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087Y1 - 조립식 축대 및 둑용 블럭 - Google Patents

조립식 축대 및 둑용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087Y1
KR910009087Y1 KR2019880020719U KR880020719U KR910009087Y1 KR 910009087 Y1 KR910009087 Y1 KR 910009087Y1 KR 2019880020719 U KR2019880020719 U KR 2019880020719U KR 880020719 U KR880020719 U KR 880020719U KR 910009087 Y1 KR910009087 Y1 KR 9100090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plate
main body
block
retain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207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2305U (ko
Inventor
이만재
Original Assignee
이만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만재 filed Critical 이만재
Priority to KR20198800207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9087Y1/ko
Publication of KR9000123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23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0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0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립식 축대 및 둑용 블럭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및 설치 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종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 예시도.
제4도는 종래의 사용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연결대
3 : 연결공 4 : 지지구
4' : 지지구공 5 : 지지판
6 : 지지판 지지구 6' : 지지판 지지구 공
7 : 걸림턱
본 고안은 농경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홍수나 폭우시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축대 및 둑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조립식 블럭 또는 호안용 블럭은 제방의 사면에다 블럭의 상 ·하 좌 ·우 연결하여 맞추는 정도에 지나지 않아 일체감이 없기 때문에 심한 홍수나 폭우시 에는 유실되어 제방의 기능이 마비되었을 뿐만 아니라 성토면을 일정한 각도의 사면으로 형성하여야만 조립이 가능하였으며,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점차 감소하고 있어서 농경지의 효율적인 이용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나, 논둑 또는 산지 개가니의 발둑용으로는 거의 사용 되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논둑이나 발둑을 흙이나 석축을 쌓아 대신함으로써 제방의 기능을 다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해마다 홍수나 폭우시 둑이 유실되어 농작물의 훼손은 물론 농경지 면적의 손실이 많았고, 유실에 따른 복구에 인력과 경비의 낭비 뿐만 아니라, 둑에 잡초가 무성하여 병충해로 인한 농작물의 피해까지 가중되는 등, 농민에게 있어서는 엄청난 인력 낭비와 경제적 피해를 가져 왔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에 착안하여 축대나 둑의 높이에 관계없이 쉽게 설치가 가능하고, 설치시 거의 수직으로 설치할수 있어서 경지 면적이 훨씬 넓어져 농경지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축대나 둑의 사면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홍수나 폭우 등으로 인한 농경지의 유실을 방지할수 있는 조립식 축대 및 둑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콘크리트 등으로 일정형태로 성형된 것으로서 제1도의 사시도 및 설치 예시도와 제3도의 사용 예시도에서 나타난 바와같이 사각 형상의 본체부(1) 이면에는 내부에 지지구공(4')을 갖는 원형의 돌출된 지지구(4)바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단부에는 다수의 연결공(3) 및 지지판 지지구(6)를 갖는 "ㄱ"자 형 지지관(5)이, 본체(1) 하면부에는 요철형 연결대(2)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블럭을 축대나 논둑 등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 설치 장소의 기초 지면에다 연결대(2)를 박아서 축대나 논둑의 길이만큼 좌 또는 우의 방향으로 순차져으로 연결시켜 기초단계 블럭을 설치해 나갈 수 있는 것이다.
높이가 기초단계 블럭으로 알맞은 경우는 지지판(5) 위에, 흙을 덮어 지지판(5) 및 본체(1)가 둑 또는 축대 와 일체로 형성되어 완성되는 것이며, 다단으로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좌 ·우 횡힐으로 형성된 기초단계 블럭 들의 연결공(3)에다 다음 단계 블럭들의 하단부 연결대(2)가 결합되어 걸림턱(7)에 고정되게 함으로써 상 ·하 좌 우 블럭들이 서로 맞물리면서 거의 수직으로 튼튼하게 조립되어 질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설치되는 본 고안은 본체(1) 이면에 다수의 지지구(4)와 지지판(5) 안쪽에 다수의 지지판 지지구(6)가 블럭하게 뛰어나와 있어서 기존 뚝이나 축대 사면의 흙과 서로 엉기게 되어 접착력이 증대됨으로써 전혀 유동없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질수 있으며, 지지구(4)에는 지지구공(4')이, 지지판 지지구(6)에는 지지판 지지구 공(6')이 통공되어 있어서 밀착되어 있는 흙부분에 공기가 유통되어 생장력이 약한 잡초 등은 자랄수 없으나, 조직력과 생장력이 강한 잔디 등이 자랄 수 있기 때문에 사면의 녹화와 동시에 본 고안의 본체(1)와 지지판(5)에 잔디 등의 뿌리가 엉기게 되어 축대나 둑이 더욱 견고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을 이용할 경우 논둑이나 밭둑은 물론 야산의 개간지나묘역 조성지 등의 층계식 축대로서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고 축대나 둑을 수직면에 가까운 형태로 축조할수 있어서 경지의 효율성을 가장 크게 높힐 수 있으며, 홍수나 폭우 등으로 인한 농지 등의 유실을 막아 유실시 복구 등에 소요되는 인력의 낭비를 없게 함으로써 경제적 피해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누구나 손쉽게 설치 가능하고 한번 설치하면 반 영구적 으로 이용할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사각형상의 본체부(1)이면 내부에 지지구공(4')을 갖는 원형의 지지구(4)가 다수 돌출되어 있고, 그 상단부에는 다수의 연결공(3) 및 통공의 지지판 지지구(6)를 갖는 "ㄱ" 자형 지지판(5)이, 본체(1) 하면부에는 요철형 연결대(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단블럭의 연결대(2)가 하단 볼럭의 연결공(9)에 박혀 걸리턱(7)에 고정됨으로써 상 ·하, 좌 ·우가 서로 맞물리면서 일체화 되어 거의 수직으로 쌓아 나갈수 있는 조립식 축대 및 둑용 블럭.
KR2019880020719U 1988-12-15 1988-12-15 조립식 축대 및 둑용 블럭 KR9100090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0719U KR910009087Y1 (ko) 1988-12-15 1988-12-15 조립식 축대 및 둑용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0719U KR910009087Y1 (ko) 1988-12-15 1988-12-15 조립식 축대 및 둑용 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2305U KR900012305U (ko) 1990-07-03
KR910009087Y1 true KR910009087Y1 (ko) 1991-11-25

Family

ID=19282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20719U KR910009087Y1 (ko) 1988-12-15 1988-12-15 조립식 축대 및 둑용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908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2305U (ko) 1990-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5886B1 (ko) 생태블록 사방댐.
US6588979B1 (en) Flood fence
US6666619B2 (en) Protective wall assembly
KR910009087Y1 (ko) 조립식 축대 및 둑용 블럭
WO2023029623A1 (zh) 防冲刷绿化带、防冲刷装置及其防冲刷板
KR100363435B1 (ko) 경사면 구축방법
KR200439588Y1 (ko)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
KR100349863B1 (ko) 호안용 블록 및 그를 이용한 자연형 호안시공법
KR200419609Y1 (ko) 하천 제방 법면 보강 시 호안의 식생 축조에 적합한 유공관조립체
KR100802911B1 (ko) 화분형 식생 블럭
KR100433496B1 (ko)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
JP3655578B2 (ja) 擁壁ブロック
KR101258625B1 (ko) 식생블럭
KR200142764Y1 (ko) 법면보호를 위한 블록
KR930002963Y1 (ko) 논두렁의 보호장치
KR100662876B1 (ko) 하천 생태보호용 식생블록 설치구조
KR200297571Y1 (ko) 식생 옹벽 구조체
JP3056699B2 (ja) 覆土ブロック
KR200344697Y1 (ko) 호안용 식생블록
CN214961347U (zh) 一种治理沙漠的植被种植装置
JP4646473B2 (ja) 鋼矢板親水護岸構造
CN216074991U (zh) 一种用于退化高寒沼泽湿地生态修复的植柳谷坊
KR200163563Y1 (ko) 경사면의속성녹화용블럭
KR100701482B1 (ko) 하천 제방 법면 보강 시 유공관을 이용한 호안의 식생 축조공법과 이에 적합한 유공관 조립체
KR100675520B1 (ko) 건축단지 내 비탈면 토사유실 방지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1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