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412B1 - 세포학적 진단용 시편 채집에 사용되는 조직세포 채집용 외과기구 - Google Patents

세포학적 진단용 시편 채집에 사용되는 조직세포 채집용 외과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412B1
KR910009412B1 KR1019850000573A KR850000573A KR910009412B1 KR 910009412 B1 KR910009412 B1 KR 910009412B1 KR 1019850000573 A KR1019850000573 A KR 1019850000573A KR 850000573 A KR850000573 A KR 850000573A KR 910009412 B1 KR910009412 B1 KR 910009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urgical instrument
surgical instruments
thermoplastic material
oper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0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5264A (ko
Inventor
베레스포드 슈트 왈라스
Original Assignee
베레스포드 슈트 왈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레스포드 슈트 왈라스 filed Critical 베레스포드 슈트 왈라스
Publication of KR850005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5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91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for uter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세포학적 진단용 시편 채집에 사용되는 조직세포 채집용 외과기구
제1도는 몸통요소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평면도.
제3도는 몸통요소 말단의 확대상세도.
제3a도는 스크레이퍼날의 확대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단면도.
제5도는 플런저 요소의 종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Ⅵ-Ⅵ선에서 취한 확대횡단면도.
제7도는 플런저 요소 말단의 확대상세도.
제8도는 플런저 요소의 또다른 예를 예시한 도면.
제9도는 조립식 기구의 종단면도.
제10도는 조직세포 채집 도중 경부(頸部)에 위치한 외과기구의 개략도.
제11도는 몸통요소의 또다른 예를 예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통 11 : 기구끝
13 : 1차 스크레이퍼날 14 : 2차 스크레이퍼날
15a, 16a : 시료 채취부 20 : 플런저
21 : 플런저 헤드 22 : 플런저 손잡이
본 발명은 세포학적 진단용, 특히 자궁경부암 및 자궁체암 검진용 시편 채집에 사용되는 조직세포 채집용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 1회용 외과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의 카나다특허 제614,878호(1961년 2월 21일)에서는 세포학적 진단용, 특히 자궁경부암 및 자궁체암 검진용 시편으로 사용되는 조직세포 채집용 외과기구(이후부터는 “특허된 기구”라 함)를 제공하고 있다. 이 특허된 기구는 모든 면에 있어서 위에 나온 목적에는 아주 합당한 것이겠지만 외과기구로서 금속-심지어 스텐레스강이라도-를 사용함에 따라 나타나는 한가지 큰 결점은 사용도중 가끔, 절대적으로 기구를 멸균 처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더욱이 이 외과기구를 멸균한 즉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일단 한번 사용하고 나면 다시 멸균 처리해야만 수술도중 세균이 퍼지지 않게 되고 사용하기 전에 즉시 다시 멸균해야만 한 자가 여하한 외부의 세균원에 노출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금속으로 만든 기구를 사용해야만 할 경우에는 극히 특수하고도 고가의 멸균장치를 사용해야 하고 또한 수술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이러한 고가의 장치를 계속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공지의 금속제의 자궁 세포채집기구와 관련된 또다른 결점은 플런저의 고무로 된 밀폐용 링과 주위의 금속부분을 적절히 멸균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이들 링은 마멸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교해해야만 한다.
본인에 의하여 확인된 사실로는 자궁세포채집기 제조시에 열가소성 물질(thermoplastic material)을 사용하여 멸균 처리되어 극히 청결한 환경으로 하여 밀봉시킨 1회용 세포채집기를 제조하고 있다는 실정이다. 따라서 검진의사가 사전에 멸균된 기구를 용기에서 끄집어내어 사용한 후 폐기하는데, 이때 검진의사는 일단 사용한 기구가 수술시에 세균을 퍼뜨리던지 또는 인접한 환자에게 전염병을 옮겨준다는데 대해서는 아무런 관심을 두지 않는다. 자궁세포 채집기 제조시에 플라스틱을 사용하면 세포채집기를 완전하고도 균일하게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술시의 멸균과 관련되는 비효율성과 시간낭비도 없어지게 되며 의사가 사용하는 멸균장치에 기능장애를 자주 가져오지도 않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 나온 이러한 단점들을 해소하고 제작비가 비교적 저렴하고 구조가 간단한 외과용 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호간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세로축을 가진 외부에 구성된 스크레이퍼(scraper)의 날(blade) 한쌍과, 몸통속에서 미끌어지면서 이동하는 플런저(plunger)로 구성되어 있고, 이 날과 플런저를 사용하여 조직세포를 채집하도록 된 세포학적 진단용 시편으로 사용되는 조직세포를 채집하는 외과기구에 있어서, (가) 외과기구는 열가소성 물질로 만든 것으로 1회사용의 것으로 하고, (나) 날 하나의 가장자리의 세포축이 나머지날의 가장자리의 세포축 쪽으로 14°-16°의 각도에서 연장되게 하여 자궁경관(頸管)과 통해 있는 외자궁구(外子宮口)중간부분에 한쪽 날의 절단 날(cutting edge)이 최대한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다) 몸통의 끝쪽은 몸통의 내경부(內經部)쪽을 향해 안쪽으로 굽어지게 하여 외자궁구의 중앙부와 마찰접촉이 되도록 한 외과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면에는 본 발명이 근본적으로 두 개의 부분품, 즉 제1도-제4도에 다소 상세하게 예시된 기다란 몸통 요소와 제5도-제7도에 다소 상세하게 예시된 플런저 요소로 되어 있는데, 이들 두 요소는 모두 열가소성 물질로 만든 것이다.
특히 제1도-제4도에에서 기다란 몸통요소 또는 실린더(10)에는 직경이 상당히 작은 내경부(11)가 있는데 이 실린더의 내경부(11)에는 길이 전체를 통하여 세로축을 가지며 연장되는 1차 스크레이퍼날(blade)또는 자궁경관 스크레이퍼날(13)이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내경부(11)에 있는 1차 스크레이퍼날(13)은 몸통의 끝부분에 인접하여 돌출해 있는 2차 스크레이퍼날 또는 외자궁구 스크레이퍼날(13)속으로 합류된다. 1차날(13)의 작동성의 끝부분(제3a도에 상세히 도시됨)은 몸통 끝부분(11)의 세로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편 2차 날(14)의 작동성의 끝부분(16)은 14°-16°의 각도로(제1도-제3도) 날(14)의 세로축쪽으로 연장되는데 실제로 이 각도는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3도와 제3a도에서 분명히 알 수 있는 것처럼 날(13)(14)의 작동성의 끝부분(15)(16)은 각각 해당 세포채집부위(15a, 16a)의 앞쪽 경계벽으로 작용한다. 여기에 관해서는 다음에 설명한다. 날(13)(14)의 세로축은 서로간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연장된다.
몸통(10)의 끝부분은 (17)의 곳에서 내경부(11)쪽을 향해 안쪽으로 휘어진다. 더욱이 몸통(10)의 중앙부의 끝부분에는 손잡이 고리(ring)가 각각 하나씩 정반대편에서 구성되어 있다.
적합한 형태의 플런저요소(20)를 예시한 제5도-제7도에서 플런저(20)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제6도에서 보다 쉽게 알 수 있는 것과 같은 십자형 단면을 하고 있다. 플런저(20)의 끝부분에는 다소 반구형(半球形)의 플런저 헤드(21)가 있어서 몸통(10)의 안쪽 주변과 마찰접촉을 하면서 미끌어지게 되어 있는 반면 플런저(20)의 중앙부의 끝부분에는 손잡이(22)가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제9도에 있는 바와 같이 플런저(20)의 전체길이에 걸쳐 거의 삼각형 단면을 가지게 할 수도 있다.
제9도는 완전히 조립된 외과기구의 종단면도이다. 이 기구를 조작할 때는 우선 자궁경부를 질경(膣鏡)으로 노출시킨 다음 이 기구의 끝머리부분을 질(膣)속으로 삽입하여 자궁경관속에 이 기구의 끝(11)과 1차 날(13)을 자리잡히도록 하는데, 이때 끝(11)을 자궁경관의 안쪽 구멍에 인접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2차 날(14)을 외자궁구에 인접하여 갖다대어 완만히 접합시킨 다음 특허된 기구(카나다특허 제614,878호)에서와 같이 자궁경관의 전체벽과 외자궁구에 대하여 계속 압력을 가하면서 시계방향으로 360°회전시켜 1차 날(13)의 작동성의 끝부분(15)이 내경관으로부터 세포를 전부 채취하여 세포채집부(15a)에 채집되게 한다. 이와동시에 2차 날(14)의 작동성의 끝부분(16)은 판막원주 접점부와 외자궁구의 인접부위로부터 세포를 채취하여 세포채집부(16a)에 채집되게 한다. 기구를 완전히 끄집어내기 직전에 손잡이(22)를 이용하여 플런저를 갑자기 당겨주어 반구형의 플런저 헤드(21)가 세포 부스러기와 점액(粘液)을 몸통의 경부(11)속으로 흡인하도록 한다. 제10도는 조직세포 채취위치로부터 시료를 채취할 경우에 있어서 외과기구의 자궁과 자궁경관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예시한 것이다.
시료 채취위치에서 기구를 빼낸 후에는 플런저(20)에 압력에 가해주어 플런저 헤드(21)가 몸통으로부터 세포부스러기를 밀어내도록 한다. 시료 채취부(15a, 16a)에서 시료를 긁어내어 고정액속에 떨어뜨려 세포학적인 검진을 할 수 있게 도말(smear)을 만든다.
제1-제4도와 제9도 및 제10도에 있는 날(blade)(13, 14)은 톱날모양으로 된 것이 아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제11도에 더욱 상세히 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들의 작동성의 끝부분을 톱날모양으로 할 수 있다.
경험에 의할 것 같으면 2차 날(14)의 바람직한 각도인 15°는 특허된 기구와 유사한 날의 각도에서 발휘되는 것보다 외자궁구의 윤곽이나 자연적인 표면각도에 아주 근사한 각도이므로 표면 집합이 훨씬 더 잘 된다.
본 발명의 기구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아크릴로나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수지), 고무로 개질된 폴리스티렌,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같은 적합한 열가소성 물질로 성형하여 만드는 것이 좋다.

Claims (6)

  1. 상호간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세로축을 가진 외부에 구성된 스크레이퍼의 날 한쌍과, 몸통속에서 미끌어지면서 이동하는 플런저로 구성되어 있고, 이 날과 플런저를 사용해서 조직세포를 채집하도록 된, 세포학적 진단용 시편으로 사용되는 조직세포를 채집하는 외과기구에 있어서, (가) 외과기구를 열가소성 물질로 만든 것으로서 일회 사용의 것으로 하고, (나) 날 하나의 가장자리의 세로축이 나머지 날의 가장자리의 세로축 쪽으로 14°-16°의 각도에서 연장되게 하여 자궁경관과 통해 외자궁구 중간부분에 한쪽 날의 절단날이 최대한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하며, (다) 몸통의 끝쪽은 몸통의 내경부쪽을 향해 안쪽으로 굽어지게 하여 외자궁구의 중앙부와 마찰접촉이 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세포 채집용 외과기구.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각 날의 작동성의 끝부분이 해당 세포 채집부의 앞쪽 경계벽으로 작용하도록 하는 외과기구.
  3. 청구범위 제2항에 있어서 각 날의 작동성의 끝부분을 평면으로 하여서 되는 외과기구.
  4. 청구범위 제2항에 있어서 각 날의 작동성의 끝부분을 톱날모양으로 하여서 되는 외과기구.
  5. 청구범위 제2항에 있어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소티렌(ABS수지), 고무로 개질된 폴리스티렌,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로 구성되는 무리중에서 선택되는 열가소성 물질로 사용해서 되는 외과기구.
  6. 청구범위 제5항에 있어서 성형된 열가소성 물질로 만든 외과기구.
KR1019850000573A 1984-01-30 1985-01-30 세포학적 진단용 시편 채집에 사용되는 조직세포 채집용 외과기구 KR9100094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446,355 1984-01-30
CA000446355A CA1237619A (en) 1984-01-30 1984-01-30 Surgical instrument, namely uterine cell collector
CA446355 1984-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264A KR850005264A (ko) 1985-08-24
KR910009412B1 true KR910009412B1 (ko) 1991-11-15

Family

ID=4127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0573A KR910009412B1 (ko) 1984-01-30 1985-01-30 세포학적 진단용 시편 채집에 사용되는 조직세포 채집용 외과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151020A3 (ko)
JP (1) JPS60179054A (ko)
KR (1) KR910009412B1 (ko)
CA (1) CA1237619A (ko)
IE (1) IE850206L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0289A (en) * 1986-11-03 1990-08-21 Coopervision, Inc. Small incision intraocular lens with adjustable refractive power
NL9000166A (nl) * 1990-01-23 1991-08-16 Futurerole Ltd Inrichting voor het gelijktijdig bemonsteren van zowel de endocervix als de exocervix, welke inrichting uit een stuk bestaat en is voorzien van een steel, waarvan een uiteinde een schraaporgaan draagt.
JPH05506387A (ja) * 1991-02-15 1993-09-22 バクスター、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使い捨て頸管拡張器
US7832613B2 (en) 2009-01-15 2010-11-16 General Electric Company Friction stir weld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8454A (en) * 1960-01-06 1963-05-07 Wallace B Shute Surgical instrument
US3774590A (en) * 1970-04-01 1973-11-27 B Mcdonald Uterine specimen collecting method
US3626928A (en) * 1970-06-22 1971-12-14 Becton Dickinson Co Intrauterine washing apparatus
DE2829118A1 (de) * 1978-07-03 1980-01-17 Zeppelin Dieter Von Diagnosegeraet
US4245653A (en) * 1979-01-02 1981-01-20 Kenneth Weaver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specimens of endometrial tissue
US4384587A (en) * 1980-08-18 1983-05-24 Milex Products, Inc. Spatula for collecting cervical cancer cel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51020A3 (en) 1985-08-21
EP0151020A2 (en) 1985-08-07
CA1237619A (en) 1988-06-07
JPS60179054A (ja) 1985-09-12
IE850206L (en) 1988-07-30
KR850005264A (ko) 1985-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1662A (en) Endocervical curette system
US20120157878A1 (en) Anatomically designed and collapsible intravaginal device for self-sampling and containment of cervical epithelial cells
US3400708A (en) Cytologic endocrine evaluation device
US20110021950A1 (en) Cell collector
US3776219A (en) Cervical scraper
US2437329A (en) Surgical instrument for curetting
JP2558324B2 (ja) 生物学的物質採取用デバイス
US6336905B1 (en) Endocervical sampling device
US3774590A (en) Uterine specimen collecting method
KR101691471B1 (ko) 자궁경부 시료 채취기
US3633565A (en) Clinical specimen-collecting austrument
US5865765A (en) Dilator/sampler for sampling materials and fluid from a body cavity
ES2965403T3 (es) Dispositivo para recolección de muestras biológicas
US513140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taking samples from both the endocervix and the exocervix
KR910009412B1 (ko) 세포학적 진단용 시편 채집에 사용되는 조직세포 채집용 외과기구
JPH0347608Y2 (ko)
US20040236247A1 (en) Endocervical Curette
CN209751113U (zh) 旋切式宫颈活检取样器
RU157878U1 (ru) Цитощетка "диатест"
SU1468514A1 (ru) Кюретка дл вз ти проб
RU263878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зятия биоматериала при перипротезной инфекции коленного сустава
RU17415U1 (ru) Ложка гинекологическая двухсторонняя
US20210244390A1 (en) Sample removal assembly for gynecological examinations
RU130492U1 (ru) Одноразовый медицинский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забора биологического материала с поверхности слизистых оболочек влагалища, уретры и цервикального канала
CN210433501U (zh) 一种宫颈自采样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