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364Y1 - 발 운동용구 - Google Patents

발 운동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364Y1
KR910008364Y1 KR2019880008311U KR880008311U KR910008364Y1 KR 910008364 Y1 KR910008364 Y1 KR 910008364Y1 KR 2019880008311 U KR2019880008311 U KR 2019880008311U KR 880008311 U KR880008311 U KR 880008311U KR 910008364 Y1 KR910008364 Y1 KR 9100083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heel
bottom body
exercise equipment
acu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83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2582U (ko
Inventor
조병석
오사무 우스이
Original Assignee
조병석
오사무 우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석, 오사무 우스이 filed Critical 조병석
Priority to KR20198800083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8364Y1/ko
Publication of KR8900225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25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3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3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1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feet or to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63B21/4015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to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6/00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 A63B26/003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for improving balance or equilibriu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 운동용구
제1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제3도 내지 제7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닥체 1a : 표면
1b : 접지면 2 : 앞꿈치부
4 : 뒷꿈치부 5, 5' : 지압돌출부
9 : 홈 10 : 보조받침구
11 : 삽입공 12 : 핀
13 : 스페이서
본 고안은 샌들 형태로 된 발 운동용구에 관한 것이며, 특히 비복근 경련의 예방이나 발의 피로회복에 유용한 발 운동용구에 관한 것이다.
건강 증진을 꾀할 목적으로 고안된 샌들 형태의 운동용구로서는 일반적으로 발바닥이 닿는 표면에 지압돌기를 부착한 것, 이를 테면 건강 샌들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건강 샌들류는 모두 발바닥의 급소 등을 자극하여 맛사지 효과를 거두게 한 것으로서, 발의 쇠약함이나 운동 부족으로 인한 비복근 경련의 예방에는 효과를 볼 수 없고 발의 근육피로 회복효과도 적었다.
그래서, 본 고안은 비복근 경련이나 근육피로회복에 유용한 발, 다리 운동용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마치 샌들을 신듯이 발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앞꿈치가 뒷꿈치 보다도 높게, 다시 말해서 마치 뒷굽이 훨씬 높은 하이힐화를 신은 경우와는 정반대의 모습이 되도록 하여 비복근, 아킬레스건이 늘어나게끔 발, 다리 운동용구 본체의 바닥체 표면의 앞꿈치 높이를 뒷꿈치 보다도 높게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발 운동용구라고는 하지만 보행용을 주로 한 것이 아니라 오로지 정치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을 예상한 것이다.
또, 바닥체의 접지면에 오목한 홈을 두고, 이 홈을 앞꿈치쪽에 보조받침구를 끼워 궤수 있게 하므로서 보다 강한 힘으로 발의 뒷꿈치쪽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와 같은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가 있다.
이와함께 발 뒷꿈치쪽과 앞꿈치 사이에서의 지압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윗표면에 지압돌기를 가진 지압돌출부의 이동과 그 높낮이를 조정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이하,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토대로 작성한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실시예]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관한 발, 다리 운동용구를 나타낸 것이다.
이들 그림에 나타난 운동용구는 이를테면 아무렇게나 신는 슬리퍼 형태의 것으로서, 합성수지 성형등으로 이뤄지는 바닥체(1)의 앞꿈치부(2)에 바닥체(1)와 일체로 또는 벽개체로 된 발걸이(3)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바닥체(1)의 표면(1a)은 뒷꿈치부(4) 보다도 앞꿈치부(2)쪽이 높게 형성되어 있어서 제2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이 뒷꿈치부(4) 및 앞꿈치부(2)상에 발을 얹었을 때 앞꿈치가 거꾸로 둘려서 비복근, 아킬레스건이 충분히 늘어나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 말한다면, 뒷꿈치부(4)와 앞꿈치부(2)의 가까운 부위를 잇는 선(S)과 수평선이 이루는 각도(θ)를 대략 30°전후로 설정해 둔다는 것이다.
또, 밑바닥(1)의 표면(1a)에 있어서 땅에 닿지 않는 발바닥이 얹힐 부위에는 그 외표면에 다수의 선상돌기(5a)를 갖고 단면이 원호상을 이룬 지압돌출부(5)를 형성하여 이것으로 발뒷쪽으로의 미끄럼 방지를 도모하는 동시에 발바닥의 지압기능도 거둘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지압돌출부(5)의 앞쪽에서 앞꿈치부(2)에 이르기까지는 점차 위로 향해 경사진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5a)는 발바닥의 땅에 닿지 않는 부위를 지압하는데 유효하며, 선상으로 된 것 대신에 점 모양으로 형성해도 좋다.
더우기, 바닥체(1)의 표면(1a)에 있어서의 뒷꿈치부(4) 뒷쪽에 뒷꿈치받이(6)를 덧붙여 발이 바닥체(1)이 표면(1a)으로 부터 뒷쪽으로 미끄러져 떨어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발의 미끄럼 방지 효과는 첫째로 상기 지압돌출부(5)에서 그리고 두번째로 이 뒷꿈치받이(6)에서 기대할 수 있다.
바닥체(1)의 이면 즉, 접지면(1b)은 착지한 상태에서 그 표면(1a)이 상기 경사각(θ)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게끔 평탄하게 형성하지만, 앞부분에는 상향 경사지게 잘라낸 형상의 넘이부(7)가 형성되어 있다.
사용할때는 바닥체(1)의 접지면(1b)을 착지시킨 상태에서 상기의 넘이부(7)로 착지를 옮기는 상태로 교대로 되풀이하는 시이소오 동작을 반복하므로서 아킬레스건을 신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넘이부(7)의 존재 때문에 다소의 보행동작을 행하기도 쉬워진다.
[제2실시예]
제3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여기서는 발걸이(3)와 지압돌출부(5)의 형상을 변경하고 또한 뒷꿈치받이(6)에 띠(8)를 덧붙인 점이 상기 제1실시예와 다른 것으로 되어 있다.
띠(8)가 더 있으므로 신은 상태에서의 안정감이 더한 잇점이 있다.
[제3실시예]
제3실시예는 제4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접지면(1b)이 모두 단일 호상면을 이루고 있는 점에 차이가 있다. 사용방법이나 효과는 상기와 같고, 다만 접지면(1b)에 평탄부가 배제된 만큼 착지 상태가 항상유동적이라는 점이 색다르고, 이러한 유동성 때문에 본 고안의 운동용구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언제나 발, 다리 운동이 행해질 수 있다.
[제4실시예]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발, 다리 운동용구의 또 다른 실시예(제4실시예)를 잘 보여주고 있다. 이 그림에 나타난 것을 보면, 호상 접지면(1b)상에 그 윤곽을 따라 오목한 홈(9)을 부여하고 이 홈(9)의 앞쪽에 뗏다 붙였다 하는 형식의 보조 받침구(10)를 끼워넣은 것이다. 이 보조받침구(10)를 떼어 낸 상태에서는 제3실시예와 같이 뒷꿈치부(4)와 앞꿈치부(2)를 교대로 시이소오 동작시켜 비복근, 아킬레스건을 시킬 수 있고, 또 보조 받침구(10)를 장착한 상태에서는 뒷꿈치부(4)를 강하게 딛고서 앞꿈치부(2)를 반대로 들어 올릴수 있고 이에 따라 비복근, 아킬레스건을 늘리는 본래의 기능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가 있는 것이다.
[제5실시예]
다른 또 하나의 실시예는 제6도 내지 제7도에 잘 나타나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지압돌출부(5')가 분리형으로 독립되어 있고, 이와함께 바닥체(1)의 표면(1a)상에는 앞꿈치부(2)에서 뒷꿈치부(4)쪽으로 평행하도록 열을 지어서 다수의 삽입공(11)이 뚫려 있고 상기 분리형 지압돌출부(5')의 밑면에는 이 삽입공(11)에 끼워 고정한 핀(12)이 적어도 2대 이상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분리형으로 된 지압돌출부(5')를 가짐으로써 발의 크기에 따라 그 부착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비복근 강화나 아킬레스건의 신축력을 가일층 증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지압돌출부(5')의 높낮이는 스페이서(13)를 이용하여 조정 가능하다. 이 스페이서(13)는 분리형 지압돌출부(5')의 핀(12)에 끼울 구멍(14)을 갖고 있으며, 이 스페이서(13)를 덧붙이려면 지압돌출부(5')의 핀(12)에 끼운 다음에 상기 지압돌출부(5')를 바닥체(1)에 형성된 삽입공(11)에 선택적으로 끼워 조립하면 되는 것으로서, 운동초기 단계에서는 스페이서(13)를 빼고 지압돌출부(5')만으로 서서히 발, 다리 운동을 하고, 그후 스페이서를 덧끼워 지압돌출부(5')를 높이면 일층 운동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발, 다리 운동용구에 따르면, 가정이나 사무실 등 이동거리에 제한을 받는 협소한 실내에서 간단한 발, 다리 운동으로 비복근 강화, 아킬레스건의 신축력 증대 효과를 가져오는 것은 물론 나아가, 대퇴부의 근육 단련, 탁상 업무시의 바른 자세를 취하여 피로감을 덜어주는 등의 효과, 선자세에서의 평형감감 배양, 혈행촉진 등의 사용효과가 있다.

Claims (3)

  1. 바닥체(1)의 표면(1a)의 앞꿈치부(2)가 뒷꿈치부(4) 보다도 높게 형성되고, 접지면(1b)에 시이소오 동작이 가능하게 비평탄면을 이뤄지며, 또한 상기 표면(1a)에 지압돌출부(5)를 가진 샌들형 발 운동용구.
  2. 제1항에 있어서, 바닥체(1)의 표면(1a)이 다수의 삽입공(11)을 가진 발 운동용구.
  3. 제1항에 있어서, 지압돌출부(5)가 결합용 핀(12)을 가진 분리형(5')이고 또한 이것이 착탈형 스페이서(13)를 가진 발 운동용구.
KR2019880008311U 1988-05-31 1988-05-31 발 운동용구 KR9100083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8311U KR910008364Y1 (ko) 1988-05-31 1988-05-31 발 운동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8311U KR910008364Y1 (ko) 1988-05-31 1988-05-31 발 운동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2582U KR890022582U (ko) 1989-12-01
KR910008364Y1 true KR910008364Y1 (ko) 1991-10-18

Family

ID=19275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8311U KR910008364Y1 (ko) 1988-05-31 1988-05-31 발 운동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836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562B1 (ko) * 2002-06-26 2004-11-06 히트텍(주) 전자 부품 소자 냉각용 방열핀
KR102079943B1 (ko) 2019-06-28 2020-02-21 디씨에스이엔지 주식회사 멀티콜릿을 구비한 전극봉 그라인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562B1 (ko) * 2002-06-26 2004-11-06 히트텍(주) 전자 부품 소자 냉각용 방열핀
KR102079943B1 (ko) 2019-06-28 2020-02-21 디씨에스이엔지 주식회사 멀티콜릿을 구비한 전극봉 그라인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2582U (ko) 198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76603B2 (en) Footwear for a dynamic, rolling walking-action
US6551225B1 (en) Flexible hemispherical exercise
KR100603062B1 (ko) 저면이 호형으로 형성된 신발창
JPH07298903A (ja) 靴の底
US5076263A (en) Toe stretcher
JP2017528284A (ja) マットが付着されたステッパー用足踏板
KR910008364Y1 (ko) 발 운동용구
US20040192520A1 (en) Apparatus for use in exercising
CN114652048B (zh) 一种模拟裸足状态的仿生鞋底
KR101646682B1 (ko) 발의 건강 장구
JP7257664B2 (ja) 一本歯下駄
KR100639503B1 (ko) 원형신발바닥에 에어백이 내장된 건강 흔들 신발
JP6721995B2 (ja) 筋力をトレーニングする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履物
JP2005169053A (ja) 履物
KR200269523Y1 (ko) 지압용 발판
JPH02114904A (ja)
KR200180520Y1 (ko) 다수의 완충용 소형공기주머니가 형성된 신발깔창
KR200223931Y1 (ko) 지압운동용 슬리퍼
JP3121825U (ja) 健康履物
KR20180002679U (ko) 하체근력 강화 및 다목적 운동 슈즈
KR20170075110A (ko) 스마트 바이오 슈즈
JP3143537U (ja) 健康器具
JP3083858U (ja) 健康バランス履物
KR20240054121A (ko) 신발 깔창
KR20230129115A (ko) 지압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8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