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829Y1 - 복합필기구 - Google Patents

복합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829Y1
KR910007829Y1 KR2019890000558U KR890000558U KR910007829Y1 KR 910007829 Y1 KR910007829 Y1 KR 910007829Y1 KR 2019890000558 U KR2019890000558 U KR 2019890000558U KR 890000558 U KR890000558 U KR 890000558U KR 910007829 Y1 KR910007829 Y1 KR 9100078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members
partition member
holes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05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4409U (ko
Inventor
히데헤이 가게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가게야마 도시히코
주식회사 수한양행
윤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가게야마 도시히코, 주식회사 수한양행, 윤휘정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to KR20198900005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7829Y1/ko
Publication of KR9000144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44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8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8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1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 B43K24/16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operated by push-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1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 B43K24/1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operating by means sliding in longitudinally-slotted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43K25/02Clips
    • B43K25/028Clips combined with means for propelling, projecting or retracting the writ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7/00Multiple-point writing implements, e.g. multicolour; 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 B43K27/006Pen or pencil barrel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합필기구
제1도는 본 고안 복합필기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제2도 a,b는 각각 한쪽 필기부재가 끌려들여진 상태 및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3도 a,b는 각각 다른 쪽 필기부재가 끌어들여진 상태 및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Ⅳ-Ⅳ선 측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후부저면도.
제6도 a, b는 각각 본 제1실시예의 정면도 및 측면도.
제7도 a, b는 각각 본 고안에서의 샤아프펜슬용 녹크부 전체의 평면도 및 종단면도.
제8도 a, b는 각각 본 고안에서의 볼펜용 녹크부 전체의 평면도 및 종단면도.
제9도 a, b는 각각 본 고안에서의 간막이부재의 정면도 및 종단면도.
제10도 a, b는 각각 제9도 b의 좌측면도 및 우측단면도.
제11도 a, b, c는 각각 제9도 b의 X Ia-X Ia 선, X Ib-X Ib 선 및 X Ic-X Ic 선 단면도.
제12도 a, b는 각각 제2실시예에서의 클립주변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필기구본체 2, 3 : 필기부재
4, 5 : 녹크부 6, 7 : 연결원통부
8, 9 : 스프링 10, 11 : 걸림편
12, 13 : 돌기 14 , 15 : 앞끝부위
16, 17 : 제1관통구멍 18, 19 : 제2관통구멍
20, 32 : 돌출부 21, 31 : 슬릿
22 : 클립 23 : 간막이부재
24 : 앞끝받침부 25 : 걸림구멍
26 : 걸림편 27 : 녹크캡
28 : 척조임스프링 29 : 필심저장탱크
33, 34 : 절결편 35 : 관통구멍
본 고안은 샤프펜슬과 볼펜, 필심직경을 달리하거나 색깔을 달리하는 샤아프펜슬끼리 또는 볼펜끼리 조합시켜 사용할수 있도록 된 복합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합필기구 본체를 납작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된 복합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복합필기구는 예컨대 녹크부를 녹크조작함으로써 잉크색을 달리하는 2개의 볼펜용 필기부재가 회전캠기구의 작동으로 녹크조작할 때마다 필기구몸체 앞끝으로 부터 교대로 출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종래의 복합필기구는 녹크조작할 때마다 필기부재가 필기구몸체에 앞끝으로부터 교대로 출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샤아프펜슬과 볼펜을 조합시켜 놓게 되면 샤아프펜슬은 필심의 조출이 이루어지지 않고, 앞끝부위가 수납되어 버려 필기에 제공될 수 없게 되고, 또 필기구몸체에 설치된 캠본체와 회전캠 및 카바등으로 이루어진 회전캠기구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해져서 원하는 필기부재를 즉시 선택할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납작하게 만드는 것도 쉽지 않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 복합필기구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필기구몸체(1) 내에 복수의 필기부재(2, 3)가 끼워넣어지면서 이들 각 필기부재(2, 3)의 뒷끝부위가 녹크부(4, 5)를 갖는 연결원통부(6, 7)에 끼워지고, 필기구몸체(1)내에는 상기 각 필기부재(2, 3)를 칸막이해주는 간막이부재(23)가 설치되면서 이 간막이부재(23)의 앞끝받침부(24)와 상기 각 연결원통부(6, 7)사이에 각 필기부재(2, 3)를 뒷쪽으로 밀어부치는 스프링(8, 9)이 장착됨과 더불어, 상기 각 원통부(6, 7)에 형성된 걸림편(10, 11)의 돌기(12, 13)가 각 필기부재(2, 3)의 앞끝부위(14, 15)가 돌출되거나 끌어들여졌을 때 각각 끼어들어가 걸려지는 제1관통구멍(16, 17) 및 제2관통구멍(18, 19)이 형성되며, 또 상기 제1관통구멍(16, 17) 또는 각 제2관통구멍(18, 19)에 걸려 돌기(12, 13)를 누르면 당 걸림을 해제시키는 돌출부(20, 32)가 칸막이부재(23)의 뒷끝부위에 연장형성된 클립(22)의 내면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각 필기부재(2, 3)가 끼워지는 연결원통부(6, 7) 측방부분 및 간막이부재(23)의 앞끝받침부(24) 측방부분중 적어도 상기 간막이부재(23)의 앞끝받침부(24)측방부분에 슬릿(31)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 복합필기구에 의하면, 복수의 필기부재(2, 3)가 간막이부재(23)의 앞끝받침부(24) 측방부분에 형성된 슬릿(31)으로부터 앞끝받침부(24)의 구멍으로 삽입될 수가 있게 된다. 이 경우 각 필기부재(2, 3)가 간막이부재(23)의 앞끝받침부(24) 측방부분에 형성된 슬릿(31)으로부터 각 구멍으로 삽입된 다음 각 원통부(6, 7)에 끼워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간막이부재(23)의 앞끝받침부(24) 측방부분 뿐만 아니라 각 원통부(6, 7)의 측방에도 슬릿(21)을 형성시켜놓게 되면, 각 필기부재(2, 3)가 간막이부재(23)의 앞끝받침부(24) 측방부분의 슬릿(31)과 각 원통부(6, 7) 측방의 슬릿(21)으로 부터 각 구멍으로 끼워지게 되어 각 필기부재(2, 3)의 조립이 한층 더 간단해지게 된다.
또 상기 각 필기부재(2, 3)는 간막이부재(23)의 앞끝받침부(24) 측방부분에 슬릿(31)이 형성되어 있어 측방으로 쉽게 변위되어 휘어질 수 있기 때문에, 필기부재(2, 3)의 앞끝부위(14, 15)가 필기구 몸체(1)의 앞끝으로 부터 보다 원활히 출몰시켜질 수가 있게 된다.
한편, 필기부재(2, 3)가 고장나거나 잉크가 떨어져 필기부재(2, 3)를 필기구몸체(1)로 부터 뽑아내야 할 경우, 클립(22)를 누르면 제1관통구멍(16, 17) 또는 제2관통구멍(18, 19)에 걸려져 있던 돌기(12, 13)가 클립(22)내면에 형성된 돌출부(20 또는 32)에 의해 눌려 걸림편(10, 11)이 휘어지게 되어 상기 제1관통구멍(16, 17) 또는 제2관통구멍(18, 19)과의 걸림이 해제상태로 되고, 이 상태에서 원통부(6, 7) 또는 간막이부재(23)와 함께 필기부재(2, 3)를 뒷쪽으로 뽑아낼 수가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은 복합필기구의 제1실시예을 횡단면도로 도시한 것이고, 제2도 a, b는 각각 한쪽 필기부재가 끌어들여진 상태 및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3도 a,b는 각각 다른쪽 필기부재가 끌어들여진 상태 및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Ⅳ-Ⅳ선 측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부분저면도, 제6도 a,b는 각각 본 제1실시예의 정면도 및 측면도인바, 도면중 참조부호 1은 납작한 형상을 한 필기구몸체이고, 2, 3은 필기구몸체(1)내에 끼워넣어진 2개의 필기부재로서, 본 제실시예에서는 한쪽 필기부재(2)가 샤아프펜슬로 되고, 다른쪽 필기부재(3)는 볼펜으로 된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들 필기부재(2, 3)를 필심굵기가 다른 샤아프펜슬끼리나 잉크색이 다른 볼펜끼리 조합시켜 놓아도 좋고, 또 이들 필기부재(2, 3)의 갯수도 2개로 한정되지 않고 그 이상으로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각 필기부재(2, 3)의 뒷부위에는 녹크부(4, 5;제7도 및 제8도 참조)의 연결원통부(6, 7)가 끼워지는 한편, 녹크부(4)가 필기구몸체(1)로 부터 돌출되는 부분에는 녹크캡(27)이 끼워지게 된다. 여기서, 이 녹크캡(27)은 샤아프펜슬용이지만, 이를 볼펜용 녹크부(5)에 끼워지는 녹크캡(27)과 색상으로 구별해놓게 되면 샤아프펜슬용과 볼펜용 필기부재(2, 3)를 선택해서 사용하는데 보다 편리해지게 된다.
한편 볼페인 경우에는 부품의 갯수를 줄이기 위해 볼펜의 녹크부(5)와 녹크캡(27)을 일체로 형성시켜도 좋고, 또 제7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녹크부(5)에 관통구멍을 형성시켜 샤아프펜슬과의 호환성을 도모하도록 하여도 좋다.
여기서 샤아프펜슬용 녹크캡(27)은 필기부재(2)의 필심저장탱크(29)내의 필심이 뒷쪽으로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녹크캡(27)을 벗겨 내기만 하면 쉽게 필심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하기도 한다.
또 필기구몸체(1) 내에는 각 필기부재(2, 3)를 칸막이하는 간막이부재(23;제1도와 제9도 내지 제11도 참조)가 설치되면서, 이 칸막이부재(23)의 앞쪽 및 뒷쪽부위에 각각 앞끝받침부(24)와 클립(22)이 연결설치되는 한편, 이들 칸막이부재(23)의 앞끝받침부(24)와 각 녹크부재 (4, 5)의 연결원통부 (6, 7) 사이에는 각 필기부재(2, 3)를 뒷쪽으로 밀어부쳐주는 스프링(8,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필기구몸체(1)의 뒷부위에는 각 연결원통부(6, 7)를 잘라세워지도록 형성시킨 걸림편(10, 11)의 돌기(12, 13; 제7도와 제8도 참조)가 각 필기부재(2, 3)의 앞끝부위(14, 15)가 돌출되거나 들여보내질 때 각각 끼워져 걸려지도록 하는 제1관통구멍(16, 17) 및 제2관통구멍(18, 19)이 형성되고, 상기 간막이부재(23)의 클립(22) 앞 끝내면 및 중앙내면에는 이들 각 제1관통구멍(16, 17) 또는 각 제2관통구멍(18, 19)에 걸려진 돌기(12, 13)를 눌러 걸림을 해제시키는 돌출부(20, 3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각 필기부재(2, 3)가 끼워지는 연결원통부(6, 7)의 측방부분 및 간막이부재(23)의 앞끝받침부(24) 측방부분에는 각각 슬릿(21, 31)이 제7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형성되어 있는바, 여기서 상기 연결원통부(6, 7)의 측방부분에는 슬릿(21)을 형성시키지 않아도 좋지만, 각 필기부재(2, 3)가 측방으로 부터 삽입해서 조립하기가 쉬어지기 때문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필기구몸체(1)에는 걸림구멍(25)이 형성되면서 이 걸림구멍(25)에 걸려지는 걸림편(26, 제4도, 제5도와 제9도)이 간막이부재(23)에 형성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간막이부재(23)에 측방으로 관통되는 관통구멍(35)이 형성되면서, 이 관통구멍(35)이 형성된 걸림구멍(25)과 마주보는 간막이부재(23) 부분에는 걸림편(26)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관통구멍(35)이 형성되고 걸림구멍(25)과 마주보는 간막이부재(23) 부분에 걸림편(26)이 형성되게 되면, 걸림구멍(25)과 걸림편(26)의 걸림과 해제가 원할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이 걸림편(26)은 걸림구멍(25)에 걸려져 간막이부재(23)가 뒷쪽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이 걸림편(26)과 걸림구멍(25)을 형성시켜놓지 않아도, 앞끝받침부(24)를 갖춘 간막이부재(23)의 양측에 그 뒷쪽방향에 녹크부(4, 5)를 갖고 중앙부위에 돌기(12, 13)를 갖는 걸림편(10, 11)이 구비되고, 앞쪽에는 각 필기부재(2, 3)가 끼워걸려지는 연결원통부(6, 7)가 설치되며, 당해 간막이부재(23)의 앞끝받침부(24)와 당해 각 연결원통부(6, 7) 사이에 각 필기부재(2, 3)를 뒷쪽으로 밀어 부치는 스프링(8, 9)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간막이부재(23) 또는 클립(22)에 뒷쪽으로부터 힘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스프링(8, 9)에 의한 탄발력이 작용해서 필기구몸체(1)로 부터 간막이부재(23)와 클립(23)이 빠져나간다거나 스프링(8, 9)탄발력에 대항하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탄발력에 부가시켜 리브등으로 장착시켜 놓는 것도 좋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히 설명한다.
필기자가 에컨대 샤아프펜슬용 필기부재(2)를 사용하고자 샤아프펜슬용 필기부재(2)의 녹크부(4)를 스프링(8)에 대항해서 녹크하게 되면, 필기부재(2)가 앞쪽으로 이동해서 그 앞끝부위(14)가 필기구몸체(1)의 앞끝으로부터 돌출하게 되는 바, 이때 돌기(12)가 제2관통구멍(18)에서 이탈해서 제1관통구멍(16)에 걸어 맞춰지게 되어 앞끝부위(14)가 돌출시켜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2도 b 참조).
이와 같이 샤아프펜슬용 필기부재(2)의 앞끝부위(14)를 필기구몸체(1)의 앞끝으로부터 돌출시켜 놓은 상태에서 공지의 샤아프펜슬과 마찬가지로 녹크부(4)를 녹크조작하게 되면, 필기부재(2)의 척조임스프링(28)에 대항하거나 그 탄발력에 의해 필심저장탱크(29)와 그 앞쪽부위에 장착되어 척링속에 끼워진 척이 전, 후진 해서 척을 개폐시켜 필심을 앞끝부위(14)로 부터 조금씩 조출시킬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샤아프펜슬용 필기부재(2)의 앞끝부위(14)를 끌어들이기 위해 클립(22)의 앞끝부위를 누르면, 돌출부(20)가 제1관통구멍(16)에 걸려진 돌기(12)를 누르게 됨으로써 제1관통구멍(16)으로 부터 돌기(12)가 이탈하게 되고, 그 결과 필기부재(2)가 스프링(8)의 탄발력에 의해 뒷쪽으로 이동해서 앞끝부위(14)가 필기구몸체(1)내로 끌어들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돌기(12)은 제2관통구멍(18)에 걸려맞춰져 이 제2관통구멍(18)의 뒷끝에 걸려지게 되고(제2도a 참조), 그에 따라서 필기부재(2)가 필기구몸체(1) 뒷쪽으로 빠져나갈 염려가 없게 된다.
또한 다른쪽 필기부재인 볼펜용 필기부재(3)를 선택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앞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당해 필기부재(3)의 앞끝부위(15)를 필기구몸체(1) 앞끝으로부터 돌출시켜 필기할수가 있고, 또 클립(22)의 앞끝부위를 누르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필기부재(3)의 앞끝부위(15)가 끌어들여질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 필기부재(2, 3)가 끼워지는 간막이부재(23)의 앞끝받침부(24) 측방부분에만 슬릿(31)를 형성시켜 놓은 경우에는, 각 필기부재(2, 3)를 당해 슬릿(31)으로 부터 각 구멍에 끼워넣고나서 각 연결원통부(6, 7)에다 끼워넣어주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간막이부재(23)의 앞끝받침부(24) 측방부분 뿐만 아니라 각 연결원통부(6, 7)의 측방부분에도 슬릿(21)을 형성시켜 놓은 경우에는, 각 필기부재(2, 3)를 간막이부재(23)의 앞끝받침부(24) 측방의 슬릿(31) 및 각 연결원통부(6, 7) 측방의 슬릿(21)으로 부터 각 구멍으로 끼워넣을 수가 있게되어, 각 필기부재(2, 3)의 조립이 한층 더 간단해지게 된다.
또 각 필기부재(2, 3)는 간막이부재(23)의 앞끝받침부(24) 측방부분에 슬릿(31)이 형성되어 있어서 측방으로 쉽게 변위되어 굽혀지게 되므로, 필기부재(2, 3)의 앞끝부위(14, 15)를 필기구몸체(1)의 앞끝으로부터 원활히 출몰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각 연결원통부(6, 7)의 측방부분에도 슬릿(21)이 형성된 경우에는, 각 필기부재(2, 3)를 측방으로 한층 더 쉽게 변위되어 굽혀질 수 있기 때문에, 각 필기부재(2, 3)의 앞끝부위(14, 15)를 필기구몸체(1)의 앞끝으로부터 한층 더 원활히 출몰시킬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필기부재(2, 3)가 고장이 나거나 불량품을 새것으로 교환한다던지 또는 잉크가 소모되었을 때 등, 필기부재(2, 3)를 필기구몸체(1)로 부터 뽑아내야할 경우, 클립(22)을 누르면 제1관통구멍(16, 17)또는 제2관통구멍(18, 19)에 걸려져 있는 돌기(12, 13)가 클립(22)의 내면에 형성된 돌출부(20 또는 32)에 의해 눌러 걸림편(10, 11)이 휘어져 상기 제1관통구멍(16, 17) 또는 제2관통구멍(18, 19)과의 걸림이 해제상태로 되고, 이 상태에서 걸림구멍(25)에 걸려져 있는 걸림편(26)을 작업용구 등으로 밀어 그 걸림상태를 해제시키면, 연결원통부(6, 7) 및 간막이부재(23)와 함께 필기부재(2, 3)를 뒷쪽방향으로 뽑아낼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걸림편(26)으 형상을 ㅈ4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걸림편(26)의 계단형상으로 하지 않고 예컨대 한쪽면이 경사지 형상으로 하게 되면, 별도의 작업용구를 쓰지 않고 뒷쪽으로 잡아 당기기만 하면 걸어맞춤이 해제될 수 있어 연결원통부(6, 7) 및 간막이부재(23)와 함께 필기부재(2, 3)를 쉽게 뽑아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성형상으로 말하자면, 걸림구멍(25)과 제1, 2관통구멍(16, 17, 18, 19)을 형성시키게 되면, 필기구몸체(1)를 성형할 때 필기구몸체(1)의 안쪽으로 성형하는 코아핀에 사출압력이 가해져도 사이드핀에 의해 코아핀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되어, 필기구몸체(1)의 두께에 편차 등이 일어날 염려가 없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구멍(25) 걸림편(26)으로 된 걸림수단이 꼭 있어야 할 필요도 없는 바, 즉 이러한 걸림수단을 설치하지 않아도, 클립(22)의 내면에 돌출부(20)만 형성시켜 놓게 되면 간막이부재(23)가 뒷쪽으로 잡아 당겨져, 돌출부(20)가 제2관통구멍(18, 19)에 위치해 있을 때 클립(22)을 누르면 제2관통구멍(18, 19)에 걸려저 있는 돌기(12, 13)가 클립(22) 내면에 형성된 돌출부(20)에 의해 눌려져 돌기(12, 13)와 제2관통구멍(18, 19)의 걸림이 해제될 수가 있게 되므로, 이렇게 걸림이 해제시켜진 상태에서 연결원통부(6, 7) 및 간막이부재(23)와 함께 필기부재(2, 3)를 뒷쪽으로 뽑아낼 수가 있게 된다.
또 클립(22)의 내면에 돌출부(20, 32)가 형성된 경에는, 클립(22)을 누르면 제1관통구멍(16, 17) 또는 제2관통구멍(18, 19)에 걸려진 돌기(12, 13)가 클립(22) 내면에는 형성된 돌출부(20 또는 32)에 의해 눌려져 돌기(12, 13)가 제1관통구멍(16, 17) 또는 제2 관통구멍(18, 19)과 걸림이 해제되기 대문에, 이렇게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연결원통부(6, 7) 및 간막이부재(23)와 함께 필기부재(2, 3)를 뒷쪽으로 뽑아낼 수가 있게 된다.
제12도 a,b는 각각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의 클립주변 부위의 정면도인바, 그 중 제12도 a는 클립(22)을 절결해서 형성시킨 절결편(33)의 내면부위에 돌출부(32)를 형성시킨 경우로서, 이 절결편(33)을 눌러 휘어지게 해서 제2관통구멍(18, 19)에 걸려진 돌기(12, 13)가 절결편(33)의 돌출부(32)에 의해 눌려지도록 하면 걸림이 해제될 수가 있게 됨으로써, 연결원통부(6, 7) 및 간막이부재(23)와 함께 필기부재(2, 3)를 뒷쪽으로 뽑아낼 수가 있게 된다.
제12도 b는 클립(22)을 절결해서 형성시킨 절결편(34)의 앞끝내면 및 중앙내면부위에 각각 돌출부(20, 32)를 형성시킨 경우로서, 이 절결편(34)을 눌러 휘어지게 해서 제1관통구멍(16, 17) 또는 제2관통구멍(18, 19)에 걸려진 동기(12, 13)가 절결편(34)의 돌출부(20, 32)에 의해 눌려지게 하면 그들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게 됨으로써, 연결원통부(6, 7) 및 간막이부재(23)와 함께 필기부재(2, 3)를 뒷쪽으로부터 뽑아낼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돌기(12, 13)가 제1관통구멍(18, 19)에 쉽게 걸어맞춰지도록 하기 위해, 제2관통구멍(18, 19)의 뒷쪽걸림부위끝에 형성된 계단부의 단차를 적게해서 양자의 걸림이 쉽게 벗겨지도록 하여도 좋고, 또는 제2관통구멍(18, 19)에서 뒷쪽끝으로 개방슬릿으로 형성시켜, 이 개방슬릿을 이용해서 양자의 걸림이 쉽게 벗겨지도록 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각 필기부재(2, 3)가 끼워지는 연결원통부(6, 7) 측방부분 및 간막이부재(23)의 앞끝받침부(24) 측방부분중 적어도 간막이부재(23)의 앞끝받침부(24) 측방부분에 슬릿(3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필기부재(2, 3)가 간막이부재(23)의 침부(24) 측방부분에 형성된 슬릿(31)에 의해 각 구멍에 끼워 조립되어 각 연결원통부(6, 7)에 끼워지게 됨으로써, 간막이부재(23)의 앞끝받침부(24)에 슬릿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쉽게 조립할 수가 있게 되고, 또 각 연결원통부(6, 7)의 측방부분에도 슬릿(21)을 형성시켜놓게 되면, 각 필기부재(2, 3)의 조립이 한층 더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막이부재(23)의 앞끝받침부(24) 측방부분에 슬릿(3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필기부재(2, 3)가 측방으로 쉽게 변위되어 휘어질 수가 있어서, 필기부재(2, 3)의 앞끝부위(14, 15)를 필기구 몸체(1)의 앞끝으로부터 원활히 출몰시킬 수가 있고, 또 각 연결원통부(6, 7)의 측방부분에도 슬릿(21)이 형성되게 되면 필기부재(2, 3)의 앞끝부위(14, 15)가 한층 더 원활히 출몰시켜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2관통구멍(18, 19)에 걸려진 돌기(12, 13)를 눌러 걸림을 해제시키는 돌출부(32)가 클립(22)의 내면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필기부재(2, 3)가 고장이 나거나 불량품을 새것으로 바꿔끼운다던지 또는 잉크를 다 썼을 때 등 필기부재(2, 3)를 필기구 몸체(1)로 부터 뽑아내야 할 경우에는, 클립(22)을 누르면 제1관통구멍(16, 17) 또는 제2관통구멍(18, 19)에 걸려진 돌기(12, 13)가 클립(22) 내면에 형성된 돌출부(20 또는 32)에 의해 눌려져 걸림편(10, 11)이 휘어지게 됨으로써, 제1관통구멍(16, 17) 또는 제2관통구멍(18, 19)과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로 되고, 이 상태에서 연결원통부(6, 7) 및 간막이부재(23)와 함께 필기부재(2, 3)를 뒷쪽으로 잡아당겨 뽑아낼 수가 있게 된다.

Claims (1)

  1. 필기구몸체(1) 내에 복수의 필기부재(2, 3)가 끼워넣어 지면서 이들 각 필기부재(2, 3)의 뒷끝부위가 녹크부(4, 5)를 갖는 연결원통부(6, 7)에 끼워져 결러지고, 필기구몸체(1)내에는 상기 각 필기부재(2, 3)를 칸막이해주는 간막이부재(23)가 설치되어 이 간막이부재(23)의 앞끝받침부(24)와 상기 각 연결원통부(6, 7) 사이에 각 필기부재(2, 3)를 뒷쪽으로 밀처부치는 스프링(8, 9)이 장착됨과 더불어, 상기 각 연결원통부(6, 7)에 형성된 걸림편(10, 11)의 돌기(12, 13)가 각 필기부재(2, 3)의 앞끝부위(14, 15)가 돌출되거나 끌어들여졌을 때 각 끼워들어가 걸려지는 제1관통구멍(16, 17) 및 제2관통구멍(18, 19)이 형성되며, 상기 각 제1관통구멍(16, 17) 및 제2관통구멍(18, 19)에 걸려진 돌기(12, 13)를 눌러 걸림을 해제시키는 돌출부(20)가 간막이부재(23)의 뒷끝부위에 연장 형성된 클립(22)이 앞끝내면부위에 형성된 복합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필기부재(2, 3)가 끼워 걸려지는 연결원통부(6, 7)의 측방부분 및 간막이부재(23)의 앞끝받침부(24) 측방부분중 적어도 간막이부재(23)의 앞끝받침부(24) 측방부분에 슬릿(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필기구.
KR2019890000558U 1989-01-20 1989-01-20 복합필기구 KR9100078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0558U KR910007829Y1 (ko) 1989-01-20 1989-01-20 복합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0558U KR910007829Y1 (ko) 1989-01-20 1989-01-20 복합필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409U KR900014409U (ko) 1990-08-01
KR910007829Y1 true KR910007829Y1 (ko) 1991-10-07

Family

ID=19283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0558U KR910007829Y1 (ko) 1989-01-20 1989-01-20 복합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82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409U (ko) 1990-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93815A1 (en) Propelling pencil
KR20110055491A (ko) 복합필기구
JP4753938B2 (ja) 引込み可能な先端を有する筆記用具
US4968167A (en) Combined writing tool
KR910007829Y1 (ko) 복합필기구
KR20000052468A (ko) 측방녹크식 볼펜
US6309129B1 (en) Writing utensils
KR870001660Y1 (ko) 이중 누름식 필기구
KR910005297Y1 (ko) 복합필기구
JPS6331987Y2 (ko)
JPH0625354Y2 (ja) 複合筆記具
JPH08267988A (ja) 多芯筆記具
JPS6331988Y2 (ko)
US4603991A (en) Connector for propelling pencil
JP3792265B2 (ja) 複合筆記具
JPH018395Y2 (ko)
JP2522427Y2 (ja) ノック式多芯筆記具
JP2559766Y2 (ja) 複式筆記具
KR870002241Y1 (ko) 필 기 구
KR870000022Y1 (ko) 이중 노크식 필기구
KR890004782Y1 (ko) 복합 필기구
JPS5832960Y2 (ja) シヤ−プペンシル
JPS62117797A (ja) 複合筆記具
US3066652A (en) Reservoir writing instruments
JPH0745355Y2 (ja) ノック式ボールペ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0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