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517Y1 - 마이콤 제어 릴레이 오동작 방지회로 - Google Patents

마이콤 제어 릴레이 오동작 방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517Y1
KR910007517Y1 KR2019870023623U KR870023623U KR910007517Y1 KR 910007517 Y1 KR910007517 Y1 KR 910007517Y1 KR 2019870023623 U KR2019870023623 U KR 2019870023623U KR 870023623 U KR870023623 U KR 870023623U KR 910007517 Y1 KR910007517 Y1 KR 9100075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computer
relay
key
switching element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36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265U (ko
Inventor
박종승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236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7517Y1/ko
Publication of KR8900142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2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5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5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1Plc I-O input output
    • G05B2219/1108Relay modu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Relay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마이콤 제어 릴레이 오동작 방지회로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라 블럭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회로도.
제3도는 제2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제4도는 종래 기술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명령키부 3 : 마이콤
4 : 스위칭소자 5 : 릴레이
6 : 펄스적분회로 7 : 게이트 회로
8 : 스위칭소자
본 고안은 마이콤 제어 릴레이의 오동작방지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이콤의 오동작으로 인한 릴레이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마이콤 제어 릴레이의 오동작 방지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이콤 응용기술의 발달로 사용상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해 마이콤을 채택하는 가전제품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가전제품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통상 명령키부(2)의 키입력을 마이콤(3)으로 받아들여 내부프로그램에 의해 연산처리하여 명령을 인식하고 이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소자(4)를 온/오프시켜 부하 구동용 릴레이(5)를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명령키부(2)의 키입력시 발생되는 노이즈, 또는 마이콤(3)의 내부 프로그램의 파괴등으로 인한 마이콤(3)의 오동작시에는 릴레이(5)의 오작동으로 소정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불의의 치명적인 경제적 손해를 입힐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릴레이에 두개의 스위칭소자를 직렬로 접속하고 하나의 키입력을 동시에 인식하는 마이콤과 아날로그회로에 의해 상기 스위칭소자를 각각 구동함으로써 마이콤의 오동작으로 인한 릴레이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마이콤 제어 릴레이의 오동작방지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은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명령키부의 키입력을 마이콤으로 받아들여 내부 프로그램에 의해 연산처리하여 명령을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소자를 온/오프시켜 부하 구동용 릴레이를 제어하는 장치에 상기 마이콤에 입력되는 키입력을 상기 마이콤과 동시에 받아들이는 펄스적분회로와, 이 펄스적분회로의 일정 적분치 이상에서 게이트 되는 게이트회로와, 이 이 게이트회로에 의해 온/오프되고 상기 스위칭소자와 상기 부하구동용 릴레이사이에 개재시켜 접속되는 스위칭소자와를 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블럭도로서, 이것은 마이콤(3)의 출력 포트(P1-P4)로 부터 4가지의 펄스신호를 받아 매트릭스형 명령키부(2)의 키동작에 따라 상기 마이콤(3)의 입력포트(S1-S3)에 상기 4가지의 펄스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되도록 접속하고 부하구동용 릴레이(5)에 스위칭소자(4) (8)를 직렬로 접속하고 스위칭소자(4)의 제어입력란은 마이콤(3)의 출력포트(P4)에 접속하고 스위칭소자(8)의 제어입력단은 게이트회로(7) 및 펄스적분회로(6)를 통하여 명령키부(2)의 특정키(KEY)의 일단에 접속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펄스적분회로(6)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키(KEY)의 일단에 베이스가 접속되고 클렉터가 접지된 NPN형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에 충방전 콘덴서(C)의 정단자를 접속하고 이 충방전 콘덴서(C)의 부단자는 -5V전원에 접속하며 또한 상기 에미터와 -5V 전원사이에 저항(R1)및 저항(R2)을 직렬 접속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게이트회로(7)는 접지와 -5V전원사이에 저항(R3)및 저항(R4)과 실리콘제어정류소자(SCR)를 직렬 접속하고 이 실리콘 제어정류소자(SCR)의 게이트 단자에는 상기 저항(R1) 및 저항(R2)의 공통접점을 접속하여 상기 실리콘 제어정류소자(SCR)의 애노우드에는 저항(R5)을 통해서 트랜지스터(TR2)의 에미터를 접속하고 이 트랜지스터(TR2)의 클렉터는 -5V전원에 접속하고 베이스는 마이콤(3)의 출력포트(Q1)에 접속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스위칭소자(8)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마이콤(3)의 출력포트(Q2)에 베이스가 접속되고 에미터가 접지된 PNP형 트랜지스터(TR4)로 구성된 스위칭소자(4)의 콜렉터에 에미터가 접속되고 -16V전원에 일단이 접속된 릴레이(5)코일의 타단에 저항(R7)을 통해 콜렉터가 접속된 PNP형 트랜지스터(TR3)로 된것이다. 미설명 부호 R6는 저항, 9는 전원부, 10은 부하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마이콤(3)의 출력포트(P4)에서는 제3-(a)도의 펄스신호가 출력된다.
사용자가 제3-(b)도의 시간 t0에서 키(KEY)를 누르면 마이콤(3)의 입력포트(S3)에 상기 펄스신호가 제3-(c)도의 시간 t0에서 입력되고 마이콤(3)은 제3-(c)도의 시간 t3에서 키입력을 인식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제3-(b)도의 시간 t0으로부터 시간 t5까지의 키(KEY)를 한번 눌렸다 떼는 시간내에 마이콤(3)에서는 키입력을 마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3-(c)도의 펄스신호는 시간 t0부터 시간 t3사이에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인가되고 펄스신호의 하이레벨동안에 트랜지스터(TR1)는 도통되어 제3-(d)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충방전콘덴서(C)는 충전되므로 시간 t0로 부터 시간 t3사이에 입력되는 펄스신호를적분하게 된다 상기 충방전 콘덴서(C)의 적분치는 저항(R1)을 통해서 실리콘제어 정류소자(SCR)의 게이트단자에 인가되고 이 적분치가 제3-(d)도의 시간 t2에서 실리콘제어 정류소자(SCR)이 게이드정격 전압치(VG)에 도달하면 실리콘제어 정류소자(SCR)의 애노우드, 캐소우드간은 제3-(e)도의 시간 t2에서 도통상태로 되어 키입력을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스위칭소자(8)의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단에 로우레벨신호가 인가되어 제3-(f)도의 시간 t3에서 트랜지스터(TR3)는 도통상태로 된다.
한편 키(KEY)입력을 인식한 마이콤(3)에서는 출력포트(Q2)에 제3-(g)도의 시간 t4에 로우레벨신호를 내보내어 스위칭소자(4)인 트랜지스터(TR4)를 도통시킴으로 릴레이(5)는 제3-(i)도의 시간 t4에서 온상태로 구동되어 전원부(9)로 부하(10)에 전력 공급이루어지게 된다. 릴레이 오프동작은 제3-(g)도의 시간 t6에서 마이콤(3)의 출력포트(Q2)의 하이레벨신호의 출력으로 스위칭소자(4)를 오프시킴으로써 이루어지며 또한 마이콤(3)의 출력포트(Q1)에 제3-(j)도의 시간 t7에서 시간 t8사이에 로우레벨신호를 출력시켜 이시간(t7-t8)동안 트랜지스터(TR2)를 제3-(k)로에 도시한 바와같이 도통시킴으로써 실리콘 재어 정류소자(SCR)의 애노우드, 캐소우드간을 차단시킨다.
이에 스위칭소자(8)는 오프상태로 된다.
상기 마이콤(3)의 출력포트(Q1) (Q2)의 출력신호에 따라 스위칭소자(8) (4)를 오프시킬 수 있으며 이 스위칭소자(8) (4)의 어느 하나를 오프시키면 릴레이(5)는 오프상태로 설계자에 따라 양자택일 할 수 있을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명렬키부(2)의 키입력시 발생되는 노이즈나 또는 마이콤(3)의 내부 프로그램의 파괴등으로 마이콤(3)이 오동작하게 될 경우 릴레이 (5)의 오작동으로 불의의 치명적인 경제적인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대응되는 키(KEY)동작에 의해서만 릴레이(5)가 작동되도록 상기 키(KEY)동작을 펄스적분회로(6) 및 게이트회로(7)로 인식하여 스위칭소자(8)를 온/오프 시키고 또한 동시에 마이콤(3)에 의해 상기 키(KEY)동작을 인식하여 스위칭소자(4)를 온/오프 시켜 상기 두개의 스위칭소자(8) (4)의 앤드논리 스위칭동작을 만족할 경우에만 릴레이가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마이콤(3)의 오동작으로 인한 릴레이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명령키부(2)의 키입력을 마이콤(3)으로 받아들여 내부 프로그램에 의해 연산처리하여 명령을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소자(4)를 온/오프 시켜 부하구동용 릴레이(5)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3)에 입력되는 키입력을 상기 마이콤(3)과 동시에 받아들이는 펄스적분회로(6)와, 이 펄스 적분회로(6)의 일정적분치 이상에서 게이트되는 게이트회로(7)와, 이 게이트회로(7)에 의해 온/오프되고 상기 스위칭소자(4)와 상기 부하구동용 릴레이 (5)사이에 개재시켜 접속되는 스위칭소자(8)와를 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콤 제어 릴레이 오동작 방지회로.
KR2019870023623U 1987-12-29 1987-12-29 마이콤 제어 릴레이 오동작 방지회로 KR9100075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3623U KR910007517Y1 (ko) 1987-12-29 1987-12-29 마이콤 제어 릴레이 오동작 방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3623U KR910007517Y1 (ko) 1987-12-29 1987-12-29 마이콤 제어 릴레이 오동작 방지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265U KR890014265U (ko) 1989-08-10
KR910007517Y1 true KR910007517Y1 (ko) 1991-09-27

Family

ID=19270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3623U KR910007517Y1 (ko) 1987-12-29 1987-12-29 마이콤 제어 릴레이 오동작 방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51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265U (ko) 1989-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38074A (en) Power switch
EP4027160A1 (en) Universal plug status detection circuit
KR910007517Y1 (ko) 마이콤 제어 릴레이 오동작 방지회로
US7444172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radio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hands-free kit
GB1375644A (ko)
KR100461635B1 (ko) 리셋회로
JPH082894Y2 (ja) 電源スイッチ回路
JPS6114317Y2 (ko)
JPH0368211A (ja) 切換装置
KR860003421Y1 (ko) 원격 조정 전원 회로
JPH0537322A (ja) 制御信号の出力回路
JPS644289Y2 (ko)
SU1177906A1 (ru) Переключ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930005759B1 (ko) 타이머를 이용한 조리시간제어형 전자조리기
KR880000810Y1 (ko) 원격 제어 장치의 전원 공급회로
JPH069553Y2 (ja) 電源回路
JPH0631693Y2 (ja) 直流電磁石コイルの定電圧駆動回路
KR900001735Y1 (ko) 자동응답 전화기의 통화종료 감지회로
SU1045385A1 (ru) Коммутатор
JPH0438597Y2 (ko)
JPS6444621A (en) Solid-state relay
JP2000251560A (ja) 誘導性負荷の駆動回路
JPH05205352A (ja) 電源起動回路
JPH08328601A (ja) マイコン制御負荷駆動装置
JPS6464006A (en) Action mode switching device for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121 Withdrawal of opposition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