550)가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상기 논리부(540)와 신호단말 네트워크노드(551)가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이때 동작중인 논리부만 해당노드쪽으로 데이터를 보내고 노드에서 받은 데이터를 신호단말버스로 송출한다.
또한 데이터를 송수신중의 노드의 장애로 인한 경보신호가 접수되면 노드정합회로는 자동으로 다른 노드와 연결되어 메세지를 송수신하고 장애가 복구되었을때 정상상태로 다시 연결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공통선 신호장치의 신호단말을 그룹화하여 자체의 유지보수 기능을 갖도록 하고 신호단말그룹과 신호단말 네트워크노드의 접속에 있어서 교차접속을 실현하여 신호단말그룹의 신뢰도를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공통선 신호장치의 규모가 커질때 용량의 증설 및 시스템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1)
- 전자교환기의 공통선 신호장치에 있어서, 공통선 신호방식 프로토콜의 레벨 2 신호링크 기능을 전담하여 처리하는 수단인 신호단말(446a~446n)과, 이 신호단말그룹(440)내의 장애발견과 진단 및 재구성등의 유지보수 기능을 제공하는 수단인 신호단말마스터(441)와, 상기 신호단말(446a~446n)과 신호단말마스터(441)가 신호단말 네트워크노드(550), (551)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인 신호단말 버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신호단말 버스는 신호단말(446a~446n)이나 신호단말마스터(441)와 신호단말 네트워크(230)사이에 직렬통신경로인 데이터전달 버스군(447)과 신호단말그룹(440)내의 유지보수를 위한 유지보수신호군(448)으로 나누어 지며, 상기 신호단말마스터(441)는 이중화된 프로세서부(510), (520)와 논리부(530), (540)를 갖고 각각은 자체의 이중화 제어회로 (445), (512), (521), (533), (541)를 가짐으로써 스스로 동작과 대기상태를 결정하되 이들사이에는 신호단말버스가 아닌 별도의 통신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이중화된(530), (540)는 각각 다른 신호단말 네트워크노드(550), (551)로 접속되어 신호단말버스와 신호단말 네트워크(230)사이의 교차접속 통신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이증화된 논리부(530), (540)중 한곡에서 통신경로상의 장애가 발생함과 동시에 두개의 신호단말 네트워크노드(550), (551)중 한곳에서 고장이 발생하여도 신호단말그룹(440)과 신호단말 네트워크노드(550), (551)간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선 신호장치의 신호단말그룹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단말(446a~446n)은 프로토콜 처리회로와 신호단말버스 정합회로 및 레벨 1 정접합회로로 구성되며 상기 프로토콜 처리회로에는 공통선 신호방식 프로토콜의 레벨 2 기능 전체가 실현되는 구조로서 여기에 실현되는 프로토콜에 따라 본 신호단말그룹이 공통선 신호장치로서 뿐만 아니라 패킷처리기등의 다목적 프로토콜 처리장치로 응용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선 신호장치의 신호단말그룹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신호단말마스터의 이중화된 프로세서부(510), (520)와 논리부(530), (540)는 각각 이중화되어 자체적으로 동작과 대기상태를 결정할 수 있고 필요한 동작중인 프로세서부가 논리부의 동작이나 대기상태를 결정할 수 있으면 논리부의 모든 입력신호들은 동작이나 대기상태에 관계없이 수신하고 모든 출력신호들은 동작중인 논리부에서만 구동하되 대기중인 논리부는 하이 임피던스 상태를 유지하게 구성하며, 상기 프로세서부에서는 논리부로 출력되는 제어신호가 동작중인 프로세서부에서만 구동되게 함으로써 이중화된 프로세서부와 논리부 사이에 교차접속 통신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선 신호장치의 신호단말그룹장치.
- 제1항에 있어서, 프로세서부(510), (520)와 논리부(530), (540)의 통신수단은 병렬 어드레스버스와 데이터버스, 명령래치신호, 동작과 대기 제어신호 및 인터럽트로 구성되어 상기 논리부는 프로세서부가 병렬어드레스버스와 데이터버스에 실어둔 내용을 명령 래치신호에 의하여 필요한 회로를 동작시키도록 하되 그 결과가 나타났을때와 신호단말그룹의 비정상 상태를 감지했을때 그 내용을 레지스터에 보관한 후 프로세서부로 인터럽트를 보냄으로써 프로세서가 다음 조취를 취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선 신호장치의 신호단말그룹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부(510), (520)는 제어회로(443), (511), (522)와 자체 이중화 제어회로(445), (512), (521) 및 신호단말버스 정합회로로 구성되어 논리부에서 수집한 유지보수 관련데이터를 처리한 후 시스템의 유지보수센터로 보고하거나 필요에 따라 신호단말 명령을 논리부를 경유하여 처리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선 신호장치의 신호단말그룹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부(530), (540)는 다수의 신호단말 네트워크노드정합회로(531), (543)와 자체 이중화제어회로(533), (544) 및 유비보수회로(532), (542)로 구성되어 데이터전달신호군의 동기신호와 데이터 송수신 클럭을 발생시키고 데이터 송신버스 감시와 수신버스 감시, 신호단말 네트워크노드정합, 프로세서부 정합, 신호단말 제어명령 송출, 신호단말 상태수집 및 자체 이중화 제어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선 신호장치의 신호단말그룹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단말 네트워크노드정합회로(이하 정합회로)(531), (543)는 이중화로 구성되고 각각을 서로다른 신호단말 네트워크노드(이하 노드)(550), (551)에 접속하되 정상상태에서는 상기 정합회로가 각각의 노드에 접속되어 동작중인 정합회로가 자신이 접속된 노드와 메시지를 송수신하지만 이때 경보가 발생하면 정상상태인 다른 노드로 자동연결되며 장애복구시 정상상태로 환원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선 신호장치의 신호단말그룹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전달 버스군(447)은 데이터 송수신 경로가 분리되어 구성되며 데이터송출 및 추출의 기준신호인 데이터 송수신용 클럭과 데이터 송신버스 중재를 위한 동기신호 및 점유신호등의 5가지 신호로 구성되고 각각은 3중화하여 TMR 방식으로 운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선 신호장치의 신호단말그룹장치.
- 제1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단말(446a~446n) 및 신호단말마스터(441)는 데이터 수신버스상의 메시지중 착신주소가 자신과 같은 메시지를 항상 수신하며, 메시지의 송신시에는 라운드로빈방식에 의하여 자신에게 송신차례가 돌아왔을때 데이터 송신버스 점유신호를 구동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버스가 점유되었음을 신호단말그룹전체에 알린후 메시지를 송출하고, 송출완료 후 데이터 송신버스 점유신호를 거두어들임으로써 다른 신호단말이나 신호단말마스터가 데이터 송신버스를 점유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선 신호장치의 신호단말그룹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보수신호군(448)은 신호단말그룹 구분신호와 신호단말 구분신호, 클럭속도 구분신호, 마스터명령 전달 및 신호단말 상태읽음 신호, 신호단말그룹 경보신호, 데이터송신 확인신호 데이터 수신확인신호 및 데이터 수신확인 요청신호로 구성되어 신호단말과 신호단말마스터가 자신의 물리적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신호단말마스터로 하여금 데이터 전달속도를 신호단말그룹 전체에 알릴수 있도록 하고, 데이터 송수신버스 감시, 신호단말 제어명령송출, 신호단말 상태수집 및 신호단말내의 경보상태 감지 등 유지보수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선 신호장치의 신호단말그룹장치.
- 제1항에 있어서, 필요한 공통선 신호장치의 용량이 작아서 하나의 신호단말그룹만으로 써도 충족될 수 있을때 상기 신호단말그룹(440)을 액세스스위칭모듈프로세서(200)에 직접연결함으로써 메시지 프로세서와 신호단말 네트워크를 생략하여 경제성과 모듈성을 극대화를 실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선 신호장치의 신호단말그룹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80009649A KR920000082B1 (ko) | 1988-07-29 | 1988-07-29 | 공통선 신호장치의 신호단말 그룹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80009649A KR920000082B1 (ko) | 1988-07-29 | 1988-07-29 | 공통선 신호장치의 신호단말 그룹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02596A KR900002596A (ko) | 1990-02-28 |
KR920000082B1 true KR920000082B1 (ko) | 1992-01-06 |
Family
ID=19276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80009649A KR920000082B1 (ko) | 1988-07-29 | 1988-07-29 | 공통선 신호장치의 신호단말 그룹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2000008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29426B1 (ko) * | 1996-09-19 | 1999-11-01 | 유기범 | 프로세서간 통신 노드보드의 이중화제어장치 |
-
1988
- 1988-07-29 KR KR1019880009649A patent/KR92000008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02596A (ko) | 1990-0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411599B1 (en) | Fault tolerant switching architecture | |
CA1181512A (en) | Digital information switching system | |
JP2536915B2 (ja) | デ―タ処理装置クラスタ―に使用するコンピュ―タ相互結合カプラ | |
US5430442A (en) | Cross point switch with distributed control | |
US4897833A (en) | Hierarchical arbitration system | |
WO1992005643A1 (en) | Modular digital telephone system with fully distributed local switching and control | |
US4764918A (en) | Tele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 |
US5923840A (en) | Method of reporting errors by a hardware element of a distributed computer system | |
US5182554A (en) | Third party evavesdropping for bus control | |
US5724343A (en) | Device for communications between a plurality of functional modules installed in a local unit and an ARINC 629 type external bus | |
US4354262A (en) | Logic system for controlling a modular multiplex connection unit in a time-division switching exchange | |
KR920000082B1 (ko) | 공통선 신호장치의 신호단말 그룹장치 | |
CN101399673B (zh) | 一种Micro TCA系统、Micro TCA系统管理方法 | |
KR100266257B1 (ko) |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통합 공통선 신호 장치 | |
US3814859A (en) | 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transceiver arrangement for serial transmission | |
CN2884710Y (zh) | 一种带虚拟网功能的提供多种接口的交换式远程网桥设备 | |
KR950007438B1 (ko) | 전자교환기용 패킷 버스 장치의 중앙 중재기 | |
KR920009097B1 (ko) | 공통선 신호장치의 신호단말 그룹 유지보수장치 | |
KR920007140B1 (ko) | 전자교환기 신호단말 유지보수 장치의 데이터 송신버스 감시회로 | |
KR930006894B1 (ko) | 전자 교환기의 신호단말그룹 정합회로 | |
KR930006863B1 (ko) | 데이터 수신버스 감시회로 | |
KR930006862B1 (ko) | 전자교환기의 신호단말그룹 버스 삼중화 신호 감시회로 | |
KR100229434B1 (ko) | 이중화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 | |
JPH1065696A (ja) | 通信ネットワークおよび障害通知方法 | |
KR100359451B1 (ko) | 이동통신 시스템의 셀버스 이중화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81223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