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917B1 - 각종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각종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917B1
KR910008917B1 KR1019890010644A KR890010644A KR910008917B1 KR 910008917 B1 KR910008917 B1 KR 910008917B1 KR 1019890010644 A KR1019890010644 A KR 1019890010644A KR 890010644 A KR890010644 A KR 890010644A KR 910008917 B1 KR910008917 B1 KR 910008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mable logic
logic controller
output
inpu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0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3392A (ko
Inventor
정동녕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10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8917B1/ko
Publication of KR910003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각종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 검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테스트 장치를 위한 상세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적용된 입력부의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적용된 출력부의 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을 위한 테스트 장비의 개략적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원부 5,5′ : 입력 터미날
6 : 입력 제어부 7 : 출력 제어부
8 : 출력 터미날 9 : 가상부하저항
11 : 출력 LED 지시제어부 12 : 출력 LED 지시부
13 : 출력 LED 표시부 14 : 솔레노이드 구동회로
17 : FND 모델 디스플레이부 18 : 모델별 제어부
19,20,21,22 : 선택 연동 스위치 23 : 보조 링크부
31 : 증설출력 LED 보오드 32,33 : 입출력 신호 버퍼
34 : PLC 테스트 세트 35 : 터미날 단자링크부
50 :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100 : 테스트 장치 장비
A1 : BCD코드 절환부 A2 : FND 제어부
A3 : FND 디스플레이
본 발명은 모우터, 솔레노이드 밸브등과 같은 제어시스템 부하를 프로그램된 순서대로 구동되게 한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완제품 검사 공정에 있어서 입력, 출력 접점수 분포가 각기 다르게 구성되어져 있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를 한대의 장비로 정상동작 및 불량을 간단하게 검사할 수 있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종래에는 24점(입력 16점, 출력 8점), 40점(입력 24점, 출력 16점), 64점(입력 40점, 출력 24점)등의 입,출력접점수가 각각 다르게 분포 형성된 각 모델별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를 검사하기 위해 각 모델 특성에 맞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용 테스트 장비를 각각으로 제작 설치하여 완제품의 정상 및 불량을 검사하였던 것으로, 예컨데, 24점(입력 16점, 출력 8점)을 가진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를 검사하기 위한 테스트 장치는 상기 24점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입, 출력 접점수와 테스트 장비의 입, 출력 접점단자를 동일하게 구성하여 입력 16점, 출력 8점으로 된 24점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만을 검사할 수 있도록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하나의 24점 프로그래머블 로직컨트롤러만을 제조할 경우 이를 검사하는 테스트 장비로는 별문제됨 없이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입, 출력, 접점수 분포가 각기 다르게 형성된 각각의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그와 같은 입, 출력 접점수를 갖는 각각의 테스트 장비를 갖추어야 하므로서 그 제작 비용이 엄청나게 소요될 뿐 아니라, 일반적으로 각 모델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를 장소가 각기 다른 생산라인별로 하여 제조되므로 인해 만약, 24점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테스트 장비가 설치된 생산라인에서 40점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를 제작하게 될 경우 40점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를 검사하는 테스트 장비를 옮겨야 한다거나 또는 제조된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를 설치 고정된 검사장비로 이동시켜야 하는 몹시 불편한 문제가 수반되어 인력낭비는 물론 생산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검사할 각종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가 가지고 있는 고유 입력 접점을 각각으로 선택하기 위한 셀렉트 연동 스위치와 검사할 각종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접점을 읽을 수 있도록 한 수십개 핀단자가 검사할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접점간격과 같은 일정간격으로 분할 형성되어 교류, 직류 인가전압에 따른 연동 스위치의 선택 여부에 따라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입력부의 입력 접점이 콤몬 및 입력신호점으로 서로 다르게 결정케 하여 결정된 해당 접점(핀)단자만이 접촉되게 하고, 이 접점동작에 따른 출력을 릴레이, 트랜지스터 또는 트라이액으로 선택 결정케하여 발광소자로 밀집구성된 디스플레이가 순차 점등되어지게 하므로서 보다 효율적인 검사가 이루어지게 한바,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제1도는 각종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를 검사할 테스트장치의 상세회로도로서 교류전원(AC 110V)이 입력되는 전원부(1)의 AC/DC 컨버터(3)에 의해 변환된 직류전원(12V)은 테스트 할 프로그래머를 로직 컨트롤러에 구동 공급 전원(교류 110V/220V)과 입력 데이타를 제공하기 위해 수십개 입력핀 단자로 나열된 입력 터미널(5)을 수용하는 입력제어부(6)와, 가상부하(Dummy Load)를 포함하여 수십개 출력핀 단자로 나열된 출력 터미널(8) 측으로 아웃하는 출력제어부(7)와, 각 모델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출력 LED(발광다이오드) 지시제어부(11)와, 상기 지시제어부(11)로부터 각 모델별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지시제어 신호를 제공받는 출력 LED지시부(12) 및 테스트 할 각 프로그래머블 로직컨트롤러가 안치될때 이를 인식하고져 고정설치된 마이크로 스위치(15)와 이 스위치(15) 접점동작에 의해 솔레노이드(16)가 동작하여 안치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입,출력 접점수 만큼에 해당한 핀 단자를 조정하도록 한 솔레노이드 구동회로(14)로 공급되어 이들이 동작할 수 있는 초기 전원이 부여된다.
또한 상기 전원부(1)의 다른 AC/DC 컨버터(4)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원(DC 5V)은 24, 32, 40, 64점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를 단독 선택하게 되는 24핀 8링크로 된 연동 스위치(19)와 이 스위치(19)에 의해 선택한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접점 신호를 칩 다이오드(미도시)로 셀렉트하게 되는 BCD 코드 절환부(A1), 그리고 기본 또는 증설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를 선택하는 스위치(20)접점 신호와, 교류 또는 직류 전원으로 테스트 할 것인가를 결정 선택하는 스위치(21) 접점신호 및 테스트 할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출력접점이 릴레이, 트라이액, 트랜지스터로 할것인가를 선택하는 스위치(22) 접점 신호를 칩 다이오드로 셀렉트 하게되는 FND제어부(A2) 및 상기 BCD코드 절환부(A1)와 FND제어부(A2)를 연결하는 FND디스플레이(A3)가 포함되어 진 FND모델 디스플레이부(17)에 공급하도록 연결되며, 또한 입력터미널(5′)의 핀단자로부터 직류전원(DC24V)이 상기 출력 제어부(7)와 가상부하(Dummy Load) 저항(9) 및 출력 LED표시부(13)에도 제공되도록 연결된다.
또한 입력 교류 전원(AC110V)은 테스트장치의 온도상습을 억제하기 위한 로타리 휀(27)과, 상기 솔레노이드 구동회로(14) 및 테스트 할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상태 표시부(10) 그리고 상기 출력 제어부(7)와 32점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가 4셋트로 구비되어 증설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를 테스트 하기 위한 링크부(29) 및 테스트 셋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34)의 출력신호를 그대로 수용하게 되는 32점 1셋트로 구비된 보조링크(30)가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테스트 한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34)의 입, 출력 신호를 상기 입력 제어부(6)와 출력제어부(7)에 각각 주고 받도록 공급 전원을 포함한 어드레스 데이타 제어버스로 연결되며, 또한 연동 스위치(19)에 의해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를 선택한 신호가 FND모델 디스플레이부(17)를 통해 상기 출력 제어부(8)와, 모델별 제어부(18)로 전달됨과 동시에 15점 터미날로 형성된 상기 모델별 제어부(18)에서 FND모델 디스플레이부(17)로부터 선택된 24, 32, 40, 64점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어드레스 데이타 제어신호를 셀렉트하여 출력 LED지시부(12)로 보내게 되며, 상기 테스트 세트의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34)의 출력 데이타가 출력 제어부(7)에 의해 출력 LED표시부(13)으로 제공되도록 서로 어드레스 데이타 제어버스로 연결되게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제2도 및 제3도에 따른 실시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2도에 도시한 컴몬 컨트롤부의 상세회로도와 같이 각 점당 24핀 8링크로 된 셀렉터 스위치(19)가 24, 32, 40, 64점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를 선택하도록 서로 연동되는 구조로 설정되어 이것을 연동시키게 되면 각 모델(PLC)을 셀렉트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선택하기에 앞서 먼저 테스트 하고져 할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중 입력 16점, 출력이 8점으로 된 24점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50)가 제4도에 도시한 장비(100)의 하단에 놓이게 되면 이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크기와 적절한 위치마다 고정 설치된 마이크로스위치(15)(15′)를 턴온하게 된다.
이때 전원부(1)로부터 제공된 교류전원이 솔레노이드 구동회로(14)를 통해 장비(100)의 터미날 링크부(35)에 고정된 솔레노이드(16)로 인가되어 이가 동작하게 된다.
이동작에 따라 테스트 할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가 어떤 모델을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알리기 위해 상기 셀렉트 스위치(19)의 해당 24점용 스위치(ㄱ)를 온하게 되면 이와 동시에 검사할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입력부의 각 컴몬을 교류/직류 입력단자에 연결을 시켜주므로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입력터미날(5)(5′)의 16, 22, 28, 34번 핀 단자를 컴몬으로 만들게 되고, 나머지 입력부분을 입력 신호 포인트로 남겨두게 된다.
이때 제4(b)도와 같은 상태로 핀 단자 링크부(35)를 푸쉬하게 되면 테스트 할 24점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입, 출력 접점과 테스트 장비의 핀 단자로된 터미날(5)(5′)이 접하게 됨과 동시에 입력제어부(7)에 의해 입력됨을 나타내는 발광소자(a)가 점등 되어지고, 나머지 신호가 각 컴몬 단자에 단락되어진다.
그런데 여기서 32점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선택용 셀렉트 스위치(ㄴ)로 인하여 24점과 40점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나머지 부분이 쇼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릴레이(RY2)(RY3)로 접점 연결을 단절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24점 선택용 셀렉트 스위치(ㄱ)을 온시키고 32점 셀렉트 스위치(ㄴ)를 오프시켜도 컴몬과 시그널의 라인이 쇼트되지 않게 된다.
또한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입력부에서 24, 32, 40점이 공동으로 되어 있는 핀단자 22번에서는 24점을 온시키고, 40점 셀렉트스위치(ㄷ)가 오프되어도 이또한 서로간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릴레이(RY1)에 의해 단속되고, 마찬가지로 40점 선택스위치(ㄷ와 64점 선택스위치(ㄹ)가 어느 한쪽이라도 온되어 있으면 릴레이(RY4)는 접점이 개방되어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입력부의 핀 단자 14번에 의해 40점과 64점의 컴몬 단자가 겹치게 됨을 방지하게 된다.
즉, 32점이나 24점 선택스위치(ㄱ)(ㄴ)가 동작할때에는 40점이나 64점의 컴몬 단자가 시그널 라인으로 되고, 40점이나 64점 선택스위치(ㄷ)(ㄹ)가 온되어 있을때에는 릴레이(RY4)에 의해 핀단자 14번이 컴몬이된다.
또한 테스트 하고자 한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를 위해 입력부에는 직류외에 교류(85V)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AC/DC 셀렉트 스위치(21)로 선택 결정하게 된다.
그리하여 직류가 입력될때에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내부에 있는 직류(24V)가 걸리게 되어 J/G상에서는 입력부의 컴몬을 찾아 시그널을 쇼트시켜 주기만 하면 되고, 그러나 이와는 달리 교류입력을 위한 스위치(21)를 온하면 외부에서 별도의 교류(85V)를 컴몬과 시그널 단자에 인가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AC/DC 셀렉트 스위치(21)를 직류로 하면 상위에서 셀렉트 된 24, 32, 40, 64점의 컴몬과 시그널을 서로 쇼트시켜 주고, 교류로 하면 컴몬과 시그널 단자에 전원부(1)의 변압기(2)로부터 85볼트를 인가해 주게 된다.
이를 알기위한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입력부 핀단자 11, 12번에는 직류(24V)가 출력되므로 이에 전압계(23)를 연결하면 된다.
한편 입력부의 터미널(5)(5′)에 의해 테스트 할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시그널이 입력제어부(6)에 의해 데이타 어드레스 버스상에 실려 테스트 셋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34)로 인가되어 이에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기준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에 의해 다시 출력데이타를 출력제어부(7)로 보내게 된다.
이때 전원부(1)로부터의 직류(12V) 전원이 출력 LED지시제어부(11)에 인가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이가 동작하여 그 셀렉트 된 24점 스위치(ㄱ)의 신호가 출력 LED지시부(12)로 전달됨과 동시에 릴레이 트라이액 또는 트랜지스터로 된 출력 드라이브 회로(미도시)를 출력사양에 따라 셀렉터 스위치(22)로 선택하며, 이에 의한 릴레이, 트라이액의 출력형태는 제3도에 도시한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출력부와 같이(E)단에 직류전원(DC12V)이 인가됨과 동시에 릴레이(RY5-RY7)가 동작하여 출력 터미널(8)의 1, 7, 11, 17번 단자가 컴몬과 쇼트가 이루어지고, 트랜지스터를 선택한 출력형태는 릴레이(RY12-RY15)가 동작하여 테스트할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출력단자 2-5, 12-15번이 컴몬과 쇼트가 된다.
그리고 릴레이(RY16)가 동작됨에 따라 트랜지스터 선택스위치(22)에 의해 테스트 할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를 비교하기 위해 설치된 테스트 장치의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내 파워 트랜지스터 구동용 전원(DC24V)이 테스트 할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직류 출력 단자핀에 인가해주게 된다.
따라서 24점 선택스위치(19)(ㄱ)에 의해 테스트할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입력 및 출력이 이상이 발견하지 않을 경우 정상적인 데이타신호를 출력 제어부(7)를 통해 출력 LED표시부(13)로 보내게 된다.
그러면 장치의 프론트 판넬에 설치한 디스플레이 상에 리드되는 LED점등이 일정 간격시간으로 순차 점등되어지며, 만약 순차 점등되는 상태에서 점등되지 않는 LED가 있다면 그에 대한 입력점 내지 출력점(테스트 하고 있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이 이상이 있음을 알게 된다.
한편, 입력 24점, 출력이 16점을 가진 40점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를 검사할 경우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수단으로 하되 일단 장치상에 안치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를 테스트 장비가 인식하기 위해 선택 스위치(19)를 40점 측으로 변환하도록 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단자부의 릴레이(RY4)를 통해 핀단자 14번이 컴몬이 되며, 또한 제3도의 (G)단자에 직류 전원이 인가되어 릴레이(RY6)(RY8)가 동작하게 되면서 출력단자 1, 6, 11번이 컴몬과 쇼트가 된다.
이 또한 트랜지스터를 선택한 출력형태는 상기의 릴레이와 트라이액 출력예와 마찬가지의 출력이 나오나 단지 릴레이(RY16, RY17)가 오프되어 컴몬이 해제됨과 동시에 출력측의 출력 단자로 전환되고, 릴레이(RY18)이 온되어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출력단자 20번에 직류 전원(DC24V)이 공급되어진다.
마찬가지로 테스트할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가 입력 40점, 출력이 24점을 가진 64점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라고 할때에 셀렉트스위치(19)를 일단 전환시켜 주게되면, 상기 40점 입력접점 14번의 컴몬겹침을 방지하기 위해 릴레이(RY4)의 접점이 OFF되게 하며, 제3도의 (H)단자로 직류전원이 인가되어 릴레이(RY9)(RY10)가 동작하게 되면서 출력단자 1, 10, 19가 컴몬과 쇼트가 되고, 전술한 과정과 마찬가지로 64점 출력단자에서는 컴몬과 출력단자 사이에 교류(110V)가 인가하게 되고, 트랜지스터 형식의 출력 형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출력이 나오나 다만 릴레이(RY19)가 오프되므로서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출력단자 24번 핀은 컴몬이 해제되고 출력단자로 전환되어지며, 릴레이(RY20)가 온되어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출력단자 28번에 직류전원(DC24V)이 공급되어진다.
따라서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출력부의 테스트 상태 데이타는 출력 LED지시 제어부(11)의 해당 지시된 제어신호에 의해 출력 LED표시부(13)에 설정한 발광소자(LED)가 일정 간격시간으로 순차 점등되어지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 의해 점등되어야 할 부위의 발광소자(LED)가 점등되지 않게 되면 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입,출력점이 이상있음을 곧 알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테스트 하고져 할 각종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를 연동 셀렉트 스위치로 전환되게 하므로서 선택한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입,출력핀단자 기능이 입,출력 접점이 다른 각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를 테스트 할 수 있게 되며, 이를 일정간격으로 순차점등 되게 하므로서, 작업자가 쉽게 판별할 수 있는 반면, 각각의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를 검사하기 위한 각각의 테스트 장비를 하나로 제작되게 하므로서 그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보다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생산성이 향상되는 등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하나의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를 검사하기 위해 이와 동일한 기준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가 내장된 통상의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테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와 입,출력 접점이 서로 다른 각종 기준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가 수용된 테스트 장치(100)는 테스트할 각종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50)를 선택할 수 있는 셀렉트 스위치부(19)와, 기본 또는 증설을 인식하기 위한 스위치(20) 및 AC/DC전원을 선택수용하게 되는 FND모델 디스플레이부(17)가 전원부(1)와 입력 터미날(5)이 연결된 입력 제어부(6)와, 출력 터미널(8)을 통해 가상 부하 저항(9)이 연결된 출력 제어부(7)에 각각 연결되며, 모델별 제어부(18)를 통해 출력 LED지시제어부(11)가 연결된 출력 LED지시부(12)에도 연결되고, 또한 릴레이, 트라이액 또는 트랜지스터를 선택하기 위한 셀렉터 스위치(22)와 출력 LED표시부(13)에도 연결되며, 상기 출력 제어부(7)와 입력 제어부(6)가 테스트 셋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34)간에 어드레스 데이타 제어버스로 서로 연결되고, 그 출력제어부(7)의 출력단과 출력 LED표시부(13)간에도 어드레스 데이타 제어버스로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각종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로(PLC)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ND모델 디스플레이부(17)는 BCD코드 절환부(A1)와 FND제어부(A2) 및 FND디스플레이(A3)로 구성되어 테스트 하기 위한 24, 32, 40, 64점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를 연동 셀렉트 스위치(19) 동작에 의해 칩 다이오드로 BCD 코드 절환하고, 기본/증설, AC/DC, 릴레이, 트라이액, 트랜지스터 선택을 칩 다이오드로 제어하는 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각종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 검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출력 LED표시부(13)는 병렬로 연결된 가상부하저항(9)이 하나의 발광소자(LEC)에 연결되어 각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선택에 따른 릴레이 동작으로 일정간격 시간에 의해 순차점등 되어지면서 불량검사를 용이롭게 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각종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검사 장치.
KR1019890010644A 1989-07-27 1989-07-27 각종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 검사장치 KR910008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0644A KR910008917B1 (ko) 1989-07-27 1989-07-27 각종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0644A KR910008917B1 (ko) 1989-07-27 1989-07-27 각종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392A KR910003392A (ko) 1991-02-27
KR910008917B1 true KR910008917B1 (ko) 1991-10-24

Family

ID=19288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0644A KR910008917B1 (ko) 1989-07-27 1989-07-27 각종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89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80497A (zh) * 2020-05-06 2020-08-25 上海中金能源投资有限公司 可编程逻辑控制器输入输出端口测试设备及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80497A (zh) * 2020-05-06 2020-08-25 上海中金能源投资有限公司 可编程逻辑控制器输入输出端口测试设备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392A (ko) 1991-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78080B2 (en) Modular safety switching device system
US5734116A (en) Nema cabinet monitor tester
CN110554271B (zh) 一种空调接线检测装置、测试系统及检测方法
US3719931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machine functions
JPH0235322B2 (ko)
US7439869B2 (en) Indicating device, circuit arrangement and method for indicating the status of one of a plurality of switches connected in series to a safety relay
CN111580497A (zh) 可编程逻辑控制器输入输出端口测试设备及方法
US6535786B1 (en) Modular automated assembly system
KR910008917B1 (ko) 각종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 검사장치
KR102544983B1 (ko) 테스트 시스템 및 테스트 컨트롤러
CN109061456A (zh) 一种检测装置及检测系统
US6664790B2 (en) Automated diagnostic tester for HID lamp luminaires
KR200291562Y1 (ko) 릴레이 검사장치
CN207689589U (zh) 全电子联锁硬件智能测试系统
US3774234A (en) Servicing apparatus for heating/cooling systems
KR100317940B1 (ko) Plc 검사 시스템
CN113889289B (zh) 电动头调试工具
JPH0540460Y2 (ko)
CN212301731U (zh) 一种道岔试验装置
CN113805562B (zh) 一种三相五线制交流转辙机的模拟装置和操作方法
JPH03256092A (ja) 表示灯の点灯試験装置
KR200166937Y1 (ko) Plc 검사 시스템
JPH09288135A (ja) エレベータ制御盤の測定装置
CN116754880A (zh) 一种继电保护装置的测试系统及测试方法
JPH0611496Y2 (ja) 検査機能付負荷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