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587Y1 - 모니터의 수평 회전각도 및 경사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수평 회전각도 및 경사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587Y1
KR910009587Y1 KR2019890000552U KR890000552U KR910009587Y1 KR 910009587 Y1 KR910009587 Y1 KR 910009587Y1 KR 2019890000552 U KR2019890000552 U KR 2019890000552U KR 890000552 U KR890000552 U KR 890000552U KR 910009587 Y1 KR910009587 Y1 KR 9100095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coupling member
lower pedestal
rotating plate
upper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05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5101U (ko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005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9587Y1/ko
Publication of KR9000151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51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5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5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니터의 수평 회전각도 및 경사각도 조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을 이루는 부재물의 분리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각 부재를 조립한 후 결합부재을 중심으로 회전제어용 부재와 평행하게 절취한 상태의 부분 측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 받침대 2 : 상부 회전판
3 : 결합부재 4 : 슬라이드 볼(Slide Ball)
5 : 조임나사 6 : 회전제어용 부재
7 : 타원형 홈
본 고안은 모니터의 수평 회전각도 및 경사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량의 부품사용으로 작업능률 향상은 물론 사용자의 편익을 위하여 모니터의 수평회전과 경사각을 임의로 조절할 있는 모니터의 수평회전각도 및 경사각도 조절장치(SWIVEL)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평회전 및 경사각도 조절장치는 여러 가지가 고안, 제시의어 왔는데, 그 조절장치 구조가 복잡하여 그에 따른 제조단가가 많이 들었으며, 그 제조공정에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기존제품의 모니터 회전각도 및 경사각도 조절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면서 슬라이드 볼, 결합부재 및 회전제어용 부재등 간단한 부품을 이용하여 조립의 간편화에 따른 제조시간을 단축시키고 간단한 조작으로 수평회전 및 경사각도 조절기능을 원하게 수행할 수 있는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을 이루는 부재들의 분리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크게 하부받침대(1), 상부회전판(2), 결합부재(3) 및 슬라이드 볼(4) 그리고 회전제어부재(6)등으로 이루어지며, 그 구성용 설명하면 도면의 도시된 바와같이 하부 받침대(1)는 중앙부위가 소정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돌출부 중앙의 오목부에 상부회전판(2)에 형성된 볼록부를 맞춘다음 결합부재(3)를 양부재 중앙의 원형홈 사이로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시킨뒤, 하부 받침대(1) 저면을 통하여 조입나사(5)를 결합부재(3) 하부에 구성한 나사부에 결합한다.
이상과 같이 일체화시킨 하부 받침대(1) 및 상부 회전판(2)상에 모니터를 결합하여 하부 받침대(1)를 기준으로 하여 모니터의 좌우 수평회진 및 상하 경사각을 조절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모니터를 상부회전판(2)에 결합하는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상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원리를 제1도 및 제2도를 통하여 설명하면, 제2도는 본 고안을 이루는 제1도상의 각 부재들을 일체화 시킨 후 결합부재(3)을 중심으로 회전제어용 부재(6)와 평행하게 절취한 상태의 부분 측단면도로서, 하부 받침대(1)와 상부 회전판(2)을 결합부재(3)와 그의 조임나사(5)에 의해 결합시키고, 상부 회전판(2)에는 회전제어용 부재(6)가 하부 받침대(1) 중간 부위에는 다수의 슬라이드 볼(4)이 일체화된 상태를 알수 있다.
하부 받침대(1) 및 상부 회전판(2)은 결합부재(3)을 삽통할 수 있는 중앙의 원형홈을 증심으로 하부를 향하여 볼록한 형상을 취하고 있으며, 특히 상부 회전판(2)은 제1도에서 알수 있듯이 전후로 소정의 길이만큼 중앙부분에 타원형 홈(7)을 구성하며, 또한 상부 회전판(2)의 볼록한 하부면과 접하는 하부 받침대(1)의 오목한 중간부위에 구성한 원형홈에는 다수의 슬라이드 볼(4)을 부착한다. 이 슬라이드 홈(6)들은 수평회전 및 상하이동시 상부 회전판(2)와 하부 받침대(1)의 표면에 발생하는 마찰을 줄이고 원활한 유동을 유지한 수 있도록하기 위하여 나일론등과 같은 재질로 제작된다.
제2도와 같이 각 부재를 일체화 시킨뒤 모니터를 상부 회전판(2)상에 결합하고(제2도에서는 모니터를 도시하지 않음) 모니터를 전후로 밀거나 잡아당기면(제2도의 좌,우 방향) 모니터가 결합된 상부 회전판(2)은 하부받침대(1)에 완전히 고정된 결합부재(3)를 중심으로 상부 회전판(1) 충심에 구성된 타원형 홈(1)의 전후 길이만큼 전후(제2도의 좌, 우방향)로 이동된다.
이때 상부 회전판(2) 및 하부 받침대(1)의 접촉부분이 하부방향으로 오목한 형태이므로 상부 회진판(2)이 전. 후로 이동되면 결과적으로 정면에서 볼때 모니터의 화면은 소정의 각도 만큼 상, 하 경사운동을 한다.
이때 두부재의 오목한 정도에 따라 경사각에 변화되는 것은 물론이다.
제3도는 상부 회전판(2)의 수평회전 운동원리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제2도의 평면도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초기의 상부 회전판(2)상의 1자형 회전 제어용 부재(6)는 결합부재(3)의 일측면과 접하고 있으며, 결합부재(3) 중앙의 타원형의 점선은 상술한 바와같은 상부 회전판(2) 중앙에 구성된 타원형 홈(7)을 나타내며 원형점선은 결합부재(3)의 축을 도시한다(하부 받침대는 제3도에서 나타나지 않음).
또한, 결합부재(3)로 상부 회전판(2)과 하부 받침대(1)를 일체화시킨 후, 상부 회전판(2)상으로 노출되는 결합부재(3)의 헤드부분은 중심선을 중심으로 한쪽은 양모서리만 라운딩(ROUNDING) 처리한 사각형태이고 또다른 한쪽은 완전한 원형형태의 평면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에 따라 수행하는 본 고안의 수평회전에 대하여 설명하면, 모니터를 결합한 상부 회전판(2)을 사용자가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부 회전판(2)은 상부 회전판(2) 중앙의 타원형홈을 관통하여 하부 받침대에 고정된 결합부재(3)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때 결합부재(3)의 일촉면과 접하고 있는 상부 회전판(2)상에 고착된 회전제어용 부재(6) 역시 결합부재(3)의 원형부분의 연변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 회전판(2) 및 회전제어용 부재(6)가 6a 및 6b의 상태를 거쳐 180℃회전을 하고 난후 최종적으로 6c의 상태에 이르면 회전제어용 부재(6c)는 결합부재(3)의 사각모서리 부분에 닿게 되어 힘을 가해도 회전이 이루어 지지 않으며. 초기 상태의 회전제어용 부재(6)도 역시 사각모서리 부분에 접한 상태에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반대방향으로의 회전도 이루어 지지 않는다. 이때 이루어지는 회전은 제1도상에서 결합부재(3)의 하부에 결합하는 조임나사(5)에 의해 그 원활함 조절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고안은 비교적 소량의 부재 사용으로 그 조립작업이 간단하며, 기능면에서도 상부회전판상에 체결된 모니터의 수평회전 및 경사각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제품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모니터의 수평회전 및 경사각도 조절 장치에 있어서, 하부 받침대(1)는 원통형의 중앙돌출부를 설치하되,그 그 돌출부의 내측면은 오목부로하여 그 중심부에는 원형의 홈을, 중간부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슬라이드볼(4)을 설치하고, 상기 하부 받침대(1)상에서 회전하는 상부 회전판(2)은 상기 오목부와 접동할 수 있는 볼록부를 구비하되, 그 중심부에는 타원형 홈(7)을. 상기 타원형홈(7)의 연변에는 타원형 홈의 길이 방향으로 회전제어용 부재(6)를 설치하여, 상기 하부 받침대(1) 및 상부 회전판(2)이 그 중심부에 형성된 홈을 통하여 결합부재(3) 및 조임나사(5)에 의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수평 회전각도 및 경사각도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받침대(1)와 상부 회진판(2)을 결합시키는 상기 결합부재(3)는, 그 헤드부분을 한쪽은 양모서리만 라운딩 처리한 사각형태로, 다른 한쪽은 완전한 원형형태로 하여, 상기 회전제어용부재(6)와 연동되어 모니터의 수평회전운동을 조절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수평 회전각도 및 경사각도 조절장치.
  3.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회전판(2)에 형성된 타원형 홈(7)은 결합부재(3)의 몸체 직경보다 크게하여 결합부재(3)가 이에 관통되어 하부 받침대(1)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타원형 홈의 길이 반향 왕복운동에 의해 모니터의 경사각도 운동을 조절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수평 회전각도 및 경사각도 조절창치.
KR2019890000552U 1989-01-20 1989-01-20 모니터의 수평 회전각도 및 경사각도 조절장치 KR9100095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0552U KR910009587Y1 (ko) 1989-01-20 1989-01-20 모니터의 수평 회전각도 및 경사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0552U KR910009587Y1 (ko) 1989-01-20 1989-01-20 모니터의 수평 회전각도 및 경사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101U KR900015101U (ko) 1990-08-02
KR910009587Y1 true KR910009587Y1 (ko) 1991-12-13

Family

ID=19283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0552U KR910009587Y1 (ko) 1989-01-20 1989-01-20 모니터의 수평 회전각도 및 경사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958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045A (ko) * 2017-11-28 2019-06-0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유지장치
KR20200046439A (ko) * 2018-10-24 2020-05-0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유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045A (ko) * 2017-11-28 2019-06-0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유지장치
KR20200046439A (ko) * 2018-10-24 2020-05-0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유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101U (ko) 1990-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4142B1 (ko) 영상표시기의 각도조절장치
US6000560A (en) Support tray tilt mechanism
US4989813A (en) Supporting base for controlling height, swivel and inclination of display means
US5909864A (en) Chair-mount adjustable keyboard supporting assembly
KR19990022368A (ko) 조정 가능한 암레스트 조립체
US6419320B1 (en) Base manipulation device for office chair
KR910009587Y1 (ko) 모니터의 수평 회전각도 및 경사각도 조절장치
US6193315B1 (en) Backrest structure of a chair, particularly a drum chair
JP2008507444A (ja) モニタ用傾き調節装置
KR0147159B1 (ko) 모니터용 스탠드조립체
KR940002562Y1 (ko) 모니터 경사 및 회전조절장치
US4666219A (en) Display unit with tilt mechanism
JPS60124183A (ja) 傾斜機構付き支持装置
JPH1057192A (ja) 椅子のランバーサポート
KR900010621Y1 (ko) 브라운관 터미날의 경사조절 및 회전장치
GB2320387A (en) Position-adjustable base assembly for monitor
KR940001690Y1 (ko) 영상표시 기기의 수평회전 조절장치
JPH0535877Y2 (ko)
KR920007240Y1 (ko) 컴퓨터등 전자기기용 모니터의 회전 및 경사조절장치
KR860001066Y1 (ko) 경사 각도 조절 받침대
GB2423468A (en) Rotatably adjustable support device for a notebook computer
KR0118709Y1 (ko) 모니터의 틸트 스위블장치
JP3045748U (ja) 水平位置調整可能なモニタ台
KR860003532Y1 (ko) 모니터 스탠드
JP2563999B2 (ja) 自動車用アウターミラ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