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073B1 - 열적 염료 전이 염료 도우너 구성물 - Google Patents

열적 염료 전이 염료 도우너 구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073B1
KR910007073B1 KR1019890011936A KR890011936A KR910007073B1 KR 910007073 B1 KR910007073 B1 KR 910007073B1 KR 1019890011936 A KR1019890011936 A KR 1019890011936A KR 890011936 A KR890011936 A KR 890011936A KR 910007073 B1 KR910007073 B1 KR 910007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
polyvinyl chloride
sheet
resin
don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1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2956A (ko
Inventor
케이 존 게바드 수잔
안네 실스 줄리아
Original Assignee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도날드 밀러 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도날드 밀러 셀 filed Critical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Publication of KR900002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0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92Additives, other than colour forming substances, dyes or pigments, e.g. sensitisers, transfer promoting agents
    • B41M5/395Macromolecular additives, e.g. b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3Material designed to be responsive to temperature, light, mois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4Transfer or decalcoman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35Ester, halide or nitrile of addition polym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열적 염료 전이 염료 도우너 구성물
본 발명은 염료 도우너 및 열료 상 수용체 조립물에 사용되는 중합체 수지의 신규 사용법에 관한 것이다. 여러 가지 수지 시스템이 열 전이 시스템에 관련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는 그러한 수지중의 하나이다. 상 수용체층 또는 시이트에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를 사용하는 것은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이것은 전형적으로 염료 승화 전이 시스템 및 또한 열적물질 전이 시스템에 사용되어 왔다. 이것은 염료 상 수용체에서 작용할 수 있는 몇가지 수지중의 하나로 자주 설명되고 있다. 어떤 문헌도 염료 도우너 제조를 위한 수지 시스템으로 PVC를 사용하는 것을 언급한 것이 없다.
수용체 기판은 일반적으로 불투명성, 평편함, 연속 코팅의 접착력과 음영 및 염료 흡착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표면 변성 처리를 거친다. 코팅으로 사용될 때, PVC는 전형적으로 부가적 수지와 함께, 대부분은 늘 가소제와 함께 사용된다. 열적 염료 전이 적용에서 수용체로서 PVC의 사용에 대한 예시는 EP227091,EP228066, EP133012와 EP22806에 설명되어 있다.
PVC는 단독으로 또는 목적 특성을 위한 부가적 수지와 화합될 수 있다. PVC는 대개 경성의 수지이다. 그 중합체의 물리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가소제의 저분자량체 물질이 대개 중합 제제에 첨가된다. 염소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는 변성단량체수지이다. CPVC는 PVC에서 수소원자가 염소원자로 치환되는 염소화반응을 거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의 호모-중합체이다. CPVC는 PVC의 많은 바람직한 물리적 특성을 가지며, 상당히 고온하에서도 그 특성들을 보유한다. 열적 염료 전이 또는 열적 물질 전이 작용에서 염소화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의 사용은 신규한 것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3,584,576호는 다공성의 얇은 섬유 시이트에 부착된 필름을 포함하는 열 민감성 스텐슬(stencil) 시이트를 설명하고 있다. 스텐슬 시이트는 적외선 노출됨으로써 천공된다. 그 필름은 주로, 염소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의 적어도 75중량%로 구성되며, 그 나머지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이다. 착색제가 그 필름에 또한 존재 할 수 있다. 적외선에 의해 가열되면, 그 필름은 용융되어 천공을 형성한다. 나머지 섬유성 시이트의 기공들은 스텐실화가 그 천공과 시이트를 통해 달성될 수 있게 한다.
염소화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CPVC) 및/또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는 열적 염료 도우너층에서 주요 수지로 사용된다. 이 수지는 통상적으로 유용한 열적 염료 전이 시스템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수지와 이것이 구별되는 예외적인 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열적 염료 전이 시스템에서, 다른 수지들이 염료 도우너층과 상 수용체에서 전형적으로 사용된다. 많은 시스템들이 특허 문헌들에 소개되어 있지만, 염로 도우너와 염료 상 수용체에 사용된 똑같은 수지의 소개는 찾아볼 수 없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염료 도우너층과 상 수용체층 모도에서 염소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 및/또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의 사용은 신규하다. 본 특허는 또한 염료 도우너 시이트 제조에서 상기 수지의 사용을 설명할 것이다.
상 수용체층 또는 상 수용체 시이트에서 폴리비닐 플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은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이것은 염료 승화 전이 시스템에서 전형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또한 열적 물질 전이 시스템에서도 사용되어 왔다. 이것은 염료 상 수용체에서 사용될 수 있는 몇가지 수지중 하나로서 자주 설명되고 있다. PVC는 염료 전이용 수용체 시이트 기판으로소 뿐만 아니라 기판상의 피복 수지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수용체 기판으로서의 용도에서, PVC는 불투명성, 평면성, 연속 코팅의 접착력, 음영 및 염료 흡착을 개선시키기 위한 표면 변성 처리를 거쳐야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코팅으로서 사용될 때, PVC는 전형적으로 부가적인 수지와 함께, 대부분은 가소제와 함께 사용된다.
CPVC는 PVC와 유사한 물리적 특성을 가지면서 상당히 높은 고온에서도 그 특성들을 보존한다. PVC는 그 중합체의 결합 염소 함량을 증가시키는 염소화 반응을 거친 PVC호모중합체이다. 전형적으로, 염소와 PVC는 염기성 유리 라디칼 메카니즘에 따라 반응한다. 이것은 그 반응 개시를 위해 열 및/또는 UV에너지를 사용하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일어날 수 있다. PVC의 유리 라디칼 염소화를 위한 일반적인 메카니즘은 다음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R"은PVC를 의미한다 :
가열
개시 Cl₂+UV 에너지→2Cl
진행 RH+Cl→R°+HCl
R°+Cl₂→RCl+Cl
종결 R°+Cl→RCl
Cl+Cl→Cl₂
R°+R°→R₂
상기 메카니즘에 의해 생성된 CPVC는 염소화방법, 조건 및 염소의 양에 따라 매우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출발 PVC 수지의 염소 함량은 56% 내지 74%까지 증가될 수 있지만, 대개 통상적으로 유용한 CPVC 수지는 62-74% 염소를 함유한다. CPVC에서 염료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리 전이온도 (Tg)도 현저하게 증가한다. 또한, 출발 PVC의 분자량이 증가할수록, 동량의 염소에서 Tg가 보다 적게 비례적으로 증가한다. 염소함량이 56.8에서 63.5%로 되면, 세 개의 전형적인 CPVC 중합체의 Tg값들은 각각 85,108과 128˚C가 된다.
하기 표는 통상적으로 유용한 PVC와 CPVC 수지의 일반적 특성을 나타낸다.(표 1)
[표 1]
Figure kpo00001
보통의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는 약 375°F의 온도에서 분해되고 검은색으로 된다. 염소화된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는 매우 높은 내구성과 긴 보존 수명을 나타내며 이 온도에서 분해되지 않는다.
PVC와 CPVC의 특성에서 두 개의 중요한 차이는 CPVC의 보다 높은 유리 전이 온도(이것은 보다 높은 가열 파괴성을 보존한다.)와 가소제에 의해 유연화될 수 있는 각각의 수지 능력에 있다. 그 염료에 대한 수지의 보다 좋은 용해성은 염료 도우너 시이트에서 염료의 보다 높은 농도를 달성케하며 보다 효과적으로 염료가 전이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CPVC수지는 그 수지에서 적어도 57중량%, 바람직하게는 62중량%이상의 재경화 1,2-디클로로-에틸렌 단위를 갖는다.
본 발명에 사용된 염소화된 폴리비닐 수지는 통상적으로 유용하다. 바람직한 수지는 "탬프리트(Temprite)" 염소화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이다. 바람직한 폴리비닐 플로라이드 수지는 "GEON" 수지이다. CPVC와 PVC 모드는 B.F.Goodrich, Cleveland, Ohio로부터 입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유용한 CPVC수지는 62%로부터 74%까지로 염소 함량이 다양하다. 상지 수지 조성물은 미합중국 특허 제4,677,164호에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은 열 전이 인쇄 특히, 염료나 염료 혼합물을 지니는 전이 도우너 시이트 및 그 염료가 가열에 의해 도우너 시이트로부터 수용체 시이트로 전이되는 전이 인쇄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열 전이 인쇄에 있어서, 하나이상의 열 전이성 염료가 그 기판에 적용된다. 그 기판은 상 수요시이트와 접촉되도록 놓여져서 패턴 정보 시그널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열됨으로써 염료/염료들이 수용체 시이트로 전이된다. 전기 시그널과 그 도우너 시이트에 적용된 열의 강도에 대한 반응으로 만들어진 형태와 밀도로 수용체 시이트상에 패턴이 형성된다.
염료의 가열 전이는 높은 색상 순도를 갖는 염료상을 형성케 한다. 그 방법은 건식이며, 칼라상을 제공하기 위해 2-20msecs./line 이하가 소요된다. 그 방법은 분리 도우너 원소로부터 연속적으로 염료를 전이시키거나 또는 연속 웹 또는 리본류의 구조상에 연속적으로 배열된 두 개 이상의 칼라를 갖는 도우너 원소를 사용함으로써 복수-칼라 상을 얻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 칼라는 노란색, 마젠타(심홍색), 시안 및 검정색을 포함할 수 있다.
도우너 시이트에 충분한 염료를 유지하도록 하며, 그로써 수요체 시이트에 염료의 고밀도 전이에 대한 가능성을 달성키 위하여, (1) 그 염료는 도우너 시이트 매질중에서 쉽게 용해 또는 분산되어야 하며, (2) 그 염료 농도가 최고 가능한 퍼센테이지로 염료 도우너 시이트에 보존되어야 하며, (3) 염료 도우너 구성물이 오랜 보존 수명을 가져야 하며, (4) 그 염료는 염료 수용체 시이트로의 높은 정도의 전이 효율을 나타내어야만 한다.
염료 걸정 크기가 보존 수명과 전이도에 역 영향을 줄 정도로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 가열 전이성 염료가 도우너 매질중에 고체로서 쉽게 분산되거나 또는 용해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즈 유도체, 폴리비닐 부티랄과, 스티렌 아크릴로 니트릴등의 공중합체와 같은 흔히 사용되는 결합제에 비해 염료 도우너 구성물중에 결합제로서 염소화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또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를 사용하는 잇점을 설명하기 위하여는 도우너 필름을 통한 빛 전달 차이에 대한 시험이 여러 도우너 구성물 시험의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도우너 필름을 통한 빛 전달은 투명도 지수 측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투명도 지수 측정은 댄시토메터를 사용하여 실시된다. 덴시토메터는 허용성 광학도표를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측정 기구로 이용된다. 측정되는 특정색에 대한 최하 흡수 값을 갖는 덴시토메터 필터를 사용하여(포토셋과 샘플사이에서) 측정이 실시된다.
높은 상 밀도는 빛의 적은 후면굴적을 나타내며 높은 투명성과, 도우너 시이트 매질중의 염료의 높은 분산성을 지적 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2.25이하의 낮은 상 밀도는 일반적으로 도우너 구성물에서 큰 염료 결정과 관련되는데, 이것은 불충분한 보존 수명과 빈약한 염료 상 전이를 초래한다. 전이가 높은 염료 상 밀도를 산출해내는, 고농도로 도우너 매질상에 염료를 분산시키거나 용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염료의 효율 측정을 위한 수단은 그 염료의 전이 효율 시험에 의한다. 염료 전이 효율은 염료 도우너 시이트로부터 염료 수용체 시이트로의 전이를 위해 유용한 염료의 양과, 전이 결과로서 염료 수용체상으로 염료 도우너층으로부터 수용된 염료의 양과 관련된다. 염료 전이 효율의 산술적 측정은 (1) 열 전이 인쇄전에 피복된 도우너 시이트의 초기 반사 광학 밀도와 (2) 수용체 시이트상에 전이된 상의 반사 광학 밀도(TROD)를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TROD/IROD×100의 값은 전이 효율의 척도가 된다. 전이 효율은 도우너 시이트와 수용체, 시이트의 상호 작용에 준한다. 일반적으로, 다른 수지 시스템이 이 목적을 위한 통상의 열적 염료 전이 구성물에서 사용된다. 셀룰로오즈 유도체, 비니 부티랄,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실리콘 및 그 혼합물을 포함하여 여러 수지시스템들이 제시되어 왔다. 논의된 여러 수지들은 목적 특성에 대하여 각각 특정적이다. 개선된 염료 전이 밀도의 특성이 일반적으로 가장 요망되는데, 이것은 특정 수지 결합제 사용을 거쳐 도우너 시이트로부터, 염료 수용체 시이트로의 높은 전이 효율로써 달성된다. 현재 공지된 도우너 수지 시스템의 문제는 도우너 시이트에서 염료의 불충분한 보존 수명이다.
수지 시스템의 블루밍(blooming) 또는 염료의 이동이 그 수지에서 염료의 용해성으로 인해 생길 수 있다. 수지층에서 염료를 운반하는 다른 첨가물에 의해 염료가 하나의 물질에서부터 다른 것으로 전이될 때 염료가 번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염소화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CPVC) 수지, PVC 및/또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와 CPVC의 조합물은 열 전이 과정에서 가열 전이성 염료의 효과적인 전이를 돕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수지들은 염료의 용해성을 촉진시키며 보다 작은 염료 결정 크기를 제공한다.
폴리비닐 클로라이드가 열 전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수지로 널리 공지되어 있지만, EP133011,EP12212 및 많은 다른 특허들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열 수용체 시이트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의 지식에 의하면, 염료 도우너 시이트에 대한 작용성 수지로서, 이것이 설명된 바가 없다. CPVC, PVC와 그것의 조합물은 매우 높은 염료전이 효율과 우수한 도우너 보존 수명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이 수지들은 투명 지수 측정 시험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높은 염료 하중성(loading capability)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CPVC 및/또는 PVC의 결합제에 분산된 염료가 포함되어 있는 염료층을 갖는 지지체가 함유된 염료 도우너 시이트가 제조된다.
본 발명의 염소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 또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의 염소 함량은 그 중합체의 56-74중량%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56중량% 내지 67중량%이다.
본 발명의 CPVC의 고유 점성도는 일반적으로 0.4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0.46-1.15 이하, CPVC 및/또는 PVC의 유리 전이는 80˚C 내지 160˚C이다. 본 발명의 염소화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와 수지는 효과적인 염료 도우너 원소를 제공하는 농도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전형적 구체화에 있어서, 그 도우너 조성물에 대하여 10 내지 80줄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줄량%의 양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예에 있어서, 부가적 수지가 본 발명의 제판공에서 사용될 수 있다. 부가적 수지는 전형적으로 원래 소수성인데, PKHH(Union Carbide에서 시판되는 비스페놀 A중합체)와 같은 페녹시 수지, 폴리히드록시 에테르, 셀룰로오즈 유도체,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폴리에스테르, 비닐아세테이트, 비닐부티랄, 비닐 클로라이드, 소량의 폴리비닐알콜과 같은 비닐화합물,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과 스티렌과 같은 아크릴레이트 등이 포함된다. 이 수지들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그 조성물의 50중량%까지, 예컨데 1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부가적 중합체 성분은 브랜드 또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또는 비닐 클로라이드와 공중합된 단위로서 부가될 수 있다. PVC와 CPVC수지 모두가 공중합체 일 수 있다.
하기 요건을 만족시키는 어떠한 염료도 본 발명의 구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 요건들은 가열에 의해 염료/염료들이 염료 수용층에 전이될 수 있는 것이다. 가열 전이된 염료는 염료 도우너 시이트의 중합체 코팅내에서 용해되거나 또는 잘 분산된다. 바림직한 염료는 아조, 인도아날린, 안트라퀴논, 아미노스티릴, 트리시아노스티릴, 티아진, 디아진 및 옥사진이다. 전형적으로 그 분자량은 100 내지 800이다. 그 결합제에 대한 염료의 비율은 고 밀도 전이, 염료와 기판 사이의 우수한 접착력을 제공하며 보관도중 염료의 이동을 막기 위하여는 30:70 내지 80:20이 바람직하다.
염료 도우너 구성물은 그 염료의 안정성과 용해성을 돕기 위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첨가제들은 총 염료 농도의 0.1 내지 20중량%의 농도로 부가될 수 있다. 그러한 첨가제들은 폴리우레탄, 가소제, UV안정제, 열 안정제, 계면활성제, 실리콘, 낮은 Tg 중합체(80℃이하의 Tg)와 탄성체를 포함한다. 염료 도우너 층은 일반적으로 유기 용매로 피복된다. 적합한 용매는 THF, MEK와 그것의 혼합물, MEK/톨루엔브랜드, THF/염소화된 용매 브랜드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도우너에 대한 적합한 기판은 평편하고 투명 또는 불투명의 연속 및 비 기공성인 기판을 포함한다. 이것은 천연 또는 합성 중합체 수지(열가소성 또는 열 경화성)이다. 대부분의 통상 목적을 위하여, 그 기판은 폴리에스테르(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것은 이축 배향되며, 규격적으로 안정화 될 수 있다).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설폰,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셀룰로오즈지와 같은 중합체 수지와 바람직하다. 그 지지체는 일반적으로 15마이크론, 대개는 1-12마이크론의 두께를 가지며, 6마이크론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설명중 "비-기공성"이란, 그 기판을 거쳐 잉크, 페인트 및 다른 액체 칼라 매질이 쉽게 흐리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예.7㎜Hg 압력하에 0.05cc/sec, 바람직하게는 7mmHg 압력하에 0.02cc/sec 이하) 상당한 기공서의 결여는 그 기판으로 가열된 전이 층이 흡수되는 것을 막으며, 지지층을 거쳐 불규칙산 가열을 방지한다. 스텐슬이 작용하기 위하여 기공성이어야만 하는 미합중국 특허 제3,584,576호의 벡킹 시이트는, 얇은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의 벡킹 시이트의 최대 두께보다 약 4배가량이나 두껍다(48마이크론) 그기판 이외에도, 일부 도우너 시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내가열성 물질, 고급 지방산, 플루오로카본 수지등의 코팅 물질이 그 기판이 열 헤드에 점착되는 것을 막기위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염료 도우너 원소는 시이트 사이즈의 구체물로 또는 연속 웹이나 리본과 같은 연속 롤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연속 리본이나 롤이 사용된다면, 이것은 그 지지체의 표면상에 하나이상의 칼라 코팅을 가질 수 있다. 그 염료층은 연속층으로 피복되거나 또는 연속적으로 배열된 칼라를 가질 수 있다. 측면 배열로 사용된 염료는 대개 노란색, 시안 및 마젠타, 그리고 때로는 검정색이지만, 반드시 그러한 색사등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 그 구성물은 세가지 칼라 염료 전이 상을 제공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열된 색상으로 피복된다. 그 염료층은 추출, 로토그라비야 등과 같은 널리 공지된 방법으로 적합한 크기의 기판상에 피복되거나 인쇄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해 제공되었다. 염료 도우너 시이트에 대한 투명 지수 데이터 셀룰로오즈 유도체,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 비닐리덴 클로라이드와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이들은 특허 문헌들에 널리 언급되어 있다.)와 같은 다른 결합제에 비하여 CPVC 또는 PVC의 잇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단순한 시험을 실시한다. 6개의 널리 유용한 열료1-6(디메틸 마젠타[4-트리시아노비닐-N,N 디메틸아닐릴], 메틸 옐로우, 왁솔린 블루, 디부틸 마젠타[4-트리시아노비닐-N,N-디부틸아닐린], 수단 옐로우와 2-클로로-2'-메틸-N,n-디에틸인도아닐린)과 6개의 중합체 TempriteR678×512, GeonR178(B.F>Goodrich), CABTM272-20(Kodak), CATM398-3(Kodak), ButvarR B-74(Monsanto), SaranR F310(Dow Chemical Co.)을 선택한다. 그 염료와 수지 용액들을 염료 : 수지의 비율이 용매의 40에서 80중량%까지 변화되도록 제조한다. 그 용액들을 #8 Meyer 바아를 사용하여 0.72mil(0.018㎜)의 습식 두께로 6마이크론 Teijin F24G 열전이 필름상에 피복시킨다. 그 코팅을 공건조시키고, 투명도와 흐름도를 전술한 바의 투명도 지수 시험법으로 각 샘플에 대하여 측정한다. 그 결과로부터, 모든 경우에서, CPVC와 PVC의 사용은 염료 결정화가 관찰되지 않고서 그 필름에 높은 수준의 염료가 결합될 수 있게 한다. 그 피복 필름이 대단히 결정성이거나 또는 흐려지면, 그 염료 전이 특성과 염료 안정성이 매우 불충분해진다.
폴리비닐부티랄, 세룰로오즈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와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에 대한 CPVC, PVC와 그것의 혼합물의 비교로써, 본 발명의 수지가 다른 수지보다 훨씬 월등한 것임이 입증된다. 비교수지의 투명도는 일관적으로 CPVC, PVC와 그것의 조합물의 투명도보다 훨씬 낮은 경향이 있다. 비교 결합제에서 염료의 투명도( 및 용해도)의 상당한 변화가 있으며, PVC,CPVC 및 그 조합물들은 성능 특성에서 훨씬 더 일관적이었다.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염료 도우너와 함께 사용된 염료 수용체 구성물의 실시예
다음 물질들을 수록된 순서대로 혼합한다. #8 와이어 바운드 메이어 바아를 사용하여 2-4mil 투명 PET 베이스 필름상에 그 용액을 0.72mil의 습식 두께로 코팅한다. 각 코팅을 약 2분간 고온 공건조 시킨다. 시이트의 최종 크기는 변화된다. 사용된 시이트의 전형적 크기는 2-5인치 넓이이며, 그 길이는 사용된 염료 도우너 시이트의 크기에 조합될 수 있다.
Figure kpo00005
수용체 구성물 #2
그 수용체는 실리콘 교차 결합된 후면 코팅을 갖는 백색의 충진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베이스이다.
염료 도우너 구성물
#8 와이어 바운드 메이어-바아를 사용하여 염료/결합제 용액을 0.72mil(0.018mm)의 습식 두께로 5.7마이크론 Teijin F24G 열적 필름(Teijin에서 시판)상에 코팅시킴으로써 염료 도우너 시이트를 만들고 공건조시킨다.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Figure kpo00008
염료 도우너와 염료 수용체 시이트를 조립하고 13.5볼트에서 4-7밀리초의 연소시간과 70/40(70밀리초의 온(on), 40밀리초의 오프(off)의 연소 프로필로 Kyocera KMT 열적 프린트 헤드로써 형상화한다(image). 실시예 5는 염료 수용체 #2와 함께 사용되며, 모든 다른 실시예들은 염료 수용체 #1과 함께 사용되었다. 품도 수준을, IROD, TROD, 전이 효율과 함께 기록한다. 실험적 결과가 하기와 같이 기록되었다.
Figure kpo00009
수용체 원소의 수용체 층상에 또는 도우너 원소의 도우너 층상에 보호층 또는 다른 보조층을 부가하는 것은 기술상 널리 공지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유용한 CPVC는 중합체 쇄에서 약 62 내지 74중량%의 염소를 갖는다. 그러므로, 그 염소 함량은 약 56중량% 이상과 62중량% 이하가 되도록 PVC를 부분적으로 염소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이 요망되지 않는 유일한 이유는 통상적으로 유용하지 않은 염소화 수준을 얻는 것이 수월치 않기 때문이다. 유리전이 온도는 염소화 수준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지만, 62% 이상이 요구되는 CPVC의 선택의 기능적 필요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Claims (10)

  1. 열적 염료 전이 인쇄에 의해 형상(이미지)에 따라서, 염료 도우너 물질을 전이시키며, 염소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 또는 염소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의 혼합물중에 염료를 함유하는 열적 염료 전이층을 그 이시트의 적어도 하나의 주 표면상에서 가지는 비-기공성 벡킹 물질이 포함되는 염료 도우너 시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층이 10 내지 80중량%의 염소화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와 그것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부터 선택된 수지를 함유하며, 그 염소화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는 62 내지 74%의 염소 함량을 가지는 시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가 그 염료 도우너층의 30 내지 70중량%로 포함되는 시이트.
  4. 제1항에 있어서, 열적 전이성 염료가 염료 도우너층에서 30 : 70 내지 80 : 20의 염료 : 결합제의 범위로 그 도우너층에 존재하는 시이트.
  5. 열 염료 전이 인쇄에 의해 형상(이미지)에 따라 염료 도우너 물질을 전이시키며, 염소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 또는 혼합된 염소화 폴리 클로라이드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 물질에 염료를 함유하는 열적 염료 전이층을 그 시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주요 표면상에 가지는 15마이크론 이하의 두께를 갖는 벡킹층을 포함하며, 상기 염소화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는 62-74% 염소 함량과 0.46내지 1.15의 고유 점성도를 갖는 염료 도우너 시이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층이 10 내지 80중량%의 염소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와 그것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수지를 함유하는 시이트.
  7. 제6항에 있어서, 그 수지가 염료 도우너층의 30 내지 70중량%로 포함되는 시이트.
  8. 제5항에 있어서, 열적 전이성 염료가 염료 도우너층에서 30 : 70 내지 80 : 20의 염료 : 결합제의 범위로 존재하는 시이트.
  9. 열염료 전이 인쇄에 의해 형상(이미지)에 따라서 염료 도우너 물질을 전이시키며, 염소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 또는 혼합된 염소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 물질중에 염료를 포함하는 투명 열 염료 전이층을 그 시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주요 표면상에 가지며, 1 내지 12마이크론의 두께를 갖는 비-기공성 벡킹층을 포함하며, 상기 염소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는 62-74%의 염소 함량을 갖는 염료 도우너 시이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층이 염소화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와, 혼합된 염소화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수지를 10 내지 80중량%로 함유하는 시이트.
KR1019890011936A 1988-08-23 1989-08-22 열적 염료 전이 염료 도우너 구성물 KR9100070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235,236 US4847238A (en) 1988-08-23 1988-08-23 Thermal dye transfer dye donor construction
US235,236 1988-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956A KR900002956A (ko) 1990-03-23
KR910007073B1 true KR910007073B1 (ko) 1991-09-16

Family

ID=22884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1936A KR910007073B1 (ko) 1988-08-23 1989-08-22 열적 염료 전이 염료 도우너 구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847238A (ko)
EP (1) EP0356069B1 (ko)
JP (1) JPH0298494A (ko)
KR (1) KR910007073B1 (ko)
AU (1) AU624167B2 (ko)
BR (1) BR8904215A (ko)
CA (1) CA1329321C (ko)
DE (1) DE68915077T2 (ko)
ES (1) ES2052011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3365A (en) * 1988-08-23 1989-08-0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hermal dye transfer-dye receptor construction
US5318938A (en) * 1989-05-05 1994-06-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hermographic elements
JP2969768B2 (ja) * 1989-08-07 1999-11-02 三菱化学株式会社 熱転写記録用シート
US5060981A (en) * 1989-09-19 1991-10-2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ransparent overlay for protecting a document from tampering
JP2953630B2 (ja) * 1989-12-28 1999-09-27 三井化学株式会社 感熱記録材料
US5342728A (en) * 1992-08-18 1994-08-30 Eastman Kodak Company Stabilizers for dye-donor element used in thermal dye transfer
WO1994018012A1 (en) * 1993-02-09 1994-08-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hermal transfer systems having vanadium oxide antistatic layers
US5372985A (en) * 1993-02-09 1994-12-1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hermal transfer systems having delaminating coatings
US5783519A (en) * 1994-08-22 1998-07-2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hermal transfer systems having vanadium oxide antistatic layers
US5460874A (en) * 1994-09-30 1995-10-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Water-based coating compositions for imaging app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4576A (en) * 1967-08-25 1971-06-15 Ricoh Kk Heat-sensitive stencil sheet
US3736133A (en) * 1971-06-21 1973-05-29 Xerox Corp Transparent ink absorbent lacquers
GB1378590A (en) * 1972-04-21 1974-12-27 Gen Electric Dynamoelectric machine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JPS5698190A (en) * 1980-01-07 1981-08-07 Fuji Kagakushi Kogyo Co Ltd Ribbon for color thermotranscription
CA1198591A (en) * 1982-02-13 1985-12-31 Tadao Seto Heat-sensitive color transfer recording media
US4651177A (en) * 1984-05-31 1987-03-17 Mitsubishi Paper Mills, Ltd. Thermal transfer recording material
JPS61286199A (ja) * 1985-06-13 1986-12-16 Nippon Kogaku Kk <Nikon> 昇華転写記録材料
JPS6239293A (ja) * 1985-08-16 1987-02-20 Canon Inc 感熱記録材
JP2583852B2 (ja) * 1986-05-09 1997-02-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転写型感熱記録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8915077T2 (de) 1994-11-17
EP0356069A3 (en) 1990-09-05
DE68915077D1 (de) 1994-06-09
KR900002956A (ko) 1990-03-23
US4847238A (en) 1989-07-11
EP0356069A2 (en) 1990-02-28
CA1329321C (en) 1994-05-10
JPH0298494A (ja) 1990-04-10
AU624167B2 (en) 1992-06-04
EP0356069B1 (en) 1994-05-04
AU3891689A (en) 1990-03-01
BR8904215A (pt) 1990-04-10
ES2052011T3 (es) 199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02228B2 (ja) 赤外線吸収性スクエアリ―リウム化合物を含む感熱画像用ドナ―エレメント
CA2084239C (en) Sheet material for thermal transfer imaging
JPS62202791A (ja) 熱転染に使用する染料−受容部材用のポリマ−混合物
KR910007073B1 (ko) 열적 염료 전이 염료 도우너 구성물
JP2633836B2 (ja) 熱転写シート
US4912084A (en) Heat transfer sheet
JPH02120089A (ja) 熱転写しうる蛍光オキサゾール
US4853365A (en) Thermal dye transfer-dye receptor construction
JPH0248993A (ja) 染料熱転写用アルキルまたはアリール―アミノ―ピリジニルまたはピリミジニル―アゾイエロ―染料供与素子
US4977134A (en) Thermal transfer imaging using sulfonylaminoanthraquinone dyes
EP0365392B1 (en) Magenta dye-donor element used in thermal transfer and thermal transfer sheet using it
JPS6369690A (ja) 安定剤を含有する染料受容部材の再加熱法
EP0861736B1 (en) Plasticizers for dye-donor element used in thermal dye transfer
EP0816115B1 (en) Plasticizers for dye-donor element used in thermal dye transfer
US5061678A (en) Thermal transfer imaging using sulfonylaminoanthraquinone dyes
US3261023A (en) Thermographic recording process wherein the heat-sensitive sheet is used in plural processes
EP0761466B1 (en) Stabilised dye-donor element for use in thermal dye transfer
JP2558992B2 (ja) 熱転写シート
JP3406350B2 (ja) 熱転写シート
JP2681777B2 (ja) 熱転写シート
JPH0245996B2 (ko)
US5521141A (en) Dye-donor film for thermosensitive dye-transfer system
JPS6391288A (ja) 熱転写シ−ト
EP0653985A1 (en) DYE GIVING LAYER FOR HEAT-SENSITIVE DYE TRANSFER SYSTEM.
JPH01176591A (ja) 熱転写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9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