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822Y1 - 출력 접점만을 위한 증설용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출력 접점만을 위한 증설용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822Y1
KR910008822Y1 KR2019890010937U KR890010937U KR910008822Y1 KR 910008822 Y1 KR910008822 Y1 KR 910008822Y1 KR 2019890010937 U KR2019890010937 U KR 2019890010937U KR 890010937 U KR890010937 U KR 890010937U KR 910008822 Y1 KR910008822 Y1 KR 9100088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drive circuit
address
unit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09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3123U (ko
Inventor
김상일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09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8822Y1/ko
Publication of KR9100031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1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8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8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4Input/outpu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1Plc I-O input output
    • G05B2219/1157I-O used either as input or as outpu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출력 접점만을 위한 증설용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제1도는 본 고안에 적용된 출력 드라이브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용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증설에 따른 사용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y1 : 릴레이 PC1 : 포토커플러
TLP1 : 포토다이액 WR : 제어신호
A0-A6 : 어드레스신호 D0-D7 : 데이타신호
A5, A5', A5" : 출력드라이브회로 A6 : 출력회로
A7 : 트라이액 구동부 A10-A17 : 출력드라이브 회로부
A18 : 양 방향성 게이트 소자 A19 : 출력 랫치회로
A20, A22 : 출력 어드레스 버퍼 A21, A21' : 가산기
A23 : 출력 단자대 A30 : 기본 유니트
A40-A60 : 증설 유니트
본 고안은 모우터, 솔레노이드 밸브등과 같은 출력측의 부하를 프로그램된 순서대로 구동되게 한 프로그래머 블 로직 컨트롤러(이하 기본 및 증설유니트라 칭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장 조건에 따른 자동화 시스템의 출력 부하가 확장될 경우 이 늘어난 출력신호만을 수용토록 하여 프로그램된 진행순으로 제어할수 있는 8점 출력 증설용 유니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를러는 시퀀스 제어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CPU모듈과, 제어프로그램을 작성하여 CPU모듈로 전달하는 프로그래머 및 외부dhk ·출력 신호를 교환하는 입, 출력 모듈로 크게 나누어 질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주로 입력을 읽dj여 프로그램을 수행한 다음 출력을 내보내는 일련의 작업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수행하는 종래의 유니트는 제어대상 시스템에 따라 통상 입력 접점수와 출력접점수를 서로 대응 또는 입력접점수 보다 출력접점수가 크거나 적게 설계 제작하여 자동화 시스템에 이용되어 왔다.
이것은 입, 출력 접점을 대응 또는 많거나 적게 셋트로 구비한 유니트가 만약, 제어하고자 하는 자동화 시스템의 출력측 부하(예컨데 알람, 휀, 모우터, 솔레노이드 밸브등을 말함)가 확장되었을 때 이미 사용된 기본유니트(입력 및 출력 접점수가 셋트로 갖추어진것)로서는 출력 접점수가 부족하여 이에 별도의 유니트를 증설하여 사용할 경우 통상 입, 출력 접점수가 셋트로 갖추어져 있는 것을 사용하게 되므로 인해 결국 입력 접점은 불필요하게 될뿐아니라, 실지로 증설에 필요한 것은 출력 접점인데 비해 불필요한 입력 접점이 포함된 것을 구매하므로서 사용자의 구입비용이 부담되는 결함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함을 해결하기 위해 하나의 출력측 부하를 구동되게 하는 출력 접점 드라이브 회로가 다수개 분할 형성시켜 이루어진 8점 출력 증설용 유니트에 어드레스 지정이 가능한 가산기를 포함 작용케 하므로서 입, 출력에 대한 어드레싱 가능영역까지 프리로케이션 방식으로도 최대 64개(출력 접점만을 가진 증설유니트) 더 연장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같이 제1a도, 제1b도, 제1c도는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구동제어하고자 하는 부하 사양에 따라 선택 적용되어지는 출력 드라이브 접점의 상세회도로서, 먼저 제1a도에 도시한 출력 드라이브 회로부(A10)는 출력랫치 회로(A19)로 부터 출력된 하나의 출력신호만이 입력 단자(IN1)측에 저항과 트랜지스터 및 다이오드로 이루어 진 출력 드라이브 회로(A5)를 연결한 다음, 이의 출력측으로 부터 출력되는 부하 구동신호가 릴레이(Ry1)를 통해 이 릴레이(Ry1)의 구동에 따른 접점에 의해 부하측 단자(OUT1)로 연결되게 하여 구성한다.
또한 제1b도는 상기의 출력 드라이브 회로(A5)와 동일한 출력 드라이브회로(A5')의 입력단자(IN1)에 출력 랫치 회로(A19)로 부터 출력된 하나의 출력신호만이 입력수용되어지며, 이의 출력단에는 포토커플러(PC1)가 연결되게 한 다음 출력측으로 부터 출력되는 부하구동신호에 의해 포토커플러(PC1)가 동작하여 이 신호가 부하측 단자(OUT1)로 전달되도록 출력회로(A6)를 연결 구성한다.
또한 제1c도는 상기의 구성수단과 동일한 출력 드라이브 회로(A5")의 입력단(IN1)에는 출력 랫치회로(A19)의 출력측이 연결되고, 이의 출력단에는 포토다이액(TLP1)을 연결한 다음 이 동작에 따른 구동신호가 트라이액 구동부(A7)의 트라이액 게이트로 인가되게 함으로서 트리거시켜 최종 부하측 단자(OUT1)로 전달되도록 연결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하나의 출력 드라이브 회로(A10)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수개로 분할 형성한 각각의 출력드라이브 회로(A10-A17)를 출력랫치회로(A19)의 출력측에 연결하며, 이들을 수용한 하나의 출력 접점만을 위한 증설용 유니트(A40)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본 유니트(A30) 및 다른 증설유니트(A50)의 어드레스, 제어신호(A0-A6), (WR)를 수용 및 제공하기 위한 어드레스 버퍼(A20), (A22) 사이에 이 증설유니트(A40) 다음으로 연결 형성되는 증설 유니트(A50), (A60)를 선택하기 위해 보수를 취해서 더하고 빼는 가산기(A21), (A21')를 어드레스 제어버스로 연결하고, 기본 유니트(A30)내의 미도시된 중앙제어 장치로 부터 출력된 입출력 라이트(WR) 논리 제어신호에 의해 기본 유니트(A30)의 양방향성 게이트 소자(A18)를 부하측으로 전환케 하여 입력처리된 데이타 신호(D0-D7)를 모우터, 릴레이, 전자밸브등과 같은 부하측을 연결하는 출력단자대(A23)가 연걸된 출력랫치 및 드라이브 회로(A19), (A10-A17)에 인가되도록 데이타 버스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가산기(A21), (A21')와 어드레스 버퍼(A22), (A22) 및 출력 드라이브 회로(A10-A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하나의 증설유니트(A40)를 가지고 본 고안의 증설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도면에 준한 실시예로 설명하면 먼저 미도시된 포트 사용함수 설정부로 부터 증설유니트에 따른 제어신호(WR)와 전원공급 라인 및 접지 라인을 자유롭게 선택케 한 다음 중앙제어장치로 부터 명령된 제어신호에 의해 가산기(A21), (A21')의 입력함수값을 결정케 하여 이에 증설된 각 유니트(A40), (A50), (A60)의 출력 어드레스 버퍼(A20), (A22)는 해당 유니트의 고유 어드레스 함수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면서 기본 유니트(A30)내의 중앙제어장치에서 순차 연결되는 각 증설유니트(A40), (A50), (A60)로 구분자 정보(어드레스신호,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각 증설유니트(A40), (A50), (A60) 마다 자기자신의 어드레 임을 확인하도록 한 디코더(미도시)가 설정되고, 이 디코더에 의해 자기자신의 어드레스로 인식되면 이와 관련 구성된 입,출력 포트와 송, 수신을 수행하게 되며, 자기 자신의 어드레스가 아니면 이의 입, 출력 포트수를 다음 증설유 니트(A40)의 가산기로 보내 중앙제어장치의 구분자 정보와 합산하는 어드레스 디코더 구현방식이 이루어지게 되므로서 중앙제어장치의 구분자 정보 어드레스가 자동적으로 각 증설유니트(A40), (A50), (A60)의 입, 출력 포트수만큼 할당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기본유니트(A30)의 중앙 제어장치가 주어진 프로그램을 수행하면서 입력된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해 일단 중앙제어 장치로 부터 제어신호(WR)와 어드레스신호(A0-A6)가 미도시된 디코더로 전달 되었을때 미도시된 사용 포트함수 설정부(도시됨)의 입력 함수값에 따라 출력 포트수가 결정되게 하면서 해당 유니트를 선택하게 되는데, 즉 중앙제어장치로 부터 출력되는 어드레스 신호(A0-A6)가 사용 포트 설정부 함수값에 의해 결정되어 그 결정된 어드레스 값이 000이고, 라이트 제어신호(WR)를 출력 어드레스 버퍼(기본 유니트내 구성)에 인가하게 되면 그 기본 유니트(A30)에 속한 출력 접점이 선택됨과 동시에 출력드라이브 회로(증설 유니트(A40), (A50), (A60)의 출력드라이브 회로와 동일함), (A10)가 동작하여 출력단자대(증설 유니트(A40), (A50), (A60)의 출력단자대와 동일함), (A23)에 연결한 부하를 구동하게 된다.
그러나 중앙제어 장치로 부터 출력된 어드레스 신호(A0-A6)가 사용 포트 설정부 함수 값에 의해 어드레스 값이 002 일때에는 기본 유니트(A30)내의 가산기 (증설 유니트(A40), (A50), (A60)의 가산기와 동일함), (A21)에서 1채널 2비트 가감한 다음 가감된 어드레스 갈이 증설유니트(A40)의 어드레스 버퍼(A20)를 통해 첫번째로 설정된 증설유니트(A40)에서 어드레스 값이 000되므로 이 값에 의해 중앙제어장치로 부터 입력 처리된 출력데이타가 데이타 버스상에 실려 출력 랫치 및 드라이브 회로(A19), (A10-A17)에 전달되므로서 최종 부하를 구동 시키게 된다.
물론 이때에도 기본유니트(A30)의 중앙제어장치로 부터 라이트 명령 제어신호(WR)가 증설유니트(A40)의 어드레스 버퍼(A20)로 인가되어 출력을 하기 위한 양방향성 게이트 소자(미도시)에 의해 읽어드리는 동작을 멈추게 한다.
한편, 기본유니트(A30)의 중앙제어장치로 부터 합산된 구분자 정보가 첫번째 설정된 증설유니트(A40)의 어드레스 값이 아닐때 미도시된 디코더에 의해 이 증설유니트(A40)의 어드레스 값을 가산기(A21), (A21')로 다시 합산시키는 방식으로 보수를 취해서 두번째 증설된 유니트(A50)로 보내게 되며, 이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자기 자신의 어드레스임을 확인하는 과정으로 반복하여 최종 증설된 유니트(A60) 이후에도 더 증설할 수 있으나 도면상 생략하였음)까지 순차로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각 증설 유니트(A40), (A50), (A60) 내부에서는 기본유니트(A30)의 중앙제어장치로 부터 출력된 어드레스 제어신호가 어드레스 제어버스상에 실려 각 유니트(A40), (A50), (A60)의 가산기(A21), (A21')에 의해 보수된 어드레스 값이 000으로 입력되면 그 어드레스 값에 따라 해당 유니트(기본 및 증설유니트 포함)가 선택되어 결국 기본유니트(A30)에 따른 증설유니트(A40), (A50), (A60)의 배치를 다르게 설치해도 구분자 정보 어드레스는 기본 유니트(A30)로 부터 순차적으로 선택되어진다.
예컨데,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의 시스템에 이미 사용된 유니트가 중앙제어장치로 부터 어드레스 처리를 A0-A6 까지 사용한다면. 이 유니트의 어드레싱 가능 영역은 전체 138바이트로서 64채널사용되고, 1채널은 16비트 단위로 움직이므로 만약 24점(입력 16점, 출력 8점)으로된 유니트를 기본유니트(A30)로 사용할 경우 입력 및 출력 모두가 각각 1채널씩 사용되어 8점 출력점만 갖는 증설유니트만 63개 더 증설할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출력만을 위한 하나의 출력 드라이브 회로가 8개로 기본 설정 구성된 8점 출력용 증설유니트률 제공하여 특별히 출력신호가 많이 필요한 시스템을 만들 경우 적절하게 이용할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종래의 입, 출력 접점이 일체로 갖추어진 제품보다 그 구입비용이 매우 절감될뿐아니라 그다지 필요하지 않은 입력 접점이 낭비되는 단점을 보완할수 있는 지대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시랜스 제어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CPU모듈과 제어프로그램을 작성하여 CPU모듈로 전달하는 프로그래머 및 외부와 입, 출력 신호를 교환하는 입, 출력 모듈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통상의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이하 기본 유니트라 칭함)에 있어서, 출력 드라이브 회로(A5)와 릴레이(Ry1)로 된 출력 드라이브 회로부(A10), 또는 상기의 출력 드라이브 회로(A5)와 동일한 출력 드라이브 회로(A5')와 포토커플러(PC1) 및 출력회로(A6)로 된 출력드라이브 회로부(A10) 또는 상기와 같은 출력 드라이브 회로(A5")와 트라이액(TLP1) 및 트라이액 구동부(A7)로 된 출력된 드라이브 회로부(A10)를 부하 사양에 따라 선택하도록 적용되는 것을 포함하며, 하나의 출력 드라이브 회로부(A10)가 상호 8개로 구성되어 중앙제어장치(미도시)로 부터 어드레스 제어신호를 받기 위한 어드레스 버퍼(A20)과 다음 증설유니트(A40)로 어드레스 값을 보내기 위한 다른 어드레스 버퍼(A22) 및 다른 증설유니트(A50), (A60)를 선택하기 위해 어드레스 보수를 취해서 더하고 빼는 가산기(A21), (A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출력 접점만을 위한 증설용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설유니트(A40)는 하나의 출력측 부하를 구동되게 하는 출력 접점 드라이브 회로(A10)가 다수개 분할 형성시켜 이루어진 8점 출력 증설용 유니트로서 기본 유니트(A30)의 중앙 제어 장치 (미도시)로 부터 출력된 구분자 정보 어드레스 지정값에 따라 어드레싱 가능한 영역에 이르기까지 프리 로케이션 방식으로 최대 63개 증설유니트(A50), (A60)를 연결하여 사용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출력 접점만을 위한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KR2019890010937U 1989-07-27 1989-07-27 출력 접점만을 위한 증설용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KR9100088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0937U KR910008822Y1 (ko) 1989-07-27 1989-07-27 출력 접점만을 위한 증설용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0937U KR910008822Y1 (ko) 1989-07-27 1989-07-27 출력 접점만을 위한 증설용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123U KR910003123U (ko) 1991-02-26
KR910008822Y1 true KR910008822Y1 (ko) 1991-11-08

Family

ID=19288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0937U KR910008822Y1 (ko) 1989-07-27 1989-07-27 출력 접점만을 위한 증설용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882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123U (ko) 1991-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1672A (en) Sequence control system employing a plurality of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US4415965A (en) Programmable sequence controller
US4843539A (en) Information transfer system for transferring binary information
CA1111951A (en) Programmable controller with limit detection
KR910008822Y1 (ko) 출력 접점만을 위한 증설용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EP0381600A2 (en) Robotic workcell control system with a binary accelerator providing enhanced binary calculations
US4206507A (en) Fiel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ies
JP2017068663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KR910008821Y1 (ko) 입력접점만을 가진 증설용 프로그램머블 로직 컨트롤러
US6964045B1 (en) Multiple program storage within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system
JP2573251B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送信指定方法
JP2982469B2 (ja) Faコントローラと制御対象とのデータ交換機構
KR0138441Y1 (ko) 피엘시 제어부의 입출력 유니트 제어시스템
KR910008823Y1 (ko)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plc)
JPH11134010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におけるプログラム実行方法
WO1997004371A1 (fr) Systeme de gestion d'un controleur numerique par un processeur d'informations equipe d'une fonction de traitement de logiciel
JPH06290187A (ja) 生産ラインの制御装置
KR100448489B1 (ko) 개인용컴퓨터와수치제어기에연결된중앙컴퓨터제어방법및제어장치
KR910008824Y1 (ko)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plc)
SU127541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вода-вывода информации
JPS5866112A (ja) コンピユ−タシステム
JPS6047664B2 (ja) 情報処理装置
JPS6336522B2 (ko)
JPS62103738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ラ
RU2231103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м оборудование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