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850B1 - 적층필름 - Google Patents

적층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850B1
KR910008850B1 KR1019890007402A KR890007402A KR910008850B1 KR 910008850 B1 KR910008850 B1 KR 910008850B1 KR 1019890007402 A KR1019890007402 A KR 1019890007402A KR 890007402 A KR890007402 A KR 890007402A KR 910008850 B1 KR910008850 B1 KR 910008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pha
olefin
methyl
copolymer
pent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7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7777A (ko
Inventor
히로미 시게모도
Original Assignee
미쓰이세끼유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다께바야시 쇼오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세끼유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다께바야시 쇼오고 filed Critical 미쓰이세끼유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7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7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8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1Heat seal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13Monoolefin polymer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적층필름
본 발명은 적층필름에 관한 것으로, 우수한 가열 밀봉성을 갖고 있으며 또한 폴리(4-메틸-1-펜텐)을 기재로 하는 적층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4-메틸-1-펜텐)은 투명성, 내열성 및 내화학성의 특성이 있어 비이커 및 측정 실린더, 주사기, 광도계셀, 전자오븐용 접시와 같은 화학실험기구의 코팅제로서, 그리고 마분지용 종이 코팅재로서 사용된다. 폴리(4-메틸-1-펜텐)은 고용융점 및 양호한 열안정성을 갖고 있긴하지만 열밀봉성이 불량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폴리(4-메틸-1-펜텐)의 가열 밀봉성을 개선하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피렌과 같은 우수한 열밀봉성과 폴리(4-메틸-1-펜텐)보다 낮은 용융점을 갖는 수지를 폴리(4-메틸-1-펜텐)에 결합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폴리에티렌 또는 폴리프로피렌은 폴리(4-메틸-1-펜텐)에 대한 불량한 접착성을 갖고 있으므로 단순한 공압출적층으로는 실용적인 적층구조를 얻을 수 있다.
예를들어, 일본 특허 공개공보 145844/1985에는 50∼87몰 %의 프로피렌 함량과 주사차동 열량계에 의한 열분석에 의해 측정하여 10∼80jouleg/g의 결정용융열을 갖는 프로피렌/알파-올레핀 램돔 공중합체의 중간층과, 중간층의 일면상에 폴리(4-메틸-1-펜텐)층과, 다른면상에 폴리에티렌 또는 폴리프로피렌층으로 구성되는 적층구조가 제안되었다.
일본특허 공개공보 29540/1986에는 50∼87몰%의 프로피렌 함량과 주사 차동 열량계에 의한 열분석에 의해 측정하여 10∼80joules/g의 결정용융열을 갖는 프로피렌/알파-올레핀 랜돔 공중합체와 5∼60중량%의 폴리(4-메틸-1-펜텐)으로 구성된 중합체 조성물의 중간층과, 중간층의 일면상에 폴리(4-메틸-1-펜텐)층과, 다른면상에 주성분으로서 탄소원자 2∼4를 갖는 알파 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올레핀층으로 구성된 적층구조가 제안되었다.
이 특허 출원서에는 프로피렌/알파-올레핀 랜돔 공중합체로서 터폴리머(terpolymer)를 기술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4-메틸-1-펜텐)과 중간층으로서 신규한 접착층의 적층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우수한 투명성, 표면 광택, 발수성, 내열성, 내화학성, 중간층 접착제, 가열 밀봉성 및 열수축율을 균형있게 잘갖춘 적층필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장점들은 다음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서 이 목적들과 장점들과 4-메틸-1-펜텐의 중합체층(A)과, 4-메틸-1-펜텐의 중합체 (a)와 프로피렌 단위, 1-부텐단위 및 다른 알파-올레핀 단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프로피렌단위 10∼85몰%, 1-부텐단위 3∼60몰% 및 적어도 탄소원자수 5를 갖는 알파-올레핀 10∼85몰%로 구성된 알파-올레핀 공중합체 (b)의 혼합물로 되며, x-레이 회절계로 측정하여 20% 이하의 결정도를 갖는 중간층 (B)과, 주성분으로서 탄소원자수 2∼4를 갖는 알파-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올레핀층(c)을 상기층 (A),(B) 및 (C)순으로 적층하여 구성된 적층필름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적층필름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4-메틸-1-펜텐의 중합체는 4-메틸-1-펜텐의 단독 중합체 또는 4-메틸-1-펜텐과 다른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다른 알파-올레핀을 예로들면 에티렌, 프로피렌, 1-부텐, 1-헥센, 1-옥텐, 1-데센, 1-테트라데센 및 1-옥타데센과 같은 탄소원자수 2∼20를 갖는 알파-올레핀류가 있다.
공중합체는 적어도 85%의 4-메틸-1-펜텐과 미량부분의 다른 알파-올레핀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4-메틸-1-펜텐의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0.5∼200g/10분의 용융유속(MFR5: 하중:5kg : 온도:260℃)을 갖고 있다. 만일 용융유속이 0.5g/10분 이하일 경우, 중합체는 용융점도가 너무 높아서 성형성이 감소되는 경향이 있다. 만일 200g/10분을 초과하면, 중합체의 용융점도가 너무 낮아서 성형성이 감소되고 또한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4-메틸-1-펜텐의 중합체는 공지된 것으로 미쓰이 페트로 케미칼 인더스트리스 리미티드로부터 상표 PPXR로서 판매되고 있다.
본 발명의 적층필름의 중간층(B)은 4-메틸-1-펜텐의 중합체(a)와 알파-올레핀 공중합체(b)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4-메틸-1-펜텐 중합체(a)는 4-메틸-1-펜텐의 단독 중합체 또는 4-메틸-1-펜텐과 다른 알파-올레핀과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바람직한 공중합체로는 층(A)의 중합체에 관해 위에서 예시된 바와 같다.
알파-올레핀 공중합체(b)는 프로피렌, 1-부텐 및 적어도 탄소원자수 5를 갖는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이다.
적어도 탄소원자수 5를 갖는 알파-올레핀을 예로들면 1-펜텐, 3-메틸-1-부텐, 1-헥센, 4-메틸-1-펜텐, 3-메틸-1-펜텐, 1-헵텐, 1-옥텐, 1-데센 및 1-도데센이다. 이들중 탄소원자수 6∼12를 갖는 알파-올레핀이 좋다.
알파-올레핀 공중합체(b)는 10∼85몰%의 프로피렌 단위, 3∼60몰%의 1-부텐 단위 및 10∼85몰%의 적어도 탄소원자수 5를 갖는 알파-올레핀 단위를 함유한다. 이 비율은 상술한 단위들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프로피렌 단위의 함량은 15∼70몰%, 특히 25∼55몰%가 좋다. 1-부텐단위의 함량은 5∼50몰%, 특히 10∼40몰%가 좋다. 다른 알파-올레핀 단위의 함량은 15∼70몰%, 특히 20∼60몰%가 좋다.
알파-올레핀 공중합체(b)는 x-레이 회절계로 측정하여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좀더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의 결정도를 갖는 것이다.
10몰% 이하 또는 85몰% 이상의 프로피렌 함량, 3몰%이하 또는 60몰% 이상의 1-부텐함량, 또는 10몰% 이하 또는 85몰% 이상의 적어도 탄소원자수 5를 갖는 알파-올레핀의 함량을 갖는 알파-올레핀의 함량을 갖는 알파-올레핀 공중합체를 사용하면 본 발명에 의해 의도하는 바와 같은 우수한 중간층 접착제를 갖는 적층필름을 얻을 수 없다. 20% 이상의 결정도를 갖는 알파-올레핀 공중합체(b)의 사용에 의해서도 같다.
x-레이회절계에 의한 알파-올레핀 공중합체(b)의 결정도의 측정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한다. 샘플을 10분동안 30kg/㎠하에서 280℃에서 압축성형한 다음, 23℃에서 유지되는 수냉각 프레스(압력 : 30kg/㎠)에 의해 5분동안 냉각하여 2㎝×4㎝×1mm의 사이즈를 갖는 시험편을 제조한다. 시험표본을 회전하는 음극 x-레이회절장치(리가꾸덴끼(주)제품 RU-300)로 5°∼31°의 회전각(2θ)에서 x-레이회절곡선을 측정한다. 6°와 30°의 회절각(2θ)간에 베이스 라인을 그려 그 영역을 무정형 부분과 결정부분으로 나뉜다. 결정부분의 중량 퍼센트를 측정하여 결정도로서 정의한다.
통상적으로, 알파-올레핀 공중합체(b)는 135℃의 데카린중에서 측정하여 0.6∼6dl/g, 바람직하게는 0.5∼5dl/g, 좀더 바람직하게는 1.0∼4dl/g의 극한점도(n)를 갖는다. 만일 극한점도가 0.6dl/g이하이거나 또는 6dl/g 이상일 경우, 중합체는 성형성이 감퇴된다.
바람직하게는 알파-올레핀 공중합체(b)는 5.0중량%이하, 바람직하게는 4.0중량% 이하의 비등 n-헵탄-불용성 부분과, 5.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5중량% 이하의 25℃에서의 아세톤-가용성 부분을 함유하는 것이 좋다. 만일 비등 n-헵탄-불용성부분의 비율이 5중량%를 초과하면, 알파-올레핀 공중합체의 투명성이 저하하거나 또는 이 알파-올레핀 공중합체와 4-메틸-1-펜텐 중합체로 구성되는 조성물은 필름으로 성형하면 작은 둥근 흠집이 발생한다. 만일 아세톤 가용성 부분의 함량이 5.0중량%를 초과하면, 알파-올레핀 공중합체와 4-메틸-1-펜텐 중합체로 구성되는 중간층은 표면 두께를 가지면 또한 4-메틸-1-펜텐층(A)에 대한 접착성이 감소되기 쉽다.
알파-올레핀 공중합체의 25℃에서의 아세톤-가용성부분과 비등 n-헵탄-불용성 부분의 함량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다.
[비등 n-헵탄-불용성부분]
약 1mm×1mm×1mm의 크기를 갖는 작은 샘플을 유리알과 함께 원통형의 유리필터내에 넣고 속스레 추출기(Soxhlet extractor)에 의해 14시간동안 비등n-헵탄으로 추출한다. 불용성 부분의 중량%는 용해된 부분 또는 불용성 부분을 계량하여 측정한다.
[25℃에서의 아세톤-용해성 부분]
샘플(15g)을 130℃의 n-데칸 250ml 중에 용해시킨 다음 용액을 500ml의 아세톤중에 넣어 중합체의 아세톤-불용성부분을 석출시킨다. 여과하여, 아세톤-불용성부분을 제거한 다음 300ml의 물을 여과물에 첨가했다. 혼합물을 분리훤넬에 의해 n-데칸층과 물-아세톤층으로 분리한다. n-데칸층을 농축시켜 아세톤-가용성부분의 함량을 측정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술한 특성을 갖는 알파-올레핀 공중합체(b)는 예를 들어 마그네슘 화합물, 티타늄 화합물 및 전자 공여체를 필수성분으로하여 구성된 고활성 고상 티타늄 촉매성분(a)을 할로겐화 탄화수소(b)로서 처리하여 얻은 고상티타늄 촉매성분(A)과, 유기알미늄 화합물(B)과,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자공여 성분(C)으로 구성된 촉매를 사용하여 프로피렌, 1-부텐 및 적어도 탄소원자수 5를 갖는 알파-올레핀을 공중합함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이 촉매를 제조하는 방법은 예를들어 일본 공개 특허공보 811/1981와 83006/1983내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적층필름의 중간층(B)을 구성하는 4-메틸-1-펜텐 중합체(a)는 층(A)를 구성하는 4-메틸-1-펜텐 중합체와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층(A)에서 사용되는 4-메틸-1-펜텐 중합체는 중간층(B)에서 사용되는 것과 다름을 이해해야 한다. 4-메틸-1-펜텐 중합체(a)와 알파-올레핀 공중합체(b)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알파-올레핀 공중합체(b)의 비율은 80∼30중량%, 좀더 바람직하게는 70∼40중량%가 좋다. 따라서, 4-메틸-1-펜텐 중합체의 비율은 20∼70중량%, 좀더 바람직하게는 30∼60중량%가 좋다.
만일 혼합비율이 특정 범위밖에 있을 경우, 그 결과로 얻은 적층필름은 중간층의 접착성이 감소되고, 열수축이 증가되고 또한 내열성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적층필름을 구성하는 층(C)의 폴리올레핀은 주성분(바람직하게도 적어도 5몰%)으로서 탄소원자수 2∼4를 갖는 알파-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올레핀 즉, 주성분으로서 에티렌, 프로피렌 또는 1-부텐으로부터 유도된 결정질 중합체이다. 이 폴리올레핀을 예로 들면 폴리에티렌, 폴리프로피렌 및 폴리-1-부텐이 있다. 그의 주성분이 탄소원자수 2∼4를 갖는 알파-올레핀으로부터 유도하는 한 폴리올레핀은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공중합체는 예를들어 탄소원자수 2∼4를 갖는 알파-올레핀과 또다른 공중합성 단량체, 예를들어 탄소원자수 2-20을 갖는 알파-올레핀, 초산비닐, 염화비닐,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스티렌과 같은 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 또는 말레인 무수물, 말레인산 또는 아크릴산과 같은 불포화 카본산 또는 그의 유도체로 상기 공중 합체를 그라프하여 얻은 그의 그라프트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이중합체의 혼합물은 또한 층(C)의 폴리올레핀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층(C)로서 사용되는 폴리에티렌을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고압 저밀도 폴리에티렌(LDPE), 에티렌/프로피렌 공중합체, 에티렌/1-부텐 공중합체, 에티렌/4-메틸-1-펜텐 공중합체, 에티렌/1-헥센 공중합체, 고밀도 폴리에티렌(HDPE), 에티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에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가 있다. 이들중 LDPE, 에티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및 에티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가 좋다. 왜냐하면 투명성과 저온 열밀봉성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LDPE, 에티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에티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0.910∼0.960g/㎤의 밀도와 100∼135℃의 용융점(Tm : ASTM D-3418)을 갖고 있다.
성형성의 관점에서 볼 때, 폴리에티렌은 그의 용융유속(MFR3: ASTM D-1238, E)이 바람직하게는, 0.01∼50g/10분, 좀더 바람직하게는 0.1∼10g/10분이면 좋다.
층(C)로서 사용되는 폴리프로피렌을 구체적으로 예를들면 폴리프로피렌(프로피렌 단독 중합체), 프로피렌 랜돔 공중합체(프로피렌 함량을 통상 적어도 90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몰%로함), 그리고 프로피렌/에티렌 랜돔 공중합체와 프로피렌/에티렌/1-부텐 랜돔 공중합체와 같은 프로피렌/에티렌/블록 공중합체(통상 에티렌 함량을 5∼30몰%로함)가 있다. 이들중 폴리프로피렌과 프로피렌 랜돔 공중합체가 그의 우수한 열 밀봉성 때문에 좋다. 130∼140℃의 용융점(Tm : ASTM D-3418)을 갖는 랜돔 공중합체가 그의 우수한 열 밀봉성 때문에 특히 좋다. 성형성의 관점에서 볼 때, 폴리프로피렌의 MFR2는 바람직하게는 0.5∼30g/10분, 좀더 바람직하게는 0.3∼10g/10분이다.
층(C)로서 사용되는 폴리-1-부텐을 구체적으로 예를들어 1-부텐 단독 중합체, 1-부텐/에티렌 공중합체, 1-부텐-프로피렌 공중합체 및 1-부텐/4-메틸-1-펜텐 공중합체가 있다.
본 발명의 적층필름은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들어 4-메틸-1-펜텐 중합체 필름을 형성한 다음, 그 필름상에 4-메틸-1-펜텐 중합체(a)와 알파-올레핀 공중합체(b)로 구성되는 중간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과 폴리올레핀을 압출 코팅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과, 4-메틸-1-펜텐 중합체(a)와 알파-올레핀 공중합체(b)로 구성되는 중간층의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별도로 제조된 4-메틸-1-펜텐 중합체 필름과 폴리올레핀 필름을 압출 적층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과, 4-메틸-1-펜텐 중합체와, 4-메틸-1-펜텐중합체(a) 및 알파-올레핀 공중합체(b)로 구성되는 중간층 조성물과, 그리고 폴리올레핀을 중간층으로서 압출하는 중간층 조성물과 함께 적어도 3다이를 갖는 다층 다이시스템을 사용하여 동시 압추라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있다. 이들중 동시압출성형법이 좋다. 왜냐하면, 그의 조작이 간단하고 더 좋은 중간층 접착제를 갖는 적층필름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동시 압출성형법은 평다이(T-다이법) 또는 원형다이(팽창법)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평다이는 암상자를 사용하는 단일 매니홀드형 또는 멀티매니홀드형일 수 있다. 팽창법에서는, 공지된 다이를 사용할 수 있다.
중간층 조성물은 헨셀 믹서, V-형혼합기등 또는 단스크류 또는 다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여 4-메틸-1-펜텐(a)와 알파-올레핀 공중합체(b)를 혼합시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필름에서, 개별층의 두께에 대한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4-메틸-1-펜텐중합체층(A)의 두께는 800∼2㎛, 바람직하게는 100∼5㎛이고, 4-메틸-1-펜텐(a)와 알파-올레핀 공중합체(b)로 구성되는 중간층의 두께는 600∼2㎛, 바람직하게는 50∼5㎛, 폴리올레핀 층(C)의 두께는 800∼2㎛, 바람직하게는 100∼5㎛이다.
본 발명의 적층필름은 층(A),(B) 및 (C)의 적층순으로된다. 그러므로 , 층(A),(B) 및 (C)를 이 순서로 적층한 3층필름 또는 층(C),(B),(A),(B) 및 (C)를 이 순서로 적층한 5층 필름일 수도 있다.
가스 장벽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폴리비닐리덴 수지 폴리비닐알콜, 검화된 에티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터, 종이, 알미늄, 포일등이 상기 적응된 구조에 더 적층될 수도 있다.
또한, 내후성 안정화제, 열안정화제, 정전방지제, 흐림방지제, 안티블록킹제, 슬립제, 윤활제, 안료염료 또는 핵제와 같은 폴리올레핀에 대한 통상의 첨가제를 본 발명의 목적에 해를 주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층들 어느 한층 또는 이들 모든 층에 혼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적층필름은 우수한 투명성, 표면광택, 방수성, 내열성, 내화학성, 중간측 접착성 및 열밀봉성과 낮은 열수축율을 갖고 있다.
전술한 특성의 장점을 취함으로써, 본 발명의 적층필름은 야채, 다과류, 고기, 빵 및 어류와 같은 각종 음식물 표장재로서 또는 비이커 및 측정실린더, 주사기, 광도계 셀, 전자오븐용 접시와 같은 화학실험기구와 마분지용 종이 코팅재로서 훌륭히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1) 다음과 같은 2공중합체를 제조했다.
(A) 0.835g/㎤의 밀도와 26g/10분의 MFR5를 갖는 4-메틸-1-펜텐/1-데센 공중합체(간단히 4MP-1라함). (B)36몰%의 프로피렌, 14몰%의 부텐, 50몰%의 4-메틸-1-펜텐, 5℃의 유리 천이점(Tg), 0.860g/㎤의 밀도, 0.88g/10분의 MFR 및 x-레이회절계로 측정하여 1.2%의 결정도를 갖는 프로피렌/1-부텐/4-메틸-1-펜텐 공중합체(간단히 PBM 라함)
4MP-1(70중량%)과 PBM(30중량%)을 혼합한 다음 0.5중량%의 Irganox 1010을 첨가했다. 그 혼합물을 쌍 스크류 압출기(스크류 직경 45mm, 실린더 온도 270℃)로 과립화하여 중간층 형성용으로 사용했다.
(2) 0.91g/㎤의 밀도, 5g/10분의 MFR 및 140℃의 Tm을 갖는 프로필렌/에티렌 랜돔 공중합체(간단히 PP라함)를 압출기(스크류 직경 40mm : 실린더 온도 250℃)내에서 용융 시키고 4MP-1을 압출기(스크류직경 40mm : 실린더 온도 270℃)내에서 용융시키고, 그리고 4MP-1/PBM 70/30을 과립 중량비로 압출기(스크류직경 40mm : 실린더 온도 260℃)내에 용융시켰다. 이 용융물을 3층 T-다이필름 성형기의 코트 행거 다이(coat hanger die)(다이온도 260℃)로부터 압출한 다음 냉각하여 20㎛의 PP내층 : 20㎛의 4MP-1/PBM(=70/30)의 중간층 및 20㎛의 4MP-1 외부층으로 구성된 동시 압출된 3층 필름을 얻었다. 필름의 특성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인장강도
ASTM D-638에 따라 측정했다. 덤벨(dumbell)형상은 W 타입이었고, 인발속도를 200mm/분으로 조정했다.
열수축율(%)
표시 라인들 100mm×100mm을 샘플필름에 표시했다. 140∼220℃로 유지되는 오븐내에 그 샘플은 30분 동안 방치시킨 후, 지시 라인들간의 거리를 측정했다. 수축율을 다음식
(수축전 거리-수축후 거리)/수축전 거리으로부터 구했다.
가열 밀봉강도(g/15mm)
샘플필름을 겹친다음 2kg/㎠의 압력하에서 140,160 및 180℃의 온도에서 5mm폭의 밀봉박대로 가열 밀봉하고 서서히 냉각시켰다. 이 샘플로부터 15mm폭의 시험편을 절단해낸 다음 300mm/분의 박리속도로 T-박리시험을 했다.
박리강도(g/15mm)
15mm폭의 시험편을 절단한 다음 개별층을 300mm/분의 크로스헤드(crosshead)속도로 박리하여 박리강도를 측정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PBM 대 4MP-1의 비를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꾼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1을 반복했다.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PBN만을 중간층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을 반복했다. 그 결과는 표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kpo00001

Claims (10)

  1. 4-메틸-1-펜텐의 중합체층(A)과, 4-메틸-1-펜텐의 공중합체(a)와 프로피렌 단위, 1-부텐단위 및 다른 알파-올레핀 단위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프로피렌 단위 10%∼85몰%, 1-부텐 단위 3∼60몰% 및 적어도 탄소원자수 5를 갖는 알파-올레핀 1∼85몰%로 구성되는 알파-올레핀 공중합체(b)의 혼합물로 되며, x-레이회절계로 측정하여 20% 이하의 결정도를 갖는 중간층(B)과, 주성분으로서 탄소원자수 2∼4를 갖는 알파-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폴리올레핀층(C)를 상기층(A),(B) 및 (C)순으로 적층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인 적층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층(A)를 구성하는 4-메틸-1-펜텐 중합체와 중간층(B)에 사용되는 4-메틸-1-펜텐 중합체는 동일 또는 상이한 것으로 4-메틸-1-펜텐의 단독 중합체 또는 4-메틸-1-펜텐과 탄소원자수 2∼20를 갖는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인 것이 특징인 적층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중간층(B)에 사용되는 알파-올레핀 공중합체(b)는 프로피렌, 1-부텐 및 탄소원자수 6∼12를 갖는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인 것이 특징인 적층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알파-올레핀 공중합체(b)는 프로피렌 단위 15∼70몰%, 1-부텐단위 5∼50몰%, 그리고 적어도 탄소원자수 5를 갖는 알파-올레핀 단위 15∼70몰%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인 적층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알파-올레핀 공중합체(b)는 15% 이하의 결정도를 갖는 것이 특징인 적층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알파-올레핀 공중합체(b)는 5.0중량% 이하의 비등 n-헵탄-불용부분과 5.0중량% 이하의 25℃에서 아세톤-가용부분을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적층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중간층(B)는 4-메틸-1-펜텐 중합체(a)와 알파-올레핀 공중합체(b)의 총중량을 기준으로하여 20∼80중량%의 중합체(a)와 80∼20중량%의 공중합체(b)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인 적층필름.
  8. 제1항에서, 층(C)를 구성하는 폴리올레핀은 탄소원자수 2∼4를 갖는 알파-올레핀의 담독 중합체 또는 상기 알파-올레핀과 다른 공중합성 단량체의 공중합체인 것이 특징인 적층필름.
  9. 제8항에서,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티렌, 폴리프로피렌 또는 폴리(1-부텐)인 것이 특징인 적층필름.
  10. 제1항에서, 층(A)의 두께는 800∼2㎛, 중간층 (B)의 두께는 600∼2㎛, 층(C)의 두께는 800∼2㎛인 것이 특징인 적층필름.
KR1019890007402A 1988-06-01 1989-05-31 적층필름 KR9100088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8-35267 1988-06-01
JP13526788A JP2592500B2 (ja) 1988-06-01 1988-06-01 積層フィルム
JP63-135267 1988-06-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777A KR900017777A (ko) 1990-12-19
KR910008850B1 true KR910008850B1 (ko) 1991-10-21

Family

ID=15147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7402A KR910008850B1 (ko) 1988-06-01 1989-05-31 적층필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988558A (ko)
EP (1) EP0345031B1 (ko)
JP (1) JP2592500B2 (ko)
KR (1) KR910008850B1 (ko)
AT (1) ATE125752T1 (ko)
CA (1) CA1300476C (ko)
DE (1) DE6892365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22355A (en) * 1988-08-26 1990-02-28 Courtaulds Films & Packaging Microwavable food container
US5693418A (en) * 1989-04-17 1997-12-02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Laminated film or sheet and box-shaped vessel prepared therefrom
CA2014460C (en) * 1989-04-17 2001-02-27 Hiromi Shigemoto Laminated film or sheet and box-shaped vessel prepared therefrom
JPH02274535A (ja) * 1989-04-17 1990-11-08 Mitsui Petrochem Ind Ltd 積層フィルムないしシート及びそれからつくられたカートン
DK0573173T3 (da) * 1992-05-20 1997-05-05 Mitsui Petrochemical Ind Varmebestandig indpakningsfilm
US5789484A (en) * 1995-05-26 1998-08-04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4-Methyl-1-pentene polymer compositions
JP2978086B2 (ja) * 1995-06-30 1999-11-15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積層体
US5973077A (en) * 1996-02-01 1999-10-26 Mitsui Chemicals, Inc. 4-methyl-1-pentene resin composition and a laminated body using the resin composition
US6265083B1 (en) 1997-08-22 2001-07-24 Mitsui Chemicals, Inc. Poly (4-methyl-1-pentene) resin laminates and uses thereof
US6119853A (en) 1998-12-18 2000-09-19 Glaxo Wellcome Inc. Method and package for storing a pressurized container containing a drug
US20030209453A1 (en) * 2001-06-22 2003-11-13 Herman Craig Steven Method and package for storing a pressurized container containing a drug
US6315112B1 (en) 1998-12-18 2001-11-13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Method and package for storing a pressurized container containing a drug
US6352152B1 (en) 1998-12-18 2002-03-05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Method and package for storing a pressurized container containing a drug
US6390291B1 (en) 1998-12-18 2002-05-21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Method and package for storing a pressurized container containing a drug
US20040089561A1 (en) * 1999-11-23 2004-05-13 Herman Craig Steven Method and package for storing a pressurized container containing a drug
GB0015043D0 (en) 2000-06-21 2000-08-09 Glaxo Group Ltd Medicament dispenser
JP6799133B2 (ja) * 2017-02-23 2020-12-09 三井化学株式会社 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0686A (en) * 1978-06-19 1980-07-01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Multi-layered plastic sheeting having high clarity, strength, and resistance to water vapor transmission
JPS6129540A (ja) * 1984-07-20 1986-02-10 三井化学株式会社 積層フイルム
US4837277A (en) * 1986-12-16 1989-06-06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Poly(4-methyl-1-pentane) composition and articles molded therefr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125752T1 (de) 1995-08-15
US4988558A (en) 1991-01-29
EP0345031A2 (en) 1989-12-06
DE68923657D1 (de) 1995-09-07
JP2592500B2 (ja) 1997-03-19
JPH01304937A (ja) 1989-12-08
EP0345031B1 (en) 1995-08-02
KR900017777A (ko) 1990-12-19
EP0345031A3 (en) 1990-03-21
DE68923657T2 (de) 1996-01-18
CA1300476C (en) 199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8850B1 (ko) 적층필름
US5527608A (en) Oriented multilayer heat sealable packaging film capable of withstanding high altitude effects
EP2416961B1 (en) High performance sealable coextruded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US6423420B1 (en) Oriented coextruded films
CA2226118A1 (en) Polyolefin compositions for heat-sealable films having controlled peel strength
EP1318173A1 (en) Oriented coextruded films
AU2006276538A1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film or sheet, stretched film obtained from such film or sheet, multilayer body, and stretched film obtained from such multilayer body
KR950012794B1 (ko) 폴리(4-메틸-l-펜텐)기본층을 갖는 라미네이트된 필름
US4868052A (en) Thermoplastic composition comprising a copolymer based on ethylene and maleic anhydride, and industrial articles obtained from such a composition
EP0321220B1 (en) Easily openable heat seal material
US4481336A (en) Olefinic block copolymers of ethylene propylene and 1-butene
US6682793B1 (en) Multi-layered polymeric structures including a layer of ethylene copolymer
JPS62207645A (ja) 積層フイルム
JPH0259768B2 (ko)
US5593764A (en) Thermoplastic composition comprising a copolymer based on ethylene and maleic anhydride, and industrial articles obtained from such a composition
KR960010450B1 (ko) 가스 및 수분 차단성이 향상된 포장용 다층필름
JPH02155736A (ja) 延伸積層フィルムおよびこの延伸積層フィルムからなる包装材料
JPH04226348A (ja) 改良された引裂強さを有するポリプロピレン−ポリブチレンの積層された包装フイルム
JPH02155718A (ja) 延伸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H0331348B2 (ko)
JPH025182B2 (ko)
JPH07195639A (ja) 耐熱性にすぐれた積層体
JPS60145844A (ja) 積層フイルム
JPH07195638A (ja) 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