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192B1 - 편조보강 호스의 압출 제조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편조보강 호스의 압출 제조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192B1
KR910007192B1 KR1019840008201A KR840008201A KR910007192B1 KR 910007192 B1 KR910007192 B1 KR 910007192B1 KR 1019840008201 A KR1019840008201 A KR 1019840008201A KR 840008201 A KR840008201 A KR 840008201A KR 910007192 B1 KR910007192 B1 KR 910007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sheath
reinforcing member
liner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8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4723A (ko
Inventor
리 샛즐러 로날드
Original Assignee
캐터필라 인크.
소나 엘. 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터필라 인크., 소나 엘. 홀트 filed Critical 캐터필라 인크.
Priority to KR1019840008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7192B1/ko
Publication of KR860004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4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편조보강 호스의 압출 제조장치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제2도는 제1도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장치에 의해 생산되는 호스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강호스 12 : 제조장치
14 : 편조기 16 : 보강부재
21 : 라이너 22 : 피복
24 : 1차압출기 26 : 2차압출기
32 : 성형장치 42 : 심부
54 : 구동전동기 96 : 진공펌프
본 발명은 호스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강호스를 압출성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강호스란 고압의 가압상태하에서 유동하는 액체를 함유하게 되는 파이프의 경우에 적용된느 것으로, 종래의 제조과정에서는, 심부상에 고무와 같은 종류의 탄력성 물질을 압출함으로써, 라이너 및 중심부를 형성했었다. 라이너를 성형한 다음, 상기 라이너상에 직물보강부재를 입히게 된다. 따라서 심부의 길이에 관련되는 즉, 같은 길이를 갖는 호스완제품은 경화과정을 거쳐 상기 심부로부터 격리분리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조방법에서 문제되는 것은 생산되는 호스의 길이가 심부와 상기 심부를 지지하는 장치의 길이에 따라 한정된다는 점이었다. 그리고 종래 방식에서의 또 다른 문제점은 구조적 보강부재, 즉 끈이 금속제 끈에 비해 좋은 강도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것이었고 만약 이 경우에 금속제의 끈, 특히 편조된 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높은 인장하중이 편조작동중에 상기 직물보강부재에 적용되어 경화되지 않은 부드러운 라이너에 손상을 입힌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라이너상에 금속제의 보강부재를 편조하기에 앞서 라이너상에 직물보강재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직물보강재가 없다면 상기의 금속제 끈이 상기 라이너 물질 속으로 파고드는 경우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처럼 종래 방식에서의 제조방법은 생산비용면에 있어서도 생산단가가 비싸다는 결함을 지닌다.
연속되는 기단부위에서 유연성 있는 직조보강호스를 생산하는 여러 가지 과정이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것은 하나의 위치에서 라이너를 압출하고, 다음에 상기 라이너의 각각 다른 위치에서 직조보강부재를 형성시키며, 또다른 위치에서 상기 보강부재상에 피복을 입히는 과정으로 되어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이러한 과정은 호스를 제조하기 위해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고 따라서 호스의 생산단가가 더 늘어나게 된다.
또 다른 과정에서는 심부의 한 단부에서 보강부재층의 내부쪽으로 형성된 링형의 오리피스를 통해 탄력성을 갖는 물질이 압출되는 동시에 상기 심부상에는 직조보강층이 형성되는 호스의 제조과정이 제공된다. 외곽층은 상기 보강부재 내의 개구를 통해 가압되는 탄력성 물질에 의해 만들어진다. 고압용 호스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빽빽하게 짜여진 금속제의 보강부재가 필요하다. 결국, 상기 보강부재의 개구는 너무 작아서 외부 피복을 구성하기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탄력성 물질이 통과하기에는 너무 작다. 더구나, 상기 피복 및 라이너는 각각 상이한 재료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호스의 최상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상기 라이너의 특질은 피복의 특질과 차이가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 다른 과정에서는, 라이너 및 피복을 압출하기 전에 나선형의 튜브 형태로 중복부분을 갖는 직조보강부재상에 내부에는 라이너를 외부에는 피복을 동시에 각각 압출하여 입히는 과정이 포함된다. 이러한 형식의 호스에서는 촘촘히 짜여진 금속보강부재와 비교해서 필요한 강도를 제공하지 못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의 방식은 유연성 있는 보강호스를 구성하는데 제공되어진다. 내부 및 외부면을 포함하는 관상의 보강부재는 심부상에서 편조되는 것이다. 심부상에서 편조된 보강부재가 상기 심부로부터 점차 이탈하게 되면, 1차압출기로부터 탄력성의 라이너가 나와서 상기 보강부재의 내부 면상으로 압출된다. 그리고 탄력성의 피복은 편조보강부재의 외부면상에 2차압출기로부터 나와 압출된다. 탄력성 피복 및 라이너의 압출은 동축상의 위치 및 심부의 근처에서 발생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면에서, 장치는 유연성 있는 보강호스를 제조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장치에는 상기 심부상에 내면 및 외부면을 갖는 관상의 보강부재를 연속 편조하기 위해 적용되는 편조기가 마련된다. 보강 부재가 상기 심부로부터 이탈하는 때에 보강부재의 내부면상에 라이너를 압출하기 위해 1차 수단이 제공되며, 또한 상기 보강부재의 외부면상에 피복을 압출하기 위한 2차 수단이 제공된다. 상기의 라이너 및 피복은 대체로 동축상에서 압출되며, 심부의 1차 단부 근처에서 압출된다.
본 발명은 심부의 길이에 의해 한정지어지는 길이의 가압호스를 생산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더구나, 본 발명에서는 편조보강부재와 같은 촘촘한 편조보강부재상에 대략 동축상에서 라이너와 피복을 압출하여 입히는데 있어, 편조에 앞서 라이너상에 부가적인 직조보강부재를 첨가할 필요가 없는 유리함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러한 점들은 보강호스의 생산단가에 있어 현격한 비용 절감의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하는 도면을 참고로 좀 더 상세한 설명을 한다. 제1도에는 보강호스(10)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장치(12)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장치에는 내부 및 외부면(17,18)을 갖는 관상의 보강부재(16)를 연속제조하기 위한 종래형식의 편조기(14)와, 탄력성 물질로부터 라이너(21) 및 피복(22)을 압출하여 상기 보강부재(16)상에 입히는 1차 및 2차수단(19,20), 그리고 후속하는 경화 과정으로 보강호스를 끌어들이기 위한 수단(23) 등이 포함된다.
탄력성 물질로부터 피복 및 라이너를 압출하기 위한 상기 1차 및 2차수단(19,20)에는 기단부(27)상에 장착된 1차 및 2차압출기(24,26)이 포함되고, 아울러 각각 상기 압출기(24,26)에 연결되는 부분을 갖는 성형장치(32)와, 상기 압출기(24,26)를 상기 성형장치(32)에 연결시키는 통로(28,30) 등도 포함된다. 상기 압출기(24,26)에는 압출나사(34)와 호퍼(37)이 제공되어 있고, 여기서 호퍼(37)는 탄력성 물질을 각 압출나사(34)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압출나사(34) 각각은 모터(38)와 같은 종래 형태의 방식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2차압출기(26)은 조정장치(39)에 의해 기단부(27)상에 장착된다. 상기 조정장치(39)는 상기 1차압출기(24)에 연결되는 성형장치(32)의 부분에 대해 2차압출기(26)의 반경방향 및 축방향의 조정을 제공한다. 상기 조정장치(39)에는 2차압출기(26)의 기단부 주위에 위치되는 다수의 조정나사(40)가 제공되어 2차압출기(26)의 기단부를 수용하게 된다. 그러나 다른 형태의 장치도 2차압출기(26)의 위치조정을 위해 적용이 가능함을 주지하기 바란다.
편조기(14)에는 안내링(41)과 심부(42)가 제공되어 보강부재가 그 위에서 형성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금속제의 끈과 같은 다수의 길다란 끈(44)이 회전스핀들상에 지지된 다수의 실패(46)로부터 풀려나와, 상기 심부(42)상의 안내링(41)을 건너 편조기에 의해 정해진 형식으로 향한다. 상기 실패(46)의 반은 나머지 반의 방향에 대해 반대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끈(44)이 심부(42)상에 나선형으로 감겨 편조된 관상의 부재(16)를 연속적으로 만든다. 상기 관상의 편조부재(16)에는 연속되는 원주면이 제공되고, 연속적인 선형길이를 갖도록 만들어진다. 대체로, 상기 끈(44)은 서로 부착관계에 위치하여 상기 심부(42)상에 개구를 남기지 않도록 피복을 갖는 빽빽한 형태의 편조를 만든다.
구동장치(47)가 제공되어 편조기(14)와 인발수단(23)을 구동하도록 한다. 상기 인발수단(23)에는 보강호스(10)를 감을 수 있도록 기저부(50)상에 장착된 감개(48)가 제공된다. 상기 구동장치(47)에는 편조기(14)에 장착된 구동전동기(54)가 제공되어 기계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이러한 구조를 편조기(14) 및 인발수단(23)을 구동전동기(54)에 연결되어 있는 점선(56)에 의해 대략적으로 표시된다.
제2도에서는, 상기 심부(42)에 외부면(58)과 개구(60)가 제공된다. 상기 심부에서는 성형장치(32)에서 끝나는 1차단부(62)가 제공되고, 아울러 1차압출기(24)에 고정된 2차단부(64)가 제공된다.
상기 성형장치(32)에는 내부모양 성형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내부모양 성형부재(66)는 심부(42)의 개구(60)를 통해 확장하며, 심부(42)의 1차단부(62)를 넘어 확장하는 1차단부(68) 및 상기 1차압출기(24)에 연결된 2차단부가 제공된다. 상기 심부(42)의 개구(60)와 상기 내부 형성부재(66) 사이에는 공동(72)이 형성된다. 상기 공동(72)은 상기 부재(66)의 2차단부(70) 내에 위치하는 개구(74)를 통해 통로(28)와 연결된다.
성형장치(32)에는 2차압출기(26)에 위치된 외부모양 성형부재(76)가 제공된다. 상기 부재(76)는 다수의 나수(77)를 이용하여 2차압출기(26)상에 위치된다. 외부 성형부재(76)에는 내부 성형부재(66)의 1차단부(68) 주위에 반경방향으로 위치된 내부(78)가 포함된다. 상기 내부(78)에는 경사안내변(80)을 갖는 개구(79)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79)는 호스(10)의 피복(22)을 형성하도록 마련된 것이다. 내부 성형부재(66)의 1차단부(68)와, 외부 성형부재(76)의 내부(78)와 심부(42)의 1차단부(62) 사이에는 링형의 간격(8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간격공간(81)과 챔버(82)는 2차압출기(26)의 통로(30)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챔버(82)는 외부 성형부재(76)의 단부와 안내칼라(84)에 의해 형성된다. 안내칼라(84)의 내부(86)에는 개구(87)가 포함되있고, 아울러 내부 성형부재(66)의 1차단부(62)의 주면에 반경방향으로 위치한다. 상기 내부(86)에는 간격공간(81)을 속으로 확장해 있는 경사돌출부(88)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88)는 개구(79)의 경사안내변(80)에 대해 축방향으로 공간을 형성하는 관계를 나타낸다.
라이너와 피복을 압출해내는 동안 상기 피복(22)와 라이너(21)상에 생기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수단(89)이 제공된다. 상기 수단(89)에는 심부와 보강부재(16) 근처에 반경방향으로 또 집중적으로 위치하는 링형의 수단(90)이 포함되고, 챔버(82)의 반대측부에서 안내칼라(84)와 밀폐 연결된다. 0-링(91)과 같은 밀폐부재가 심부(42)와 보강부재(16)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링형의 수단(90)의 외부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단(90)과 안내칼라(84)는 심부(42)의 1차단부(62) 넘어에 제공된 공간(81)과 연결된 챔버(94)를 규정한다. 제1도에서 보이는 진공펌프(96)는 도관(98)을 통해서 챔버(94)에 연결된다. 상기 진공펌프(96) 전기모터(도시안됨)와 같은 적당한 동력기구를 이용해 구동된다.
본 발명을 실제의 산업에 응용하는데 있어, 편조기(14)는 심부(42)상에 와이어(44)의 끈을 편조하여 연속적으로 보강부재(16)를 제조한다. 상기 심부(42)는 대체로 경사형이며 경사형 표면(58)의 큰 단면쪽상에서 이루어지는 끈의 편조는 보강부재에 전혀 공간을 생기지 않도록 하는 촘촘한 편조모양을 가져온다. 이와 같은 100%의 피복형성은 대체로 68°에 이르는 최초 편조각을 제공하며, 심부상에 놓여진 끈(44)의 초입부에 차례로 위치하는 끈의 작용은 보강부재(16)가 편조의 결과로 경사형 표면의 작은 단부쪽으로 점차 밀려가도록 한다. 편조보강부재(16)가 심부(42)의 1차단부(62)를 떠나 링형의 간격(81) 속으로 들어가면, 라이너(21)는 보강부재(16)의 내부면(17)상으로 압출된다. 이러한 것은 고무와 같은 탄력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통로(28)와 개구(74), 그리고 공동(72)를 통해 심부(42)의 1차단부(62) 넘어 링형의 간격(81) 내로 확장된다. 라이너(21)의 외부는 보강부재(16)의 내부면(17)에 의해 형성되고, 라이너(21)의 내부는 내부 성형부재(66)의 1차단부에 의해 형성된다. 라이너(21)를 압출하기 위해 적용되는 약 13800kpa(2000psi) 정도의 고압에 의해 고무는 모든 공간을 채우면서 미세한 간격에까지 흘러들어가며 따라서, 상기 끈(44)들 사이에 고무탄력성의 쿠션을 제공한다. 더구나, 고무는 끈(44)에 부착되고 경화과정 중에 끈(44)에 완전히 접착된다. 이와 같은 라이너(21)와 보강편조부재(16)의 일체는 고압장치 내에서 발생하는 크고, 연속적인 변동을 견뎌내기에 적합한 호스(10)를 제공하게 된다.
대체로 동축상의 위치에서 형성되는 상기 피복(22)을 통로(30)와 챔버(82)를 통해 2차압출기(26)로부터 링형의 간격(81)속으로 들어가는 탄력성 물질로 보강부재(16)상에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 피복(22)을 압출하는 압력은 라이너(21)를 압출하는 압력, 약 10350kpa(1500psi) 보다는 적다. 여기서, 압출압력은 동일해야 하거나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다른 압력범위에 있어야 함을 인식해야 한다. 개구(79)의 경사안내변(80)에 대해 안내칼라(84)상에 위치하는 경사돌출부(88)는 피복(22)의 형상을 구성하고, 아울러 마무리 공정을 위해 개구(79)속으로 대충형성된 피복을 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것은 안내칼라(84) 개구(87)와 편조부재(16) 사이에 엉겨붙으려는 탄력성 물질의 일반적 성질을 방지한다.
심부(42) 상에 형성된 보강부재(16)을 갖고, 편조속도에 좌우되는 비율로, 상기 심부(42)를 연속적으로 단락시키는 것에 의해 라이너(21) 및 피복(22)의 압출은 심부(42)의 1차단부(62)에 매우 세밀하게 완성된다. 이와 같은 작동의 간결성은 작업공간을 최소로 한다. 더구나, 두 개의 분리압출기를 사용함으로서 라이너의 재료는 피복의 재료와 상이하게 된다. 결국, 라이너는 통과하는 유체에 대해 여러 가지 성질을 지니는데 반해 피복은 마모, 파단 및 표면손상에 대해 저항하는 특성을 지니게 된다.
비록 적당한 실시예가 근접한 심부(42)에 가깝게 라이너(21)와 피복(22)의 압출을 시사하더라도, 심부(42)에 관계하는 피복(22)과 라이너(21)를 압출하기 위한 축거리는 형성된 편조부재(16)로 내부 형성부재(66)의 1차단부(68)을 확장하는 능력과 내부 형성부재(66)를 통한 탄성중합체 물질의 통로에 의해서만이 제한된다. 실제로, 최상의 축거리는 생산과는 호스의 크기에 비례하게 된다. 심부(42)의 1차단부(62)로부터 라이너(21)와 피복(22)를 압출하는 위치까지의 축거리는 생산호스의 직경에 대해 2배 이상을 넘지는 않는다.
라이너(21)와 피복(22)의 집중은 편조부재(16)와 함께 외부 성형부재(76)와 내부 성형부재(66)의 1차단부(68) 및 심부(42)와 관계하는 안내칼라(84)의 관계를 통제함으로써 유지된다. 외부 형성부재(76)와 안내칼라(84)가 2차압출기(26)에 설치된 후에 조정장치(39)는 외부 형성부재(76)와 안내칼라(84)를 동시에 모든 방향에서 조정할 수 있다. 더욱이 다수의 나사(77)는 안내칼라(84)에 대해 외부 형성부재(76)를 조정할 수 있다.
보강부재(16)에 압출된 라이너(21)와 피복(22)보다 먼저 공간(81)에 있는 공기를 줄이므로 진공펌프(96)는 심부(42)의 단부에 인접한 링형의 공간(81)로부터 공기를 옮기는 챔버(94)로부터 공기를 끌어당긴다. 0-링(92)은 심부(42) 주위에 위치하며, 편조부재(16)는 심부(42)의 1차단부(62)쪽으로 편조부재(16)의 자유로운 이동이 있는 동안 링형부재(90)와, 편조부재(16) 사이의 개구를 폐쇄한다.
호스를 감기 위한 감개(48)는 호스(10)가 성형기(32)를 나오는대로 감는다. 상기 감개(48)는 구동모터(54)에 연결된 기계적 연결부(56)를 통해 구동되어 상기 감개(48)가 성형기(32)를 통해서 호스(10)가 나오는 속도보다 빠른 속도비로 구동되도록 한다. 이렇게 빠른 속도비는 비경화된 호스(10)상에 부과되어 정해진 예를 들어 53°의 예정각으로 보강부재의 편조각을 변경시킨다. 상기 호스(10)는 감개(48)에 예정편조각으로 감겨 경화공정에 들어가거나 보관된다. 상기 경화공정은 한묶음 형태의 배치로 이를테면 고압솥 경화공정(도시안됨)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경화공정이 완료된 다음 호스에 가해졌던 힘은 해제되어 호스의 편조각이 최상각, 즉 54°44'의 각으로 돌아가도록 허용한다.
따라서, 유연성의 보강호스를 제조하는 방법은 심부상에 보강부재를 편조하는 과정과, 상기 심부로부터 상기 보강부재를 점차 이탈시키고, 상기 보강부재의 내면에 1차압출기로부터 나오는 라이너를 압출하여 입히고, 또 2차압출기로부터 탄력성 물질을 압출하여 상기 보강부재의 외표면상에 피복하는 공정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피복 및 라이너 등은 상기 보강부재와 거의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거기다, 호스를 제조하는 방법에는 호스를 압출하는 것보다 빠른 선형속도비로 보강호스를 끌어당겨 보강부재의 편조각이 예정편조각으로 보강호스의 보관 및 경화중에 계속 유지되도록 호스를 단속하도록 한다.
그 외에, 제조방법에는 예정된 크기로 라이너를 형성시키고, 피복을 미리 구성하며, 대충 입혀논 상기 피복을 마무리 공정에 들어가도록 축방향으로 유도하는 과정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라이너 및 보강부재, 그리고 피복이 서로 합치되도록 압출기 중 하나를 조정하는 과정도 포함된다.
이상과 같은 견지에서, 상기의 장치 및 방법은 호스의 조작업 공간을 최소로 요구하며, 심부의 1차단부 근처에서 동축상으로 상기 보강부재상에 피복 및 라이너를 압출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제조되는 보강호스는 고압에 견뎌낼 수 있는 강도를 제공하며 아울러 비용의 경제적 면에서도 유리함을 제공한다.

Claims (8)

  1. 유연성을 갖는 보강호스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 그 구성이; 심부(42)상이 내면과 외면(17,18)을 갖는 관상체의 보강부재(16)를 편조하고, 상기 부재(16)를 심부(42)로부터 점차 힘을 가하고, 보강부재가 심부(42)로부터 이탈할 때 상기 보강부재(16)의 내표면(17)상에 탄력성 라이너(21)를 압출하여 입히고, 2차압출기(26)로부터 탄력성의 피복(22)을 압출하여 상기 보강부재(16)의 외표면(18)상에 입혀, 상기 라이너(21) 및 피복(22)이 보강부재(16)와 동축상에 놓이도록 하고, 호스(10)를 압출하는 속도비보다 빠른 속도로 상기 보강호스(10)를 끌어당겨 보강부재(16)의 편조각을 예정된 편조각을 변경시키고, 경화공정을 위해 상기 예정된 편조각에서 호스(10)의 편조각이 유지되도록 상기 호스(10)를 유지시키는 과정 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보강호스의 압출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22)을 압출하는 공정에는 피복을 미리 형성하는 예비공정과 상기 초벌형성된 피복을 마무리 작업을 위해 축방향으로 압출하는 공정이 포함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보강호스의 압출제조방법.
  3. 유연성을 갖는 보강호스(10)의 제조장치(12)에 있어 그 구성이 1차단부를 갖는 심부(42)와 상기 심부(42)상에 내부 및 외부면(17,18)을 갖는 관상체의 보강부재(16)를 편조하기 위해 적용되는 편조기(14)와, 상기 보강부재(16)가 심부(42)로부터 이탈함에 따라 상기 보강부재(16)의 내부면(17)상에 라이너를 압출하기 위한 1차수단(19)과 보강부재(16)와 상기 라이너 및 피복(22)의 축이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보강부재(16)의 외표면(18)상에 피복(22)을 압출하기 위한 2차수단(20)과, 상기 호스(10)를 압출하는 속도보다 빠른 속도비로 호스(10)를 끌어당겨 보강부재(16)의 편조각을 예정편조각으로 변경하도록 하고, 상기 편조각으로 호스를 유지시켜 경화공정에 들어가도록 하는 수단(23) 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보강호스의 압출제조장치(12).
  4. 제3항에 있어서, 편조기(14)가 보강부재(16)를 형성하는 선형 비율로 상기 수단(23)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47)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보강호스의 압출제조장치(12).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수단(19,20)에는 라이너(21) 및 피복(22)을 구성하기 위해 적용된 1차압출기(24), 2차압출기(26) 및 성형기(32)가 포함되며, 상기 심부(42)는 상기 1차압출기(24)상에 장착되고, 상기 성형기(32)에는 1차압출기(24)상에 장착되어 심부(42)를 통해 확장한 내부 성형수단(66)과 상기 2차압출기(26)상에 장착된 외부 성형수단(68) 및 상기 외부 성형수단(68)을 내부 성형수단(66) 및 심부(42)에 대해 모든 방향에서 조정하는 조정장치(39) 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보강호스의 압출제조장치(12).
  6. 유연성을 갖는 보강호스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 그 구성공정이; 경사형태의 심부(42)상에 내부 및 외부면(17,18)을 갖는 관상체의 보강부재(16)를 편조하는 공정과, 상기 보강부재(16)를 심부(42)로부터 힘을 가하는 공정과, 상기 편조부재(16)가 심부로부터 미끄러져 나오는 때에 상기 부재(16)의 내면(17)상에 탄력성의 라이너(21)를 1차압출기(24)로부터 압출하여 입히는 공정과, 상기 편조부재(16)의 외부면(18)상에 탄력성의 피복(22)을 2차압출기(26)로부터 압출하여 상기 피복(22)가 상기 라이너(21) 및 보강부재(16)의 축에 대해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공정 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보강호스의 압출제조장치(12).
  7. 유연성 호스(10)의 보강부재(16)를 편조하기 위해 장치하는 편조기(14)와 상기 부재(16)의 내면(17)에 라이너(21)를 형성하는 1차압출기(24)와, 상기 부재(16)의 외면(18)상에 피복(22)을 형성하기 위한 2차압출기(26) 등이 포함된 편조보강호스의 제조장치에서, 그 상세한 구성이; 1차 및 2차단부(62,64)를 갖는 경사형의 심부(42)가 포함되며, 상기 2차단부(64)는 1차압출기(24)상에 장착된 것이고, 상기 편조기(14)는, 경사심부(42)상에 보강부재(16)를 편조하고, 서서히 편조된 부재를 상기 심부(42)로부터 힘을 주어 이탈시키도록 제공된 것이고, 상기 라이너(21) 및 피복(22)은 심부(42)의 1차단부(62) 근처에서 서로 동축상의 위치에 구성되도록 관상체의 보강부재(16)상에 압출 성형된 것 등으로 그 구조를 갖는 편조보강호스의 압출제조장치(12).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1차압출기(24)상에 장착되어 심부(42)를 통해 확장하는 내부 성형부재(66)와 상기 2차 압출기(26)상에 장착된 외부 성형부재(76) 및 상기 심부(42)와 내부 성형부재(66)에 대해 모든 방향에서 외부 성형부재(76)를 조정하는 조정장치(39) 등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보강호스의 압출제조장치(12).
KR1019840008201A 1984-12-31 1984-12-31 편조보강 호스의 압출 제조장치 및 방법 KR910007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8201A KR910007192B1 (ko) 1984-12-31 1984-12-31 편조보강 호스의 압출 제조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8201A KR910007192B1 (ko) 1984-12-31 1984-12-31 편조보강 호스의 압출 제조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4723A KR860004723A (ko) 1986-07-11
KR910007192B1 true KR910007192B1 (ko) 1991-09-19

Family

ID=19236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8201A KR910007192B1 (ko) 1984-12-31 1984-12-31 편조보강 호스의 압출 제조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19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4723A (ko) 1986-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703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braided reinforced hose
US3183135A (en)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tires
US3866633A (en) Hose structure
US3857415A (en) Reinforced convoluted tubing of polytetrafluoroethylene
US10882249B2 (en) Head and system for continuously manufacturing composite hollow structure
US4577543A (en) Construction of a monolithic reinforced catheter with flexible portions
US5019309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pipe of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CA1264516A (en) Coextrusion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US3357456A (en) Hos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974713A (en) Method of continuously producing reinforced hose
US45016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uding reinforced hose
US3526692A (en) Manufacture of wire reinforced plastic pipe
US6089293A (en) Tire containing reinforcement ply with parallel extensible reinforcing member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4341578A (en) Method of hose production
US449031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nal size of an extruded hose
US3249666A (en) Method of making flexible drive tubular casings
US3717180A (en) Flexible hose
US2917102A (en) Method of making hose with sealing rings attached at each end
KR910007192B1 (ko) 편조보강 호스의 압출 제조장치 및 방법
GB2034433A (en) Method of hose production and product
US4777860A (en) Braiding nose
EP0438745A1 (en) Flexible corrosion-resistant conduit and method
KR910007193B1 (ko) 편조보강호스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H04218167A (ja) 編組した外装を有するカテーテル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H015535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