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193B1 - 편조보강호스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편조보강호스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10007193B1 KR910007193B1 KR1019840008202A KR840008202A KR910007193B1 KR 910007193 B1 KR910007193 B1 KR 910007193B1 KR 1019840008202 A KR1019840008202 A KR 1019840008202A KR 840008202 A KR840008202 A KR 840008202A KR 910007193 B1 KR910007193 B1 KR 9100071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se
- reinforcing member
- core
- reinforcement
- braid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장치부위를 부분확대한 확대도면.
제3도는 제1도의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보강호스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편조보강호스 12 : 호스제조장
14 : 편조형성기 16 : 보강부
26 : 라이너 28 : 피복
30 : 경화장치 32 : 이송수단
33, 34 : 압출기 50 : 심부
73 : 경화탱크 74 : 염분용액
본 발명은 호스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편조보강호스의 제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강호스는 고압에서 액체함유를 요하는 여러 조건의 응용에 쓰인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편조보강부재는 고압가동에 충분한 힘을 제공한다. 54°44'에 근사하게 되는 최적"중립 또는 고정된 각"으로 완성된 보강호스를 갖는 것은 만족스러운 일이다. 이 최적각은 압력이 가해지는 동안 길이나 기계조정에 필요치 않은 팽창에서 호스를 견제한다.
몇 가지 과정이 연속적인 원리에 근거하여 편조된 구조적 보강호스 생산을 위해 개발되어 왔다. 한 위치에서 라이너 형성의 평상적 요구는 다른 위치에서 라이너에 구조 보강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이어지며, 또한 호오스를 추출하여 경화하고, 아울러 다른 장소에서 보강부재 위에 피복을 형성한다. 이런 과정에서 호스를 금속보강재를 편조하기 위해, 호스에 금속보강을 편조하기 앞서 라이너에 구조보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조작동중에 높은 인장하중이 금속 끈에 쓰여지는 것이 필요하다. 구조보강재 없이는 금속끈이 라이너 물체를 통해 끼어들게 된다. 쉽게 알 수 있는 것처럼,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는, 편조보강호스를 생산하기 위해 많은 생산공간이 요구되며, 따라서, 호스의 생산단가가 비싸게 먹히는 단점이 있다.
연속적으로 호스를 제조하기 위한 또다른 과정에서는 심부로부터 보강재층을 인발하고 동시에 심부의 한쪽단에서 보강재층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링형의 오리피스를 통해서 탄력성 물질을 끌어냄으로써 이어지는 심부상에 구조적 보강층을 형성한다.
호오스의 외부층에 사용되는 재료는 보강부재내의 개구를 통해 힘이 가해지는 탄력성물질에 의해 공급된다.
고압의 호스를 만드는 경우에는, 촘촘하게 짜여진 금속제 보강부재가 매우 적당하게 쓰여진다. 결국, 편조보강부재내의 개구, 즉 갈라진 구멍은 너무 작아서 외부 피복을 만들기 위해 공급되는 많은 양의 탄력성 물질이 통과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다. 더구나, 각각 다른 물질을 재료로 하여 라이너 및 피복을 형성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며, 호스의 최상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호스의 피복 및 라이너의 특성이 서로 상이해야만 한다.
또다른 과정에서는 예정된 편조각에서 현존하는, 또는 종래의 내부 라이너상에 보강부재를 첨가하고 다음에 호스를 경화하여 종래 형식과 같은 호스감개에 호스를 감는 과정이 포함된다. 이러한 과정에서는 또한 넓은 작업공간이 필요하고 아울러 편조부재의 견고성은 라이너의 비파괴 성능에 관련이 있게 된다.
또다른 호스의 제조과정에서는, 예정된 편조각에서 라이너상에 편조보강부재를 형성하기 위해 편조를 위한 방사나 혹은 방사 및 금속의 혼합체를 사용하게 된다. 형성된 호스는 가열을 받아 편조각이 54°의 고정각에 거의 근접하도록, 그리고 라이너상의 보강부재에 꽉짜인 피복을 제공할 수 있도록 방사를 수축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는 수축가능방사의 사용이 필요하고 따라서, 고강도의 보강부재를 제공할 수 있는 모든 금속제의 끈을 사용할 수는 없는 것이었다.
따라서 발명에서의 주된 목적은 이상에서 상술한 종래 형식의 장치 및 방법에서 생겼던 문제점들을 극복하여 해결하고자 함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하는 도면을 참고로 상세한 설명을 한다. 즉, 도면 1,3을 참조하면, 보강 탄성중합체 호스(10)를 연속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장치는 참조번호(12)로 알려져 있다. 장치(12)는 내외표면(18,20)을 갖춘 관상편조보강부재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종래의 편조형성기(14), 마치 고부처럼 보강부재(16)에 지지된 탄성중합체로부터 라이너(26)와 피복(28)을 압출하는 1,2차 요소(22,24), 호스가 압출기를 빠져나온 후 호스를 경화하는 경화장치(30), 호스압출비율보다 더 빠른 선비율에 경화매체를 통해 호스를 연속적으로 인발하는 이송수단(32)를 포함한다. 탄성중합체 물질을 압출하는 1,2차 요소(22,24)는 기단부(35)에 설치된 1,2차 압출기(33,34)와 압출기(33,34)에 각각 연결된 부분을 갖는 다이장치 및 다이장치(36)에 압출기(33,34)를 각각 연결하는 통로(38,40)을 포함한다. 압출기(33,34) 각각은 각각의 압출나사(42)에 탄성중합체 물질을 공급하는 압출나사(42)와 호퍼(44)를 포함한다. 각각의 압출나사(42)는 모터(45)에 의해서와 같은 종래의 방식에 의해서 구동된다. 2차 압출기(34)는 조정장치(46)에 의해 기단부(35)에 설치된다. 2차 압출기(34)의 반경 및 축조정을 하는 조정장치(46)은 1차 압출기(33)에 연결된 다이장치(36)에 부분적으로 관계한다. 도면에서와 같이 조정장치(46)은 2차압출기(34)의 기단부 주위에 위치한 다수의 조정나사(47) 및 2차압출기(34)의 기단부를 받치고 있는 기단부(35)의 부분을 포함한다. 다른 형태의 장치가 본 발명의 원리에 벗어남이 없이 2차 압출기(34)의 설치위치를 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편조기(14)는 보강부재(16)이 형성된 곳에 안내링(48) 및 심부(50)을 포함한다. 다수의 길다란 끈(52)는 (단지 도시된 부분에서) 금속와이어의 끈처럼, 편조기(14)에 회전하는 방추에 계속되는 다수의 얼레(54)가 그려지며, 심부(50)에 지지되는 안내링(48)을 가로지르는 편조기에 의해 예정된 형식으로 조작된다. 편조관상부재(16)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며, 엇갈려 겹쳐 짜여지는 관계에서 심부(50)에 실(52)이 나선형으로 덮여지므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얼레의 반이 나머지 반에 연결된다. 편조관상부재(16)을 연속되는 원주면을 가지며, 연속되는 축길이에서 만들어진다. 오히려, 실체상 그사이에 개구가 없는 심부(50)에 전체 최초의 적용을 하는 빽빽하게 짜여진 끈을 형성키 위한 다른 하나와 접촉관계를 갖는 곳에 끈(52)이 위치한다.
구동장치(62)는 편조기(14)와 이송기를 비례하는 것에서 다른 것으로 구동한다. 구동장치(62)는 편조기(14)에 설치된 구동모터(64)와 점선(66)으로 도시되었으며, 구동모터(64)에 편조기(14)와 이송기(32)를 연결시킨 기계적연결을 포함한다.
이송기(32)는 특히, 다수의 인발 및 안내장치(68,70,72)를 포함한다. 그러나 인발 및 안내장치(68,70,72) 중 하나를 뺀 전부는 안내장치가 될 수 있으며 실제로 호스를 인발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경화장치(30)은 염분용액(74)로 채워진 탱크(73)을 포함한다. 다수의 장치 중 1차 인발 및 안내장치(68)은 경화탱크(73)과 다이장치(36) 사이에 놓여 있으며 기단부(77)에 설치된 롤러(75)를 포함한다. 롤러(75)는 기계적 연결(66)에 구동연결되어 있다. 2차 인발 및 안내장치(70)은 경화탱크(73) 내부에 위치되어 있으며 탱크(73)에 수직으로 놓여져 있는 컨베이어장치(76)를 포함한다. 컨베이어장치(76)은 또한 기계적연결(66)에 구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3차 인발 및 안내장치(72)는 경화탱크(73)의 하강류부에 놓여져 있고, 기계적연결(66)에 연결된 한 쌍의 핀치롤러(78)을 포함한다.
행굼탱크(82)와 호스감개(84)는 3차 인발 및 안내장치(72) 다음에 위치한다. 감개(84)는 모터(86)처럼 적당한 장치에 의해 구동된다. 특히 도면(2)를 참조하면, 심부(50)은 경사외 표면(88) 및 개구(90)을 포함한다.
심부(50)은 성형장치(36)에서 끝나는 1차 단부(92)를 갖는다. 그리고 1차 압출기(33)에 연결된 2차 단부(94)를 갖는다. 성형장치(36)는 내부 형식부재(96)을 포함한다. 내부 형식부재(96)은 심부(50)의 개구(90)를 통해 확장하며 심부(50)의 1차 단부(92)위로 확장하는 1차 단부(98)을 갖고, 1차 압출기(33)에 연결된 2차 단부(100)을 갖는다. 공동(102)는 심부(50)의 개구(90)과 내부 성형부재(96) 사이에 한정된다. 공동(102)는 내부성형부재(96)의 2차 단부(100)에 위치한 부분(104)을 통해 통로(38)에 연결된다.
성형장치(36)은 2차 압출기(34)에 놓여진 외부성형부재(106)를 포함한다. 외부성형부재(106)는 다수의 나사(107)에 의해 2차 압출기(34)에 조정될 수 있게 위치한다. 외부성형부재(106)는 내부성형부재(96)의 1차 단부(98)에 반경방향으로 위치된 곳에 내부(108)를 갖는다. 링형의 공간(110)은 내부성형부재(106)의 1차 단부(98), 외부성형부재(106)의 내부(108) 및 심부(50)의 1차 단부(92) 사이에 한정된다. 쳄버(112)는 링형의 공간(110)을 2차 압출기(34)의 통로(40)에 연결한다. 쳄버(112)는 외부성형부재(106)과 안내칼라(114)의 끝에 형성된다. 안내칼라(114)의 내부(116)은 내부성형부재(96)의 1차 단부(98)의 부분에 나선형으로 위치한다.
장치(118)는 라이너와 피복의 압출기간에 라이너(26)와 피복(28) 사이에서 생긴 가스를 배출하는 레에 제공된다. 배출장치(118)는 심부(50)와 보강부재(16) 주위에 나선형으로 위치한 링형부재(120)를 포함하며, 쳄버(112)의 반대쪽에 안내칼라(114)와 함께 밀폐접속상태로 있다. 심부(50)와 보강부재(16) 주위에 위치한 0링(122)와 같이 밀폐부재는 링형부재(120)의 외부에 밀접하게 접촉한다. 링형부재(120)와 안내칼라(114)는 심부(42)의 1차 단부(92) 위에 제공되는 공간(110)으로 전달되는 챔버(124)를 한정한다. 도면(1)에서 진공펌프(126)은 수관(128)에 의해 챔버(124)에 연결된다. 진공펌프(126)은 전기모터처럼 적당한 수단에 의해 구동된다.
대체로 이송기(32)는 1차, 2차, 3차 인발 및 안내장치(68,70,72)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송기(32)는 본 발명의 원리에서 벗어남이 없이 단지 3차 인발 및 안내장치(72)나 어떤 조합으로 완성될 수 있다. 더욱이 경화장치(30)은 호스(10)를 경화는 곳에 염분용액(74)이 들어 있는 탱크(73)을 도시한다. 연속적으로 경화하는 다른 형식의 장치가 이 장치와 함께 사용된다. 제시된 적당한 실시예에서 진공펌프(126)은 라이너와 피복의 압출 바로 전에 라이너(26)와 피복(28) 사이 위치에서 공기를 배출한다. 그러나 압력용기처럼 경화호스의 어떤 형태에서, 과승공기를 뽑아내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은 필요치 않다.
장치(12)의 실제적 이용에서 편조기(14)는 보강부재(16)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심부(50)에 와이어 끈(52)를 편조한다. 경사표면(88)의 단부에는 끈(52)의 빽빽히 짜여진 끈이 된다. 이러한 100%의 적용은 68°에 근사한 처음 혹은 1차 편조각과 인접한 다른 각에 놓여진 끈(52)의 편조기능의 결과로 경사표면(88)의 작은 곳으로 점진적으로 밀려 보강부재(16)에서 끝난 경사심부(50)에 놓여진 끈(52)의 리이드를 만들어 낸다. 편조부재(16)이 심부(50)의 작은 단부쪽으로 이동할 때, 편조각은 예를 들어 그것이 심부(50)을 출발하여 50°에 근사할 때처럼 더 작은 2차 편조각으로 바뀐다. 편조보강부재(16)이 심부의 1차 단부(92)를 떠나 원형의 공간(110)으로 들어간 후에, 라이너(26)는 보강부재(16)의 내표면(18)에 압출된다. 통로(38), 개구(104) 및 동공(102)을 통해 심부(50)의 1차 단부(92) 바로 위에 환형의 공간(110)으로 압출되는 고무처럼 이것은 탄성중합체 물질로서 수행된다. 내부성형부재(96)의 1차 단부(98)은 라이너(26)의 외부가 보강부재(16)의 내표면(18)에 의해 형성되는 동안 라이너(26)의 내표면을 형성한다. 라이너(26)를 압출하는데 쓰이는 고압 때문에 예를 들어 13,800kpa(2,00psi)고무는 끈(52)의 사이에 고무쿠션을 공급하는 식으로 어떤 공간을 채우는 작은 틈으로 흘러들어간다. 더욱이 고무는 끈(52)에 점착하며, 경화과정에서 고무는 끈(52)에 부착한다. 라이너(52)와 편조부재(16)의 응고는 고압장치에서 크고, 연속적인 변화를 견디어 내는 호스(10)가 된다.
근사하게 같은 축의 위치에서 피복(28)은 통로(40)와 쳄버(112)를 통해 2차 압출기(34)로부터 환형의 공간(110)으로 압출되는 탄성중합체 물질에 의해 보강재부재 위에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피복(28)을 압출하기 위한 압력은 라이너(21)에 쓰이는 압출압력-예로서 10.350kpa(1500psi)-보다 적다. 압출압력은 같거나 본 발명의 원리에서 벗어나지 않는 다른 압력수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외부형성부재(106)의 내부(108)는 피복(28)의 외표면을 형성한다.
심부(50)에 형성된 편조부재(16)를 갖춤으로써, 또 편조속도에 의존하는 비율에서 심부(50)의 연속적인 가압이 됨으로써, 라이너(26)와 피복(28)의 압출은 심부(50)의 1차 단부(92)에 가깝게 완성된다. 이러한 작동의 간편함은 연속적인 원주표면으로 편조보강부재를 갖는 보강호스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반면에 바닥공간을 극소화한다.
비록 적당한 실시예가, 근접한 심부(50)에 가깝게 라이너(26)와 피복(28)의 압출을 시사하더라도, 심부(50)에 관계하는 피복(28)과 라이너(26)를 압출하기 위한 축거리는 형성된 편조부재(16)으로 내부형성부재(96)의 1차 단부(98)을 확장하는 능력과 내부형성부재(96)을 통한 탄성중합체 물질의 통로에 의해서만이 제한된다.
라이너(26)와 피복(28)의 집중을 편조부재(16)와 함께 외부성형부재(106)와 내부성형부재(96)의 1차 단부 및 심부(50)와 관계하는 안내칼라(114)의 관계를 통제함으로써 유지된다. 외부성형부재(106)와 안내칼라(114)가 2차 압출기(34)에 설치된 후에, 조정장치(46)는 외부성형부재(106)와 안내칼라(114)를 모든 방향에서 동시에 조정할 수 있다. 더욱이 다수의 나사(107)는 안내칼라(114)에 관계된 외부성형부재(106)를 반경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고압출 압력이 라이너(26)를 형성하는데 쓰였으므로, 피복(28)을 형성하는데 쓰여진 압출압력에 비교되듯이 보강부재(216)는 더 큰 조각, 3차 편조각, 예로써 58°에 가깝게 되는 각으로 변화하는 결과로 확장한다. 라이너(26)와 피복(28)을 압출하는 압출압력이 다른 수준으로 다양해지거나 같은 압력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보강부재(16)의 팽창도가 압출압력에의 차이로써, 편조각의 변화에 의해서 제한된다. 크기에 있어 편조각이 증가할 때 틈으로 끈끈한 탄성중합체 물체의 흐름방지의 결과로 틈을 더 작게 된다. 이 기능은 더 이상의 팽창제한을 보강제(16)에 제공한다.
보강부재(16)에 압출된 라이너(26)와 피복(28)보다 바로 먼저 공간(110)에 있는 공기를 줄이므로 진공펌프(126)는 심부(50)의 단부에 인접한 환형의 공간(110)으로부터 편승된 공기를 옮기는 쳄버(124)에서 공기를 끌어당긴다. 0링(122)은 심부(50) 주위에 위치하며 편조부재(16)는 심부(50)의 1차 단부(92)쪽으로 편조부재(16)의 자유로운 이동을 하는 동안 환형부재(120)와 편조부재(16) 사이에 통로를 폐쇄한다.
보강호스(10)가 성형장치(36)를 떠날 때, 이송기(32)는 편조부재(16)의 편조각을 변화시키므로 호스를 내뻗는 압출비보다 더 빠른 직선비에서 호스를 당긴다. 이송기(32)에 의해 생산된 증가된 직선비가 호스가 생산되고 있는 비율보다 빠르며, 특히 생산되는 보강재(16) 비율보다도 빠르다.
압출기(33,34)를 떠난 후에 편조각을 53°에 가까운 예정된 더 작은 편조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충분한 수직비에서 호스는 당겨지며 예정된 더 작은 편조각에 지지되는 경화장치(30)에서 경화된다.
게다가 호스가 성형장치(36)를 떠날 때 호스(10)를 경화탱크(53)로 안내하는 롤러(75) 위를 지나며 동시에 롤러(75)는 수직비율증가 부분을 만들어낸다. 롤러(75)와 롤러(75)위를 지나는 호스의 수직비는 같은 것이 적당하며, 롤러(75)와 호스(10) 사이에 미끄러짐을 허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롤러(75)에서 호스는 염분용액(24)으로 향하며 염분용액(74)을 통하여 호스를 안내하는 컨베이어장치(76) 아래로 구동되며, 동시에 호스가 탱크(73)의 염분용액에 가라앉도록 유지한다. 호스의 수직비율 증가부분이 기계적 연결(66)을 통해 구동장치(62)의 균형을 조절함으로써 컨베이어장치(76)에 의해 제공된다.
핀치롤러(78)은 이송기(32)의 마지막 수직비율 증가부분을 제공한다. 호스(10)는 핀치롤러(78)가 경화장치(30)를 출발한 후에, 행굼탱크(82)를 통과된 사이에 지나간다. 롤러(75)와 컨베이어장치(76)가 호스안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반면에 핀치롤러(78)는 호스에 필요한 모든 인발력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헹굼탱크(82)는 호스를 냉각시키며 또한 호스가 염분용액(74)에 있는 동안 그곳에 침전된 호스로부터 나머지를 재반동시킨다. 호스는 헹굼탱크(82)를 출발한 후에 감개(84)에 감겨진다. 호스는 릴(84)위에 감겨지기 전에 말리는 것이 좋다. 모터(86)는 헹굼탱크(82)로부터 호스를 감아내는 충분히 빠른 속도로 감개를 구동시킨다.
호스(10)가 핀치롤러(78)를 출발한 후에 호스는 인발력이 남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54°44'에 가까운 최적 편조각으로 편조각을 변화시킴으로써 호스로 재통된 것이다. 편조작동에 필요한 나선형 리이드에 저항하고 또한 헹굼탱크(82) 안에서 호스를 냉각시키는 원래의 수직길이에 돌아가려 편조를 형성하는 끈(52)의 성향에 관련된다. 압출과 경화후에 호스를 신장시킴으로써 편조각은 더 작은 예정된 편조각으로 변화된다. 그러면 후속의 방출과 호스냉각에 이어, 호스는 최적 편조각에 재동된다.
보강탄소중합체 호스 생산이론은 1차 편조각에서 심부에 관상보강부재를 편조하는 단계와 심부에서 보강부재를 재동하는 단계, 편조보강부재의 내표면에 있는 1차 압출기에서 탄성중합체 라이너를 압출하는 단계, 내표면과 심부에 인접한 같은 위치의 라이너 압출에서 편조보강부재의 외표면에 지지된 2차 압출기로부터 탄성중합체 피복을 압출하는 단계, 압출기를 출발하여 탄성중합체 호스를 경화하는 단계, 보강부재로 편조각을 예정된 작은 편조각으로 변화시키는 호스압출비보다 더 빠른 축비율에 경화장치를 통해 압출기에서 탄성중합체 호스를 당기는 단계, 그리고 예정된 최적 편조각이 완성되어 재동되는 보강부재를 허용하는 탄성중합체 호스위에 인발력을 방출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더욱이 본 이론은 탄성중합체 라이너와 피복의 압출단계에서 라이너와 피복 사이에 편승된 공기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라이너와 피복의 압출단계에서 라이너와 피복형성을 포함한다. 게다가 보강부재에 연결된 라이너와 피복의 집중을 조절하는 압출기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넓은 생산공간을 요하지 않는 연속적인 호스 생산과정을 본 이론과 장치는 제공한다. 인접한 같은 축의 위치에 라이너와 피복의 압출에 이어지는 심부에 강력보강부재를 연속적으로 편조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압출비보다 더 빠른 이송기를 구동시킴으로써, 편조각은 호스를 최적 편조각에 재동하는 이송력이 이완에 따라 예정된 편조각으로 변경된다.
Claims (7)
- 보강재의 탄력성 호스를 제조하는 방식에 있어서 그 구성이; 1차 편조각에서 내부 및 외부표면(18,20)을 관상의 보강부재(16)를 테이퍼형의 심부(50)상에 편조하고, 상기 심부(50)로부터 보강부재를 점차적으로 보강하며, 상기 편조보강부재(16)의 내부면(18)상에 1차 압출기(33)로부터 탄력성의 피복(26)을 그것이 심부로부터 제거될 때 형성하여 추출하며, 상기 편조보강부재(16)의 외부면(20)상에 2차 압출기(34)로부터 탄력성의 피복을 형성하여 추출하고 이때, 상기 라이너(26) 및 피복(28)의 추출은 동축위치와 심부(50) 근처에서 발생하게 되며, 상기 압출기(33,34)로부터 나온 탄력성호스(10)를 점차적으로 경화시키고, 상기 보강부재(16)의 편조각을 호스를 추출하는 속도 비율보다 신속한 선형속도비로 경화장치(30)를 통해 탄력성호스(10)를 인발함으로써 예정된 작은 편조각 정도로 변화시키고, 아울러, 호스를 경화시킨 다음 탄력성호스(10)에 인발력을 해재하여 최상의 편조각을 제공하고 다음에 보강부재(16)를 해제하여 재반송되도록 하는 과정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보강호스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심부(50)로부터 보강부재(16)에 힘을 가하는 단계에 2차 편조각으로 편조각을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아울러 보강부재(16)상에 탄력성 라이너를 추출하는 단계에는 편조각을 3차 편조각으로 증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보강호스의 제조방법.
- 탄력성이 보강호스(10)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 단부(92)를 갖는 테이퍼형 심부(50)와 상기 테이퍼형 심부(50)상에서 보강부재(16)를 연속적으로 편조하며, 상기 테이퍼형 심부(50)로부터 내부 및 외부표면을 갖는 보강부재(16)에 점차적으로 강화하기 위해 적용되는 편조형성기(14)와 보강부재(16)가 심부(50)로부터 강화될 때, 보강부재(16)의 내부표면(18)상에 탄력성 라이너를 추출하기 위해 적용되는 1차 요소(22)와 상기 보강부재(16)의 외부표면(20)상에 피복(28)을 상기 라이너(26)와 피복(28)이 거의 동측상에서 추출되고, 테이퍼형 심부(50)의 단부(92)에 근접한 지역에서 추출되도록 하는 2차 요소(24)와 호스가 압출기(33,34)를 떠난 호스(10)를 경화하기 위한 경화장치(30)와 호스를 추출하는 속도비보다 더 빠른 선형속도비로 경화장치를 통해 연속적으로 인발추출하여 최적의 편조각이 얻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송수단(32)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보강호스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12).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32)을 선형속도비에 비례하도록 구동시킴으로써 편조성형기(14)가 보강부재(16)를 편조할 수 있도록 구동장치(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보강호스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12).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장치(30)에 소금용액(74)을 담고 있는 탱크(73)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보강호스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12).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32)에는 다수의 인발 및 안내장치(68,70,72)를 포함하여, 상기 호스가 상기 1차 및 2차 압축요소(22,24)에서 나온 다음 상기 호스(10)상에 인장력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보강호스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12).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발 및 안내장치의 1차 부위(68)에는 컨베이어장치(76)상에 부착된 롤러(75)와 상기 롤러(75)를 구동장치(62)에 연결구동시키는 기계적 연결부(66)와 상기 1차 및 2차 압출요소(22,24)와 경화탱크(73) 사이에 위치된 롤러(75) 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보강호스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40008202A KR910007193B1 (ko) | 1984-12-21 | 1984-12-21 | 편조보강호스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40008202A KR910007193B1 (ko) | 1984-12-21 | 1984-12-21 | 편조보강호스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60004724A KR860004724A (ko) | 1986-07-11 |
KR910007193B1 true KR910007193B1 (ko) | 1991-09-19 |
Family
ID=19236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40008202A KR910007193B1 (ko) | 1984-12-21 | 1984-12-21 | 편조보강호스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10007193B1 (ko) |
-
1984
- 1984-12-21 KR KR1019840008202A patent/KR91000719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60004724A (ko) | 1986-07-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671761A (en) | Apparatus for producing reinforced elongate bodies | |
US4517039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braided reinforced hose | |
US2974713A (en) | Method of continuously producing reinforced hose | |
US4577543A (en) | Construction of a monolithic reinforced catheter with flexible portions | |
US4099425A (en) | Method of making push-pull cable conduit and product | |
US2722263A (en) | Method of making flexible air hose | |
US3526692A (en) | Manufacture of wire reinforced plastic pipe | |
JPS5931927B2 (ja) | ホ−ス構造物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 |
US4501629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uding reinforced hose | |
US2730762A (en) |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fabrication of reinforced tubing | |
JPH0664062A (ja) | 補強ホースの製造方法 | |
EP2620268B1 (en) | Line for manufacturing a heat-insulated flexible pipe | |
JPH0615192B2 (ja) | 押出成形ホースの内寸法を制御する装置及び方法 | |
US3779846A (en) | Method of continuously manufacturing flexible conduit | |
US3375550A (en) |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reinforced plastic tubing | |
KR910007193B1 (ko) | 편조보강호스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
EP3867049B1 (en) | Hose extrusion mandr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hose | |
US2284866A (en) | Arrangement for the manufacture of rubber hose | |
US2707017A (en) | Method of making wire reinforced flexible hose | |
KR910007192B1 (ko) | 편조보강 호스의 압출 제조장치 및 방법 | |
GB1575927A (en) | Hoses | |
GB1584843A (en) | Process and device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elastomeric hoses with reinforcement structure | |
US3290727A (en) | Apparatus for forming composite elements | |
US906489A (en) | Art of vulcanizing rubber. | |
RU2066275C1 (ru) | Инструмент для формования трубчатых изделий из волокнистых композицио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