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637B1 - 우롱차 음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우롱차 음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637B1
KR910007637B1 KR1019910007569A KR910007569A KR910007637B1 KR 910007637 B1 KR910007637 B1 KR 910007637B1 KR 1019910007569 A KR1019910007569 A KR 1019910007569A KR 910007569 A KR910007569 A KR 910007569A KR 910007637 B1 KR910007637 B1 KR 910007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olong tea
tea
extract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7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룡
김성수
민병용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개발연구원
권태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80017225A external-priority patent/KR910006938B1/ko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개발연구원, 권태완 filed Critical 한국식품개발연구원
Priority to KR1019910007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76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6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우롱차 음료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생약재등을 이용한 우롱차 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약재중 구기자, 오미자, 오갈피, 당귀는 예로부터 차로서 즐겨 음용해온 재료이며, 이러한 재료로 제조되어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전통차의 대부분은 추출물을 다른 부재료와 같이 분무 건조한 분말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에 넣어 끓는 물로 타서 먹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기호성에 있어서도 장년층에 편중된 경향이 있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전통차가 갖는 결점들을 고려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생약재인 우롱차의 추출물을 주원료로 하여 원료의 맛특성에 어울리는 부재료 및 당, 산미료를 적정량 혼합한 후 관에 넣어 적정조건에서 살균 보존재료 및 기타 식품첨가물을 첨가하지 않고 상온에서 장기저장 및 유통가능하며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맛에 있어서도 년령층에 관계없이 기호성이 좋고 건강에도 유익한 생약재를 재료로한 우롱차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우롱차 음료의 제조공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공정]
우롱차, 영지, 인삼, 대추의 각 원료를 별도로 구비하되, 각 원료는 이물질의 혼입이 없고 이미, 이취가 없도록 하며, 부패되거나 벌레먹은 재료는 정선하여서 얻은 원료를 물에 30분 정도 침지하여 불린 후에 흔들어 주면서 분무 세척한다. 분무시 수압은 약 20Lb/in2를 상회하여야 효과적인 원료의 세척이 가능하다.
[제2공정]
상기 제1공정 후, 즉 원료의 세척후 물을 빼서 시료로 하고, 각 시료마다에 시료중량의 5-10배 정도되는 물을 가하여 이중바닥이 된 스팀솥 내부에 교반기가 설치됨과 더불어 향기증발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수류냉각기가 부착되어 있는 밀폐된 용기내에서 60-100℃ 분위기로 2-3시간 동안 1차 추출하여 당, 탄닌, 배당체, 단백질 등 수용성 물질을 추출하고, 수용성 물질을 추출한 시료에다 다시 시료물 중량의 5-10배되는 80% 에틸알코올을 가하여 40-90℃에서 2-3시간 동안 2차 추출하여 사포닌, 유기산, 알칼로이드등의 알코올에 용출되는 성분을 추출후 1,2차 추출분을 합하여 여과포로 1차 여과하고 원심분리기에서 55000-70000rpm으로 5-10분간 원심분리하여 각 시료마다의 청징물을 얻는다.
[제3공정]
제2공정에 얻은 청징물들을 각각 원심식 감압순간 농축기에서 50℃이하를 유지하면서 가용성 고형물량이 50˚Bx가 되도록 농축한다.
[제4공정]
제3공정에서 얻은 각 농축물을 30℃이하로 냉각시킨 후 냉각된 농축물에 정제수 및 선택된 여러 가지 주, 부재료를 적정량 넣어 스테인레스로된 혼합로에서 40-50℃로 가온한 다음 배합물들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녹인다.
[제5공정]
제4공정에서 배합이 완료되면, 다시 침전물이나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부패하지 않는 냉장온도(1-4℃)로 냉각후 12시간이상 방치하여 5000-8000rpm으로 5-10분간 원심분리한다.
[제6공정]
제5공정의 원심분리후 청징된 음료를 통조림의 상층공간이 5mm 정도가 되도록 충전하여 88-90℃ 온도에서 30-40초간 가열, 탈기한후 이중권체기에서 탈기된 통조림을 90℃ 온도에서 3-15초내에 즉시 밀봉한다.
[제7공정]
제6공정에서 밀봉된 통조림관을 75-80℃ 열수에서 20-30분간 저온살균한 후 냉각수로서 30℃로 냉각하여 제품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공정을 거쳐 제조된 청량음료중에 함유된 주, 부재료 추출물 성분의 약효 및 성분을 보면 다음과 같다.
[주재료]
우롱차 : 녹차를 반발효시킨 차로서 홍차의 떫은 맛과 녹차의 쓴맛이 적으며, 상쾌하고 구수한 맛을 가지고 있다. 주요성분은 카페인, 테오피린, 탄닌 등으로 각성작용, 강심작용, 이뇨작용, 혈압상승 억제작용등의 효능이 있다.
[부재료]
영지 : 맛은 매우 쓴맛과 떫은 맛이 있다. 그 약성분은 쓴맛을 나타내는 triterpene 유도체인 ganodericacid A,B등이 있으며 간기능개선, 신경쇄약 혈압강화작용, 고지혈증 개선작용, 항암효과 등이 밝혀졌다.
인삼 : 맛은 쓴맛이 매우 강하며 독특한 인삼향을 가지고 있다. 그 약효 주성분은 ginsenoside류인 배당체로서 여러 종류가 있는데 간기능의 강화보호, 향피료, 정신 및 육체노동력의 개선, 당뇨의 장기치료, 강장효과, 건위, 신진대사 촉진등 광범위한 생물학적 활성을 띠고 있다.
대추 : 맛이 매우 달다. 주성분은 당류이며 보온, 강장, 소화완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방약합편 및 현대 생약학, 1980.진명출판사 참고)
본 발명은 상기한 특성을 갖는 생약재를 1차로 열수, 2차로 알코올로 추출하여 단일용매에 의한 추출방법보다 용출되는 수율이 높고 수용성물질이나 알코올 용해성분을 모두 추출할 수 있으며, 부재료로 첨가하는 생약재의 양을 각각 다르게 하여 기호 특성에 따라 맛과 향이 잘 조화된 우롱차 음료를 제조할 수 있으며, 전통차의 재료를 이용한 액상 청량음료이고, 주, 부재료를 배합후 냉장온도에서 12시간이상 방치후 탄수화물이나 기타 침전물을 고속 원심분리하여 완전히 제거한 청징음료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산미료를 첨가하여 청량감을 주고, PH를 4.0이하로 저하시켜 미생물의 번식이 억제되도록 하여 저장성을 높이고 저온 살균으로 맛, 향, 색택 및 기타 품질의 변화를 최소화시킨 것이다.
[실험예 1]
정선된 시료 각각 1kg을 제1공정으로 물에 30분 정도 침지하여 외피에 붙어 있는 협잡물을 제거하고 수세후 제2공정으로 각각의 시료에 시료량의 5-10배량되는 물 용매를 가하여 1차 추출, 시료량의 5-10배량되는 80% 에탄올 용매를 가하여 2차 추출하여 1차, 2차 추출물을 합하여 여과, 원심분리하여 청징물을 얻고 제2공정에서 감압순간 농축기에서 가용성 고형물량이 50˚Bx가 되도록 농축하여 아래 표1과 같이 물, 알코올 ,물과 알코올을 용매로 추출 수율을 측정하였다.
[표 1]
시료별 추출물 수율*(50˚Bx)
* 수율 : 시료 1kg에 대한 50˚Bx농축물 중량(g)
*물+알코올(g) : 시료량의 5-10배되는 물용매에서 1차 추출, 시료량의 5-10배되는 80%알코올용매에서 2차 추출한 합계인 경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과 알코올을 각각 단일 용매로 하여 추출한 처리구보다는 물의 알코올을 병행하여 사용한 추출방법이 그 수율이나 추출성분에 있어서 더 효과적이다.
위의 방법에 따라 추출농축된 시료별 맛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중 정미성분과 관련있는 유리아미노산 및 핵산관련 물질을 실험예 2,3에서 분석하였다.
[실험예 2]
실험예 1에서 물, 알코올, 물과 알코올의 용매별 추출, 농축된 시료에 대한 유리아미노산 조성을 아미노산 자동분석기에 의해서 분석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표 2]
시료별 추출물(50˚Bx)중의 유리아미노산 함량. 단위 : mg%
* 물+알코올 : 시료량의 5-10배되는 물용매에서 1차 추출, 시료량의 5-10배되는 80% 알코올에서 2차 추출한 합계인 경우
[실험예 3]
실험예 1에서 물, 알코올, 물과 알코올의 용매별 추출, 농축된 시료에 대한 핵산관련 물질중 AMP, ADP, ATP, IMP, Inosine 및 Hypoxanthine 을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표 3]
시료별 추출물(50˚Bx)중의 핵산관련 물질 함량. 단위 %
* 물+알코올 : 물용매에서 1차 추출, 80% 알코올용매에서 2차 추출한 합계인 경우
이상의 실험예 1, 2, 3에서 시료량의 5-10배되는 물과 알코올용매에서 각각 1차 추출, 2차 추출하는 물과 알코올의 병용 추출방법이 추출수율이나 추출성분중 유리아미노산 및 핵산관련 물질에 있어서도 그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본 발명의 제1, 제2공정으로 각 시료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주, 부재료로하여 다음의 실시예와 같은 배합비로 우롱차 음료를 완성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이를 실시예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우롱차 음료를 표 1와 같은 배합비료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표 1]
우롱차 음료 배합비
* 배합비(%)는 전체 음료에 대한 중량비이다.

Claims (1)

  1. 생약재인 우롱차, 영지, 인삼, 대추의 각 원료를 30분정도 물에 침지하여 수세하고, 수세한 원료 각각에다 원료중량의 5-10배 정도 되는 물을 가하여 60-100℃에서 2-3시간 동안 1차로 추출하여 수용성 물질을 추출한 다음 2차로 원료중량의 5-10배 정도 되는 80%에탄올을 가하여 40-90℃에서 2-3시간동안 추출하여 에탄올을 용출되는 성분을 추출하며, 상기 1차, 2차 추출물을 합하여 감압순간 농축기에서 50℃이하를 유지하면서 가용성 고형물량이 50˚Bx가 되도록 농축하고, 농축한 추출물중 전체 음료에 대한 중량비로 우롱차 1.0-2.0%를 주재료로, 영지 0.1-0.5%, 인삼 0.4-0.7%, 대추 0.7-2.0%를 부재료로 하여 혼합한 다음 꿀 1.5-4.0%, 설탕 1.0-5.0%, 고과당 8.0-13.0%, 구연산 0.02-0.20%, 구연산소다 0.02%, 솔비톨분말 0.5%, 비타민 C 0.01-0.05%, 니코틴아미드 0.01-0.05% 등을 기호 특성에 따라 적당량 첨가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우롱차 음료의 제조방법.
KR1019910007569A 1988-12-22 1991-05-10 우롱차 음료의 제조방법 KR910007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7569A KR910007637B1 (ko) 1988-12-22 1991-05-10 우롱차 음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7225A KR910006938B1 (ko) 1988-12-22 1988-12-22 구기자 음료의 제조방법
KR1019910007569A KR910007637B1 (ko) 1988-12-22 1991-05-10 우롱차 음료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7225A Division KR910006938B1 (ko) 1988-12-22 1988-12-22 구기자 음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7637B1 true KR910007637B1 (ko) 1991-09-28

Family

ID=26627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7569A KR910007637B1 (ko) 1988-12-22 1991-05-10 우롱차 음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6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9814A (ko) * 2015-12-31 2017-07-10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레몬머틀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9814A (ko) * 2015-12-31 2017-07-10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레몬머틀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42070B (zh) 一种蝉拟青霉人工培养的方法及其培养产物的应用
CN100563668C (zh) 使用醋的人参制剂及其加工
CN102048167B (zh) 一种抗辐射功能性饮料的添加剂以及含有该添加剂的麦绿素奶酒、茶饮料
EP2003988B1 (en) Natural plant extract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recovery of hyperlipidemia and stroke, natural tea containing the same as active ingredien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natural tea
JP4354935B2 (ja) 葛花と特定の食品素材とを含有する食品用組成物
CN111548882A (zh) 一种风味养生威士忌及其制备方法
CN109601795A (zh) 以赶黄草为主要原料的组合物解酒饮料及其制备方法
JP2880434B2 (ja) ギムネマ・イノドラム焙煎茶
KR20190064019A (ko) 커피 추출물을 이용한 발효식초 및 커피식초젤리의 제조방법
US2115411A (en) Preparation of yerba mate
KR910007637B1 (ko) 우롱차 음료의 제조방법
WO2007007994A1 (en)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iver function comprising a lonicera caerulea l. var. edulis extract
KR910006938B1 (ko) 구기자 음료의 제조방법
US20060210659A1 (en) Anti-obesity agent
CN109043251A (zh) 一种刺梨饮料及其制备方法
KR910007636B1 (ko) 오미자 음료의 제조방법
CN115104730A (zh) 一种改善睡眠的组合物、线叶金雀花-芦笋睡眠改善液、茶粉的制备方法和应用
KR910007635B1 (ko) 당귀 음료의 제조방법
CN104560499A (zh) 一种冬枣养生果酒的制造方法
KR910007606B1 (ko) 오갈피 음료의 제조방법
KR101897005B1 (ko)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를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US4912089A (en) Cariostatic materials and foods, and method for preventing dental caries
CN105380267B (zh) 一种功能食品及其制备方法
CN102309053A (zh) 一种五味子保健饮料的制备方法
RU2080800C1 (ru) Безалкогольный напиток "хамар-даба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3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