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10173B1 - 차량의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구동륜 독립기능의 강제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구동륜 독립기능의 강제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10173B1
KR910010173B1 KR1019890004551A KR890004551A KR910010173B1 KR 910010173 B1 KR910010173 B1 KR 910010173B1 KR 1019890004551 A KR1019890004551 A KR 1019890004551A KR 890004551 A KR890004551 A KR 890004551A KR 910010173 B1 KR910010173 B1 KR 910010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heads
function
brake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4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6643A (ko
Inventor
구동춘
Original Assignee
구동춘
박승화
손영자
정지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동춘, 박승화, 손영자, 정지섭 filed Critical 구동춘
Priority to KR1019890004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10173B1/ko
Publication of KR900016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6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10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0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9/00Self-acting brakes, e.g. coming into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speed
    • F16D59/02Self-acting brakes, e.g. coming into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speed spring-loaded and adapted to be released by mechanical, fluid, or electro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의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구동륜 독립기능의 강제 제동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장치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 장치의 일부 절개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 장치가 실시된 후륜구동 차륜부를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브레이크 계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자석장치 12 : 전기자코일
14 : 작동봉 14a : 선단축봉
20 : 오일실린더 21 : 피스톤
21a : 피스톤로드 30 : 연결편
100 : 강제제동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기존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독립된 강제제동기능을 갖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도로 발달된 이 시대의 자동차들은 보다 안전하고 실용적으로 발전되어 왔다. 더불어 브레이크계통의 장치들도 보다 효율적이며 완벽한 제동효과를 얻을 수 있게 설계, 제작되어 있다하여 현재의 차량들은 대부분 X자형 2계통의 브레이크방식을 쓰고 있으며 이 방식의 장점은 한쪽라인이 고장 등 제동력을 상실했을 때 다른 라인의 대각형 작동으로 제동효과를 거둘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열거한 기존 브레이크계통의 본래적 제동방식을 이용하여 노면불량이나 수렁 등 구동륜의 균등접지불량 상태에서 그 기능이 상실되는 차동장치를 적용한 모든 차량의 구동기능의 회복 및 도난방지의 역할차량의 제자리 방향전환과 차체 이동기능 등의 목적에 필요한 독립된 강제제동 효과를 낼 수 있는 장치로써 본 발명의 작동실시 및 효과를 예시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10)은 공지된 전자석장치로서 이의 본체(11)내에는 전기자코일(12)이 내설되어 있고 그의 중앙부에는 안내공(13)에 후단축봉(14b)이 안내되고 선단축봉(14a)은 본체(11)외부로 노출되는 작동봉(14)이 내설되어 있다.
(20)은 자력작동부(10)의 본체(11)에 고정 설치되는 오일실린더로서 이의 내부에는 피스톤로드(21a)를 가지는 피스톤(21)이 내설되어 있고 그 피스톤(21)의 전후측의 오일실린더(20)내에는 브레이크오일(0)(0′)이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작동봉(14)의 선단축봉(14a)과 피스톤로드(21a)에는 이를 연동시키는 연결편(30)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오일실린더(20)에는 피스톤(21)의 전, 후측방에 연결니플(22)(22a)로서 오일압송관(40)(40a)을 연결되도록 하는데 마스타실린더(110)로부터 오일실린더(20)로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압송관(40)은 후측에 연결되게 하고 오일실린더(20)로부터 휘일실린더(120)로 연결되는 오일압송관(40a)은 피스톤(21)을 마주하고 있는 오일실린더(20)의 전면에 연결되게 한다.
그리고 자력작동부(10)는 전기자코일(12)에 전원이 연결되어지며 그 전원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운전석 부근에 설치되는 작동스위치(50)에서 온(On), 오프(Off)되도록 하며 이와 같이 전원이 연결된 강제제동장치(100)는 제4도의 예시와 같이 차동장치(14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륜(W)(W′)에 기 설치된 드럼브레이크장치(130)의 휘일실린더(131)로 배관되어진 오일압송관(40)(40a)의 라인 상에 연결니플(22)(22a)로서 연결, 설치된다.
이와 같이 연결, 설치된 강제제동장치(100)는 필요시에만 작동, 사용케 되는바 이는 다음의 설명과 같다.
즉, 작동스위치(50)를 온(on)시키면 강제제동장치(100)로 전원이 연결되어 전기자코일(12)에 의한 전자석의 자력발생으로서 작동봉(14)에 안내공(13)측으로 전진이동되고 따라서 연결편(30)으로 연결되어진 피스톤(21)도 동시에 전진 이동하게 된다.
상기 작동과 같이 피스톤(21)이 전진이동 되면 그 피스톤(21)의 전방에 수용되어 있는 브레이크오일(0′)은 피스톤(21)의 전진압력을 받아 휘일실린더(120)를 작동시켜 드럼브레이크장치(130)가 제동기능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에서의 강제제동장치(100)는 전기자코일(12)의 자력이 상실됨으로서 작동봉(14)은 본체(11)내에서 자유자재로 유동 가능한 상태에 놓여지게 된다. 따라서 작동봉(14)과 연결된 피스톤(21) 또는 자유자재로 유동 가능한 상태에 있게 되고 그럼으로서 기존의 브레이크기능은 본래의 용도로 작동되며, 달리 전원이 온(on)된 상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21)의 전진작동으로 하여금 휘일실린더(120)와 이를 가진 드럼브레이크장치를 작동되게 함에 따라 구동륜(W),(W′)를 독립적으로 브레이크되게 할 수 있는 것으로써 이같이 강제제동장치(100)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는 브레이크페달(111)을 해제하여도 피구동륜의 제동만이 해제될 뿐 구동륜(W)(W′)은 브레이크 해제되지 않고 계속적이고 독립적인 제동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독립제어장치(100)는 제5도의 예시와 같이 구동륜(W)(W′)의 드럼브레이크(130)로 배관되어진 유압라인 상에 각기 부가 설치됨으로서 작동스위치(50)로 하여금 개별적으로 구동륜(W)(W′)을 강제 제동할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예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드럼브레이크(130)에만 적용 실시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전류구동방식에서 구동륜에 설치되는 디스크브레이크방식에도 적용 실시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운전석 주변에 설치된 작동스위치의 간단한 조작으로 2개의 구동륜(W)(W′)을 동시작동 및 어느 일측의 구동륜만을 개별적 동등 운전자의 임의대로 운용가능하며 작동스위치에 저항을 부착하여 강약의 기능을 부가하여 필요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그 기능의 실시로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구체적으로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모든 자동차들은 조향장치의 기능을 갖고 있다. 역설하자면 조향장치의 기능이 없다면 우선 방향전환이 불가능하므로 자동차의 기능을 할 수 없다. 동시에 조향기능을 가진 모든 자동차는 차동장치를 적용해야만 조향이 가능하다. 자동차가 제 기능을 다하는데는 여러 가지 복합적인 장치들이 필요하겠으며 그 하나인 차동장치 또한 중요한 제 기능을 다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동장치에 대해 발명은 아니므로 차동기능에 대해 구체적인 복잡한 설명은 않겠으며 다만 구동륜과 지면과의 마찰저항계수를 반비례해주고 주행조향시 구동샤프트의 회전을 양쪽 구동륜에서 필요로 하는 만큼씩 회전량의 반비례적 분배역활 등을 하여 구동의 기능을 다하는데 없어서는 안되나 노면의 불량이나 수렁 등 구동륜의 균등접지가 이뤄지지 않는 상황에서 접지마찰이 적은 쪽의 바퀴는 헛바퀴만 돌뿐 탈출할 수가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을 이용하여 바닥의 접지저항이 적은 쪽의 일측 구동륜에 적당히 작동시켜 디스크 또는 드럼에 라이닝을 밀착시켜 이로 하여금 접지마찰이 적은 쪽의 일측 구동륜을 브레이크저항을 갖게하여 헛돌던 구동륜이 반대편 구동륜에 구동력을 부가 탈출케 되는 발명이다.
이의 실시에 있어서는 작동스위치의 강약 조작으로 제동력의 정도를 임의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음이 장점이며 양측 구동륜을 동시에 강한 제동력을 실시해 두면 주차 시 차량의 도난방지에도 그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브레이크계통 및 차체기능에 전혀 무리나 부작용을 주지 않으며 필요시 기존기능에서 병합기능으로 즉시 또는 일시적 전환이 용이하며 본 발명의 기능이 없어서는 안될 중대한 역할은 차체의 제자리 방향전환 및 차체이동 등의 발명에도 기본 적용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Claims (1)

  1. 브레이크페달(111)과 마스터실린더(110)와 유압라인(40)으로 구성된 브레이크 작동 시스템에 있어서 본체(11) 내부에는 전자식코일(12)과 자력발생부(13) 중앙을 안내되는 작동봉(14)을 내설한 공지의 전자석장치(10)의 선단축봉(14a)과 상기 선단축봉(14a)과 연결편(30)으로 연결되어 함께 연동하는 실린더(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륜 독립기능의 강제 제동장치.
KR1019890004551A 1989-04-06 1989-04-06 차량의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구동륜 독립기능의 강제 제동장치 KR910010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4551A KR910010173B1 (ko) 1989-04-06 1989-04-06 차량의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구동륜 독립기능의 강제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4551A KR910010173B1 (ko) 1989-04-06 1989-04-06 차량의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구동륜 독립기능의 강제 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643A KR900016643A (ko) 1990-11-14
KR910010173B1 true KR910010173B1 (ko) 1991-12-20

Family

ID=19285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4551A KR910010173B1 (ko) 1989-04-06 1989-04-06 차량의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구동륜 독립기능의 강제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1017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643A (ko) 1990-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5887B2 (en) Parking-braking in vehicles
US6270172B1 (en) Electrically operated braking system having a device for operating electric motor of brake to obtain relationship between motor power and braking torque
JP6392976B2 (ja) ブレーキ制御装置
JP2000213574A (ja) 車両のパ―キングブレ―キ装置
JPS5981242A (ja) アンチスキツドシステム
JP2000055093A (ja) 電動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KR910010173B1 (ko) 차량의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구동륜 독립기능의 강제 제동장치
IT1291218B1 (it) Sistemi di frenatura per veicoli
WO20020080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braking system
KR970040699A (ko) 자동차 제동장치의 브레이크액압조절장치
KR100372420B1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KR100383933B1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KR20030035451A (ko) 휠타입 산업차량의 브레이크장치
JP4240055B2 (ja) 電動式ブレーキ
KR0153303B1 (ko) 주차브레이크겸용 브레이크장치
KR100192401B1 (ko) 자동차용 주차브레이크의 조작감향상구조
KR0121956Y1 (ko) 자동차용 드럼 브레이크
KR19980049183A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장치
KR960015692B1 (ko) 자동차용 앤티 록 브레이크 시스템
JPS62255285A (ja) 自動車の操舵装置
KR100387796B1 (ko) 주차브레이크 장치
KR19990012045A (ko) 자동차용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
JPH11287270A (ja) 電動ブレーキ装置
KR19980039282U (ko) 차량의 자동모터주차장치
KR19990074023A (ko) 자동차용 브레이크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