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828B1 - 코인송출장치 - Google Patents

코인송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828B1
KR910008828B1 KR1019880006923A KR880006923A KR910008828B1 KR 910008828 B1 KR910008828 B1 KR 910008828B1 KR 1019880006923 A KR1019880006923 A KR 1019880006923A KR 880006923 A KR880006923 A KR 880006923A KR 910008828 B1 KR910008828 B1 KR 910008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rotating disk
dispensing apparatus
hopp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6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1001A (ko
Inventor
소우이치 다케모토
다카토시 다케모토
가즈나리 가와시마
모리유끼 아오야마
지로오 나가오까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에이스 덴켄
다카토시 다케모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149370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313290A/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092324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00481U/ja
Priority claimed from JP9232587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00482U/ja
Priority claimed from JP62191190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35681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에이스 덴켄, 다카토시 다케모토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에이스 덴켄
Publication of KR890001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00Coin inlet arrangements; Coins specially adapted to operate coin-freed mechanis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코인송출장치
각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도는, 본 발명의 코인송출장치의 일부를 투시하여서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송출장치의 본체의 요부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송출장치 본체의 종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Ⅳ-Ⅳ선의 단면도.
제6a, b도는 본 발명의 밸브스프링의 설명도.
제7도는, 본 발명의 토출로의 레일부재의 횡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선택판의 설명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3도의 선택판의 설명도.
제10도는, 정렬을 무너뜨리는 돌기의 작용설명도.
제11도 및 제12도는, 본 발명의 회전원반의 역회전에 관한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1도는, 본 발명의 송출장치 본체의 요부평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Ⅳ-Ⅳ선의 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련된 송출장치 본체의 요부평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관련되는 송출장치 본체의 요부평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관련되는 송출장치 본체의 요부평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관련되는 송출장치 본체의 요부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코인 10 : 코인송출장치
20 : 호퍼 21 : 개구
22 : 수납공간 23 : 측벽
24 : 안내면 24a : 유로 커버
25 : 제1유로 26 : 제2유로
27 : 배출구 27a : 밸브스프링
28 : 저지판 30 : 송출장치본체
31 : 하우징 32 : 둘레벽
32a : 슬리트 33 : 측벽
35 : 모우터 36 : 구동축
38 : 안내풀리 37 : 지지브라켓트
40 : 회전원반 41 : 마찰판
42 : 허브 43 : 돌기
44 : 벨트걸이홈 44a : 벨트
45 : 교반로드 45a : 걸림돌기
45b : 걸림브라켓트 46 : 교반부
50 : 역회전기구 50a : 제1선택판
50b : 제2선택판 50c : 제3선택판
51 : 선별끝단 52 : 끝단부
53 : 안내벽 54a : 입구
54b : 간격 60 : 토출로
61 : 안내브라켓트 61a : 센서
62 : 레일부재 63 : 미끄럼동작면
64 : 판스프링부재 64a : 안내누름부
65 : 벨트콘베이어 66 : 풀리
66a : 누름풀리 67 : 구동풀리
67a : 회전축 68 : 보내는 벨트
69 : 피구동풀리 70 : 역회전기구
71 : 역회전용원판 71a : 로울렛
72 : 요동레버 73 : 갈퀴레버
73a : 갈퀴 74 : 핸들레버
74a : 조작손잡이 75 : 연결레버
76 : 4절링크기구 77 : 인장스프링
78 : 받음플레이트 79 : 피버트 지지핀
80 : 조작레버 81 : 조작손잡이
82 : 갈퀴부 82a : 걸어맞춤면
82b : 갈퀴 83 : 마찰부재
84 : 캠면
본 발명은, 호퍼와, 그 밑에 설치되어 있는 송출장치본체로 형성되어 있는 코인송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들면, 동전교환기, 거스름불출기, 자동판매기 등의 주화 및 유기기(遊技機)의 유기매체인 코인을 취급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코인송출장치로서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공소 53-16718호 공보 및 일본국 특개소 49-7069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있다.
즉, 일본국 특공소 53-16718호 공보에는,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안내통에 코인인 주화를 수납하고, 이 안내통의 아래쪽으로 회전하는 선택판을 배치하고, 선택판에 뚫어 형성한 주화 낙하구멍에 한 개씩 코인을 넣어 안내통으로부터 꺼내서 송출하는 것 및 일본국 특개소 49-70696호 공보에는, 회전원반위에 코인을 연속적으로 정열이송하는 것이며, 회전원반은 정회전방향으로만 회전하고, 그것에 대응한 처리유로를 형성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코인송출장치로서는 코인을 일일이 안내통안에 수납하지 않으면 안되고, 또한, 한 개씩 코인을 처리하는 것이기 때문에, 처리능력에 한 개가 있고, 구조도 복잡하고, 고가의 물건이 된다는 문제점 및, 토인을 연속적으로 처리할 때, 집중한 코인이 대항하여 소위 브리지현상을 일으킬 염려가 있고, 한번 브리지현상을 일으키면, 해소하기가 쉽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분해수리가 필요하게되고, 번잡할 뿐아니라, 코인송출장치를 장착한 유기기등의 가동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서 이루어진 것으로, 다량의 코인을 한번에 투입하여서 처리가능하고, 브리지현상을 일으키는 경우에도 쉽게 회복가능 하도록 요령좋게 효율적으로 코인을 송출할 수 있게한 코인송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요지로하는 것은, 호퍼와, 그 밑에 설치되어 있는 송출장치본체로써 형성되는 코인송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출장치본체는, 수평 또는 약간 경사져서 지지되어 있는 표면이 평탄한 회전원반과, 이 회전원반의 바깥둘레를 향하여 거의 접선방향으로 배치설치되어 코인이 튀어나오지 않을 정도로 밀폐되어 있는 토출로와, 이 토출로에 코인을 정렬시켜서 유도하도록, 회전원반의 원둘레를 따른 위치로부터 이 토출로를 걸쳐서 배치설치되어 있는 선택판을 구비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호퍼의 배출구를 회전원반의 거의 중앙부를 향하여 개구하고 있고, 그 회전원반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호퍼내로 뻗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교반로드를 상기 회전원반에 기초부를 연결하여 설치하여서 형성하거나, 또는 송출장치본체의 토출부는, 위를 향한 흠형상 단면을 하고 있는 양측벽의 정상면이 미끄럼동작면을 위로부터 향하는 벨트콘베이어와, 상기 레일부재의 내부에 배치설치되어 있고 상기 벨트콘베이어의 보내는 벨트의 표면에 탄성력있게 접촉하는 안내누름부를 가지는 판스프링부재와를 구비하여서 형성하거나, 또는, 호퍼와, 그 밑에 설치되어 있는 송출장치본체로써 형성되어 있는 코인송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내부에서 굴곡한 유로와 그 말단의 배출구와를 가지고, 상기 송출장치본체는, 수평 또는 약간 경사져서 지지되어 있는 표면이 평탄한 회전원반과, 이 회전원반의 바깥둘레를 향하여 거의 접선방향으로 배치설치되고, 코인이 튀어나오지 않을 정도로 밀폐되어 있는 토출로와, 이 토출로에 코인을 정렬시켜서 유도하는 선택판과를 가지고, 상기 호퍼의 배출구는 상기 회전원반의 거의 중앙부를 향하여 개구하고 있고, 상기 회전원반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호퍼안으로 뻗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교반로드를 상기 회전 원반에 기초부를 연결하여 설치하고, 상기 송출장치본체의 토출로는, 위를 향한 홈현상 단면을 하고 있고, 양측벽의 정상면이 미끄럼동작면을 하고 있는 레일부재와, 상기 레일부재의 미끄럼동작을 위로부터 향하는 벨트콘베이어와, 상기 레일부재의 내부에 배치설치되어 있고, 상기 벨트콘베이어의 보내는 벨트의 표면에 탄성력 있게 접촉하는 안내누름부를 가진 판스프링부재와를 구비형성하거나, 또는, 호퍼와, 그 밑에 설치되어 있는 송출장치본체로 형성되는 코인송출장치에 있어서, 송출장치본체는, 수평 또는 약간 경사져서 지지되고 있는 표면이 평탄한 회전원반과, 이 회전원반의 바깥둘레를 향하여 거의 접선방향에 배치설치되고 코인이 튀어나오지 않을 정도로 밀폐되어 있는 토출로를 가지고, 상기 회전원반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역회전용원판을 설치하고, 이 역회전용원판의 바깥둘레에 일시적으로 걸어맞춤하여 역회전시키는 역회전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송출장치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호퍼안에 투입된 코인은 회전원반의 표면으로 배출되고, 회전원반으로 떨어진 코인은 회전력과 원심력에 의하여 회전원반의 바깥둘레로 이동한다. 바깥둘레로 이동한 코인은 선택판에서 단계적으로 정렬되고, 한줄로 되어 토출구로 유도되어서 토출된다.
또한, 호퍼안에 투입된 코인은, 다량인 경우에도, 교반로드가 춤을 추듯이 회전하여서 호퍼안의 코인이 브리지현상을 일으키지 않도록 교반하고, 한숨돌리는 현상을 일으키는 일 없이 원활하게 회전원반의 표면에 배출된다. 브리지현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회전원반은 일단 정지시켜 자유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역회전기구를 조작하면, 그 일부가 역회전용원판에 일시적으로 걸어맞춤하여 역회전시킨다.
이로써, 회전원반은 역회전하고, 브리지현상이 일어난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원반이 변위하기 때문에, 브리지현상이 해소되어 무너진다. 역회전기구의 조작을 중지하고, 회전원반을 정회전방향으로 구동하여도, 일단 무너진 브리지현상을 재현하는 일은 없고, 다시 조작하지 않을 때 회전원반에 걸어맞춤하지 않기 때문에, 간섭하여서 저항으로 되는 일은 없다.
또한, 호퍼안에 투입되어서 회전원반으로 떨어진 코인은 회전력과 원심력에 의하여 회전원반의 바깥둘레로 이동하고, 이 바깥둘레로 이동한 코인은 선택판에서 정렬되고, 일렬로 되어서 토출로로 유도된다.
또한, 벨트콘베이어의 보내는 벨트의 당김 및 레일부재의 미끄럼동작면과의 간격은, 판스프링부재의 안내 누름부에 의하여 적절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고, 코인은 벨트콘베이어의 보내는 벨트와 레일부재의 미끄럼동작면과의 사이에 들어가, 그 사이 내지 판스프링부재의 안내누름부와 보내는 벨트와의 사이에 끼워져서 보내져 토출된다.
이하,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각 실시예에 관하여 같은 부위에는 같은 부호를 붙여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제1도;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코인송출장치(10)는, 호퍼(20)와, 그 밑에 설치되어 있는 송출장치본체(30)로 형성된다. 호퍼(20)는 위쪽으로 열린 개구(21)를 가진 깔대기 형상이고, 위쪽이 코인(A)를 모으는 수납공간(22)를 형성하고 있다. 수납공간(22)의 밑바닥에는 코인(A)의 흐름을 한쪽의 측벽(23)에 향하는 안내면(24)이 형성되고, 안내면(24)에서 조금 높아지는 유로커버(24a)에 걸쳐진 유로가 제1유로(25)를 형성하고 있고, 측벽(23)으로부터 굴곡하여서 비스듬히 아래로 향하여 제2유로(26)가 형성되고, 제2유로(26)의 말단에 배출구(27)가 형성되어 있고, 굴곡된 제1유로(25)와 제2유로(26)로서 코인(A)의 흐름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송출장치본체(30)는, 원통형의 하우징(31)의 바닥면에 모우터(35)가 유지되고, 모우터(35)의 구동축(36)에 회전구동되는 회전원반(40)이 고정결합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회전원반(40)은 하우징(31)의 둘레벽(32)의 안둘레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하고 있고, 표면의 중앙부에 마찰판(41)이 형성되어 있고, 뒤쪽에 형성된 허브(42)가 모우터(35)의 구동축(36)에 고정결합되어 있다. 회전원반(40)의 둘레테두리에는 벨트걸이홈(44)이 형성되고, 도시생략한 토출로에 구동력을 분배하는 벨트(44a)가 감겨져 있다. 또한 회전원반(40)은, 0도(수평)~약 30도 경사하여 축받이 되어 있다.
또한, 회전원반(40)의 표면에는 코인(A)의 두께보다 조금낮은 거의 반구형상의 정렬 무너짐돌기(43)가 튀어나와 형성되어 있다. 호퍼(20)의 배출구(27)는 회전원반(40)의 표면의 한쪽편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고, 배출구(27)를 막도록하고, 코인(A)의 흐름을 규제하는 밸브스프링(27a)이 배치되고, 배출구(27)의 토출방향을 향하여, 저지판(28)이 안내면(24)의 아래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밸브스프링(27a)은 코인(A)의 다소에 의하여 위, 아래로 움직이는 것이다. 회전원반(40)의 중심에 튀어나오게한 걸림돌기(45a)에 탄성병형가능한 교반로드(45)의 기초부가 고정결합되고, 호퍼(20)안의 제1유로(25)로 뻗고, 호퍼(20)에 붙박이되어 있는 걸림브라켓트(45b)에 앞끝단이 걸려지게 되어 있다. 유로커버(24a)에는 교반로드(45)가 관통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교반로드(45)는 긴밀히 감겨진 코일스프링이며, 단지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아니고, 호퍼(20)안의 다수의 코인(A)중에서 흔들며 회전하는 정도의 탄성으로 설정되어 있다. 교반로드(45)의 중간부는 거의 ″ㄱ″자 형상으로 구부려져 교반부(46)를 형성하고 있다. 교반로드(45)로서는, 적절한 탄성력있는 로드형상의 것이면 좋다.
제4도 및 제5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회전원반(40)의 바깥둘레의 끝단을 향하여 제1의 선택판(50a), 제2의 선택판(50b), 제3의 선택판(50c)이 형성되고, 그후에, 회전원반(40)의 거의 접선방향의 토출로(60)가 형성되어 있다. 제1의 선택판(50a)은, 하우징(31)의 둘레벽(32)에 지지되어서 토출로(60)에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원반(40)의 둘레가장자리의 위에 형성되고, 제1의 선택판(50a)의 아래끝단 테두리는 선별끝단(51)을 형성하고 있고 회전원반(40)의 표면과의 사이에는 코인(A) 1개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제2의 선택판(50b)은, 제1의 선택판(50a)쪽의 끝단(52)이 하우징(31)의 둘레벽에 뚫려있는 세로의 슬리트(32a)에 끼워져 통하게 한 바깥쪽으로 뻗게 하여서 구부려서 고정되고, 다른쪽의 끝단부는 토출로(60)가 뒤에 계속되는 안내벽(53)을 이루고 있다. 세로의 슬리트(32a)는 끝단부(52)의 판두께보다 폭이 넓게 밖으로 개구하고, 회전원반(40)의 위의 하우징(31)내의 공간을 둘레벽(32)의 밖에 연결하여 통하게해, 먼지배출구를 형성하고 있다.
제2의 선택판(50b)의 아래끝단 테두리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1의 선택판(50a)쪽이 회전원반(40)의 표면과의 사이를 코인(A) 1개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형성한 입구(54a)를 형성하고, 회전원반(40)의 회전방향을 따른 뒤쪽은 2개 이상의 간격(54b)이 형성되어 있다.
제3도의 선택판(50c)은 토출로(60)의 바로 앞에 위치하고 있고, 제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아래끝단 테두리와 회전원반(40)의 표면과의 사이가 코인(A) 1개를 통과시킬 정도의 간격으로 설정되고, 코인(A)이 가상선에 나타내는 것과같이 되넘겨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토출로(60)는, 하우징(31)으로부터 뻗어진 측벽(33)과, 제2의 선택판(50b)의 안내벽(53) 및 그것에 연결되는 안내브라켓트(61)와의 사이에 통로가 형성되고, 하우징(31)의 밑바닥면에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은 흠형상단면을 한 레일부재(62)가 붙박이되고, 레일부재(62)의 위쪽에 벨트콘베이어(65)를 형성한다. 안내브라켓트(61)에는 코인(A)을 건지하는 센서(61a)가 장착되어 있다.
레일부재(62)는 위를 향하는 양쪽의 측벽의 정상면이 코인(A)의 미끄럼동작면(63),(63)을 형성하고 있다. 레일부재(62)의 흠의 내부에는, 판스프링부재(64)가 장착되고, 판스프링부재(64)의 앞끝단부에는, 미끄럼동작면(63)보다 위에 돌출하는 안내누름부(64a)가 형성되어 있다. 벨트콘베이어(65)는, 측벽(33)에 형성되어 있는 피버트축에 회전가능하에 피버트 지지되어 있는 감기 풀리(66)와 구동풀리(67)와의 사이에 보내는 벨트(68)를 감아, 감기풀리(66)와 구동풀리(37)와의 사이에 누름풀리(66a)를 형성하여서 이루어진다.
구동풀리(67)는 측벽(33)과 지지브라켓트(37)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축(67a)에 고정결합되어 지지되고, 회전축(67a)에 붙박이된 피구동풀리(69)와, 안내풀리(38)와, 회전원반(40)의 벨트걸이홈(44)과의 사이에 구동벨트(44a)가 감겨있고, 회전원반(40)을 회전시키는 모우터(35)의 구동력에 의하여 구동풀리(67)도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보내는 벨트(68)의 아래면은 레일부재(62)의 미끄럼동작면(63)을 향하고, 이 아래면에 판스프링부재(64)의 안내누름부(64a)가 미끄럼 접합하고 있다.
제3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회전원반(40)에 대하여 역회전기구(70)가 설치되어 있다. 역회전기구(70)는, 모우터(35)의 구동축(36)에 역회전용원판(71)이 붙박이되고, 모우터(35)의 구동축(36)에 유동가능하게 끼운 요동레버(72)와, 요동레버(72)의 끝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갈퀴레버(73) 및 핸들레버(74)와, 갈퀴레버(73), 핸들레버(74)의 다른쪽의 끝단부를 접속하는 연결레버(75)로 형성되는 4절링크기구(76)가 설치되어서 형성된다. 역회전용원판(71)의 바깥둘레에는 로울렛(71a)이 형성되고, 갈퀴레버(73)의 앞끝단의 갈퀴(73a)가 로울렛(71a)를 향하고 있다.
4절링크기구(76)는, 인장스프링(77)으로써 한쪽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지도록 되어 있고, 핸들레버(74)의 끝단에 조작손잡이(74a)를 구비하고 있고, 조작손잡이(74a)가 개방되어 있을 때, 갈퀴레버(73)의 갈퀴(73a)가 역회전용원판(71)의 로울렛(71a)으로부터 이간하도록 배치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모우터(35)를 기동하면 회전원반(40)이 회전구동되고, 구동벨트(44a)에 의하여 벨트콘베이어(65)의 구동풀리(67)가 회전하여 보내는 벨트(68)가 보내는 방향으로 구동된다. 역회전기구(71)는, 회전원반(40)이 순조롭게 회전하는 한 조작되는 일은 없고, 인장스프링(77)의 가하는 힘으로, 갈퀴레버(73)의 갈퀴(73a)가 역회전용원판(71a)으로부터 이간한 상태로 유지하고 있고, 간섭하지 않고 저항으로 되는 일은 없다. 호퍼(20)의 개구(21)로부터 코인(A)를 투입하면, 코인(A)은 일단 수납공간(22)에 모아지고, 안내면(24)의 위의 제1유로(25)를 통하여 측벽(23)을 향하여, 거기서 굴곡하여 제2유로(26)를 통과하고, 흐름이 힘을 억제하면서 배출구(27)로부터 회전원반(40)의 위면에 코인(A)이 토출된다.
호퍼(20)내에서 교반로드(45)가 회전원반(40)과 동일한 회전수로서 흔들면서 돌고, 코인(A)이 브리지현상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고 있고, 한숨돌리는 현상을 발생시키는 일없이 연속적으로(A)이 배출구(27)로 보내진다. 배출구(27)에서는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밸브스프링(27a)이 코인(A)의 흐름을 규제하고 있다.
회전원반(40)의 위면에서는, 코인(A)이 불필요하게 정렬하였을 때, 제10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정렬무너뜨림돌기(43)가 코인(A)의 아래로 끼어들어서 정렬을 무너뜨린다. 토출된 코인(A)은 회전원반(40)의 위면에서 원심력에 의하여 바깥쪽으로 튕겨져서, 회전원반(40)의 위에서 돌아다닌다. 돌아다니고 있는 동안에 제1의 선택판(50a)에 도달한 코인(A)은 선별끝단(51)의 아래를 기어들어서 토출로(60)를 향하여 정렬한다. 하우징(31)의 둘레벽(32)의 세로의 슬리트(32a)로부터는 회전원반(40) 위의 먼지 등이 측벽(33)의 바깥으로 배출된다.
제1의 선택판(50a)을 통과한 코인(A)은 안내벽(53)으로부터 제2의 선택판(50b)을 통과한다. 제2의 선택판(50b)을 통과한 코인(A)은 1개씩 열을 지으고 있는 것이지만, 제8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중복되어 있는 코인(A)이 다른 코인(A)의 위를 미끄러져서 제2의 선택판(50b)에서 2개 중복을 일으키는 일은 없다. 이때, 간격(54b)의 틈을 크게하였기 때문에, 회전원반(40)의 회전에 따라 중복이 벗어난다.
또한, 제3의 선택(50c)에서는, 아래끝단 테두리와 회전원반(40)의 표면과의 사이의 코인(A) 1개를 통과하는 정도의 간격으로 코인(A)이 가상선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되넘져지는 것을 방지하고, 최종적으로 코인(A)을 선별하여 토출로(60)로 송출한다.
제1의 선택판(50a), 제2의 선택판(50b), 제3의 선택판(50c)이 회전원반(40)의 회전원반의 방향으로 넓게 분포하여 배치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코인(A)은 확실히 선별된다. 토출로(60)에서는 보내는 벨트(68)의 팽팽한 당김은 판스프링부재(64)의 안내누름부(64a)에 의하여 알맞은 상태로 유지되어 있고, 레일부재(62)의 미끄럼동작면(63), (63)과 벨트콘베이어(65)의 보내는 벨트(68)와의 사이에 코인(A)이 끼어들어가; 판스프링부재(64)의 안내누름부(64a)의 부위를 통과하여서 토출된다. 브리지현상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회전원반(40)은 일단 정지시키고 자유회전이 가능하게 한다. 역회전기구(70)의 핸들레버(74)의 조작손잡이(74a)를 앞으로 잡아당기도록 조작하면, 연결레버(75)가 변위하고, 갈퀴레버(73)의 갈퀴(73a)는 역회전용원판(71)의 로울렛(71a)에 접근하면서 전진동작하고 일시적으로 걸어맞춤한다.
갈퀴(73a)가 더욱 변위하면, 역회전용원판(71)은 제3도에 점선으로 나타낸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고, 회전원반(40)도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같이 역회전한다. 브리지현상이 일어난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원반(40)이 변위하기 때문에, 서로 물려있었던 코인이 떨어지고, 브리지현상이 무너져서 해소된다.
브리지현상은 우연적 요소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브리지현상 발생전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일은 없고, 회전원반(40)을 정회전방향으로 구동하여도, 일단 무너진 브리지현상을 재현하는 일은 없고, 다시 순조로이 동작시킬 수가 있다.
역회전기구(70) 조작손잡이(74a)를 놓으면, 인장스프링(77)의 가하는 힘으로 복귀하고, 상기한 바와같이, 갈퀴레버(73)의 갈퀴(73a)가 역회전용원판(71)의 로울렛(71a)으로부터 이간한 상태로 유지된다.
제11도 및 제12도는 제2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역회전용원판(71)을 따라서 받음플레이트(78)가 하우징(31)에 붙박이되고, 받음플레이트(78)에 형성되어 있는 피버트 지지된 핀(79)에 조작레버(80)가 피버트 붙임되고, 조작레버(80)의 유동끝단조작손잡이(81)로 하고, 조작레버(80)의 앞끝단에 역회전용원반(71)의 로울렛(71a)을 향하는 갈퀴부(82)를 형성하고 있다.
코인송출장치(10)가 순조로히 동작하고 있을 때, 조작레버(80)의 갈퀴부(82)는 역회전용원반(71)의 로울렛(71a)으로부터 이간하고 있는 브리지현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조작손잡이(81)를 조작레버(80)를 회동하면, 갈퀴부(82)가 역회전용원판(71)을 역회전시키고, 그것에 의하여 회전원반(40)을 역회전시키는 것이다.
제13도는, 제3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조작레버(80)의 갈퀴부(82)로 바꾸고, 역회전용원판(71)의 로울렛(71a)으로의 걸어맞춤면(82a)을 형성한 것이다. 걸어맞춤면(82a)은 조작레버(80)를 조작하였을 때, 역회전용원판(71)의 로울렛(71a)에 눌려접하여 회전시킨다.
제14도는, 제4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조작레버(80)의 앞끝단에 거기서 돌출하는 갈퀴(82b)를 형성한 것이다.
제15도는, 제5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걸어맞춤면(82a)에 마찰부재(83)를 장착한 것이다. 마찰부재(83)에 의한 경우는, 역회전용원판(71)의 바깥둘레에 로울렛(71a)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마찰에 의하여 걸어맞춤하여 역회전용원판(71)을 회전시킬 수가 있다.
제16도는, 제6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역회전용원판(71)의 로울렛(71a)에 눌려접합이 가능한 캠면(84)을 조작레버(8)의 앞끝단에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코인송출장치에 의하면, 코인은 적절히 흐름을 제어하면서 송출되며, 구조도 간단하고 막히기 어렵고, 대단히 기능적인 코인송출장치로 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회전원반상에서 브리지현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역회전기구에 의하여 회전원반을 쉽게 역회전시켜서 브리지현상을 해소할 수가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취급이 쉬울뿐만 아니라, 코인송출장치를 장착한 기기의 가동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Claims (5)

  1. 호퍼와, 그 밑에 설치한 송출장치본체로써 형성된 코인송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출장치본체(30)는, 수평 또는 약간경사져서 지지되어 있는 표면이 평탄한 회전원반(40)과, 이 회전원반(40)의 바깥둘레를 향하여 거의 접선방향으로 배치설치되고 코인(A)이 튀어나오지 않을정도로 밀폐되어 있는 토출로(60)와, 이 토출로(60)에 코인(A)을 정렬시켜서 유도하도록, 회전원반(40)의 원둘레를 따른 위치로부터 이 토출로(60)에 걸쳐서 배치설치된 선택판(50a), (50b),(50c)와를 구비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송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호퍼(20)의 배출구(27)는 회전원반(40)의 대략 중앙부를 향하여 개구하고 있고, 이 회전원반(40)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배출구(27)를 통하고 상기 호퍼(20)안으로 뻗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교반로드(45)를 상기 회전원반(40)에 기초부를 연결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송출장치.
  3.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송출장치본체(30)의 토출로(60)는, 상향의 홈현상단면을 하고 있고 양쪽벽의 정상면이 미끄럼동작면(63)을 이루는 레일부재(62)와, 이 레일부재(62)의 미끄럼동작면(63)을 위로부터 벨트콘베이어(65)와, 상기 레일부재(62)의 내부에 배치설치되어 있고 상기 벨트콘베이어(65)의 보내는 벨트(68)의 표면에 탄력있게 접히는 안내누름부(64a)를 가지는 판스프링부재(64)와를 구비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송출장치.
  4. 호퍼와, 그 밑에 설치되어 있는 송출장치본체로써 형성하는 코인송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퍼(20)는, 내부에서 굴곡한 유로와 그 말단의 배출구(27)를 가지고, 상기 송출장치본체(30)는, 수평 또는 약간 경사져서 지지되어 있는 표면이 평탄한 회전원반(40)과, 이 회전원반(40)의 바깥둘레를 향하여 대략 접선방향에 배치설치되고, 코인(A)이 튀어나오지 않을 정도로 밀폐되어 있는 토출로(60)와, 이 토출로(60)에 코인(A)을 정렬시켜서 유도하는 선택판(50a),(50b),(50c)을 가지고, 상기 호퍼(20)의 배출구(27)는 상기 회전원반(40)의 대략 중앙부를 향하여 개구하고 있고, 상기 회전원반(40)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배출구(27)를 통하여 상기 호퍼(20)안으로 뻗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교반로드(45)를 상기 회전원반(40)에 기초부를 연결하여서 형성하고, 상기 송출본체(30)의 토출로(60)는, 상향의 홈형상단면을 하고 있고 양쪽벽의 정상면이 미끄럼동작면(63)을 이루고 있는 레일부재(62)와, 이레일부재(62)의 미끄럼동작면(63)을 위로부터 향하는 벨트콘베이어(65)와, 상기 레일부재(62)의 내부에 배치설치되어 있고 상기 벨트콘베이어(65)의 보내는 벨트(68)의 표면에 탄력성있게 접촉하는 안내누름부(64a)를 가지는 판스프링부재(64)와를 구비하여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송출장치.
  5. 제1항 및 제4항에 있어서, 호퍼와, 그 밑에 설치되어 있는 송출장치본체로써 형성되는 코인송출장치에 있어서, 송출장치본체(30)는, 수평 또는 약간 경사져서 지지되어 있는 표면이 평탄한 회전원반(40)과 이 회전원반(40)의 바깥둘레를 향하고 거의 접선방향에 배치설치되고, 코인(A)이 튀어나오지 않을 정도로 밀폐되어 있는 토출로(60)를 가지고, 상기 회전원반(40)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역회전원판(71)을 형성하고, 이 역회전용원판(71)의 바깥둘레에 일시적으로 걸어맞춤하여 역회전시키는 역회전기구(7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송출장치.
KR1019880006923A 1987-06-16 1988-06-09 코인송출장치 KR9100088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325 1987-06-16
JP62149370A JPS63313290A (ja) 1987-06-16 1987-06-16 コイン送出装置
JP??149370 1987-06-16
JP62-92325 1987-06-16
JP62-149370 1987-06-16
JP????92324 1987-06-16
JP62-92324 1987-06-16
JP1987092324U JPS63200481U (ko) 1987-06-16 1987-06-16
JP9232587U JPS63200482U (ko) 1987-06-16 1987-06-16
JP62191190A JPS6435681A (en) 1987-07-30 1987-07-30 Coin feeder
JP62-191190 1987-07-30
JP??191190 1987-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001A KR890001001A (ko) 1989-03-17
KR910008828B1 true KR910008828B1 (ko) 1991-10-21

Family

ID=27307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6923A KR910008828B1 (ko) 1987-06-16 1988-06-09 코인송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88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663B1 (ko) * 2002-01-17 2009-05-14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디스크 전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663B1 (ko) * 2002-01-17 2009-05-14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디스크 전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001A (ko) 1989-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8302A (en) Device for accumulating and delivering paper sheets
US4733765A (en) Cash handling machine for handling mixtures of notes and coins introduced together
US5241353A (en) Paper-discharging tray
KR910003487B1 (ko) 자동판매기용 분배기구
JPH05338890A (ja) 紙片収納装置
AU737630B2 (en) Coin lifting mechanism
JPH0219512B2 (ko)
KR910008828B1 (ko) 코인송출장치
JPH03158991A (ja) ホッパー型メダル払出装置
EP0398187B1 (en) Sheet inverting apparatus
JPH0434196B2 (ko)
US4473219A (en) Gatherer with binding mechanism for papers discharged from a bin drum
US3785524A (en) Carousel aligning apparatus
JPH0573749A (ja) メダル投出機
JP3286093B2 (ja) 硬貨送出装置
EP1887531B1 (en) Disc guiding apparatus
JP3267697B2 (ja) 硬貨処理機
JPH06150102A (ja) コイン送出装置
JPH0246990B2 (ko)
GB2260636A (en) Coin-operated vending machine
JP2504840Y2 (ja) 硬貨処理機の硬貨搬送装置
JPH06333120A (ja) コイン払出し装置
JP3415259B2 (ja) 硬貨補給装置
JPH0411915B2 (ko)
EP0653666B1 (en) Slide proj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0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