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363Y1 - 네온관용 변압기의 구조 - Google Patents

네온관용 변압기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363Y1
KR910009363Y1 KR2019890010599U KR890010599U KR910009363Y1 KR 910009363 Y1 KR910009363 Y1 KR 910009363Y1 KR 2019890010599 U KR2019890010599 U KR 2019890010599U KR 890010599 U KR890010599 U KR 890010599U KR 910009363 Y1 KR910009363 Y1 KR 9100093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coil
winding
primary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05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2877U (ko
Inventor
김상철
Original Assignee
김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철 filed Critical 김상철
Priority to KR20198900105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9363Y1/ko
Publication of KR9100028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8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3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3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22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4Leading of conductors or axles through casings, e.g. for tap-chang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08High-leakag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 H01F38/10Ballasts, e.g. for discharge lamp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네온관용 변압기의 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외부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중 철심의 적층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일부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철심과 권선부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정면도.
제5도는 제3도의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의 A-A선 단면도.
제7도는 제5도의 B-B선 단면도.
제8도는 제6도의 A부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변압기 2 : 몸체
3 : 손잡이 4, 5 : 애자
4' : 출력선 5' : 입력선
6, 6a, 7, 7a : 철심 8 : 1차보빈
9 : 1차 권선부 10 : 절연테이프
11, 14 : 코일 12 : 2차 권선부
13 : 절연지 15 : 몰딩부
16, 20 : 코어 18 : 2차 보빈
본 고안은 100V나 220V의 입력 전원을 6000V나 9000V로 출력시키는 네온관용 변압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중성점 연결을 입력선 쪽에서 하고 출력선은 반대 방향에서 뽑아 쇼트(Short)나 단선을 방지하여 코로나 방전의 발생 요소를 해소시키며 2차 권선부에 파라핀 함침을 하여 코일내의 공기나 수분을 완전히 제거시키도록 하는 네온관용 변압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네온관용 변압기는 정격 1차 전류와 정격 부하 1차 전류의 차이가 많이 나며 부하가 고압으로 걸릴때와 저압으로 걸릴때의 차이가 심하게 되어 결국 변압기 내부에 열이 많이 발생하였고 정격 부하가 걸리지 않을 시에는 열의 발생시 더욱 심해져 불량 발생율이 높아지며 화재 발생의 원인이 되었던 것이었다.
또한 2차 권선부의 절연지와 코일 사이의 수분이나 공기를 제거해주기 위해 에폭수지를 사용하여 진공함침을 사용해 왔으나 진공함침시 2차 권선부에 캡을 씌우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캡속을 완전 진공 상태로 보존하며 함침을 완성시키기가 어려웠고 캡속이 완전히 진공된 상태로 작업을 완료해도 절연지와 코일 사이에 에폭수지가 내부 깊숙한 곳까지 침투 할 수 없어 수분인 공기를 완전히 제거할 수 없으므로 불량 발생과 화재의 원인이 되었으며 일단 함침이 끝나후 불량이 발견된다 해도 재생할 수 없어 노동의 낭비와 재료의 낭비를 가져 오는 등의 결점이 발생했던 것이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쇼트나 단선의 불량을 없애며 출력선의 거리를 충분히 이격시켜 코로나 방전 발생의 원인을 배제하고 2차 권선부에 약 110℃의 온도에서 파라핀 함침을 하여 코일내의 공기나 수분이 완전히 제거된 변압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만약 출하 과정에서 불량이 발생한다 해도 재생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네온관용 변압기를 제공하고져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I형 코어 즉, 철심을 서로 엇갈리게 적층시켜형으로 구성하며 1차 권선부는 1차 보빈의 내측으로 코일을 형성시킨후 절연테이프를 감아 코일에 각각 2개의 1차 권선부를 설치한후 각각의 2차 보빈상에 절연지와 코일을 번갈아가며 감아 2차 권선부를 형성시키고 1차 권선부와 2차 권선부 사이에 일자형 코어를 삽입 1, 2차 권선부가 적당한 간격을 갖도록 구성시킨 것으로 이를 침부된 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외부 사시도로서 몸체(2) 내측으로 제3도의 제품을 내장시킨후 브로운 아스팔트를 충분히 끊인 다음 석분을 적당히 섞어 약 100℃의 온도에서 몸체(2)내에 적당량을 채워 몰딩(Molding)을 하고 뚜껑(3')을 덮어 사각에 기공을 없애며 하이카의 재질로 만든 애자(4), (5)에 입력선(5')과 출력선 (4')을 설치하여 몸체(2) 상단과 뚜껑(3')에 손잡이(3)를 나사식 설치시켜 변압기(1)를 구성시킨 것이다.
제2도는 본 고안중 철심의 적층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로서 크기가 다른 두 종류의 철심(6), (6a), (7), (7a)을 종과횡으로 적층시키되 종측 철심 (6), (6a)과 횡측철심(7), (7a)을 지그재그 헐상으로 적층시켜형상의 코어(20)를 구성시킨 것이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철심과 권선부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로서 코어(20)외측으로형 1차 보빈(8)을 양측에 끼우고 제7도에서와 같이 약 0.7ψ의 코일(11)을 감은후 절연테이프(10)을 감아 1차 권선부(9)를 입력선(5')에 연결구성시킨 것이다.
한편 코어(20)의 외측 양면으로형 2차 보빈(18)을 양측에 끼우고 약 0.06ψ의 코일 (18)을 일정한 넓이를 갖도록 감은후 절연지(13)를 감아 절연을 해준 뒤 코일(14)을 일정한 넓이로 감는 순으로 제8도에서와 같이 적층시켜 2차 권선부(12)를 구성시킨후 1, 2차 권선부(9), (12)사이에 코어(16)를 수개로 겹치게 하여 절연 테이프를 감아 하나의 묶음으로 삽입시켜 1, 2차 권선부(9), (12)가 항상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며 2차 권선부(12)사이에형의 장판지(17)를 끼워 구성시킨 것이다.
또한 파라핀과 왁스를 4 : 1의 비율로 적당량 섞어 110℃까지 가열시킨후 1, 2차 권선부(9), (12)가 설치된 코어 (20)를 통상의 함침기에 넣어 약 60-90분 정도 지난후 함침기에서 코어(20)를 빼내면 제8도에서와 같이 절연지(13)와 코일(14)사이에 파라핀과 2스가 함유된 파라핀 용액이 침투해 공기나 수분을 완전히 제거시킨 몰딩부(15)를 구성시킨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입력선(5')으로 100V 내지 220V로 전원을 입력시키면 1차 권선부(9)에 교류가 흘러 상호 유도에 의해 2차 권선부(12)에 6000V 내지 9000V의 고압이 발생되어 출력선(4')을 통하여 내온관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상기의 입력 전원과 출력 전원은 사용전압에 따라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철심(6), (6a), (7), (7a)은 와전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한 얇은 강철판을 겹쳐서 만든 것이며 2차 권선부(12)는 처음 작업 시작시, 0.4ψ 코일에 0.6ψ 코일을 10-12회 정도 감아준 다음 납땜을 한다.
이때 납땜을 7-8회 정도하며 지관에 테이프를 붙이고 권선기 헤드에 지관을 삽입한후 본 권선에 들어간다.
본 권선시에는 각층 마다 절연지(13)로 절연을 해주며 권선기카운터가 동작을 하지 않으면 작업을 시작한 반대쪽에서 약 12㎝의 여유를 두고 절단한 다옴 L/W에 7-8회 감아 납땜을 한후 다음 작업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상기에서의 방법으로 2차 권선부(12)를 구성시킨후 파라핀과 왁스를 4 : 1의 비율로 섞어 함침기에서 110℃의 온도로 가열 해주어 함침액을 충분히 끓여 액상으로 만든 다음 코어(20)를 함침액에 넣어 약 60-90분 정도 함침액을 계속해서 가열해 주면 절연지(13)와 코일(14)사이의 수분이나 공기가 완전히 제거되며 그 공간부로 파라핀 함침액이 침투 제8도에서와 같은 몰딩부(15)를 갖게 되어 수분이나 공기가 존재하지 못하므로 불량의 발생이 감소됨과 화재의 위험성을 배제하는 동시에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제공되고 출하검사시 불량이 발견 되면 약 110℃의 온도로 제가열하면 파라핀 함침액이 녹아 홀러내려 2차 권서부(12)를 분해 할 수 있으므로 재생 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입·출력선이 관통되는 애자(4), (5)는 사기 대신 하이 카라는 재질로 사용하여 형성시켜 설치하였으므로 애자(4), (5)가 깨질 염려가 없으며 절연도가 1000㏁ 이상이므로 절연성이 사기애자와 비슷하며 작업성이 우월하고 원가가 절감된다.
또한 2차 권선부(12)의 출력선(4')은 중성점 연결을 입력선(5')쪽에서 하고 출력선(4')은 반대 방향에서 뽑아 내므로 쇼트(Short)나 단선등의 불량을 해소시키며 출력선의 거리를 충분히 이격시켜 주었으므로 코로나 방전의 발생 요소를 제거시켜 주는 등의 효과가 제공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몸체(2) 상측의 손잡이(3) 양면에 입·출력선(4'), (5')이 관통되는 애자(4), (5)를 형성시킨 변압기(1)에 있어서, 크기가 서로 다른 철심(6), (6a), (7), (7a)을 종·횡으로 적층시켜 코어(20)를 구성하되 상기 코어(20)의 외측 양면으로형 1차 보빈(8)을 끼워 코일(11)을 감은후 절연테이프(10)를 갑아 1차 권선부(9)를 입력선(5')에 연결하여 구성시키고 코어(20)의 외측 양면에형 2차 보빈(18)을 끼우며 절연지(13)와 코일(14)을 반복해서 적층시켜 파라핀 함침액이 충진되어 몰딩부(15)가 형성된 2차 권선부(12)를 구성시킨 다음 상기 1, 2차 권선부(9), (12)사이에 코어(16)를 삽입시켜서된 네온관용 변압기의 구조.
KR2019890010599U 1989-07-19 1989-07-19 네온관용 변압기의 구조 KR9100093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0599U KR910009363Y1 (ko) 1989-07-19 1989-07-19 네온관용 변압기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0599U KR910009363Y1 (ko) 1989-07-19 1989-07-19 네온관용 변압기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877U KR910002877U (ko) 1991-02-26
KR910009363Y1 true KR910009363Y1 (ko) 1991-12-07

Family

ID=19288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0599U KR910009363Y1 (ko) 1989-07-19 1989-07-19 네온관용 변압기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936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658A (ko) * 2002-11-07 2004-05-13 스텝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그리스 자동 주유 장치
KR100983516B1 (ko) * 2008-08-05 2010-09-24 원종근 와전류 및 자기이력 손실이 적은 중ㆍ고주파용 변압기 및그 제조방법
WO2011093543A1 (ko) * 2010-01-29 2011-08-04 주식회사 비티원 와전류 및 자기이력 손실이 적은 변압기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8218B1 (ko) * 2000-12-12 2002-10-25 (주)퓨어텍 무함침 트랜스포머 제조방법
KR102635749B1 (ko) * 2022-04-29 2024-02-08 김종희 가스 버너 구조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658A (ko) * 2002-11-07 2004-05-13 스텝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그리스 자동 주유 장치
KR100983516B1 (ko) * 2008-08-05 2010-09-24 원종근 와전류 및 자기이력 손실이 적은 중ㆍ고주파용 변압기 및그 제조방법
WO2011093543A1 (ko) * 2010-01-29 2011-08-04 주식회사 비티원 와전류 및 자기이력 손실이 적은 변압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877U (ko) 1991-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23169A (en) Dry type transformer having improved ducting
KR910009363Y1 (ko) 네온관용 변압기의 구조
CN209675079U (zh) 一种轴向四分裂光伏升压干式变压器
US4521954A (en) Method for making a dry type transformer
GB1188177A (en) Electrical Inductive Apparatus
CN106653317A (zh) 调容变压器的低压箔绕线圈结构及调容变压器
CN104078216B (zh) 一种可替代变压器端空绝缘的梳状绝缘纸及其使用方法
CN206163284U (zh) 一种抗短路变压器
CN207993637U (zh) 一种可减小涡流损耗的浇注箔式线圈
EP0409479B1 (en) A method of making an electromagnetical apparatus
CN109859935A (zh) 立体卷铁心变压器的线圈结构及箔式线圈绕制方法
KR930006223Y1 (ko) 트랜스 포머의 절연구조
CN108597835A (zh) 一种双开口磁路组合式铁心器身的制造方法
JP2853579B2 (ja) 箔巻変圧器コイルの口出し部構造
US3504321A (en) Coils of sheet conductors having slotted ends
CN206962573U (zh) 一种后接引线
JPS5658749A (en) Connection of stator winding for rotary electric machine
JPS6012256Y2 (ja) 電気機器
JPS58283Y2 (ja) 負荷時タツプ切換変圧器
JPS58182213A (ja) 電磁誘導機器
JPS58200516A (ja) 変圧器
JPH0540684Y2 (ko)
JP3399151B2 (ja) 円板巻線の絶縁構造
CN115642027A (zh) 一种非晶变压器铁心降噪音、防碎片包裹方法
JPH022080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