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810Y1 - 원격 제어 장치의 전원 공급회로 - Google Patents

원격 제어 장치의 전원 공급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810Y1
KR880000810Y1 KR2019850007928U KR850007928U KR880000810Y1 KR 880000810 Y1 KR880000810 Y1 KR 880000810Y1 KR 2019850007928 U KR2019850007928 U KR 2019850007928U KR 850007928 U KR850007928 U KR 850007928U KR 880000810 Y1 KR880000810 Y1 KR 8800008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remote control
control device
diod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79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1356U (ko
Inventor
이윤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500079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0810Y1/ko
Publication of KR8700013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3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8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8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1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DC powered loa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격 제어 장치의 전원 공급회로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전원 공급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하 2 : 원격 제어 장치
SCR1: 다이리스터 D1-D4: 다이오드
C1,C2: 콘덴서 R1,R2: 저항
SW1: 전원스위치 SW2: 구동스위치
본 고안은 텔레비젼 수상기등을 원격 제어하기 위하여 설치된 원격 제어 장치의 전원 공급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텔레비젼 수상기가 동작될 경우에는 용량이 큰 콘덴서에 충전시키고, 텔레비젼 수상기가 동작되지 않을 경우에는 그 콘덴서에 충전된 전원을 원격 제어 장치에 인가하여 텔레비젼 수상기에 전원을 차단시킨 상태에서도 일정시간 이내에에서는 원격 제어할 수 있게한 원격 제어 장치의 전원 공급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텔레비젼 수상기를 동작시키지 않는 상태에서도 원격 제어 장치에는 별도의 전원회로로 계속 전원을 공급하여 원격 제어를 할 수 있게 하였으나, 이는 많은 전력이 소모되는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함을 감안하여, 원격 제어 장치에 동작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별도의 전원회로를 구성하지 않고, 콘덴서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텔레비젼 수상기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일정시간 이내에서는 원격 제어할 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류전원 입력단자(AC)를 병렬로 접속된 전원스위치(SW1) 및 다이리스터(SCR1)와 저항(R1)을 통해 접지 콘덴서(C1) 및 부하(1)의 전원 입력단자(A1)에 접속하고, 그의 전원 출력단자(A2)는 다이오드(D1)를 통해 콘덴서(C2) 및 다이오드(D2)의 애노드에 접속함과 동시에 그 접속점을 다이오드(D3) 및 저항(R2), 접지 콘덴서(C3), 다이오드(D4)를 통해 상기 다이오드(D2)의 캐소드 및 적외선 다이오드(ID)가 접속된 원격 제어 장치(2)의 전원 입력단자(B1), 일측접점이 원격 제어 장치(2)의 전원 입력단자(B2)에 접속된 구동스위치(SW2)의 타측 접점에 공통 접속하며, 원격 제어 장치(2)의 출력단자(B3)는 상기 다이리스터(SCR1)의 게이트에 접속하여 구성한 것으로, 상기에서 원격 제어 장치(2)는 전원 입력단자(B1)에 고전위가 인가된 상태에서 전원 입력단자(B2)에 고전위가 인가되거나 또는 적외선 다이오드(ID)에 적외선이 입사될 때마다 출력단자(B3)에 출력된 전위의 상태가 변환하게 하고, 콘덴서(C2)의 용량은 작고, 콘덴서(C3)의 용량은 매우 큰 것을 사용하며, 전원스위치(SW1) 및 구동스위치(SW2)는 연동되게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류전원 입력전자(AC)에 교류전원이 인가되고, 전원스위치(SW1)를 단락시켜 그 교류전원이 저항(R1)을 통해 부하(1)의 전원 입력단자(A1)에 입력되면, 그의 전원 출력단자(A2)에는 고전위가 출력되어 다이오드(D1)를 통해 콘덴서(C2)충전된다.
이때 콘덴서(C2)의 용량은 작아 금방 충전되고, 그 충전된 고전위는 다이오드(D2)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2)의 전원 입력단자(B1)에 인가됨과 동시에 상기의 전원스위치(SW1)와 연동되어 단락된 구동스위치(SW2)를 통해 전원 입력단자(B2)에 인가되므로 원격 제어 장치(2)의 출력단자(B3)에는 고전위가 출력되어 다이리스터(SCR1)의 게이트에 인가되고, 이에따라 다이리스터(SCR1)는 도통되어 전원스위치(SW1)가 개방되어도 교류전원이 다이리스터(SCR1) 및 저항(R1)을 통해 부하(1)의 전원 입력단자(A1)에 인가되므로 그의 전원 출력단자(A2)에는 계속해서 고전위가 출력되어 원격 제어 장치(2)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고, 또한 그 고전위는 다이오드(D1)(D2) 및 저항(R2)을 통해 용량이 매우 큰 콘덴서(C3)에 충전된다.
이와같이 다이리스터(SCR1)가 도통되어 부하(1)에 교류전원이 인가되고, 그의 전원 출력단자(A2)에는 고전위가 출력되어 원격 제어 장치(2)의 전원 입력단자(B1)에 인가됨과 동시에 콘덴서(C3)에 충전되는 상태에서, 구동스위치(SW2)를 단락시키거나 또는 적외선 다이오드(ID)에 적외선이 입사되게하면, 고전위가 출력되던 원격 제어 장치(2)의 출력전자(B3)에 저전위가 출력되어 다이리스터(SCR1)의 게이트에 인가되므로 다이리스터(SCR1)는 오프되어 부하(1)에 교류전원이 인가되지않고, 이에따라 부하(1)의 동작이 정지됨과 동시에 전원 출력단자(A2)에 저전위가 출력되어 이때부터는 상기의 콘덴서(C3)에 충전된 전원이 다이오드(D4)를 통해 방전하면서 원격 제어 장치(2)의 전원 입력단자(B1)에 고전위를 인가하게 되고, 이때 원격 제어 장치(2)의 전원 입력단자(B1)의 입력 임피이던스 값을 크게하면 콘덴서(C3)에 충전된 전원이 천천이 방전하여 오랜시간동안 전원 입력단자(B1)에 고전위를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부하(1)에 교류전원이 차단되어 동작이 정지된 상태에서도 일정시간 이내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2)는 동작되어 적외선 다이오드(ID)에 적외선이 입사되게하면 원격 제어 장치(2)의 출력단자(B3)에 고전위가 출력되므로 상기에서와 같이 다이리스터(SCR1)이 도통되어 부하(1)에 교류전원이 입력되게 된다.
그리고, 너무 오랜시간이 경과되어 콘덴서(C3)에 충전된 전원이 완전히 방전되면 원격 제어 장치(2)의 전원 입력단자(B1)에 고전위가 인가되지 못하므로 부하(1)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다시 전원스위치(SW1) 및 구동스위치(SW2)를 단락시켜 부하(1)에 교류전원이 인가되게 해야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부하(1)에 교류전원이 입력되어 동작될 경우에는 콘덴서(C3)에 전원을 충전시키고, 동작되지 않을 경우에는 콘덴서(C3)에 충전된 전원으로 원격 제어 장치(2)에 고전위를 인가하여 원격 제어할 수 있게되므로 절전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부하(1)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회로에 있어서, 교류전원 입력단자(AC)를 게이트가 상기 원격 제어 장치(2)의 출력단자(B3)에 접속된 다이리스터(SCR1) 및 저항(R1)을 통해 부하(1)의 전원 입력단자(A1)에 접속하여 그의 전원 출력단자(A2)를 다이오드(D1)를 통해 콘덴서(C2) 및 다이오드(D2)에 접속하고, 그 접속점을 다이오드(D3) 및 저항(R2), 접지 콘덴서(C3), 다이오드(D4)를 통해 상기 다이오드(D2)의 캐소드 및 상기 원격 제어 장치(2)의 전원 입력단자(A1), 일측 접점이 전원 입력단자(B2)에 접속된 구동스위치(SW2)의 타측 접점에 접속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장치의 전원 공급회로.
KR2019850007928U 1985-06-28 1985-06-28 원격 제어 장치의 전원 공급회로 KR8800008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7928U KR880000810Y1 (ko) 1985-06-28 1985-06-28 원격 제어 장치의 전원 공급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7928U KR880000810Y1 (ko) 1985-06-28 1985-06-28 원격 제어 장치의 전원 공급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356U KR870001356U (ko) 1987-02-20
KR880000810Y1 true KR880000810Y1 (ko) 1988-03-15

Family

ID=19243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7928U KR880000810Y1 (ko) 1985-06-28 1985-06-28 원격 제어 장치의 전원 공급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081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356U (ko) 1987-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44854A (en) Light-emitting diode connected to a coil
US3816763A (en) Zero voltage switching photon coupled relay
EP0392831A3 (en) Power transistor drive circuit with improved short circuit protection
JPH01111383A (ja) フオトカプラー
CA2103133A1 (en) Power Switch with Inrush Current Control
EP0056481A3 (en) Transistor inverter device
KR880000810Y1 (ko) 원격 제어 장치의 전원 공급회로
US7319282B2 (en) Switch circuit
US3030554A (en) Control for a plurality of load devices
EP0061744A3 (en) Transistor inverter device
KR870002208Y1 (ko) 원격 제어 장치의 전원 공급회로
KR890005768Y1 (ko) 리모콘 텔레비젼의 전원회로
KR850002668Y1 (ko) 원격제어기기의 단일전원스위치 제어회로
JPH07118911B2 (ja) 低電圧保護回路
KR820000885Y1 (ko) 솔레노이드(solenoid)의 전압인가장치
KR890002886Y1 (ko) 리모콘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원격제어 장치의 전원 공급회로
US5043611A (en) Thyristor controller
SU76316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двигателем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
KR830000294Y1 (ko) 개로시 지연 타이머
KR870003120Y1 (ko) 오프 타이머 구동장치
US3293454A (en) Indicator lamp control circuit employing charge-controlled timing capacitor coupling cascaded transistors
KR850000211Y1 (ko) 원격 제어 기기의 단일 전원스위치 회로
KR910002837Y1 (ko) Tv 수상기용 자동 슬립 스위칭 장치
KR0134541Y1 (ko) 전원 공급 장치의 온/오프 제어장치
KR890004424Y1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초기과도전류 제한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12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