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020B1 - 저전류 소모형 주파수 합성기 - Google Patents

저전류 소모형 주파수 합성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020B1
KR910007020B1 KR1019880012633A KR880012633A KR910007020B1 KR 910007020 B1 KR910007020 B1 KR 910007020B1 KR 1019880012633 A KR1019880012633 A KR 1019880012633A KR 880012633 A KR880012633 A KR 880012633A KR 910007020 B1 KR910007020 B1 KR 910007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prescaler
signal
power sourc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2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5687A (ko
Inventor
이강훈
Original Assignee
삼성반도체통신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반도체통신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반도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12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7020B1/ko
Publication of KR900005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7/00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e.g. frequency-chan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 Transceivers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저전류 소모형 주파수 합성기
제1도는 주파수 합성기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FM 수신기의 블럭구성도.
제2도는 종래의 주파수 합성기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합성기의 블럭도.
제4도는 제3도의 구체적 실시예도.
제5도는 제4도중 버퍼앰프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위상검출기 2 : 필터
3 : 전압제어 발진기 4 : 프리스케일러
5 : 제1분주기 6 : 제2분주기
31 : 발진부 C1-C9 : 캐패시터
Q1-Q3 : 고주파 트랜지스터 L1-L4 : 코일
R1-R3 : 저항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파수 합성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전화기의 수신 계통도는 제1도와 같이 구성된다. 먼저 상기와 같은 무선전화기의 수신계 동작을 살펴보면, 공중전파된 RF 신호(Raido Frequency)는 안테나 (101)를 통해 수신되며, 안테나(101)를 통한 미약한 신호는 제1증폭기(102)를 통해 증폭되어 제1믹서(104)로 입력되며, 제1믹서(104)의 다른 입력단으로는 제1국부발진기(103)의 국부발진 주파수(lf1)가 입력된다. 이때 상기 제1믹서(104)는 상기 RF 신호와 국부발진 주파수(LF1)를 합성하여 중간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IF1)를 발생한다.
이때 무선전화기에서 사용되는 상기 RF 신호는 수백메가 헤르쯔 대역의 주파수이므로, 1차 주파수 합성 과정에서 발생되는 상기 중간주파수(IF1)를 직접 복조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상기 중간주파수(IF1)를 2차 주파수 합성하는 것이 통상적인 방법이다. 따라서 상기 중간주파수(IF1)는 제1필터(105) 및 제2증폭기 (106)를 통하여 여파 및 증폭된 후 제2믹서(108)로 인가되며, 상기 제2믹서 (108)의 다른 입력단으로는 제2국부발진기(107)의 국부발진 주파수(LF2)가 인가된다. 상기 제2믹서(107)는 상기 두 신호(IF1 및 LF2)를 합성하여 저주파대의 신호를 만든 후, 제2필터(109)를 통해 시스템 측으로 보내어 데이타 및 음성신호로 복조되도록 한다.
상기 구성은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Superheterodyne)의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호모다인(homodyne)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수신계 구성을 갖는 무선전화가에서는 국부발진기, 즉 주파수 합성기는 통화를 하지 않는 상태의 수신 대기시에도 특정채널을 유지하여 상대방의 호출 여부를 감시하고 있어서 하므로 항상 동작중이어서 한다.
상기 주파수 합성기의 일반적인 형태는 제2도와 같이 구성되는데, 제2도는 2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dual modulus prescaler)를 사용하여 고주파의 발진신호를 발생하는 일반적인 주파수 합성기의 블럭구성도이다. 상기 구성의 동작을 살펴보면, 위상검출기(201)는 기준주파수(Reference frequency)와 제1분주기(205)의 출력 주파수를 수신 후, 두 신호의 위상를 비교하여 위상차에 따른 에러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에러 신호는 필터(202)를 통해 여파되어 전압제어 발진기(203)의 발진주파수 제어용 전압으로 인가된다.
이때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203)는 국부발진 신호로 제1도의 믹서에 인가되는데, 제1국부발진 주파수의 경우에는 기가 헤르쯔(GHZ)대에 가까운 주파수가 되므로, 일반적인 카운터로는 이 주파수를 분주할 수 없다. 따라서 ECL(Emitter coupled Logic Circuit) 소자로 이루어지는 고주파 분주용 프리스케일러(2 modulus prescaler)(204)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ECL 구성의 프리스케일러(204)를 사용하는 이유는 ECL 소자가 저전력을 소모하기 때문이다.
상기 프리스케일러(204)에서 1차 분주된 주파수는 제1 및 제2분주기(205-206)으로 인가되는데, 상기 제1및 제2분주기(205,206)는 상기 프리스케일러(204)의 출력을 분주하여 상기 위상검출기(201)의 비교주파수로 인가한다. 상기와 같은 주파수 합성기에서 제1및 제2분주기(205,206)는 낮은 대역의 주파수를 분주하게 되므로 CMOS 집정회로를 이용할 수 있어 수 mA 정도의 전류소모를 발생하게 되지만, 최대 1GHZ까지의 고주파를 분주하는 프리스케일러(204)는 ECL 집적회로를 사용하더라도 10mA 정도를 소모하게 된다. 상기 구성에서 프리스케일러(204)는 MB(501L(일본 FUJISTU사 제품)을 사용할 수 있고, 제1및 제2분주기(205,206)는 MC 145156( 미국 MOTOROLA사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전화기에서 주파수 합성기는 시스템의 심장부에 해당되는 것으로, 상기 주파수 합성기는 수신대기 상태에서도 항상 동작하면서 특정채널을 유지해야 하는데, 특히 한정된 전원(battery)용량을 갖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에서 주파수 합성기의 전류소모는 시스템의 동작시간과 직결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주파수 합성기에서 ECL 소자의 고주파 분주용 프리스케일러를 사용하더라도 전류소모가 많은 관계로 무선전화기의 가동시간에 많은 제한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전류소모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낮은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프리스케일러를 사용하여 체배 주파수를 주파수 합성기에 이용함으로써 전류소모를 5mA 이하로 줄이는 방법이 사용되었으나, 이 경우에는 전압제어 발진기의 크기가 커지고, 또한 별도의 체배회로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주파수(fundmental frequency)를 제거하기 위해 필터를 사용해야 했던 문제점이 있다.
또다른 전류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을 GaAs 소자의 프리스케일러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었으나, 이 경우에는 부품가격이 너무 비싸 가격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압제어 발진기와 주파수 분주기를 사용하여 고주파수의 발진 신호를 발생하는 무선전화기의 주파수 합성회로에서 전압제어 발진기에 인가된 바이어스 전원을 주파수 분주부로 재공급함으로써 전원의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저전류 소모형 주파수 합성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합성기의 블록도로서, 소정의 기준주파수와 분주주파수를 입력하여 두주파수의 위상차에 따른 에러 신호를 발생하는 위상검출기(1)와, 상기 에러 신호를 정류하여 발진제어용 전압을 발생하는 필터(2)와 제1전원 (V1)을 바이어스 전압으로 하여 상기 발진제어용 전압에 따른 발진주파수를 발진하는 동시에 상기 발진주파수를 정류하여 제2전원(V2)을 발생하는 전압제어 발진지(3)와,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3)의 제2전원 (V2)을 바이어스 전원으로 하여 상기 발진주파수를 1차 분주하는 프리스케일러(4)와, 상기 프리스케일러(4)의 출력중 상기 제1분주기(5)에서 분주하고 남은 나머지를 분주하여 그 데이타를 다시 프리스케일러(4)로 인가하는 제1및 제2분주기(5)(6)로 구성된다.
제4도는 제3도중 전압제어 발진기(3)의 구체적 일실시예도로서, 상기 필터(2)의 출력전압에 따라 소정의 발전주파수를 발생하는 발진부(31)와, 캐패시터(C1-C4), 저항(R1-R3), 코일(L1-L3)및 고주파 트랜지스터(Q1-Q3)로 구성되어 소정의 제1전원(V1)을 바이어스 전원으로 하여 상기 발진부(31)의 출력을 증폭 및 완충하는 다단의 버퍼앰프부(32)와, 코일(L4) 및 캐패시터(C5)로 구성되어 상기 버퍼앰프부(32)의 출력을 정류하여 상기 제2전운(V2) 레벨의 출력을 발생하는 제1정류부(331)와, 캐패시터(C6-C8)및 관통형 캐패시터(C9)로 구성되어, 상기 정류부(32)의 제2전원(V20)에 포함된 리플성분을 제거하여 직류 성분의 제2전원(V2)을 발생하여 프리스케일러(4)의 동작전원으로 공급하는 제2정류부(332)로 구성된다.
제5도는 상기 제4도중 1개의 버퍼앰프 구성도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을 제3, 4, 5도를 참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주파수 합성기에서 주파수를 발진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소정의 기준주파수(fr : Reference Frequency)를 입력하는 위상검출기(Phase detector)(1)는 다른 입력단으로 제1분주기(5)한 비교주파수(fA)를 입력하여 두 신호(fr,fA)의 위상차에 따른 에러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에러 신호는 루프필터(loop filter)(2)로 입력되어 여파되는데, 상기 필터(2)는 상기 에러신호를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전압제어 발진기(Voltage Controlled Oscillatir)(3)의 발진 제어용으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3)는 동작전원으로 제1전원(V1)을 공급받으며 최대 1GHZ 까지의 주파수를 발생할 수 있는 고주파 발진기로, 출력은 무선전화기의 제1믹서에 국부발진 신호로 인가된다.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3)의 출력은 다시 분주되어 위상검출기(1)로 인가되어야 하는데, 고주파 분주를 위한 수단으로 프리스케일러(4) 및 제1-제2분주기(5)(6)를 이용한다. 즉, 상기 프리스케일러(4)는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3)의 출력주파수를 P분주하여 제1-제2분주기(5,6)로 인가하며, 제1분주기(5)는 상기 프리스케일러(4)의 출력을 A분주하여 위상검출기(1)의 비교주파수(fA)로 인가한다. 이때 제1분주기(5)에서 프리스케일러(4)의 출력을 A 분주하고 남은 분주주파수는 다시 제2분주기(6)에서 분주하는데, 이 분주 신호는 다시 프리스케일러(4)로 인가된다. 또한 상기 프리스케일러(4)에서는 제2분주기(60의 출력이 P값보다 커질 경우에는 (P+1)분주를 하여 출력하게 되어 전체 분할비를 최소화시킨다. 따라서 P값은 B값보다 큼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주파수 합성기가 발진 신호(fo)로 915.030MHz를 출력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경우 채널 대역(channel band width)이 30KHz가 되며, 따라서 수신되는 기준주파수 fr는 30KHz가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및 제2분주기(5,6)는 단일의 칩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MC 145156을 사용할 수 있고, 프리스케일러(4)는 ECL 소자의 상기 MB501L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리스케일러(4)는 2가지 모드의 분주율(divide radio)을 가지며, 동작전원은 3V(3.0V typ., +2.7 to 4.5V)가 된다. 이 경우 상긱프리스케일러(4)의 p값은 128이 된다. 이때 상기 발진 신호(fo)는 (P×A+B)×fr이 되므로 P×A+B=915.030MHz가 된다. 따라서 128A+B=30501KHz가 되므로 제1분주기(5)의 분주비 "A" 및 제2분주기(6)의 분주비 "B"는 각각 A=238, B=37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A는 30501를 P로 나눈 경우 몫이 되고, B는 나머지가 된다.
휴대용 무선전화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원의 제한을 크게 받게 된다. 이때 상기 제3도와 같은 주파수 합성기는 수신대기 상태(통신을 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 자기 채널을 유지하기 위하여 항시 동작되어야 하므로, 전원소비를 최대로 줄여야 한다. 그러므로 전원소비를 억제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전압제어 발진기(3)의 출력을 국부발진 주파수로 출력하는 동시에, 이를 다시 정류하여 전류소비가 많은 고주파 분주용 프리스케일러(4)의 동작 전원으로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주파수 합성기의 전력소모를 절약할 수 있는 회로의 구성은 제4도와 같이 할 수 있다.
상기 제4도에서, 발진부(31)는 필터(2)의 발진제어용 전압에 따라 주파수를 발진하게 되는데, 발진주파수의 범위는 최대 1GHZ 이하이다. 상기 발진부(31)의 출력주파수는 다단의 버퍼앰프부(32)를 거치게 되는데, 버퍼앰프단이 많으면 주파수 이득을 많이 얻을 수 있고, 풀링피겨(pulling figure : 외부 부하에 의한 VC0 주파수 특성와 변화)가 좋아지며, RF 파워 리플랙션(RF power reflection)이 적어 주파수가 안정되므로, 적당한 선에서 버퍼앰프의 수를 결정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버퍼앰프단으로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버퍼앰프단으로 제1전원(V1)을 바이어스 전원으로 하는데, 제1전원(V1)은 5V이며, 버퍼앰프부(32)에 완충 증폭된 신호는 발진부(31)의 출력으로서, 발진 신호(fo)가 되어 제1믹서측으로 인가되는 동시에 프리스케일러(4)로 인가된다. 이때 상기 버퍼앰프부(32)에서는 제1전원(V1)의 레벨을 갖는 발진 신호(fo)를 발생하며, 상기 발진 신호(fo)는 정류되어 프리스케일러(4)의 동작전원으로 공급된다.
상기 버퍼앰프의 설계는 제5도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ECL 소자의 프리스케일러(4)의 동작전원은 3V을 사용하며, 소모되는 전류는 10mA 정도이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A)의 에미터를 통해 10mA의 전류가 프리스케일러(4)로 흐를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즉, 제5도에서 저항(Rp)는 상기 프리스케일러(4)에 대응되는 저항으로, 상기 에미터 전류 Ip(-Ic+Is)는 10mA가 되어야 한다. 이 경우 에미터전압(Vp)을 4.5V로 가정하면, 베이스전압(VB)는 하기 (1)식으로 구할 수 있다.
Figure kpo00001
그러므로 베이스 저항 (RB)은 약 2KΩ이 된다. 또한 상기 발진부(31)와 프리스케일러(4)간에 적절한 아이솔레이션(isolation)을 얻기 위해 커플링 캐패시티(coupling capacitor) (CA,CB)의 값을 2PF 정도로 제한한다.
따라서 상기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진부(31)로부터의 주파수 출력은 1단앰프(321)에서 증폭된 후, 2단앰프(322)에서 다시 증폭을 하며, 프리스케일러(4)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3단앰프(323)에서는 증폭 및 리플렉션되는 파워(Power)에 대한 아이솔레이션(isolation)을 충분히 하므로 주파수는 외부의 영향을 적게 받게 된다. 즉, 상기 2단앰프(322)를 출력하는 발진부(31)의 출력만 발진 신호(b)는 제1전원(V1)레벨을 갖으며, 커플링 캐패시티(C3)를 3단앰프(323)를 통해 믹서측으로 출력된다.
또한 상기 2단앰프(322)는 NPN형의 고주파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를 통해 상기 발진 신호(fo)를 출력한다. 이때의 상기 발진 신호(fo)는 제1전원(V1)레벨을 갖는 신호로서 많은 고주파 잡음이 포함된 교류신호이므로 정류 및 바이패스 과정을 필요로 한다.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를 통한 발진 신호(fo)는 코일(RF Choke coil)(L4) 및 캐패시티(C5)를 통하여 1차 정류된다. 또한 상기 코일(L4)를 통한 정류 신호는 신호중에 포함된 교류성분이 캐패시터(C6-C9)에 의해 바이패스되므로써, 2차 정류되어 직류 레벨을 갖는 전압으로 변환된다. 상기 변환된 직류전압은 프리스케일러(4)의 동작전원인 제2전원(V2)이 된다. 이때 상기 제2전원(V2)은 상기 정류과정을 통하여 약간의 전압강하가 일어나지만, 상기 프리스케일러(4)의 소모전류(10mA) 정도로 바이어스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프리스케일러(4)의 동작전원으로서는 아무런 무리가 없다.
이때 상기 정류과정에서 적절치 못한 바이패싱(bypassing)은 주파스 합성기에 스퓨리어스(sprious)를 발생시키는데, 실험적으로 캐패시중 C5를 1μF로, C6,C7,C8을 10μF, 1μF, 0.018μF로 설정하면 적정한 바이패스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프리스케일러(4)는 상기한 바와 같이 많은 전류를 소모하는 ECL 소자의 직접회로로서, 동작전원은 3V를 사용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발진부(31)를 출력하는 발진 신호(fo)를 믹서로 공급하는 동시에, 바이패스되는 상기 발진신호(fo)를 정류하여 상기 프리스케일러(4)의 동작전원으로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프리스케일러(4)로는 별도의 독립된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 버퍼앰프(32)에서 바이패스되는 교류형태의 전류를 다시 직류형태로 정류하여 이를 공급전원으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프리스케일러(4)에 의한 전류소모를 버퍼앰프(32)의 전류로 대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프리스케일러(4)는 상기 전류된 제2전원(V2)에 의해 상기 발진 신호(fo)를 P 또는 P+1 분주하여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버퍼앰프(32)를 다단으로 구성함으로써, 발진 신호(fo)가 증폭 및 리플랙션되는 전력에 대한 아이솔레이션을 충분하게 하며, 이로 인해 발진 신호(fo)가 외부 영향을 적게 받는다.
상기와 같이 바이패스 되는 출력 발진 신호(fo)를 정류하여 프리스케일러(4)의 동작 전원으로 공급하는 경우, 실험에 의하면 상기 제1전원(V1)이 5V로 공급될시 정류과정을 통해 상기 프리스케일러(4)의 전원단으로 공급되는 제2전원(V2)은 약4.55V가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주파수 합성기를 구성하는 경우 하기와 같은 실험 결과치를 얻게 된다.
Figure kpo00002
상기 실험결과에 나타나듯이 바이어스를 공유하는 경우, 총 소모전류가 감소되므로 약 25% 정도의 전력소모가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전화기의 주파수 합성회로에서 아날로그 및 디지탈 부분의 소자에 각각 공급하던 전원을 전압제어 발진기의 버퍼앰프단에서 사용된 바이어스의 디지탈 전원을 재사용 함으로써 주파수 합성회로의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약(25%), 이로 인하여 배터리를 사용하는 무선통과기기의 수신대기 및 송수신기 봉화 가용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프리스케일러에 공급하는 제2전원을 제1및 제2카운터의 동작전원으로 공급하면 더 많은 전력을 절약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무선전화기의 주파수 합성회로에 있어서, 소정의 기준 주파수(fr)와 비교주파수(fA)의 위상차를 검출하여 에러신호를 발생하는 위상검출기(1)와, 상기 위상검출기(1)의 출력을 여파하여 직류 에러전압을 발생하는 필터(2)와, 상기 필터(2)의 출력을 수신하여 상기 에러전압 레벨에 따른 고주파수의 발진신호(fo)를 직접 발생하는 발진부(31)와, ECL 소자의 2모듈러스 프리스케일로서, 소정의 제2전원(V2)을 동작전원으로 입력하고, 상기 발진신호(fo)를 수신하여 제1모드에서 P분주 비로 2차 분주하여 1차 분주신호(fp)를 발생하며, 제2모드에서 p+1 분자하여 1차분 신호(fp+1)를 발생하는 프리스케일러(4)와, 상기 프리스케일러(4)의 출력을수신하여 상기 1차 분주신호(fp or fp+1)를 A분주하여 상기 비교주파수(fA)를 발생하여 상기 위상검출기(1)로 출력하는 제1분주기(5)와, 상기 프리스케일러(4)의 출력을 수신하여 B 분주하며, 상기 프리스케일러(4)의 1차 분주신호(fp)가 상기 비교주파수(fA)로 나뉘어 나머지 성분의 B분주비가 상기 P 분주비를 초과할시 상기 프리스케일러(4)를 제2모드로 동작시키는 제2분주기(6)와, 소정의 제1전원(V2)을 동작 전원으로 입력하고, 상기 발진부(31)의 발진신호(fo)를 수신하여 완충 및 증폭하여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제1전원(V1)에 의해 발진신호(fo)를 상기 프리스케일러(4)의 소모전류와 동일한 값으로 바이패스 되도록 바이어스 레벨이 조정된 버퍼 앰프부(32)와, 상기 버퍼 앰프부(32)의 바이패스 출력인 상기 발진신호(fo)의 교류 성분을 블로킹하여 상기 제2전원(V2) 레벨로 정류하는 제1정류부(331)와, 상기 제1정류부(331)의 출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2전원(V2)이 포함된 고주파 잡음을 제거한 후, 상기 프리스케일러(4)의 동작전원으로 공급하는 제2정류부(33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류 소모형 주파수 합성기.
  2. 무선전화기의 주파수 합성기에 있어서, 통화 채널 대역에 따른 기준주파수(fr)와 수신 채널에 관계되는 비교주파수(fA)의 위상차를 검출하여 에러전압을 발생하는 위상검출기(1)와, 상기 위상검출기(1)의 에러전압에 의해 채널선택을 위한 고주파 발진신호(fo)를 직접 발생하는 발진부(31)와, 제1전원(V1)을 동작전원으로 입력하고 상기 발진부(31)의 발진신호(fo)를 수신하며, 상기 발진신호(fo)를 상기 제1전원(V1) 레벨로 완충 및 증폭하여 출력하는 버퍼 앰프부(32)와, 상기 버퍼 앰프부(32)를 출력하는 발진신호(fo)를 정류 및 평활하여 직류형태의 제2전원(V2)을 발생하는 정류부(33)와, 상기 제2전원(V2)을 동작 전원부터 입력하고 상기 버퍼 앰프부(32)의 발진신호(fo)를 수신하며, 상기 발진신호(fo)를 1차 분주한 신호(fp)를 발생은 프리스케일러(4)와, 상기 프리스케일러(4)의 출력을 수신하여 상기 1차 분주신호(fp)를 관계되는 비교주파수(fA)로 2차 분주하는 분주기(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류 소모형 주파수 합성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앰프가 (32)가 고주파 트랜지스터(QA)의 출력단인 컬렉터에 상기 제1전원(V1)단이 연결되며, 상기 고주파 트랜지스터(QA)의 입력단인 게이트와 상기 제1전원(V1)단 사이에 저항(RB)이 연결되고, 상기 고주파 트랜지스터(QA)의 바이패스단인 에미터를 상기 정류부(33)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에미터로 흐르는 전류가 상기 프리스케일러(4)의 동작전류 레벨이 되도록 상기 저항(RB)의 값이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류 소모형 주파수 합성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33)가 상기 버퍼 앰프부(31)가 에미터단에 연결되어 바이패스 되는 상기 발진신호(fo)를 수신하여 정류하는 제1정류부(331)와, 상기 제1정류부(331)의 출력을 수신하며, 상기 1차 정류 신호에 포함된 고주파 잡음을 바이패스하여 직류형태의 상기 제2전압(V2)로 변환한 후 상기 프리스케일러(4)의 동작전원으로 공급하는 제2정류부(33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류 소모형 주파수 합성기.
KR1019880012633A 1988-09-29 1988-09-29 저전류 소모형 주파수 합성기 KR910007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2633A KR910007020B1 (ko) 1988-09-29 1988-09-29 저전류 소모형 주파수 합성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2633A KR910007020B1 (ko) 1988-09-29 1988-09-29 저전류 소모형 주파수 합성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687A KR900005687A (ko) 1990-04-14
KR910007020B1 true KR910007020B1 (ko) 1991-09-14

Family

ID=19278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2633A KR910007020B1 (ko) 1988-09-29 1988-09-29 저전류 소모형 주파수 합성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0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687A (ko) 199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9191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having built-in PLL circuit
US648403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reference frequencies in a mobile phone using a common crystal reference oscillator
US5650754A (en) Phase-loched loop circuits an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circuits
US7242916B2 (en) Communicatio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019571B2 (en) Frequency synthesizer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848715B2 (en) Circuit and method
US6215362B1 (en) Phase-locked loop (PLL) for radio-frequency (RF) signals
KR100290670B1 (ko) 위상동기루프를사용한주파수합성기의락-업고속화회로
US20090237036A1 (en) Frequency synthesizer and loop filter used therein
WO2001024375A1 (en) Phase locked loop frequency generating circuit and a receiver using the circuit
KR910007020B1 (ko) 저전류 소모형 주파수 합성기
CN111404544A (zh) 内外参考信号自适应Ku波段低相位噪声频率源
US4249138A (en) Citizens band transceiver frequency synthesizer with single offset and reference oscillator
US7436921B1 (en) Frequency sampling phase detector
US7782144B2 (en) Active filter in PLL circuit
EP1032981B1 (en) Tuning bandwidth minimization for low voltage dual band receiver
US6522107B1 (en) DC-DC converter circuit for preventing beat interference
JP3191380B2 (ja) マルチバンドラジオic
JP2001103738A (ja) Dc−dcコンバータ
JP4277154B2 (ja) 電圧制御発振器およびシンセサイザ受信機
JP2516355B2 (ja) 同調用制御電圧発生回路
JPH03273710A (ja) 半導体装置
JP2000224027A (ja) Pll回路
JPH08321774A (ja) 位相同期式周波数シンセサイザ
JPH03239013A (ja) 位相ロックループ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10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