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10113B1 - 다중화면 발생시스템에서 소화면 절환시 새 데이타 기입 및 플리크 방지회로 - Google Patents

다중화면 발생시스템에서 소화면 절환시 새 데이타 기입 및 플리크 방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10113B1
KR910010113B1 KR1019880010701A KR880010701A KR910010113B1 KR 910010113 B1 KR910010113 B1 KR 910010113B1 KR 1019880010701 A KR1019880010701 A KR 1019880010701A KR 880010701 A KR880010701 A KR 880010701A KR 910010113 B1 KR910010113 B1 KR 910010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screen
terminal
flip
fl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0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4186A (ko
Inventor
김용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10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10113B1/ko
Publication of KR900004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10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0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Circuit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다중화면 발생시스템에서 소화면 절환시 새 데이타 기입 및 플리크 방지회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도의 동작 타이밍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맵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화면 구성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이콤
20 : 제어 디코더 및 리드/라이트 제어부
60,70 : 메모리 리드/라이트 어드레스 및 타이밍 발생부
100 : 메모리 제어 타이밍 및 어드레스 선택부
200 : 메모리부 FF1-FF2 : 플립플롭
CNT1-CNT2 : 제1,2카운터
본 발명은 픽처-인-픽처(Picture-in-picture : 이하 ″PIP″라 칭함)에 있어서 다중화면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화면 화면 절환시(예 ; 1화면→2화면→4화면) 이전 데이터를 제거하고 새로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플리크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PIP 시스템의 다중화면 발생에 있어서 소화면 절환시 내부의 데이터가 깨어져 있거나 이전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어 원하는 화상을 제대로 볼 수 없었다. 그리고 1화면에서→2화면이나 상기 2화면에서 4화면으로 절환시 이동에 따른 화면의 플리크 현상이 발생되어 눈에 거슬림을 초래하는 불편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하는 데이터 이전의 데이터 발생방지를 위해 소화면 절환시 메모리에 우선 새로운 데이터를 일정시간 라이트한 후 소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면 절환시 소정 타이밍을 부가하여 화면의 플리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도로서, 입력되는 화면 전환에 따른 모드키를 인식하여 모드선택 데이터와 시스템 동작클럭 및 스트로브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콤(10)과, 상기 마이콤(10)의 모드선택 데이터와 클럭 및 스트로브 제어신호를 받고 동기분리회로(도시하지 않았음)로부터 분리된 모,자화면의 수직동기(MVs,SVs) 신호에 의해 자화면을 쓸때는 자화면 수직동기신호(SVs)로 하고 자화면을 읽을 때 주화면 수직동기신호(MVs)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기입 및 독출 시작 제어신호와 가입과 독출에 따른 어드레스 선택 제어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마이콤(10)으로 입력된 모드신호에 의해 2,4화면 절환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디코더 및 리드/라이트 제어부(20)와, 상기 제어디코더 및 리드/라이트 제어부(20)의 기입 시작 제어신호와 제2기본주파수(bfsc) 및 동기분리부에서 분리된 자화면의 수직수평동기신호(SVs,SHs)를 받아 메모리부(200)의 기입 어드레스 및 제어
Figure kpo00001
리플레쉬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메모리 라이트 어드레스 및 타이밍 발생부(60)와, 상기 제어디코더 및 리드/라이트 제어부(20)의 독출 시작 제어신호와 타이밍 클럭으로 공급된 제1기본주파수(afsc) 및 동기분리회로부터 분리된 모화면 수평수직동기신호(MHs,MVs)를 받아 리드어드레스 신호를 발생하는 메모리 리드 어드레스 및 타이밍발생부(70)와, 상기 제어디코더 및 리드/라이트 제어부(20)의 출력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 라이트 어드레스 및 타이밍 발생부(60)과 메모리 리드 어드레스 및 타이밍 발생부(70)의 기입 독출 어드레스 및 제어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메모리부(200)로 입력하는 메모리 제어 타이밍 및 어드레스 선택부(100)와, 상기 제어 디코더 및 리드/라이트 제어부(20)의 2,4화면 절환 정보 출력단을 오아게이트(OR1)에 입력하여 상기 오아게이트(OR1)의 출력이 플립플롭(FF1)의 클럭단(CK)에 연결됨과 동시에 제1,2카운터(CNT1,CNT2)과 플립플롭(FF2)의 클리어단
Figure kpo00002
과 연결된다.
상기 소화면 수직동기신호단(SVs)이 제2카운터(CNT2)의 클럭단(CK)에 연결되고 모화면 수직동기단(MVs)이 제1카운터(CNT1)의 클럭단(CK)과 인버터(N1)에서 반전하여 플립플롭(FF2)의 클럭단(CK)으로 인가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플립플롭(FF1)의 출력단(Q)에서 제2카운터(CNT2)의 카운트인에이블단(EN)의 제어신호와 상기 메모리 라이트 어드레스 및 타이밍 발생부(60)의 메모리부(200)에 대한 새 데이터 기입 제어신호(NDWM)를 발생하며 상기 제1카운터(CNT1)의 출력단(Q1-Qn)이 앤드게이트(AN1)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앤드게이트(AN1)의 출력단이 상기 플립플롭(FF2)의 데이터단(D)에 연결된다.
상기 플립플롭(FF2)의 출력단(Q)는 상기 메모리 리드 어드레스 및 타이밍 발생부(70)의 리드 메모리 인에이블신호(RMEN)를 발생하고 플립플롭(FF2)의 출력단
Figure kpo00003
는 상기 플립플롭(FF1)의 클리어단
Figure kpo00004
과 연결된다. 한편 제2카운터(CNT2)는 상기 메모리 라이트 어드레스 및 타이밍 발생부(60)의 메모리 맵 선택신호(D6,D7)를 발생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도의 동작파형도로서 (2a)는 제어 디코더 및 리드/라이트 제어부(20)의 2화면 및 4화면 제어신호파형예이고, (2b)는 모화면 수직동기신호(MVs)예이며, (2c)는 플립플롭(FF1)의 출력단(Q)의 출력인 메모리 라이트어드레스 및 타이밍 발생부(60)의 NDWM 신호파형이고, (2d)는 플립플롭(FF2)의 출력단(Q)의 출력인 메모리 리드 어드레스 및 타이밍 발생부(70)의 RMEN 신호파형이며, (2e)는 소화면 수직동기신호(SVs)예이고, (2f),(2g)는 제2카운터(CNT2)의 D7,D6의 출력예이다.
상기 제1도의 마이콤(10), 제어 디코더 및 리드/라이트 제어부(20), 메모리 리드/라이트 어드레스 및 타이밍 발생부(60,70), 메모리 제어 타이밍 및 어드레스 선택부(100) 및 메모리(200)는 이미 본원 출원인이 출원번호 88-4339로 출원하였으므로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여기서 생략하기로 한다.
제3도는 메모리부(200)의 맵도이고 제4도는 화면 위치 예시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 일실시예를 제1-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기 출원한 바 있는 PIP 시스템에서 제4도의 화면 위치에 따라 메모리 맵은 제3도와 같다. 즉 1화면일 경우에는 최초 화면의 위치가 제4도의(1)이고, 메모리부(200)내에 기입하는 영역은 제3도의 (가)영역이다. 이 상태에서 화면 절환을 하게되면 즉, 2화면 상태로 되면 화면의 위치는 제4도의 (3)과 (2)의 위치로 가고 메모리부(200)의 사용 영역도 제3도의 (라),(나)가 된다. 그러나 이 (라)와 (나)에는 오래전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거나 또는 초기 상태에서 출발했다면 깨진 상태의 메모리 데이터가 잠깐 디스플레이 된다.
또 2화면으로 절환되었다해도 제4도의 (3)의 위치의 화면은 동화면이므로 조금 뒤 현재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지만 (2)의 위치에 있는 소화면은 아주 오래전 데이터 또는 메모리부(200)내부의 깨어진 데이터를 정지된 상태로 보여주게 될 것이다. 또 제4도의 (1)의 위치에 있는 화면이 (3),(2)로 옮겨오는 순간 주화면에 번쩍임이 일어나는데 즉 플리커(flicker) 현상이다.
상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점선부(108)를 구성한 것으로 우선 마이콤(10)을 통해 화면 전환에 따른 신호가 입력하면 제어 디코더 및 리드/라이트 제어부(20)에서 처리하여 실시예에서와 같이 2화면이나 4화면 정보를 발생한다. 상기 2화면이나 4화면 정보가 없을 때 오아게이트(OR1)의 출력이 ″로우″가 되어 제1,2카운터(CNT1,CNT2) 및 플립플롭(FF1,FF2)을 클리어 상태로하여 메모리 리드/라이트 어드레스 및 타이밍 발생부(60,70)을 디스에이블한다.
그러나 상기에서 2화면이나 4화면 전환에 대해 정보가 오아게이트(OR1)로 (2a)와 같이 입력되면 오아게이트(OR1)의 출력이 플립플롭(FF1)의 클럭단(CK)으로 인가되어 ″하이″가 출력단(Q)을 통해 래치된다. 이때 제1,2카운터(CNT1,CNT2)을 인에이블 상태로 한다.
모,자화면 수직동기신호(MVs,SVs)을 클럭신호(2b,2e)로 카운팅함과 동시에 메모리 라이트 어드레스 및 타이밍 발생부(60)에 NDWM신호(2c)와 같이 인가한다. 즉, 2화면이나 4화면으로 되면 제1카운터(CNT1)은 주화면 수직동기신호(MVs)를 클럭으로 하여 일정한 값을 카운트하고, 상기 제1카운터(CNT1)의 출력을 앤드게이트(AN1)을 통해 플립플롭(FF2)의 입력단(D)에 입력하며 인버터(N1)에서 반전된 주화면 수직동기신호(MVs)의 클럭에 동기되어 플립플롭(FF2)의 출력단(Q)을 통하여 RMEN인 (2d)의 신호가 메모리 리드 어드레스 및 타이밍 발생부(70)로 입력된다.
다시 말하면, 2화면이나 4화면이 되는 순간 주화면 수직동기신호(MVs) 몇 개의 구간 동안에는 RMEN(Read Memory ENABLE)신호가 ″로우″로 되어 메모리 리드를 하지 않으며 화면 디스플레이도 하지 않는다. 즉 전상태의 소화면이 완전히 사라지기를 기다림으로써 화면 절환시의 플리커 방지를 하게된다.
한편, 플립플롭(FF1)의 출력(Q)는 일정기간동안 제2카운터(CNT2)의 인에이블단자(EN)에 연결시켜 일정기간동안 바뀐 화면의 정보를 소화면 수직동기신호(SVs)에 맞추어 메모리(200)에 라이트하는데, 제3도 메모리 맵 각 부분에 골고루 라이트하기 위해서는 제2카운터(CNT2)의 출력인(D7),(D6)이 최소한 4번이상은 (2f)(2g)와 같이 바뀌어져야한다. NDWM신호(New data write to memory)는 일정기간동안(display되지 않는 기간) 메모리부(200)에 새로운 데이터를 라이트하도록 메모리 라이트 어드레스 및 타이밍 발생부(60)를 제거한다. 이 일정기간이 지나면 화면은 디스플레이되고 소화면도 이전의 데이터가 없는 상태의 소화면이 나타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면 절환시 오래전의 메모리 데이터가 나타나거나 메모리의 잘못된 데이터가 나타나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해 소화면 절환시 우선 메모리에 새로운 데이터를 일정기간 쓴후에 소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화면 절환시 플리커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시간 뒤에 절환된 소화면을 주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므로서 고화질의 멀티이동화면을 실현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마이콤(10), 제어 디코더 및 리드/라이트 제어부(20), 메모리 리드/라이트 어드레스 및 타이밍 발생부(60,70), 메모리 제어 타이밍 및 어드레스 선택부(100) 및 메모리부(200)를 구비한 다중화면 발생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코더 및 리드/라이트 제어부(20)의 2,4화면 절환 정보 출력단을 오아게이트(OR1)에 입력하여 상기 오아게이트(OR1)의 출력이 플립플롭(FF1)의 클럭단(CK)에 연결됨과 동시에 제1,2카운터(CNT1,CNT2)와 플립플롭(FF2)의 클리어단(CL)에 연결하며, 상기 소화면 수직동기신호단(SVs)이 제2카운터(CNT2)의 클럭단(CK)에 연결되고, 모화면 수직동기단(MVs)이 제1카운터(CNT1)의 클럭단(CK)과 인버터(N1)에서 반전하여 플립플롭(FF2)의 클럭단(CK)으로 인가되도록 연결하며, 상기 플립플롭(FF1)의 출력단(Q)에서 상기 제2카운터(CNT2)의 카운트 인에이블단(EN)의 제어신호와 상기 메모리 라이트 어드레스 및 타이밍 발생부(60)의 메모리부(200)에 대한 새 데이터가 기입 제어신호(NDWM)를 발생하며, 상기 제1카운터(CNT1)의 출력단(Q1-Qn)이 앤드게이트(AN1)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앤드게이트(AN1)의 출력단이 상기 플립플롭(FF2)의 데이터단(D)에 연결되며, 상기 플립플롭(FF2)의 출력단(Q)는 상기 메모리 리드 어드레스 및 타이밍 발생부(70)의 리드 메모리 인에이블신호(RMEN)를 발생하고 상기 플립플롭(FF2)의 출력단
    Figure kpo00005
    는 상기 플립플롭(FF1)의 클리어단(CL)과 연결되고, 상기 제2카운터(CNT2)는 상기 메모리 라이트 어드레스 및 타이밍 발생부(60)의 메모리 맵 선택신호(D6,D7)를 발생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화면 발생시스템 소화면 절환시 새 데이터 기입 및 플리커 방지회로.
KR1019880010701A 1988-08-23 1988-08-23 다중화면 발생시스템에서 소화면 절환시 새 데이타 기입 및 플리크 방지회로 KR910010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0701A KR910010113B1 (ko) 1988-08-23 1988-08-23 다중화면 발생시스템에서 소화면 절환시 새 데이타 기입 및 플리크 방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0701A KR910010113B1 (ko) 1988-08-23 1988-08-23 다중화면 발생시스템에서 소화면 절환시 새 데이타 기입 및 플리크 방지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186A KR900004186A (ko) 1990-03-27
KR910010113B1 true KR910010113B1 (ko) 1991-12-16

Family

ID=19277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0701A KR910010113B1 (ko) 1988-08-23 1988-08-23 다중화면 발생시스템에서 소화면 절환시 새 데이타 기입 및 플리크 방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1011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186A (ko) 1990-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04589C1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контроллера жидкокристаллического дисплея
KR920010445B1 (ko) 표시 제어 장치
KR920015356A (ko) 전자카메라시스템에 있어서 재생시 화면편집장치
US6128045A (en) Flat-panel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KR100234395B1 (ko) 다양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들을 수행하는장치 및 방법
KR910010113B1 (ko) 다중화면 발생시스템에서 소화면 절환시 새 데이타 기입 및 플리크 방지회로
KR100935821B1 (ko) 도트 클럭 생성 회로, 반도체 디바이스, 및 도트 클럭 생성방법
KR900007618B1 (ko) 입체 텔레비젼의 플리커 제거장치
EP0148575A2 (en) Horizontal smooth scrolling system and method for a video display generator
US6339452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ing method
KR100230299B1 (ko) 멀티 폐회로 tv 장치
KR910007390B1 (ko) 멀티-스크린 윈도우신호 발생회로
JP2715179B2 (ja)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JPS62204226A (ja) 立体テレビジヨン装置
JPS5961880A (ja) フイ−ルドメモリ読み出し制御回路
KR100480559B1 (ko) 색블링킹기능을구비한문자표시장치
SU110978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ображени информации на экране телевизионного индикатора
JPH113066A (ja) 液晶表示装置
JPS63121365A (ja) 文字表示制御回路
JPH0128948B2 (ko)
KR940000962Y1 (ko) 화면삽입기기의 자화면신호 제어회로
KR930009183B1 (ko) 디지탈 텔레비젼 수상기의 움직임 궤적표시회로
JPS6367083A (ja) 映像縮小表示回路
KR910005095B1 (ko) 픽처-인-픽처에 있어서 화면크기 확대회로
JPH02204790A (ja) 表示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