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518B1 - 안전뚜껑 및 그 제조방법과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뚜껑 및 그 제조방법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518B1
KR910007518B1 KR1019860700214A KR860700214A KR910007518B1 KR 910007518 B1 KR910007518 B1 KR 910007518B1 KR 1019860700214 A KR1019860700214 A KR 1019860700214A KR 860700214 A KR860700214 A KR 860700214A KR 910007518 B1 KR910007518 B1 KR 910007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am
mold
male membe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700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700560A (ko
Inventor
엔. 콘티 빈센트
Original Assignee
아메리칸 세이프티 클로저 코포레이숀
원본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메리칸 세이프티 클로저 코포레이숀, 원본미기재 filed Critical 아메리칸 세이프티 클로저 코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870700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700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42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igid bead or projections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and coacting with bead or projections on the container
    • B65D41/344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igid bead or projections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and coacting with bead or projections on the container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oulding surface, e.g. ribs or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07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by flexible movement of undercut portions of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2045/4078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strip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56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 B29L2031/565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for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5/00Plastic article or earthenware shaping or treating: apparatus
    • Y10S425/005Camm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5/00Plastic article or earthenware shaping or treating: apparatus
    • Y10S425/058Underc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안전뚜껑 및 그 제조방법과 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내부주형구조의 일부로서 뚜껑이 주조되고 그 뚜껑이 부분적으로 떨어져 나간 것을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확대단면도.
제2도는 용기에 뚜껑이 닫혔을 때 부분적으로 그 내부가 도시된 본 발명 뚜껑의 확대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주형내에 형성된 내측윗면 봉함부재를 갖는 뚜껑의 확대정면도.
제4도는 용기에 고정된 뚜껑을 도시한 제3도 4-4선축방단면도.
제5도는 닫혀진 상태의 주형을 도시한 것으로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뚜껑을 형성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주형을 통한 정단면도.
제6도는 열려진 상태의 주형을 도시한 것으로 제5도에 도시된 주형을 통한 측부단면도.
제7도는 제5도 및 6도에 도시된 주형의 암부재(fenale member)주형을 통한 측부단면도.
제8도는 뚜껑의 형성되는 주형의 공동과 주형의 바로 인접부분을 상세히 도시한 제5도의 부분확대도.
제9도 및 제10도는 주형으로부터 뚜껑제거의 상이한 상태를 질서있게 묘사한 제8도의 유사도.
제11도는 제5도 및 6도에 도시된 형태를 갖는 여러주형을 운반하는 주형장치의 간이(簡易)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벽 2 : 스커트(depending skirt)
3 : 도난방지링(pilfer-proof ring)
7 : 단단하지 못한 부재(frangible member)
8 : 리브(rib), 돌기부 (protruston) 9 : 견부(shoulder)
10 : 내부다이부재(interior die member)
10' : 스트리퍼 링(stripper ring) 52 : 암부재(female member)
55 : 주형 54 : 숫부재(male member)
56 : 소켓(socket) 58 : 오리피스(orifice)
60 : 공동피이스(cavity piece) 64 : 주형피이스(mold piece)
66 : 클램프 플레이트(clamp plate) 86 : 안내장치(conduct assembly)
96 : 지지장치(supporting assembly)
106, 110 : 스페이서 블록(spacer block)
112 : 외측 코어 피이스(outer core piece)
114, 116 : 환상 리세스(annular recess)
118 : 보존 슬리브(retainer sleeve) 120 : 보존 링(retainer ring)
130 : 녹아우트 핀(knockout pin)
136 : 스트립 장치(strip assembly)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용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개선된 뚜껑에 관한 것으로, 뚜껑을 제거하므로써 자동표시링부재를 뒤에 남긴다. 본 발명은 또한 그 뚜껑을 형성시키기 위한 방법 및 주형에 관한 것이며, 주형으로부터 뚜껑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이같은 형태의 도난방지 폐쇄구조 또는 뚜껑구조가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뚜껑이 처음용기에 고정된 이후에 용기의 내용물이 오염되거나 섞음질 되지 않음을 최종의 소비자에게 설명하도록 부당한 사용에 대한 증거를 갖는 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도난방지뚜껑은 나삿니가 난 스커트부가 뚜껑의 상측벽으로부터 하향연장되며 도난방지링부재가 스커트 하단부에 부착되도록 만들어진다. 링은 용기상의 돌출력 또는 견부아래에 링부재와의 접속으로 인해 용기로부터 뚜껑의 원통부가 갑자기 나타나도록 하는 단단하지 못한 부재에 의해 부착되도록 한다.
특히 링은 내측의 환상리브를 포함하며, 용기에 사용시 용기의 목부에서 공동의 외향연장리브 아래에 위치한다. 용기로부터 뚜껑이 돌려질때 용기 목부상의 외측리브와 분리될 수 있는 뚜껑 링상의 내측리브사이의 접촉부가 앞서 언급된 단단하지 못한 부재를 파손시키도록 한다.
금속폐쇄와 함께 도난방지링의 형성은 폐쇄물이 용기위에 놓인 다음 그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도난방지링은 롤링동작에 의해 용기 목부상 공동 견부아래에 고정된다. 플라스틱 뚜껑이 주조됨에 따라 뚜껑의 도난방지링부가 뚜껑의 최초 주형부로 실행된다.
이는 단단하지 못한 부재를 파손시키지 않고 뚜껑이 용기위에 나사식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도난방지링과 단단하지 못한 부재를 만듦에 있어 몇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만약 파손이 발생한다면, 링은 함부로 부당하게 변경하거나 제거하는데 대한 표시기로서 분명 아무런 가치가 없을 것이다.
도난방지링은 갖는 플라스틱 뚜껑의 주형은 또한 몇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주형작업은 뚜껑의 내부표면을 형성시키기 위해 내부의 다이(die)부재를 필요로 한다. 이같은 다이부재는 변과 같이 외부 나삿니를 가지며 뚜껑은 이 나삿니와 함께 사용되어진다. 이같은 나삿니 구조 및 도난방지링을 형성시키기 위해 필요한 다이의 다른 부분은 링을 차단하며 마치 뚜껑이 용기에서부터 풀려나오는 것처럼 끼어지도록 하여 뚜껑의 제거를 방해할 수 있다.
용기에 맞는 뚜껑을 주조하여 사용함에 관계하여 발생되는 문제점들을 극복하려는 플라스틱 뚜껑의 여러시도가 행하여져왔다. 본인의 이전 특허 제4,322,012호는 도난방지의 주조된 플라스틱 뚜껑으로, 도난방지링이 단단하지 못한 부재에 의해 그 스커트(skirt)에 부착되며 단단하지 못한 부재를 깨지 않고 용기에 뚜껑을 나사식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내부가 적절한 캠(cam)표면을 갖는 잠금부재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이같은 형태의 뚜껑구조의 주조는 전형적으로 접는 식의 내부 다이부재를 필요로 한다.
미국특허 제4,147,268호는 또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도난방지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뚜껑의 경우 도난방지링은 뚜껑이 풀리어지므로써 내부의 다이부재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각도를 가지며 연장된 내부돌출의 잠금부재와 함께 만들어진다. 이같은 동일한 구조는 뚜껑이 용기위에 나사식으로 조여질 수 있도록 허용한다. 더구나 잠금부재는 캠표면을 갖추어 뚜껑이 용기위에서 완전히 조여지는 때 용기의 잠금견부위에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어지는 도난방지 뚜껑은 내부주형틀 및 용기로의 부착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뚜껑의 스커트부에 연결형성된 도난방지링을 갖는다. 특히 도난방지링은 뚜껑이 사용될 용기의 목부위 rhd동리브 또는 견부 아래에 환상형태의 접속을 위한 내향돌출의 잠금장치를 갖는다. 도난방지링을 뚜껑의 스커트부 하단에 연결시키는 단단하지 못한 장치는 뚜껑의 스커트와 도난방지링 모두에 축방향으로 일련정돈된다.
이같은 뚜껑을 만들기 위한 주형은 소켓(socket)과 소켓내로 플라스틱재를 안내하기 위한 오리피스를 형성시키는 암부재 그리고 알부재와 함께 주형공동을 형성시키기 위해 소켓내로 축방연장된 코어부재를 포함한 숫부재로 형성된다. 숫부재의 외부표면은 부당변경표시링 위에 방사상 내향연장리브를 형성시키기 위한 제1의 환상 리세스(recess)와 뚜껑상에 내부나사선을 형성시키기 위한 제2의 나사선 리세스를 포함한다. 주형의 암부재는 소켓의 상측부를 형성시키는 상부(upper)장치 및 소켓의 하측부를 형성시키는 다수의 캠을 갖는 하부장치를 갖는다. 이들 캠 각각은 뚜껑내에서 축방향으로 스커트부를 링으로부터 분리시키고 링을 스커트부로 연결하는 단단하지 못한 부재를 원주위로 분리시키는 환상의 리세스를 형성시키기 위해 원주위로 떨어진 거리를 두고 숫부재의 코어장치를 속박시키는 방사상의 돌출부를 갖는다.
주형으로부터 뚜껑을 제거하기 위해 주형의 암부재가 뚜껑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며, 곧이어 뚜껑자체가 주형의 숫부재로부터 떨어진다.
암부재는 암부재의 상부장치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써 뚜껑으로부터 떨어지며 암부재의 캠은 방사상으로 뚜껑으로부터 떨어진다. 암부재를 뚜껑으로부터 제거하기 이전에 뚜껑과 주형의 암부재사이의 간격을 발전시키기 위해 뚜껑이 숫부재 위쪽으로 회피되는 것이 좋다. 뚜껑과 주형의 암부재 사이의 이같은 간격을 발전시킴은 그와 같은 암부재가 뚜껑으로부터 떨어지는 때 암부재가 뚜껑을 문지르도록 하거나 잡아당겨 찢기어지도록 하는 어떤 경향도 제거한다. 이는 뚜껑 스커트부의 외측벽표면이 뚜껑의 윗면으로부터 바깥측으로 점점 가늘게 되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 윗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되어진 뚜껑의 주조를 허용한다.
숫부재로부터 뚜껑을 제거함이 상축방향으로 뚜껑링의 하부스커트를 밀착시킴으로써 부분적으로 성취된다. 이는 리브가 형성되는 숫부재의 환상리세스로부터 링의 안쪽리브에 힘을 가하여 준다.
뚜껑은 뚜껑의 단단하지 못한 부재에 인장력을 가하지 않고 주형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두께를 가지고 있는 스커트 및 링과 함께 단단하지 못한 부재의 축방향 정렬은 축방향의 충분간 강도를 제공하여 이와 같은 제거작업중 뚜껑의 스커트부에 관련하여 도난방지링이 균등하게 가요되지 않음을 막는다. 뚜껑의 전벽구조는 일체의 유닛으로 다소 확장되며, 따라서 단단하지 못한 부재의 끼어짐이 피하여진다. 이와 같이 하여, 어떤 적절한 인장력이 이들 부재에 적용될때 단단하지 못한 부재가 용이하게 떨어지도록 뚜껑의 부당변경표시 링이 뚜껑이 용기로부터 제거되는 때 뚜껑의 스커트로부터 확실히 떨어져 나가도록 한다. 이와 똑같은 특성이 또한 뚜껑을 용기에 부착시키는 동안 유용하다. 뚜껑이 용기의 목부위로 나사식 조여지는때 도난방지링의 하부가 나사선에 밀착되어 중첩 스커트를 향해 링의 축방압축을 발생시킨다. 이는 링, 단단하지 않은 부재 및 스커트를 일체의 유닛으로 함께 압축하여 보지하며, 이들이 단단하지 못한 부재의 끼어짐을 야기하는 뚜껑 스커트에 관한 링의 심각한 굴곡없이 팽창되도록 허용한다. 도난방지링상의 돌출리브 잠금장치의 하부표면은 또한 용기목부의 나사선 부분위에서 링의 이같은 팽창을 용이하게 허용하도록 만들어진다.
[선호된 실시예의 상세한 기술]
제1도 및 제2도에서 본 발명의 뚜껑의 뚜껑은 상부벽(1), 측벽 또는 스커트(2) 및 스커트의 하단부에 부착된 도난방지링(3)을 포함한다. 스커트의 내부벽 표면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용기의 목부(6)에 난 나사선(5)과 합치하도록 적용되는 나사선부(4)를 포함한다. 뚜껑은 폴리프로필린과 같은 비교적 단단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도난방지링(3)은 분리할 수 있는 단단하지 못한 부재(7)에 의해 뚜껑의 스커트부에 연결되며 링의 내부원주로 완전히 연장된 내향돌출부 또는 리브(8)의 형태의 방사상 내향연장된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잠금장치는 뚜껑이 용기상에 나사식으로 닫혀지는 때 용기목부의 외측표면상에서 리브 또는 견부(9)위로 미끄러지도록 적용된다. 뚜껑이 완전히 용기위에 조여짐에 따라 잠금장치가 견부(9) 아래에 위치하여 뚜껑이 풀어지므로써 도난방지링의 상향이동이 방해될 것이다. 링을 스커트부에 연결하는 단단하지 못한 부재(7)는 링이 견부(9)를 속박시킬때 떨어져 나가도록 만들어지며, 이는 부재(7)를 긴장하에 두도록 함과 동시에 링이 외향 팽창되도록 하며 부재의 가요성을 야기시킨다. 단단하지 못한 부재의 가요성과 당김의 조화가 이들이 떨어지도록 한다. 특히 뚜껑이 병목부(6)로부터 풀어졌을때 스커트(2)가 상향이동되며 링(3)이 상향 당겨지도록 한다. 그러나 링(3)의 상향이동은 리브(8)와 견부(9) 사이의 접촉에 의해 저항을 받는다. 이같은 접촉 및 저항은 먼저 링(3)을 스커트(2)에 연결하는 단단하지 못한 부재(7)에 인장력을 발전시키며, 다음 리브(8) 및 단단하지 못한 부재에 바깥쪽으로 힘을 가한다. 인장력 및 단단하지 못한 부재(7)의 외향 가요성의 조화가 링(3)을 스커트(2)로부터 분리하면서 이들 부재를 떼어낸다. 다음 스커트(2)는 병의 목부(6)로부터 완전히 풀리어 링(3)을 뒤에 남긴채 병이 열리어진다.
본 발명에 따라, 단단하지 못한 부재(7)는 스커트의 외측표면에 인접한 뚜껑의 벽부 및 링부 모두에 축방향으로 정돈된다.
이들은 또한 충분한 단면크기를 갖도록 만들어지며 링이 스커트를 향하여 축방향 압축력을 받도록 할때 스커트와 링사이에 축방향의 강도를 제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는 뚜껑이 형성되는 내부다이부재(10)로부터 주조된 뚜껑의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스트리퍼(stripper) 링(10')에 의해 내부다이부재로부터 뚜껑을 밀어 떼어냄으로써 뚜껑이 제거된다. 밀어 떨어뜨리는 힘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난방지링의 하부에 가해진다. 링과 스커트 모두와 함께 단단하지 못한 부재(7)를 축방향 정돈시킴과 단단하지 못한 부재의 단면두께에 따라 링의 하부에 가해진 힘이 부재를 압축상태에 있도록 한다. 미는 힘은 휨 모멘트가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링, 단단하지 않은 부재 및 스커트를 통해 대략 일직선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뚜껑은 내부 다이부재(10)로부터 제거되는 때 방사상 외향팽창된다. 다이부재로부터 뚜껑의 부분적인 이동이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뚜껑의 내부나사선(4)이 다이부재(10) 위의 외부나사선(11)에 맞추어진 때 나사선(4)는 다이부재에 대해 방사상 외향으로 뚜껑의 스커트부의 캠효과를 발생시킨다. 다이나서선 위에서 캠효과를 받는때 스커트는 실제로 팽창한다. 동시에 도난방지링상의 잠금돌출부(8) 상측표면(12)이 내부다이부재의 벽표면에 맞추어진다. 이같이 맞추어짐은 스커트가 캠작용을 받으며 방사상 외향으로 팽창됨과 동시에 방사상 외향으로 링에 캠효과를 발생시키어 링이 팽창되도록 한다.
단단하지 못한 부재의 위치 및 이들 부재의 단면두께에 의해 제공되는 강도로 인하여 단단하지 못한 부재가 깨어지지 않은 한도로 스커트에 관계하여 링을 가요시키지 않도록 하여 스커트와 링이 일체의 유닛으로써 다소 팽창한다. 따라서 내부다이부재로부터 주조된 뚜껑을 제거함은 단순한 밀기동작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접는 식의 복잡한 숫다이구조는 필요치 않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서, 도난방지링의 잠금부중 내향 돌기부(8)는 대체로 원뿔형 모양의 방사상 단면을 갖는다. 즉, 이같은 돌기부(8)의 단면은 입체원뿔의 방사상 단면형과 대체로 유사한 모양을 갖는다. 이같은 돌기부의 상측표면(12)은 곧은 표면이며,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같은 표면은 용기의 견부(9)가 연장되는 각도와 거의 동일한 각도로 배치된다. 돌기부의 하부표면은 방사상 하향 마주하는 절면표면(14)을 갖는다. 이들 표면은 뚜껑을 용기에 연결함과 뚜껑을 제거시킴에 따라 용기 상에서의 링의 보존을 용이하게 한다. 더군다나 편평한 표면(12)이 견부(9)의 마주하는 표면에 맞추어지므로써 뚜껑이 방사상 풀림이 링과 단단하지 못한 부재에 당김효과를 발생시키어 이들을 긴장상태에 놓이도록 한다. 링의 병의 견부(9)상에서 외향캠작용을 받는때에 단단하지 못한 부재를 가요시킴과 동시에 긴장시키거나 당김은 단단하지 못한 부재가 떨어지도록 한다.
도난방지링 돌기부(8) 하부 표면(14)의 절면형은 뚜껑이 용기위로 나사식 조여지는 때 나사선(5)상에서 링에 캠작용을 일으키는데 협조한다. 나사선에 대해 링하부를 맞춤은 링, 단단하지 못한 부재 및 스커트를 통해 약간의 압축력을 만들어내어 이들 부재를 일체의 유닛으로 함께 연결시키므로써 스커트에 관계하여 링의 부적합한 가요가 발생됨을 막도록 한다. 그리고 뚜껑을 용기로부터 제거시키는 때에서와 같이 단단하지 못한 부재를 동시에 당기지 않고는 이들은 떨어지지 않는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난방지링 돌기부(8)의 방사상 내향하는 대부분의 표면은 이들 표면의 잔여부분에 대해 방사상 외향하여 배치된 원주상 다수의 이격공간(15)을 갖는다. 이들 이격공간(15)은 돌기부의 가장 안쪽 연장부분에 대해 방사상 외향하여 위치하며 뚜껑이 용기위로 완전히 조여지는 때 용기의 견부(9) 아래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이는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돌기부의 상측표면(12)을 견부(9)에 맞춤이 도난방지링 둘레 모든 점에 발생하게 된다.
적합한 실시예로써, 원주위로 이격된 공간들은 방사상 내향의 마주하는 곡선부분을 한정하도록 만곡되어지며 이들은 서로 균일한 간격을 갖게 된다. 또한 이들은 돌기부(8) 내부 원둘레의 1/2에 달하여 연장된다. 내측 원둘레로는 8개의 이와 같은 이격의 공간이 있으며 각 이격된 공간은 약 22 1/2°의 원주위 거리에 해당된다. 돌기부(8) 내측표면의 잔여부분은 편평한 부분(16)으로 형성된다. 이들 편평한 부분은 돌기부의 곡선부분사이에서 떨어져 현과 같은 부분을 한정하며, 단단하지 못한 부재(7)와 일렬로 정돈된다.
제5도에서 제10도까지는 제3도 및 제4도의 뚜껑을 형성시키기 위한 주형(50)을 연속하여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주형(50)은 암부재(52) 및 숫부재(54)를 포함한다. 암부재(52)는 소켓과 폴리프로필린과 같은 플라스틱재를 소캣내에 안내하기 위해 오리피스(58)를 형성한다. 특히 암부재(52)의 공동(cavity)플레이트(60)는 중앙의 개구(62)와 주형 피이스(piece)(64)를 형성하며, 주형피이스는 소켓의 상측부를 형성하고 중앙의 개구내에 위치한다. 클램프 플레이트(66)는 주형 플레이트(64)와 공동플레이트(60) 위에 연장되며 주형 피이스를 중앙의 개구(62)내에 고정시키도록 공동 플레이트에 볼트로 고정된다. 재료안내도관(70)은 클램프 플레이트(66)에 고정되며 오리피스(58)의 상측부분을 형성시킨다.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급수통로(72)가 소켓(56)에 인접한 암부재(52)를 통해 연장되어 주형(50)의 암부재를 통해 물을 안내하며 소캣(56)내로 공급된 재료를 냉각시킨다.
다수의 캠(74)은 함께 소켓(56)의 하측부를 형성시키며, 이들 캠은 숫부재(52), 특히 숫부재 코어장치(78)의 원주위로 이격된 섹션에 맞추어지는 방사사어 돌출부(76)를 포함하여 뚜껑의 단단하지 못한 부재사이에서 뚜껑의 환상리세스를 형성시킨다. 캠이 코어장치(78)에 맞추어지는 제5도에서의 닫혀진 위치와 캠이 코어장치로부터 떨어져 뚜껑이 형성되는 주형공동으로부터 뚜껑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열려진 위치 사이에서 미끄러짐 운동을 위해 숫부재(54), 특히 숫부재의 윗표면(80)위에 휴지하며 이에 따라 지지되어진다.
스프링(82)이 갖추어져 닫혀진 위치에서 열려진 위치로 캠(74)을 밀착시키도록 한다. 특히 스프링(82)은 원형의 통상적인 클립스프링으로 코어장치(78)로부터 떨어져 이들 캠을 방사상 외향밀착시키며, 캠(74)의 방사상 내향 마주하는 표면 맞은 편에 위치한다. 이들 캠(74)의 방사상 내향 마주하는 표면내에는 요홈이 형성된다. 다수의 나사 또는 볼트(84)가 숫부재(54)의 윗표면(80)내로 고정되어 캠(74)의 외향이동을 한정시킨다. 스프링(74)이 아닌 다른 장치가 캠(74)을 열려진 상태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핀이 공동플레이트(60)로 연결되어 하측 외향의 캠내에 형성된 소켓으로 경사지게 되므로써 공동플레이트(60)가 들어올려질 때 캠을 외향으로 밀고 공동 플레이트가 아래로 놓여지는 때 캠(74)을 내향으로 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L"자 형태의 핀, 레일 또는 유사한 장치(86)(제7도에 도시됨)가 표면(80)에 고정되어 캠(74)의 열리고 닫힌 상태로의 이동을 안내하며, 이들 캠을 표면(80)으로부터 떨어져 축방향으로 상측으로 이동하려 함을 저지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주형(50)에 대한 실시예에 따라 캠(74)은 이들의 열려진 상태에서 닫혀진 상태로 이동되며 캠의 표면과 공동플레이트(60) 사이의 맞물림에 의해 닫혀진 위치로 안전하게 보지 되어진다. 좀더 세부적으로 캠(74)은 상측 내향 방사상으로 경사진 상측표면(90)을f 가지며, 공동 플레이트(60)는 역시 상측내향 방사상으로 경사진 상측표면(90)위의 하측표면(92)을 갖는다.
공동 플레이트(60)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열려진 위치에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닫혀진 위치로 하향 이동할때 공동 플레이트의 표면(92)이 캠(74)의 표면(90)에 닿으며 이들 캠을 방사상 하향 닫혀진 위치로 밀어 넣는다. 공동 플레이트(60)가 그 닫혀진 위치로 보지되는 때 표면(92)은 이들이 닫혀진 위치로 캠(74)을 유지시킨다.
제7도를 특별히 참조하면, 캠(74)의 방사상 돌기부(76)내측 가장자리는 원주위상 이격된 다수의 요홈(94)을 갖는다. 캠(74)이 닫혀진 상태에 있을때 요흠(94)은 캠과 코어장치(78) 사이에 연장된 개구를 형성시킨다. 뚜껑의 단단하지 못한 부재(7)는 이들 개구내에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주형(50)의 실시예가 4개의 캠(74)을 포함하고 있으나 주형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2개, 6개 혹은 8개 등의 많거나 적은 수의 캠을 가질 수도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공동 플레이트(60), 주형 피이스(64), 클램프 플레이트(66) 그리고 재료안내도관(70)은 주형(5) 암부재(52)의 상측장치를 구성하며, 캠(74), 스프링(82) 그리고 안내장치(86)는 암부재의 하부장치를 구성한다.
숫부재(54)의 지지장치(96)는 암부재(52)와 주형 숫부재의 다른 부분을 위한 지지기부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지지장치(96)의 플레이트(98)(100)는 대체로 수평이며 평행하고 이들 플레이트는 일렬로 정돈된 중앙의 개구(102)(104)를 각각 갖는다. 지지장치(96)의 스페이서 블록(spacer blocks)(106)(110)은 주형(50)의 하부 좌우측 면을 가로지르는 플레이트(98)(100) 사이에 연장된다. 지지장치(96)의 다양한 플레이트 및 볼록들은 견고하며 단일의 장치를 형성시키기 위해 다수의 볼트에 의해 함께 고정된다.
제5도에서, 주형(50)이 닫혀진 상태에 있거나 뚜껑을 형성하는 상태에 있을 때 숫부재(54)의 코어장치(78)에 있어서, 코어장치(78)는 암부재(52)와 함께 뚜껑이 형성되는 특별한 주형공동을 형성시키기 위해 소켓(56)내로 방사상 연장된다. 좀더 세부적으로, 외측 코어피이스(112)가 지지장치(96)의 상측 플레이트(98) 위에 휴지하며 플레이트로부터 방사상 상향 연장된다. 외측코어피이스(112)의 상측부는 암부재(52)의 소켓(56)내에 연장되며, 뚜껑의 형성시 측벽의 내부와 뚜껑 윗면의 내부 일부를 형성시킨다. 외측 코어피이스(112)의 상측부는 뚜껑의 링상에 리브(8)를 형성시키도록 사용되는 제1의 리세스(114)와 뚜껑의 나사선(4)를 형성시키는 제2의 환상 리세스(116)를 포함한다.
외측 코어피이스(112)는 보존 슬리브(retainer sleeve)(118)와 보존 링(120)에 의해 축방향의 적소에 보지된다. 외측 코어피이스(112)의 하부는 방사상 외향연장의 견부를 포함하며, 보존 슬리브(118)는 외측 코어부재의 견부위로 직접 연장된 하향 마주하는 방사사의 표면을 포함한다. 차례로 보존 슬리브(118)의 하측부는 방사상 하향연장의 견부를 포함하며, 보존링(120)은 보존 슬리브의 견부위로 직접 연장되는 하향 마주하는 방사상 표면을 포함한다. 보존랭(120)자체는 지지장치(96)의 윗면 플레이트(98)에 볼트로 단단히 조여진다.
외측 코어피이스(112)의 내부는 축방향의 관통보어를 형성하며, 내측 코어피이스(104)가 그속에 연장되어 외측 코어피이스에 관계하여 축방향 이동을 위해 지지된다. 내측 코어피이스(122)의 상측부 및 외측 코어피이스(112)의 관통보어는 모두 나팔꽃 모양으로 벌어진다. 제5도에 도시된 닫혀진 상태에서 내측 코어피이스(122)의 윗표면은 실제로 외측 코어피이스(112)의 윗표면과 동일표면을 가지며, 뚜껑의 형성과정중 뚜껑윗면의 내부표면 주요부를 형성시킨다. 외측 및 내측 코어피이스(112)(122)는 함께 윗면의 축방향 리세스(124)를 형성시키며 그속에서 뚜껑의 윗면 환상 봉합부재(30)가 형성된다. 내측 코어피이스(122)는 내측 코어피이스 주동체와 함께 빈틈없이 압착 접합되도록 하는 분리 가능의 상측 삽입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들 두 피이스의 결합으로 리세스(126)를 형성시킨다.
내측 코어피이스(122)는 또한 하나의 축방향 관통보어를 한정시키며, 녹아우트(knockout) 핀(130)이 그속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내측 코어피이스에 관계하여 축방향 이동을 위해 지지된다. 녹아우트 핀(130)은 핀의 저부로부터 외향연장된 작은 환상의 견부(132)를 가지며, 대체로 매끄럽고 견고한 원통형이다. 주형(50)이 제5도에 도시된 닫혀진 상태인때 녹아우트 핀(130)의 윗표면이 내측 코어피이스(122)의 윗표면과 동일평면을 이루며, 녹아우트 핀이 그로부터 하향연장되며 내측 코어부재를 통하여 그 저부아래의 위치로 연장된다. 하나 또는 둘이상의 급수통로(134)는 녹아우트 핀(130)을 관통하여 뚜껑이 형성되는 두형공동에 인접한 곳으로 주형공동내로 공급된 재료를 냉각시키기 위해 물을 안내하도록 연장된다.
스트립(strip)장치 (136)는 뚜껑을 코어장치(78)로부터 밀어 떠어내도로ㄷ 제공된다, 스트립장치(136)는 링(138)과 플레이트(140)를 포함한다. 링(138)은 코어장치(78) 둘레로 뚜껑이 형성되는 주형공동아래에 연장되어 뚜껑을 코어장치로부터 밀러 떼어내도록 하며, 링(138)이 플레이트(140) 위에 직접 놓아므로써 플레이트(140)이 상향이동이 링(138)을 상향 이동시키도록 한다. 주형(50)이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혀진 상태에 있을때 링(138)의 상측부는 외측 코어피이스(112)의 중간부 둘레에 빈틈없이 접합되어 뚜껑이 형성되는 주형공동의 하부를 형성시킨다.
링(138)의 외측부는 플레이트(140)의 윗표면(80)상에 휴지하는 방사상 외향연장의 견부(142)를 형성시킨다. 견부(142)와 표면(80)사이가 이같이 맞추어짐은 링(138)을 플레이트(140)와 함께 상향으로 밀어넣도록 한다. 링(138)의 하측부는 플레이트(140)의 중앙개구(146)내로 방사상 연장되며 폐쇄의 방사상 접합부내에서 코어장치(78)둘레로 링(138)을 안전하게 보지하도록 한다.
플레이트(140)는 주형이 제5도에서와 같이 닫혀진 상태에 있을때 상측 지지플레이트(98)위에 직접 휴지한다. 공동플레이트(60) 및 암부재(52)의 주형피이스(64)가 제5도에 도시된 이들의 닫혀진 상태로부터 상향이동되는 때 플레이트(140)는 한정된 거리로 지지플레이트(98)로부터 떨어져 자유로이 상향이동되며, 스프링(150)과 같은 장치가 지지플레이트에 관계하여 플레이트(140)를 상향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특히 플레이트(140)와 지지플레이트(98)는 다수의 리세스를 형성시키며, 보통 코일스프링으로 되어진 스프링(150)이 플레이트(140)(98)를 축방향으로 밀어붙이며 이들 리세스내에 위치한다. 물론 공기압 또는 수압실린더가 플레이트(140)를 지지플레이트(98)로부터 떼어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볼트(152)와 같은 장치(도면에는 단지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다)가 플레이트(98)로부터 그리고 지지플레이트를 향해 플레이트(140)의 축방향 이동을 안내하고 지지플레이트(140)가 지지플레이트로부터 떨어져 축방향 이동함을 한정시키도록 사용한다.
제1의 이젝터(ejector)장치(154)는 플레이트(92)(94)(96) 및 (100) 사이에 위치하며, 내측 코어피이스(122)에 맞추어져 뚜껑(10)을 외측 코어피이스(112)로부터 떼어 떨어지도록 내측 코어피이스를 상향밀도록 한다. 이젝터장치(154)의 플레이트(156)(158)는 폐쇄의 방사상 접촉부내 개구를 통하여 연장된 내측 코어부재(122)와 함께 중앙의 개구를 형성시킨다. 볼트(152)는 플레이트(156)와 플레이트(140) 사이에 연장되어 후자의 플레이트(140)와 함께 전자의 플레이트(156)를 축방 상향이동시키도록 하며 볼트(160)(도면에는 단지 하나만 도시됨)는 플레이트(158)를 일체의 축방 이동을 위해 플레이트(156)로 연결된다. 보통 스냅링으로 사용되어지는 보존링(162)은 내부 코어부재(122) 외측표면의 저부내에 형성된 환상의 요홈내에 고정되며, 그곳으로부터 방사상 외향연장 되고 플레이트(156)(158) 사이에 견고히 포획되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플레이트(158)의 상향이동은 링 그리고 코어부재(122)를 상향 작동시키며, 플레이트(156)의 하향이동은 링(162) 그리고 코어부재(122)를 하향 작용시킨다.
제2의 이젝터장치(164)는 제1의 이젝터장치 아래에 바로 위치하며, 녹아우트 핀(130)에 맞추어져 핀을 상향 밀어 움직인다. 제2이젝터장치(164)의 플레이트(166)는 이젝터장치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며 녹아우트핀(130)의 하부에 접한다. 이젝터장치(164)의 또다른 플레이트(168)는 플레이트(166)위에 위치하며, 볼트(170)에 의해(도면에는 단지 하나만 도시되어 있다) 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녹아우트 핀(130)이 연장되는 중앙의 축방개구를 형성시킨다.
플레이트(168)는 녹아우트 핀(130)의 견부(132)위로 직접 연장된 하향 마주하는 방사상 표면을 형성시킨다. 이같은 배치로 하여 플레이트(166)의 상향이동이 플레이트(166)와 녹아우트 핀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하여 녹아우트 핀(130)을 상향 작용시키며 플레이트(166)의 하향이동은 볼트(170), 플레이트(168) 그리고 그 견부(132)를 통해 녹아우트 핀을 하향 작용시킨다. 다음 플레이트(166)가 플레이트와 함께 일체의 상향 및 하향이동을 위해 핀(176)을 연결시킴으로써 한쌍의 녹아우트 바아(174)로 연결되어진다. 볼트(178)(도면에는 단지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음)는 제1의 이젝터장치(154)의 플레이트(158)에 고정되며 제2의 이젝터 장치의 플레이트(166)(168)를 통해 연장되어 주형(50)내에서 제2의 이젝터장치의 축방향 이동을 안내하도록 한다. 볼트(178)는 또한 제1의 이젝터장치가 제2의 이젝터장치에 관계하여 예정의 한정된 거리로 하향이동한 후에 제2의 이젝터장치(164)와 함께 제1의 이젝터장치(154)를 하향 당기도록 작용한다.
동작시에 주형(50)은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조장치(180)에 연결되어 먼저 주형(50)을 지지하고, 다음 녹아웃 바아(174), 암부재(52)의 상측장치 그리고 숫부재(54)의 스트립장치를 들어올리고 내려놓도록 작용시킨다. 실제 문제로써 다수의 주형(50)을 단일의 주조장치로 연결함이 보다 경제적일 것이다. 만약 이와 같이 행하여 진다면, 각 주형(50)에 뚜껑을 올리기 위한 분리장치, 주형의 스트립장치(136)를 제공함이 필요치 않음이 주목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20개 또는 30개의 주형(50)을 갖는 주조장치는 주형의 뚜껑 스트립장치를 들어올리기 위해 2,4 또는 6개의 공기압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5도에서, 용기의 뚜껑을 형성시키기 위해 폴리프로필린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가 오리피스(158)를 통해 주사되어 암부재(52)와 숫부재(54) 사이에 형성된 주형공동을 채우도록 한다. 냉각급수는 주형(50)의 급수 통로(72)(134)를 통해 안내되며, 주형공동내 플라스틱 재료가 냉각되어 굳어진다. 암부재(52) 및 숫부재(54)의 이와 같은 냉각, 특히 냉각수가 이들 부재를 통해 안내되는 비율은 뚜껑에 인접한 숫부재부의 온도가 뚜껑에 인접한 암부재부의 온도 이하로 유지되도록 조절된다. 예를 들어, 주형 공동에 인접한 암부재부(54)가 600℉를 유지되는 동안 주형공동에 인접한 숫부재부(52)는 400℉로 유지될 수 있다. 이같은 온도차이 때문에, 주형공동내 플라스틱 재료가 경화됨에 따라, 주형공동내 재료가 숫부재(52), 특히 숫부재의 코어부재(78) 위로 움추리어 공간이 뚜껑과 암부재(54), 특히 암부재의 주형피이스(54) 사이에서 발전하게 된다.
일단 뚜껑이 경화되면, 암부재(54)는 뚜껑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제4도와 제9도에서, 이같은 동작이 암부재(54) 상측장치를 상향 축방으로 이동시키고 암부재(54)의 하측장치를 뚜껑으로부터 방사상 떨어뜨리므로써 성취된다. 이는 실린더의 플레이트(186)를 들어올린 다음 클램프 플레이트(66), 공동플레이트(60), 그리고 주형(50)의 주형 피이스를 들어올리는 주형장치(180)의 실린더(184)를 팽창시키므로써 행하여진다. 공동 플레이트(60)에 의해 캠상에 가해진 압력으로 인하여 닫혀진 상태로 안정하게 보지되기 때문에 공동플레이트가 캠으로부터 떨어져 이동되자마자 이들 캠은 자동적으로 뚜껑으로부터 떨어져 표면(80)을 따라 외향 미끄러지게 된다.
주형피이스(64)와 뚜껑사이에 발전된 간격때문에 주형피이스가 마멸되거나 그 상측장치가 뚜껑으로부터 떨어져 이동되는 때 뚜껑을 잡아 당기거나 찢어지도록 하지 않는다. 물론 이는 주형피이스(64)가 뚜껑으로부터 떨어뜨려 이동시킴을 용이하게 하며 주형 피이스가 약하게 되거나 주형 피이스가 뚜껑으로부터 따라 떨어져 나오는 때 용기뚜껑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보장한다. 이는 뚜껑 스커트부의 외측벽 표면이 하향외측으로 점점 가늘어지는 것을 막아 뚜껑 스커트부의 외측벽표면이 뚜껑윗면에 직각이 되도록 뚜껑의 주조를 허용한다.
다음 뚜껑은 숫부재((54)로부터 떨어져 이동되며, 이는 스트립장치(136), 내측 코어피이스(122), 녹아우트 핀(130), 그리고 제1 및 제2이젝터장치(154)(156)의 통합조정이동을 통하여 행하여진다. 암부재(52)의 공동플레이트(60)가 상향이동됨에 따라 플레이트(140)는 스프링(150)에 의해 상향이동된다. 선택적으로 제11도에 묘사된 배치에 따라, 플레이트(140)는 자유로이 상향이동하게 되며, 플레이트(140)는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형(50)의 플레이트(140)에 단단히 고정된 실린더 플레이트(19)에 의해 상향 이동된다. 플레이트(140)가 상측으로 떠밀림에 따라 먼저 플레이트가 링(138)을 상향으로 떠밀며 다음 볼트(152), 제1이젝터장치(154), 그리고 코어장치(78)의 내측코어부재(122)를 상측으로 당긴다. 제9도에서, 링(138)이 상측으로 떠밀리는 때 링은 외측코어피이스(112)의 리세스(114)(116)로부터 리브(8) 및 나사선(4)을 떠밀며 뚜껑의 하부를 상측으로 떠민다.
당기어지는 것과는 반대로 리브(8)가 리세스(114)로부터 떠밀리기 때문에 리브(8)가 형성되는 리세스로부터 리브(8)가 떼어지는 때에 뚜껑의 단단하지 못한 부재(7)는 펴지지 못하고 오히려 압착되어진다. 따라서 뚜껑은 단단하지 못한 부재(7)에 적합한 인장력을 가하지 않고도 주형(5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링(138)이 뚜껑의 하부를 상측으로 떠밈과 동시에, 내측코어 피이스(122) 및 녹아우트 핀(130)은 용기뚜껑의 윗면을 외측코어 피이스(112)로부터 떼어 밀도록 상측으로 이동된다. 내측코어 피이스(122)는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볼트(152)에 의해 플레이트(140)와 함께 상측으로 당기어지는 제1이젝터장치(154)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된다. 녹아우트 핀(130)은 그 자체가 녹아우트 바아(174)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는 제2의 이젝터장치(164)에 의해 상측으로 당기어진다. 녹아우트 바아(174)는 주조장치(180)의 실린더(192)와 플레이트(194)에 의해 떠밀려진다.
스트립 플레이트(140), 링(138), 제1이젝터장치(154), 그리고 내측코어피이스(122)는 제1이젝터장치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56), 제1이젝터장치, 그리고 내측 코어피이스의 상향이동을 끝내면서 플레이트(98)에 접히는 때까지 계속하여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이젝터장치(154)의 플레이트(156)는 또한 플레이트(140)의 상향이동을 막으면서 볼트(152)의 상향이동을 막기도 한다. 플레이트(140)가 더 이상 상향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플레이트는 캠(74) 또는 링(38)을 더 이상 상향으로 작용시키지 않으며 캠과 링이 멈추게 플레이트(140), 링(138), 그리고 내측코어피이스의 상향이동이 끝나게 되는 때 플레이트(140), 링(138), 내측코어피이스(122), 그리고 녹아우트 핀(130)의 위치가 제8도에 도시되어 있다. 링(138)이 용기뚜껑의 나사선이 형성되는 리세스(116)를 통과하여 뚜껑의 리브(8)를 떠밀도록 사용됨을 주목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뚜껑의 단단하지 못한 부재(7)는 리브(8)가 그곳을 통과하여 상측으로 미끄러지는 때 리세스(116)의 상측표면과 접하여 마멸되는 경우에, 잡아당겨지지 않는다.
녹아우트 핀(130)은 제1도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상측으로 계속하여 자유로이 이동하며 제2이젝터장치(164)의 상향이동에 의해 더욱더 상향이동된다. 녹아우트 핀(130)은 뚜껑의 윗면 중앙부에 직접 접하며, 녹아우트 핀이 상측으로 떠밀려지는 때, 녹아우트 핀은 뚜껑을 내외측 코어피이스(112)(122)로부터 제10도내 도시된 위치로부터 제6도의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뚜껑을 완전히 따로 떼어 작용시킨다. 이와 같은 위치로부터 뚜껑은 녹아우트 핀(130)으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으며 손으로 주형(50)으로부 완전히 떼어내진다.
일단 뚜껑이 떼어내지면, 제5도에 도시된 위치로 제2이젝터장치(164)와 녹아우트 핀(130)을 하측으로 당기어 녹아우트 바아(174)가 제5도에 도시된 위치로 하측으로 당기어진다. 제2이젝터장치(164)의 윗면 플레이트(168)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때, 이 플레이트는 볼트(178)의 헤드를 속박시키어 볼트를 하측으로 당기며, 이는 제1이젝터장치(154)의 플레이트(158)를 하측으로 당기고 볼트(160)를 통하여 그 이젝터장치의 플레이트(156)를 역시 하측으로 당긴다. 플레이트(156)가 하측으로 내측코어피이트(102)를 작용시킴과 동시에 플레이트(140)를 하향으로 당기는 볼트(152)를 하향으로 작용시킨다. 링(138)과 캠(74)은 플레이트(140)와 함께 하향으로 당기어진다. 녹아우트 핀(130), 내측코어피이스(112), 캠(74), 스트립장치(136), 그리고 이젝터장치(154)(164)가 모두 하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암부재(52)의 상측장치는 그 닫혀진 위치로 하향이동되며, 이는 캠을 이들이 닫혀진 상태로 방사상 내향작용시키며, 주형(50)을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다.

Claims (22)

  1. 내부주형부재상에서 주조되며 나사선 목부와 나사선 목부아래에 위치하는 방사상 내향연장의 축방향으로 마주하는 견부(9)를 갖는 용기에 사용되도록 적용되는 플라스틱제 안전(pilfer-proof)뚜껑으로 그 뚜껑이 위면 벽(1), 용기의 나사선 목부(6)에 맞물려지기 위한 내부 나사선(4)을 갖는 디펜딩 스커트(depending skirt)(2), 그리고 단단하지 못한 장치에 의해 스커트의 하측단에 연결된 안전링(3)을 가지며, 방사상 내향연장의 잠금장치(8)가 뚜껑을 용기위에서 나사식 조임에 따라 견부(9)위에서 미끄러지도록 적용되고 뚜껑을 풀음으로써 단단하지 못한 장치(7)가 떨어지고 링(3)이 뚜껑의 스커트(2)로부터 분리되어 견부(9)에 속박되도록 적용되어지는 뚜껑에 있어서, 가) 단단하지 못한 장치(7)가 스커트(2)와 링(3)과 함께 축방향으로 배열되고, 나) 잠금장치(8)가 링내부 주변주위로 연장하는 반경방향 내향 돌기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돌기(15)는 반경방향 내향으로 면한 표면을 가지며 전술한 표면의 나머지의 반경방향 내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원주방향의 이격된 면(16)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가) 단단하지 못한 장치(7)가 전술한 다수의 원주방향의 이격된 면(16)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뚜껑.
  3. 제1항에 있어서, 가) 상기 돌기(15)가 축단면에서, 전술한 표면나머지의 반경방향 내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원주방향의 이격된 면(16)을 가진 반경방향 내향표면을 가진 일반적인 원추형을 가지며, 전술한 면 각각은 반경방향 내향인 만곡부분을 형성하고 전술한 전술한 표면의 나머지는 현(chordal)부분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뚜껑.
  4. 제3항에 있어서, 가) 뚜껑이 용기위에 나사식으로 완전히 조여지는 때, 원주위상 이격된 공간(16)이 용기의 견부아래에 위치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가) 원주위상 이격된 공간(16)이 서로 같은 간격을 갖도록 하며, 이격된 공간의 합이 잠금장치의 내측표면 반에 해당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가) 8개의 원주위상 이격된 공간(16)이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용기.
  7. 제3항에 있어서 제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가) 단단하지 못한 장치(7)가 분리부재를 포함하며, 분리부재 각각이 잠금부재의 현부(16)중 하나와 축방향으로 정돈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용기.
  8. 제1항, 제2항 혹은 제7항에 있어서, 가) 단단하지 못한 장치(7)가, 스커트(12)와 링(3) 둘다의 다른 대부분 두께와 동축으로 배열된 외표면과 스커트(12)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각기 가지고 있음이 특징인 안전뚜껑.
  9. 제8항에 있어서, 가) 잠금장치(8)의 돌기부(15)가 축방상향 마주하는 일직선 표면(12)이 용기(6) 견부(9)가 연장되는 각도와 거의 같은 각도로 배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가) 잠금장치(8)의 돌기부(15)가 축방하향 마주하는 절면표면(14)을 갖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용기.
  11. 측벽과 원주상 이격된 환상 리세스에 의해 측벽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단단하지 못한 부재에 의해 측벽으로 연결되는 링을 갖는 플라스틱 뚜껑을 제조하기 위한 주형(50)에 있어서, 가) 암부재(52)가 소켓(56)과 플라스틱 재료를 소켓(56)내로 안내하기 위한 오리피스(58)를 형성시키고, 나) 숫부재(54)가 소켓(56)내로 측방연장되어 암부재와 함께 주형공동을 형성토록 하는 코어장치(78)를 포함하며, 다) 암부재(52) 가i) 소켓의 상측부를 형성시키는 상측장치(60,62,64), ii) 소켓의 하측부를 형성시키며 방사상으로 이동가능한 다수의 캠부재를 갖는 하측장치, 뚜껑내에 원주위상 이격된 리세스를 형성시키기 위해 숫부재 코어장치(78)의 원주위상 이격된 섹션을 속박시키는 방사상 돌기부(76)을 갖는 캠부재(74)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뚜껑 성형용 주형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가) 캠부재(74) i) 캠부재(74)의 방사상 돌기부(76)가 숫부재(54)의 코어장치(78)를 속박하는 닫혀진 상태, ii) 캠부재가(74)가 뚜껑을 주형공동으로부터 떼어냄을 용이하게 하도록 숫부재(54)의 코어장치(78)로부터 이격된 열려진 상태 사이의 미끄럼 운동을 위해 숫부재 위에 휴지하고 숫부재에 의해 지지되어지며, 나) 하측장치가 i) 캠부재를 속박시키며 캠부재(14)를 이들의 열려진 상태로 밀착시키는 스프링장치(52), ii) 캠부재운동을 이들의 열려진 위치로 한정하는 스톱장치(80,84), 그리고 iii) 이들 열려진 상태와 닫혀진 상태 사이의 캠부재 운동을 안내하는 장치(86)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뚜껑 성형용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가) 캠(74)이 상측 방사상 내향으로 경사진 상측표면(90)을 포함하며, 나) 상측장치(60,62,64)가 캠의 상측표면(90) 바로 위에 하측표면(92)을 포함하고, 그리고 다) 상측장치(60)의 전술한 하측표면(92)이 캠(74)의 전술한 상측표면(90)을 속박하여 닫혀진 상태로 캠을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뚜껑 성형용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가) 상측장치(60)의 전술한 하측표면(92)이 상측장치(60)가 캠부재를 이들의 열려진 상태에서 닫혀진 상태로 이동시키기 위해 축방향이동되는 때 캠부재(74)의 전술한 상측표면(90)을 속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뚜껑 성형용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가) 숫부재(54)의 코어장치(78)가 i) 뚜껑의 환상리브를 형성시키기 위해 환상의 리세스를 갖는 외측피이스(112), 그리고 ii) 외측코어피이스(112)내에서 축방연장되며 외측코어 피이스에 관계하여 축방이동을 이해 지지되는 녹아웃핀(130)을 포함하며, 그리고 나) 숫부재가 i) 뚜껑리브(9)의 하부 가장자리를 외측코어피이스의 환상 리세스(114)로부터 축방으로 속박시키어 떠밀도록 축방 이동가능한 스트립장치(136), 그리고 ii) 뚜껑을 외측코어피이스(112)에서 떼어 밀도록 녹아웃핀(130)을 축방상향이동시키기 위해 녹아웃 핀에 연결된 장치(166)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뚜껑 성형용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가)스트립 장치(136)가 코어장치(78)로 둘레로 연장된 스트립 링(138)을 포함하여 뚜껑의 하부 가장자리를 속박시키고 뚜껑의 리브(8,9)를 외측코어피이스(112)의 환상리세스(114)로부터 떠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뚜껑 성형용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가) 숫부재(54)의 코어장치(78)가 i) 뚜껑의 환상리브를 형성시키기 위해 제1의 환상 리세스(114)와 뚜껑의 나사선을 형성시키기 위한 제2의 환상리세스(116)를 가지며, 그리고 ii) 외측코어피이스내에 축방연장되며 외측코어피어스(112)에 관계하여 축방이동을 위해 지지되는 녹아웃 핀(130)을 포함하며, 나) 숫부재가(54)가 i) 뚜껑의 리브(9)를 제1환상리세스(114)로부터 외측 코어피이스의 제2환상리세스(116)를 통과하여 떠밀도록 뚜껑의 하부가장자리를 속박시키기 위한 축방 이동가능의 스트립 장치(136), 그리고 ii) 뚜껑을 외측코어피이스(112)로부터 떼어 밀도록 녹아웃 핀(130)을 축방상향 떠밀기 위해 녹아웃 핀에 연결되는 장치(166)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뚜껑 성형용 장치.
  18. 주형(50)이 암부재(52) 및 숫부재(54)로 구성되며, 암부재가 소켓(56)의 상축부를 형성하는 상측장치(60,62,64)와 소켓(56)의 하측부를 형성하는 다수의 캠(74)을 포함하며, 숫부재(54)가 뚜껑이 형성되는 숫부재와 암부재 사이의 주형공동을 형성하기 위해 소켓내로 축방연장되어진 바, 이같은 주형으로부터 플라스틱 뚜껑을 제거하는 방법이, 가) 뚜껑으로부터 암부재의 상측장치(60,62,64)를 축방으로 떼어 떨어지도록 함과, 나) 뚜껑으로부터 암부재(52)의 캠(74)을 방사상으로 떼어 떨어지도록함과, 그리고 다) 뚜껑을 숫부재(54)로부터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숫부재(54)가 뚜껑의 환상리브가 형성되는 제1의 환상리브(114)를 포함되며, 숫부재로부터 뚜껑을 제거하는 단계가, 가) 제1의 환상리스세스(114)로부터 환상리브(8,9)를 떠밀기 위해 뚜껑의 하부가장자리를 축방향으로 떠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숫부재(54)가 제1의 환상리세스 위에 위치하는 제2의 환상리세스(116)를 포함하며 그 속에서 환상의 나사선이 형성되고, 숫부재로부터 뚜껑을 제거하는 단계가 가) 제2의 환상리세스를 통과하여 환상리브(8,9)를 떠밀기 위해 뚜껑의 하부 가장자리를 축방상향으로 떠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뚜껑이 형성되는 숫부재와 암부재 사이에서 공동을 형성하는 숫부재(54)와 암부재(52)를 형성하는 주형으로부터 플라스틱 뚜껑을 제거하는 방법이, 가) 뚜껑을 숫부재(54) 구성요소위로 움추리도록 함으로써 뚜껑과 암부재 구성요소 사이의 공간을 발전시키며, 나) 뚜껑으로부터 암부재(52) 구성요소를 제거하고, 그리고 다) 숫부재(54) 구성요소로부터 뚜껑을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주형공동이 숫부재(54)의 제1부분과 암부재(52)의 제1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바, 그 수축 단계가 가) 암부재(52)의 제1부분보다 낮은 온도로 숫부재(54)의 제1부분을 유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60700214A 1984-08-15 1985-02-21 안전뚜껑 및 그 제조방법과 장치 KR9100075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PCT/US85/00289 1984-08-15
US06/640,899 US4618121A (en) 1984-08-15 1984-08-15 Mold for forming plastic cap with perforation about the periphery of the skirt
PCT/US1985/000289 WO1986001179A1 (en) 1984-08-15 1985-02-21 Pilfer-proof cap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700560A KR870700560A (ko) 1987-12-30
KR910007518B1 true KR910007518B1 (ko) 1991-09-27

Family

ID=24570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700214A KR910007518B1 (ko) 1984-08-15 1985-02-21 안전뚜껑 및 그 제조방법과 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4618121A (ko)
EP (1) EP0202231A4 (ko)
JP (1) JPS62500019A (ko)
KR (1) KR910007518B1 (ko)
AR (1) AR245671A1 (ko)
BR (1) BR8506881A (ko)
CA (1) CA1270108C (ko)
DK (2) DK162200C (ko)
ES (3) ES295790Y (ko)
FI (1) FI861558A0 (ko)
IT (2) IT8553109V0 (ko)
MX (1) MX162358A (ko)
NO (1) NO861445L (ko)
PT (1) PT80014B (ko)
WO (1) WO19860011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9906A (en) * 1983-06-24 1989-04-11 Cochrane Benjamin A Mold for improved press-on cap and seal
US5037290A (en) * 1985-11-12 1991-08-06 Mt. Vernon Plastics Corporation Apparatus for molding a one-piece molded end closure
IL89091A (en) * 1988-02-16 1994-06-24 Aichinger Dietmar F Closure of containers and device for its production
AU624380B2 (en) * 1988-05-11 1992-06-11 Edward M. Brown Container closure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EP0370142A1 (en) * 1988-11-22 1990-05-30 Sankyo Engineering Co. Ltd. Slide core mold for injection molding
US4938679A (en) * 1989-05-18 1990-07-03 Cores Unlimited, A Partnership Collapsible core for molding closures having interrupted interior threads and the like
CA1330693C (en) * 1989-09-29 1994-07-19 William Nattel Mold and core for plastic material
DE4011784C2 (de) * 1989-10-05 1993-12-23 Geiger Plastic Verwaltung Formwerkzeug
DE4016350A1 (de) * 1990-05-21 1991-11-28 Frank Schellenbac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ntformung eines garantiebands einer verschlusskappe
US5061168A (en) * 1990-07-09 1991-10-29 Fox Alton L Modular unscrewing mold apparatus
US5340304A (en) * 1991-04-26 1994-08-23 Nissei Asb Machine Co., Ltd. Mold for injection molding preform with undercut lip
US5881909A (en) * 1993-02-01 1999-03-16 Maytag Corporation Plastic washing machine basket
US5368469A (en) * 1993-08-26 1994-11-29 Phoenix Closures, Inc. Apparatus for molding closures having tamper evident bands
JP3893419B2 (ja) * 1994-04-20 2007-03-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射出成形用金型
JP2812198B2 (ja) * 1994-04-28 1998-10-22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用パッドの製造方法
US6210624B1 (en) * 1994-06-20 2001-04-03 Critical Device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a reseal element for a needleless injection site
CA2148966C (en) * 1995-02-09 1997-03-04 Werner Scheliga Seamless molded skirt and process
US5609894A (en) * 1995-02-27 1997-03-11 Rathbun Family Real Estate Group Injection molding apparatus for producing plastic lids
US6099785A (en) * 1998-03-17 2000-08-08 Schweigert; Lothar Method for injection molding plastic closures
US6506330B1 (en) 1998-03-17 2003-01-14 Lothar Schweigert Apparatus and method for molding plastic closures
US6451572B1 (en) 1998-06-25 2002-09-17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Overexpression of phytase genes in yeast systems
FR2782699B1 (fr) * 1998-09-01 2000-10-06 Crown Cork & Seal Tech Corp Bouchon a vis presentant une ceinture d'inviolabilite a languettes retournees, moule et procede pour realiser ce bouchon
US6287106B1 (en) * 1999-07-09 2001-09-11 D. Blair Learn Injection mold cavity and dispensing cap manufactured therein
IT1313667B1 (it) * 1999-10-13 2002-09-09 Gefit Spa Stampo per la produzione di tappi in plastica per bottiglie.
US6382440B1 (en) 2000-03-10 2002-05-07 Alcoa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Closure having raised sidewall display elements
FR2806345B1 (fr) * 2000-03-17 2002-11-29 Cep Ind Moule pour l'injection d'un tube souple, et procede d'injection
US6355201B1 (en) 2000-09-07 2002-03-12 Captive Plastics, Inc. Tamper-indicating closure with resilient locking projections
ITBO20010228A1 (it) * 2001-04-18 2002-10-18 Sacmi Apparecchiatura a giostra per la fabbricazione, mediante stampaggio acompressione, di articoli in materiale plastico
TWI332822B (en) 2001-10-31 2010-11-11 Phytex Llc Phytase-containing animal food and method
FR2832951B1 (fr) * 2001-12-05 2004-05-14 Curtil Sa Module d'injection pour bouchons plastique a chariot
WO2003097321A1 (en) * 2002-05-15 2003-11-27 Swagelok Company Tool and method to create an accurate cast of the internal form of a component
US20060188601A1 (en) * 2005-02-18 2006-08-24 Mr. Garry Zydron Collapsible core using two sleeves and is spring loaded
US7919297B2 (en) 2006-02-21 2011-04-05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Mutants of Aspergillus niger PhyA phytase and Aspergillus fumigatus phytase
WO2008017066A2 (en) 2006-08-03 2008-02-07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Phytases with improved thermal stability
ITMO20070055A1 (it) * 2007-02-21 2008-08-22 Sacmi Dispositivo a stampo per formare oggetti
US8192734B2 (en) 2007-07-09 2012-06-05 Cornell Universit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bone strengthening
US8002538B2 (en) * 2007-11-13 2011-08-23 Garry Zydron Collapsible core assembly for a molding apparatus
FR2933676B1 (fr) * 2008-07-11 2010-08-27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Bouchon pour un col de recipient et machine de moulage d'une matiere plastique pour fabriquer un tel bouchon.
RU2384409C1 (ru) * 2008-11-06 2010-03-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Завод Упаковочных Изделий "Токк"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еталлопластикового или бипластикового изделия,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укупорочного колпачка для бутылки
CN101954719A (zh) * 2009-07-17 2011-01-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射出成型模具的顶出机构
EP2560803B1 (en) 2010-04-23 2015-07-22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olding apparatus
CN103737868B (zh) * 2013-12-31 2016-05-11 南烽精密机械(深圳)有限公司 一种塑料瓶盖模具的脱模机构及其实现方法
DE102019215330A1 (de) * 2019-10-07 2021-04-08 Henkel Ag & Co. Kgaa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inem Dosierverschluss
US11059633B2 (en) 2019-10-31 2021-07-13 Cheer Pack North America Flip-top closure for container
FR3111092B1 (fr) * 2020-06-04 2022-06-10 Poetic Dispositif et procede pour la fabrication d’un objet en matiere plastiqu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18532A (en) * 1930-05-02 1933-07-18 Inland Mfg Co Molding press
US2948031A (en) * 1957-09-09 1960-08-09 Thomas L Webb Piston molding core
US3325576A (en) * 1964-02-03 1967-06-13 Kessler Milton Method of making unitary plastic sealing cap
US3905740A (en) * 1973-11-19 1975-09-16 Beatrice Foods Co Molding apparatus
FR2261937B1 (ko) * 1974-02-21 1979-05-25 Captocap Ltd
US4147268A (en) * 1976-09-24 1979-04-03 Patel Chandrakant S Pilfer-proof closure for containers
AU516094B2 (en) * 1977-12-14 1981-05-14 Metal Closures Group Limited Closures for containers
US4286766A (en) * 1980-04-18 1981-09-01 Holdt J W Von Collapsible mold core
US4461390A (en) * 1980-04-21 1984-07-24 General Kap (P.R.) Corporation Tamper-evident plastic closure
US4322012A (en) * 1980-05-09 1982-03-30 Dairy Cap Corporation Threaded plastic bottle cap
US4383819A (en) * 1980-07-16 1983-05-17 Letica Corporation Apparatus for forming a container
US4496302A (en) * 1982-06-04 1985-01-29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Inc. Apparatus for molding plastic articles
US4503985A (en) * 1983-10-20 1985-03-12 Owens-Illinois, Inc. Tamper indicating package with large diameter opening
US4502660A (en) * 1983-11-21 1985-03-05 Luther Leroy D Mold including side walls with locking projections
US4552328A (en) * 1984-01-05 1985-11-12 Sun Coast Plastics, Inc. Mold for making tamper-proof closure
US4541795A (en) * 1984-07-31 1985-09-17 James R. Goldberg Injection mold for a bottle closur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861445L (no) 1986-06-10
IT8553109V0 (it) 1985-03-08
EP0202231A4 (en) 1988-09-28
CA1270108C (en) 1990-06-12
IT1199861B (it) 1989-01-05
AR245671A1 (es) 1994-02-28
ES8707883A1 (es) 1987-09-01
MX162358A (es) 1991-04-26
ES557338A0 (es) 1987-09-01
DK76388D0 (da) 1988-02-15
DK162200C (da) 1992-03-16
ES295790U (es) 1987-11-01
DK169286A (da) 1986-06-04
ES8704791A1 (es) 1987-04-16
DK158603C (da) 1990-11-19
DK158603B (da) 1990-06-18
FI861558A (fi) 1986-04-14
PT80014A (en) 1985-03-01
JPS62500019A (ja) 1987-01-08
DK169286D0 (da) 1986-04-14
ES295790Y (es) 1988-05-16
KR870700560A (ko) 1987-12-30
DK162200B (da) 1991-09-30
CA1265765A (en) 1990-02-13
ES551214A0 (es) 1987-04-16
US4618121A (en) 1986-10-21
DK76388A (da) 1988-02-15
IT8567235A0 (it) 1985-03-08
BR8506881A (pt) 1986-12-09
PT80014B (en) 1986-10-28
EP0202231A1 (en) 1986-11-26
FI861558A0 (fi) 1986-04-14
WO1986001179A1 (en) 1986-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7518B1 (ko) 안전뚜껑 및 그 제조방법과 장치
US4806301A (en) Process of removing a plastic cap from a mold
US4552328A (en) Mold for making tamper-proof closure
US4526282A (en) Tamper proof closure cap, method, and tool for making same
US5281385A (en) Injection molding system for threaded tamper indicating closures
US41556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of plastic closures
CA2013908C (en) Container with a unitary closure and method for making same
SK98895A3 (en) Scwrew-top closure, method of its manufacture, scwrew-top closure assembly with vessel and mould for carrying out the method
US5783138A (en) Method for molding an edge provided between a mouth portion and a body portion of a plastic molded hollow article
US5820807A (en) Staged, sequentially separated injection mold method for forming container closures
CA3154253A1 (en) Closure device for container
CZ162995A3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closure
CN113788220A (zh) 一种封闭件、模具堆叠、模具及模制系统
US4667838A (en) Tamper-evident closure with ribbed skirt
US4890754A (en) Pilfer-resistant plastic closure
US4209101A (en) Tamper-proof closur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30127418A1 (en) Tamper evident closure
EP2928662B1 (en) A package closure and a device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package closure and use of such a device
US7150847B2 (en) Staged, sequentially separated injection mold
US4555039A (en) Pilfer-proof cap
JPS59204512A (ja) タンパ−プル−フ閉鎖キヤツプ、その製造方法、製造工具
US5005720A (en) Plastic cap with breakaway tamper band and method of forming same
CA2447430C (en) Staged, sequentially separated injection mold
CA1270108A (en) Method for making pilfer-proof cap
JPH04311461A (ja) ピルファープルーフ特性を有する合成樹脂製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