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235Y1 - 휴대용 계측기의 측정회로와 저장회로의 전원분리회로 - Google Patents

휴대용 계측기의 측정회로와 저장회로의 전원분리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235Y1
KR910008235Y1 KR2019870023267U KR870023267U KR910008235Y1 KR 910008235 Y1 KR910008235 Y1 KR 910008235Y1 KR 2019870023267 U KR2019870023267 U KR 2019870023267U KR 870023267 U KR870023267 U KR 870023267U KR 910008235 Y1 KR910008235 Y1 KR 9100082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measurement
storage
power suppl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32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914U (ko
Inventor
김태용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정명식
재단법인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박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정명식, 재단법인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박태준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232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8235Y1/ko
Publication of KR8900149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9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2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2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휴대용 계측기의 측정회로와 저장회로의 전원분리회로
제1도는 종래의 휴대용 계측기의 전원 공급방식의 계통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전원공급방식의 계통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저장회로에서 사용되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의 내부구조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주요부에 대한 실시예도.
제5도는 본 고안에서 저장모드에서 측정모드로의 전환 타이밍 챠트.
제6도는 본 고안에서 측정모드에서 저장모드로의 전환 타이밍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측정회로 2 : 저장회로
3 : 선택제어회로 4 : 전원회로
5 : 스위치부
본 고안은 건전지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계측기나 데이터 측정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SRAM에 저장할 때, 건전지에 의해 공급되는 전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저장 모드에서는 데이타 저장용 SRAM에만 제한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측정시에는 저장회로 및 측정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일 전원시스템 설계의 전원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1도와 같이 측정회로(1), 저장회로(2)에 각각의 건전지 및 각각의 전압조정회로 (5, 6)가 있어서 측정 회로(1)는 측정시에만 전원을 공급하게 되어 있고 저장회로(2)에는 항상 전원이 공급되게 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종래의 것에 있어서는 이들이 별개의 전원 시스템으로 운용되므로서 이로인한 회로의 복잡성을 야기시키고 그 사용에 있어서도 불편한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이는 휴대용 계측기에서 단일 전원을 사용하여 측정시에는 측정회로 및 저장회로 모두에 전원이 공급되게 하고 저장시에는 저장회로에만 전원이 공급되게 하여, 측정회로와 저장회로의 전원을 별도로 사용할 때 필요한 전압공급 회로 및 건전지를 하나로 동일하여 그 회로의 복잡성을 없애려는 목적이 있다.
이하에서 이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즉, 제2도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측정회로(1), 저장회로(2) 및 밧데리의 전원 회로(4)와의 사이에 선택제어회로(3) 및 스위치부(5)가 연결된 구성으로 된다.
상기 스위치부(5)는 밧데리에 연결된 상기 단일 전원히로(4)의 출력전원을 상기 측정회로(1)와 저장회로(2)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또, 상기 선택제어회로(3)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오어게이트(OR)와 이오어게이트 일측입력의 저항(R1, R2) 및 콘덴서(C)에 의한 입력회로(31)로 되고, 상기 오어게이트(OR) 타측은 상기 측정회로(1)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측정회로(1)의 타측에는 스위치부(5) a 접점이 연결된다.
또, 상기 스위치부(5)의 C접점은 상기 입력회로(31)와 연결되고 a 접점 상기 측정회로(2)에 연결되며 b접점이 중앙에 있어 밧데리의 전원회로(4)의 출력이 연결된다.
또, 상기 오어케이트(OR) 출력은 저장회로(2)내의 SRAM 인에이블단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저장회로(2)에 사용되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의 내부구조가 제3도와 같이 주어지고 여기서의 입, 출력 버퍼에 들어가는 입력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SRAM과 외부장치와의 연결이 결정된다.
그러므로 제4도와 같은 본 고안의 회로에서는 스위치부(5)의 스위치를 c 쪽으로 옮기면 저장모드가 된다.
상기 저장모드에서는 저장회로(2)에만 전원이 공급된다.
이때 선택제어부(3) 오어게이트(OR) K 전압은 입력회로(31)로 +5볼트가 입력되고 이것이 오게이트(OR)를 통해 저장회로(2)측의에 +5볼트로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저장회로(2)내의 SRAM은 상기 측정회로(1)와 데이타를 주고 받지 못하게 된다.
또, 스위치부(5)의 스위치를 a쪽으로 옮기면 b의 전원회로(4) 전압은 0볼트가 되며 인에이블신호는 측정회로(1)측의 칩선택단(11) 신호에 따라 변하게 되어 저장회로(2) 내의 SRAM과 측정회로(1)간의 데이타 입, 출력이 가능해진다. 이때는 상기 측정회로(1)와 상기 저장회로(2) 양측에 모두 전원이 공급된다.
한편, 밧데리는 전원회로(4)에 연결되어 +5볼트 전압으로 바뀌며 이렇게 바뀐 전압이 측정회로(1)의 전원 단자(12) 및 저장회로(2)에 공급되는 것이다.
제5도에는 저장모드에서 측정모드로 전환될 때 각점에서의 전압 변환에 대한 타이밍을 나타내었으며 제6도에는 측정모드에서 저장모드로 전환될때의 타이밍을 나타내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건전지에 의해 동작되는 계측기에 있어서 별도의 건전지 없이 SRAM 에만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하고 측정회로측에 필요하던 전압조정회로도 필요하지 않게 한다.
따라서 계측기를 더 작고, 간단하게 설계할 수 있는 효과를 주게되는 유익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측정회로(1)와 저장회로(2)에 밧데리에서의 전원회로(4)가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원회로(4)의 단일 공급전원을 상기 측정회로(1)와 저장회로(2)에 선택적으로 공급해주는 스위치부(5)와, 상기 저장회로(2)내의 SRAM 인에이블 단자(CE)를 제어하여 측정시에와 저장시에 SRAM의 데이타 입출력을 제어하는 선택제어회로(3)와로 구성하여 저장시에는 저장회로에만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계측기의 측정회로와 저장회로의 전원분리회로.
KR2019870023267U 1987-12-28 1987-12-28 휴대용 계측기의 측정회로와 저장회로의 전원분리회로 KR9100082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3267U KR910008235Y1 (ko) 1987-12-28 1987-12-28 휴대용 계측기의 측정회로와 저장회로의 전원분리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3267U KR910008235Y1 (ko) 1987-12-28 1987-12-28 휴대용 계측기의 측정회로와 저장회로의 전원분리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914U KR890014914U (ko) 1989-08-11
KR910008235Y1 true KR910008235Y1 (ko) 1991-10-12

Family

ID=19270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3267U KR910008235Y1 (ko) 1987-12-28 1987-12-28 휴대용 계측기의 측정회로와 저장회로의 전원분리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823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914U (ko) 1989-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76506A1 (en) Power supply system having standby power
KR940015956A (ko) 액정 장치 구동 회로
US5712586A (en) Semiconductor integrated system comprising an output voltage level-selecting circuit
KR890005754A (ko) 샘플화된 아날로그 전류 축전용 회로장치
US4115706A (en) Integrated circuit having one-input terminal with selectively varying input levels
JPH03101163A (ja) スタティックram
US5632040A (en) Microcomputer having reduced power consumption through impedance control and frequency reduction
US4271404A (en) Power supply controller in a keyboard-equipped apparatus such as an electronic calculator
KR20060019765A (ko) 스마트 배터리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유형 판별 방법
KR910008235Y1 (ko) 휴대용 계측기의 측정회로와 저장회로의 전원분리회로
US4382251A (en) Envelope control device for piezoelectric buzzer
JP3215150B2 (ja) 電源スイッチ回路
US5614854A (en) Sample/hold circuit having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nd a nonvolatile memory for storing hold voltage data in digital form
KR920003770A (ko) 전원제어회로와 이것을 사용한 전자기기
KR100261434B1 (ko) 자동차 전자제어시스템의 전원 공급장치
KR0131575B1 (ko) 어드레스 발생회로
SU108319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подключением электропитани
KR890005741A (ko) 메모리 회로와 아날로그 회로를 갖는 반도체장치
JPH06204406A (ja) 半導体集積回路
JPH0378708B2 (ko)
JPH05249919A (ja) 集積回路
JPS63124731A (ja) 電子機器における2次電池の充電装置
SU773599A1 (ru) Источник посто нного напр жени
JPH079468Y2 (ja) 信号入力装置
JP2728792B2 (ja) 半導体集積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9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