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856B1 - 자동바이어스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바이어스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856B1
KR910006856B1 KR1019830005328A KR830005328A KR910006856B1 KR 910006856 B1 KR910006856 B1 KR 910006856B1 KR 1019830005328 A KR1019830005328 A KR 1019830005328A KR 830005328 A KR830005328 A KR 830005328A KR 910006856 B1 KR910006856 B1 KR 910006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ideo
voltage
interval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5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739A (ko
Inventor
찰스 톨런트 2세 제임스
Original Assignee
알 씨 에이 코포레이션
글렌 에이취.브르스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 씨 에이 코포레이션, 글렌 에이취.브르스틀 filed Critical 알 씨 에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40006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2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reinsertion of DC and slowly varying components of colour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바이어스 조정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감지회로를 포함하는 자동바이어스 조정시스템을 가진 칼라텔레비젼 수상기의 부분도.
제2도는 제1도에서의 시스템의 동작과 관련된 신호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TV 신호처리용 회로 12 : 휘도 및 색도 처리기,
14b, 14c : 비데오 출력신호처리기
40 : 타이밍 신호 발생기 52 : 증폭기
56, 57 : 전자스위치 58 : 전하축적 콘덴서
본 발명은 신호처리 회로망 특징의 감지 및 자동조절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비데오신호 영상재생용 장치에 의해 도전되는 블랙영상전류를 감지하고 자동조절 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에 있어서, 조절시스템이 비활성되는 간격동안 감지점에서 나타나는 방해 비데오신호성분이 보상되어질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칼라텔레비젼 수상기는 수상기와 연관된 칼라 키네스코프의 전자총에 대하여 적절한 블랙영상을 나타내는 전류레벨을 자동적으로 설정하는 자동 키네스코프 바이어스(AKB) 조절시스템을 사용할때도 있다. 이런 동작의 결과로서, 키네스코프에 의해 재생된 화상은 키네스코프 동작 변수의 변화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는다.(예를 들어, 에이징 및 온도효과 때문)
AKB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영상 귀선소거간격동안 동작하는데, 이때 키네스코프의 각 전자총은 블랙 비데오 신호정보를 나타내는 기준전압에 응답하여 적은 블랙 영상을 나타내는 귀선소거전류를 도통시킨다. 이 전류는 AKB 시스템에 의해 처리되어서 귀선소거 간격동안 도통되는 전류를 나타내고, 바람직한 블랙전류레벨을 유지하도록 사용되어지는 신호를 발생한다.
AKB 시스템중 한 형태에서 조절회로는 음극블랙전류레벨을 나타내는 크기를 지닌 주기적으로 구동된 펄스신호에 응답한다. 이 구동된 신호는 카네스코프 바이어스 보정신호발생용 클램핑 및 샘플링 회로망을 포함하는 조절회로에 의해 처리되어지는데 이 보정신호는 크기를 증가 및 감소시키고 보정블랙전류레벨을 유지하는 키네스코프에 연결되어진다. 클램핑 회로망은 샘플되어지는 신호정보에 대한 기준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클램핑 콘텐서를 구비한다. 기준상태는 클램핑 콘덴서에 기준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설정되어지는데 이 클램핑 콘덴서는 클램핑 간격동안 샘플링 회로망에 연결되어진다. 이런 형태의 AKB 시스템은 예를 들어 알.피.파커씨에 의해 미합중국 특히 제4,331,981호에서 기술되어져 있다.
이미 발표된 자동조절시스템에서, 바이어스를 나타내는 신호는 비데오신호 귀선소거간격동안 감지점에서 구동되어진다. 감지점은 조절시스템의 신호처리회로가 비활성되는 비데오신호 영상간격동안은 비데오 신호의 진폭변화에 상관된 전압변화를 나타낸다.
감지점에서 큰 진폭비데오 신호가 존재함은 조절시스템의 신호처리회로의 동작에 관한 방해효과를 가지는데 특히 이러한 회로가 집적회로 형태로 구성되어 있을 때이다. 따라서, 여기서 발표된 조절시스템은 큰 비데오신호 진폭성분을 감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데 이 비데오신호 진폭성분은 조절시스템의 신호처리회로가 비활성되는 비데오신호 화상간격동안 조절시스템 감지점에서 나타난다.
제1도에서, 텔레비젼 신호처리회로(10)는 휘도 및 색도 신호처리 회로망(12)에다 합성칼라 텔레비젼신호의 분리되어진 휘도(Y) 및 색도(C) 성분을 공급한다. 처리기(12)는 휘도 및 색도 이득조절회로와, 직류레벨 설정회로(예를들어 키드블랙레벨 클램핑회로)와, r-y, g-y 및 b-y칼라영상을 나타내는 신호 r, g 및 b를 공급하기 위하여 처리된 휘도신호 조합용 매트릭스 증폭기를 구비한다. 이들 신호는 증폭되어지고 비데오 출력신호처리 회로망(14a,14b,14c)안에 있는 회로에 의해서 다른 방법으로 처리되어지는데 이들 비데오 출력신호처리 회로망은 칼라 키네스코프(15)의 음극세기 제어진극(16a,16b,16c)에다 높은 레벨로 증폭된 칼라영상신호 R,G 및 B를 공급한다. 회로망 (14a,14b,14c)은 또한 논의 되어질 자동 키네스코프 바이어스(AKB)조절기능에 관견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네스코프(15)는 음극전극(16a),(16b),(16c)을 포함하는 각각의 전자총에 관련된 보통은 활성화되는 제어그리드(18)을 가지고 자기수렴하는 직렬건(gun)형으로 되어있다.
출력신호처리기(14a,14b,14c)는 본 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처리기(14a)의 동작 대한 후술은 처리기(14b,14c)에도 적용된다.
처리기(14a)는 입력저항기(21)를 통하여 처리기(12)로부터 나온 비데오 신호 r은 수신하는 공통에미터증폭기로 구성되어 있는 입력 트랜지스터(20)와 트랜지스터(20)와 함께 종속 비데오 여진증폭기를 형성하는 공통 베이스 증폭기로 구성되어 있는 출력고전압 트렌지스터(22)를 구비하고 있는 키네스코프 여진기단을 포함한다. 키네스코프음극(16a)을 여진시키기에 적절한 고레벨 비데오신호 R은 트랜지스터(22)의 콜렉터출력회로에서 부하저항기(24)와 교차하여 발생한다. 여진기(20,22)에 대한 직류부궤환은 저항기(25)에 의해서 공급되어진다. 종속증폭기(20,22)의 신호이득은 궤환저항기(25)값대 입력저항기(21)의 값의 비율로 우선적으로 결정되어진다.
직렬로 트랜지스터(20,22)의 콜렉터와 에미터경로 사이에서 직류결합된 감지저항기(30)는 비교적 저 전압 감지마디 A에서 키네스코프 귀선소거간격동안 도통되는 키네스코프 음극블랙전류의 레벨을 나타내는 전압을 발생하도록한다. 정상적으로 비도통상태인 제너다이오드(40)는 감지저항기(30)에 교차하여 결합된다. 저항기(30)와 제너다이오드(40)는 수상기의 AKB 시스템에 관련하여 동작한다.
레벨이동회로 뿐만 아니라 조합 및 순차제어논리를 포함하는 타이밍 신호발생기(40)는 주기수형 동기율신호(H)와 주기 수직동기율신호(V)에 응답하는데 이 두 신호는 주기 AKB 간격동안 AKB 기능의 동작을 제어하는 타이밍신호 VB, VS, VC, VP, 및 VG를 발생시키는 수상기의 편향회로로부터 구동되어진다. 각 AKB 간격은 수직귀선소거간격내에 수직귀선간격의 종료직후에 시작되고 수직귀선소거 간격내와 비데오 신호 영상정보가 부재인 동안은 여러개의 수평선 간격을 포함한다. 이들 타이밍신호는 제2도에서 파형으로 도시된다.
우선 제2도를 참조하면 비데오 귀선소거신호로 사용되는 타이밍신호 VB는 신호파형 V를 참조하여 나타낸것과 같이 시간 T1에서 수직 귀선간격이 종료된 직후에 발생되는 정펄스를 포함한다. 귀선소거신호 VB는 AKB 간격의 지속을 나타내고 처리기(12)의 r, g 및 b출력이 처리기(12)의 신호출력에서 블랙영상을 나타내는 직류기준레벨을 나타내도록 휘도 및 색도처리기(12)의 귀선소거제어입력단자에 인가되어진다.정그리드 여진펄스로 사용되는 타이밍신호 VG는 수직귀선소거간격내에 3개의 수평선간격을 포함한다. 타이밍신호 VC는 AKB 시스템의 선호 샘플링 기능에 관련되 클램핑회로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사용된다. 샘플링 제어신호로 사용되는 타이밍 신호 VS는 VC다음에 나타나고 샘플링 동작 및 키네스코프 음극블랙전류레벨을 조정하도록 직류바이어스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보유회로를 조절하도록 한다. 신호 VS는 신호 VC에 포함된 클램핑 간격의 종룔에 상관하여 약간 지연되어서 시작되고 AKB 간격의 종료와 거의 일치하여서 종료되는 샘플링 간격을 포함한다. 부로 향하는 보조펄스 VP는 샘플링 간격과 일치한다. 제2도에서 나타난 신호 타이밍 지연 TD는 200 나도세컨드(ns)정도이다.
다시 제1도를 참조하면, AKB 간격동안은 정펄스 V(예를 들어 +10볼트 정도)는 음극(16a) 및 그리드(18)을 포함하는 전자총이 전도를 증가하도록 케니스코프의 그리드(18)를 바이어스한다. 가끔 다른 AKB 간격에서, 신호 VG는 그리드(18)에다 정상 및 적은 정바이어스를 공급한다. 정 그리드 펄스 VG에 응답하여, 같은 위상인 정전류펄스는 그리드펄스간격동안 음극(16a)에서 나타난다. 이렇게 발생된 음극출력전류펄스의 진폭은 음극블랙전류전도(수 밀리아페어)의 레벨에 비례한다.
유도된 정음극출력펄스는 트랜지스터(22)의 콜랙터에서 나타나고, 궤환저항기(25)를 통하여 트랜지스터(20)의 베이스 입력에 결합되고, 트랜지스터(20)의 전류전도가 음극펄스가 나타나 있는 동안은 비례적으로 증가하도록 하게 한다. 트랜지스터(20)에 의해 도통되는 증가전류는 상대전압이 감지저항기(30)에 교차하여 발생되어지도록 한다. 이 전압은 감지마다 A에서 나타나고 블랙전류를 나타내는 음극출력펄스의 크기에 비례하는 부로 향하는 전압의 형태이다. 마디 A에서의 전압섭동의 크기는 저항기(30)의 값과 저항기(30)을 통하여 흐르는 섭동전류의 크기를 곱함으로써 정해진다. 키네스코프 여진기(20,22)와 공동으로 감지저항기(30)의 동작은 "키네스코프레벨 전류감지장치"란 논문으로 기사회된 알. 피, 파커씨에 의한 미합중국 특허원 제 394,422호에서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마디 A에서의 전압변화는 적은 값의 저항기(31)를 통하여 마디 B에 결합되는데 이 마디 B에서는 마디 A에서의 전압변화와 본질적으로 상응하는 전압변화 V1이 나타난다. 마디 B는 바이어스조정 전압처리 회로망(50)에 결합된다.
회로망(50)은 신호 클램핑 및 샘플링 기능을 수행한다. 클램핑기능은 입력교류 결합콘덴서(51)와, 증폭기(52)와, 전자스위치(56)를 구비하고 있는 궤환클램핑회로망에 의해서 각 AKB 간격내에 있는 클램핑 간격동안에 이루어진다. 샘플링 기능은 증폭기(52)와, 전자스위치(57)와, 평균응답전하 축적콘덴서(58)를 구비하고 있는 회로망에 의해서 각 AKB 간격동안 클램핑 간격 뒤에 따라 나오는 샘플링 간격동안 이루어진다.
키네스코프 바이어스 보정전압은 콘덴서(58)에 교차하여 나타나고 저항기 회로망(69,62,64)을 구비하고 있는 변화회로를 통해서 트랜지스터(20)의 베이스에서 바이어스 조정입력을 통하여 키네스코프 여진기에 결합된다. 콘덴서(58)에 교차하여 나타난 보정전압은 키네스코프 블랙전류전도의 바람직한 보정레벨을 자동적으로 유지하도록 도와준다. 축적콘덴서(58)에 교차하여 나타난 바이어스보정 전압은 제2도에서 도시된 파형과 관련하여 차후에 더욱 상세히 기술되어질 클램핑 간격동안은 마디 B에서 나타난 전압변화 V1과 차후 샘플링 간격동안 마디 B에서 나타난 전압변화 V2의 함수이다.
클램핑 설정 기준간격동안, 스위치는 클램핑 조정신호 VC에 응답하여 도통상태가 된다. 이때에 스위치(57)는 비도통되어서 축적콘덴서(58)의 전하는 클램핑간격동안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클램핑 간격동안 궤환작용의 결과로서, 콘덴서(51)의 부단자(-)는 증폭기(52)의 압력에 인가된 고정기준전압 VREF의 기능을 갖는 기준전압 VR로 클램프되는데, 이것은 마디 C에서 증폭기(52)의 신호입력으로 입력기준 바이어스상태를 설정하기 때문이다. 이때에 입력콘덴서(51)에 교차하여 나타난 전압 V3는 마디 B에서 나타난 전압변화 V1의 레벨과, 궤환작용을 통해서 공급되어진 클램핑 기준전압 VR의 함수이다.
뒤따라 나오는 샘플링 간격동안 전압변화 V2가 마디 H에서 나타날 때 스위치(56)는 비도통상태로 되어진다. 스위치(57)는 샘플링조정신호 VS에 응답하여 도통상태로 되어진다. 전압변화 V2의 크기는 키네스코프 블랙전류레벨의 크기를 나타내고, 증폭기(R52)에 의해서 샘플(기준전압 VR에 관하여)되어져 축전콘덴서(58)에 교차하여 상응하는 전압을 나타낸다. 회로망(50)은 알. 피. 파커씨에 의한 미합중국 특허 제4,331,981호 및 피. 필리만씨에 의한 계류중인 미합중국 특허원 제437,827호에서 "감소된 오프셋 오차를 지닌 신호샘플링 회로망"이란 논문에서 기술된 형태의 회로를 구비한다. 증폭기(52)는 AKB 클램핑 및 샘플링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화상간격동안은 오히려 비도통상태가 된다. 이것은 화상간격과 일치하여 나타나는 키잉(keying)신호에 응답하여 증폭기(52)의 동작전류원을 디스에이블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제너다이오드(40)는 큰 진폭의 비데오신호 성분 및 특히 비데오 신호피킹(peaking)성분을 감쇄시키도록 동작되는데 이들 성분은 전계주사화상 정보간격동안 감지마디 A에서 큰 크기를 가지고 다른 방법으로 나타난다. 제너디아오드(40)에 의해 공급된 감쇄의 부재동안에는 감지마다 A에서 나타나는 큰 진폭비데오신호는 AKB신호처리기능을 결국은 방해하게 된다. 이것은 증폭기(52)를 포함하는 AKB 신호처리기가 마디 C에서 입력을 가진 집적회로형태로 구성되어질 때 클램핑 기준전압 VR이 나타나는 것에 특히 관계한다.
감지마다 A 및 마디 B는 화상간격동안과, AKB간격동안(전압변화 V2가 차후에 기술될 AKB 샘플링 간격동안 발생될 때를 제외한) 블랙비데오신호상태에 대해 약 +8.8볼트의 정상직류전압(VDC)를 나타낸다. AKB 클램핑 기준간격의 종료시에, 클램프 콘덴서(51)에 교차하여 나타난 전압 V3는 VDC-VR과 같은데 이때 VDC는 정상블랙레벨 전압(+8.8볼트)이고, VR는 클램핑 간격동안 콘덴서(51)의 부단자에서 나타난 기준전압(예를들어 +6볼트)이다.
수직귀선소거간격의 종료시에 시작되는 전계주사 화상간격동안, 키네스코프여진기(20,22)에 인가된 비데오신호는 큰 전압전이가 여진기 트랜지스터(22)의 콜렉터출력 및 키네스코프음극에서 나타나도록 하게한다. 큰 비데오 입력신호 r(예를 들어, 100IRE 피크화이트신호)은 여진기 트랜지스터(22)의 콜렉터 출력전압이 약 130볼트로 줄어들도록 한다. 화이트로 향하는 진폭을 가진 심하게 피크된 비에도신호는 20%로까지 효과적인 비데오 신호 피크화이트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여진기 트랜지스터 (22)의 콜렉터 출력전압을 초가로 20%까지로 줄일 수 있다. 비데오신호의 효과적인 피크화이트레벨은 수상기에서 20% 이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데 이 수상기는 비데오신호에서 나타나는 피킹의 양을 자동적으로 제한하는 회로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이런 피크화이트 진폭전이의 변형은 AKB감지점 A에서 나타나고, 크고 다루기 어려운 부로 향하는 과도가 감지점 A에서의 전압에서 줄어든다. 이 과도한전압감소는 표현식
에 따라 7.28볼트만큼인데 여기서 △VA는 감지점 A에서 과도전압감소와 일치하고 R 및 R 는 저항기(30 및 34)의 값과 상응하고, △VK는 피킹효과(예를들어, 130볼트 ×1.2)를 포함하는 큰 화이트로 향하는 비데오신호 진폭전이에 응답하여 키네스코프 음극전압이 줄어드는 양과 상응한다.
AKB 신호처리기의 입력마디 C에서의 전압은 VA-V3로 주어지는데, 여기서 VA는 감지형 A에서의 전압이고 V3는 콘덴서(51)에 교차하여 나타난 전압이다. 좀 더 명확이 쓰면, 입력마다 C에서의 전압은 (VDC-VA)-(VDC-VR)로 주어지는데 여기서 VDC는 감지점 A(+8.8볼트)에서의 정상블렉레벨전압이고, △VA는 감지점 A에서의 과도전압이고 VR은 콘덴서(51)의 부단자에서 축적되고 나타나는 클램핑 기준전압이다.
이처럼 이와 같은 예제에서 커다란 화이트로 향하는 비데오신호 진폭전이는 -1.28볼트의 부전압이 AKB 신호처리기의 입력마디 C에서 나타나도록 한다.
마디 C에서 이 부전압은 충분히 커서 AKB 신호처리기의 입력에서 집적회로의 기판과 접지반도체 집합을 바이어스한다. 다이오드 DS는 기판과 접지 반도체 결합을 나타내고, 도통상태로 바이어스되는데 이것은 마디 C에서의 -1.28볼트 부전압과도가 기판다이오드 DS의 임계전도레벨(0.7볼트)을 초과하기 때문이다. 만일 이러한 것이 발생되어진다면, 마디 C에서의 전압은 -0.7볼트로 클램되어지고 클램프콘덴서(51)의 부단자는 왜곡된 기준레벨로 빠르게 방전되는데 이 왜곡된 기준레벨은 차후에 AKB 클램핑 및 샘플링 기능을 손상시킨다. 이런 상태는 차후의 AKB 동작간격동안은 회복되기가 어렵고, 왜곡된 기준레벨은 피킹내용과 지속을 지닌 비데오 신호 화상정보의 성질에 의하여 비교적 오랫동안 지속되어진다. 결과로서, 적당안 AKB동작은 고 키네스코프 블랙전류레벨이 화상밝기에서 원하지 않는 뚜렷한 증가를 초래하는 정도로 방해를 받는다.
제너다이오드(40)는 화상간격동안 큰 진폭 비데오신호에 의한 기술된 부적당한 효과를 방지한다. 특히, 다이오드(40)의 작용 때문에 하나의 AKB 간격에서 다른 간격으로 옮겨질때 클램핑 기준전압 VR이 방해를 받는 것을 방지하고 상당한 크기의 화상간격 비데오 신호 진폭행정이 AKB 마디점 A에서 나타나는 것을 방지한다.
여진기 트랜지스터(22)의 에미터전압은 거의 일정(+10.5볼트)하고, 트랜지스터(22)(+11.2볼트)의 고정베이스 바이어스 전압에서 트랜지스터(22)(+0.7볼트)의 베이스와 에미터간의 접합전압강하를 뺀것과 같다. AKB 간격동안, 트랜지스터(20)의 콜렉터전압과 그것에 의한 마디점 A에서의 전압은 이미 기술되어 나타난 유도 키네스코프 출력전류펄스의 기능을 갖는 궤환 저항기(25)를 통하여 비데오신호증폭기 트랜지스터(20)의 베이스로 도통되는 섭동전류에 응답하여 변화한다. 감지저항기(30)에 교차하여 나타난 전압은 AKB 간격과 비데오 정보 화상간격동안 트랜지스터(20)의 전류전도에서의 변화와 바꾸어진다.
제너다이오드(40)는 정상적으로는 비도통상태이지만, 트랜지스터(20)의 콜렉터전류는 감지저항기(30)에 교차하여 나타난 전압을 다이오드(40)의 제어 임계 도통전압보다 초과되도록 할 때마다 다이오드(40)는 도통되어진다. 제어다이오드(40)가 도통될 때, 트랜지스터(20)의 콜렉터전류는 감지저항기(30)를 통화하지 않고 그대신 제어다이오드(40)를 통해서 흐른다. 이때에 저항기(30)에 교차하여 나타난 전압은 도통되는 제너다이오드(40)에 교차하여 나타난 고정전압으로 클램프되어서, 저항기(30)에 교차하여 나타난 전압과 감지점 A에서 나타난 전압은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감지점 A에서의 전압이 큰 진폭화이트로 향하는 비데오신호에 응답하여 줄어드는 양은 다이오드(40)가 도통될 때 다이오드에 교차하여 나타난 전압의 기능으로서 제한된다.
감지점 A에서 나타날 수 있는 가장 낮은 전압은 트랜지스터(22)의 고정에미터전압(+10.5볼트)에서 다이오드(40)에 교차하여 나타난 고정 제어다이오드 전압강하를 뺀 것과 같다. 다이오드(40)가 +6.2볼트 제너전압으로 나타날 때, 점 A에서 최대 전압감소)(즉, 가장 높은 부로 향하는 과도전압 △VA)는 +4.3볼트로 제한된다. 이런 경우에, AKB 신호처리기의 입력마디 C에서의 전압은 +1.7볼트의 상응하는 최대전압을 나타내어서 다이오드 DS에 의해 나타나는 입력 기판과 접지반도체 접합은 밖에서 바이어스 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기준전압 VA및 AKB 신호처리기능은 화상간격동안 큰 피크화이트 비데오신호 진폭의 직면하에서 방해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다.
여진기 트랜지스터(22)의 출력에서 나타나고 키네스코프에 연결된 비데오 출력신호는 제너다이오드(40)가 화상간격동안 도통될 때는 방해받지 않는다. 이런 결과는 여진기 트랜지스터(22)의 에미터 전류는 다이오드(40)가 도통될 때는 변화하지 않기 때문이다. 다이오드(40)가 도통될때 저항기(30)를 통해서 흐르던 신호는 대신 도통된 다이오드(40)를 통해서 흐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전개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전자스위치는 저에 교파하여 결합되고 스위치가 화상간격동안 도통되고 AKB 간격동안 비도통되는 것으로 키드(keyed)되어진다.
이후에서 제2도에서 파형을 참조하여 회로망(50)의 클램핑 및 샘플링 동작의 더 상세한 설명을 할 것이다.
보조신호 Vp는 제1도에서 다이오드(35)와 저항기(32 및 34)를 구비하는 전압변환 임피던스 희로망을 통해서 회로마다 B에 인가되어진다. 신호 Vp는 AKB 샘플링 간격동안을 제외한 언제든지 주어진 정 직류레벨을 나타내는데, 이것은 다이오드(35)가 도통상태를 유지하여서 직류바이어스 전압이 마디 B에서 나타나기 때문이다. 신호 Vp의 정직류성분이 존재할 때, 저항기(32 및 34)의 접합은 신호 Vp의 정직류성분에서 다이오드(35)에 교차ㅓ하여 나타난 전압강하를 뺀 것과 같은 전압으로 클램프 되어진다. 신호 Vp는 부로 향하고, AKB 샘플링 간격동안은 적은 정 고정진폭펄스를 나타낸다. 다이오드(35)는 부펄스 Vp에 응답하여 비도통상태로 되어져, 저항기(32 및 34)의 접합은 클램프되지 않는다. 저항기(31)의 값이 저항기(32 및 34)의 값과 비교해서 작기 때문이다.
AKB 간격을 제외한 클램핑 간격에서 바디 B에서 나타나는 미리 존재하는 정상 직류 전압(VDC)은 콘덴서(51)의 정단자를 충전한다. 그리드 여진펄스 VG가 나타나는 클램핑 간격동안은, 마디 A에서의 전압은 블랙전류레벨을 나타내는 양의 펄스 VG에 응답하여 줄어든다. 이것은 마디 B에서의 전압이 VDC-VI과 같은 레벨로까지 줄어들게 하도록 한다. 또한 클램핑 간격동안은, 타이밍 신호 VC는 클램핑 스위치(56)를 도통상태로 되게하고, 이것에 의하여 궤환작동을 통한 기준전압 VR이 클램프콘덴서(51)의 부단자에서 나타난다. 클램핑 간격동안, 콘덴서(51)에 교차하여 나타난 전압 V3는 콘덴서(51)의 부단자에서 기준설정전압 VR과, 클램핑 간격동안 마디 B에서 나타난 기술된 미리 존재하는 정상 직류레벨(VDC)과 마디 B에서 나타난 전압 변화 V1사이에서의 차에 상응하는 콘덴서(51)의 정단자에서 나타난 전압의 함수이다.
이와 같이 클램핑기준 간격동안 콘덴서(51)에 교차하여 나타난 전압 V3는 블랙전류를 나타내는 전압변화 V1의 레벨의 함수이고, 이것은 변화할 수 있다. 전압 V3는 (VDC-V1)-VR로서 표현되어진다.
즉시 바로 뒤따라 나오는 샘플링 간격동안은, 정그리드 여진펄스 VG가 부재이면, 마디 B에서의 전압이 클램핑 간격보다 먼저 나타난 미리 존재하는 정상직류레벨 VDC로까지 확실하게 증가되도록 하게 한다. 동시에, 부펄스 VP가 나타나면, 바이어싱 다이오드(35)를 역방향시키고 정상전압 변화 및 저항기(32,34)의 결합작용이 섭동되어서 마디 B에서의 전압이 제2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은 양 V2로 감소되어진다. 동시에, 클램핑 스위치(56)는 클램핑펄스 VC의 종료시에 비도통상태로 되어진다. 스위치(57)는 신호 VS에 응답하여 도통된다.
이와 같이 샘플링 간격동안 증폭기(52)이 신호입력에 인가된 전압은 마디 B에서의 전압과 콘덴서(51)에 교차하여 나타난 전압 V3와 같다. 증폭기(52)에 인가된 입력전압은 전압변화 V1크기의 함수인데 이 입력전압은 키네스코프블랙전류레벨에서의 변화에 따라 바뀔 수 있다.
출력축적 콘덴서(58)의 전압은 클램핑 간격동안 나타난 전압변화 V1의 크기가 샘플링 간격동안 나타난 전압변화 V2의 크기와 같을때 샘프링 간격동안은 변화하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고, 보청 기네스크프 블랙전류레벨을 나타낸다. 이런 결과는 샘플링 간격동안, 마디 B에서의 전압변화 V1은 그리드 여진펄스가 제거될 때 정방향(클램핑 설정 기준레벨로부터)으로 증가되고, 전압변화 V2는 마디 B에서 동시에 부로 향하는 전압이 섭동되기 때문이다. 키네스코프 바이어스가 정확할 때, 정방향 전압변화 V1및 부방향 전압변화 V2는 같은 크기를 나타내고 이것에 의해서 이들 전압변화는 샘플링 간격동안은 서로 상쇄되고, 마디 B에서의 전압은 변화하지 않는다.
전압변화 V1의 크기가 전압변화 V2의 크기보다 작을 때, 증폭기(52)는 스위치(57)를 통하여 축적콘덴서(58)을 비례적으로 충전시켜 음극블랙전류전도를 증가시킨다. 반대로 전압변화 V1의 크기가 전압변화 V2의 크기보다 클 때, 증폭기(52)는 스위치(57)를 통하여 축적 콘덴서(58)을 방전시켜 음극블랙전류전도를 감소시킨다.
제2도의 파형을 좀 더 참조하여, 전압변화 V1의 진폭 "A"가 음극블랙전류레벨이 정확할 때는 약 3밀리볼트로 추정되고, 키네스코프변화의 동작특성에 따라 보정레벨을 비교하여 음극블랙전류레벨이 증가 및 감소될 때 수 밀리볼트(±△)의 범위내에서 변화한다. 이와 같이 콘덴서(51)에 교차하여 나타난 클램핑 간격 설정기준전압은 음극블랙전류레벨이 변화하는 것에 따라 전압 V1의 크기로 변화한다. 블랙전류레벨이 정확할 때, 마디 B에서의 전압변화 V2는 약 3밀리볼트의 진폭 "A"이고 전압변화 V11과 진폭 "A"는 일치한다.
제2도에서 파형 VCOR에 의해 나타난 것과 같이, 보정 키네스코프 바이어스의 상태에 일치하는 증폭기(52)의 신호입력에서의 전압은 전압 V1및 V2가 모두 진폭"A"일 때 샘플링 간격동안은 변화하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다. 그러나,파형 V11로 나타난 것과 같은, 증폭기(52)의 신호입력전압은 전압변화 V1이 진폭"A-△"를 나타낼 때 고블랙전류레벨과 상으하는 양 △만큼 증가된다. 이렇게 되면 출력축적콘덴서(58)는 방전되어서 트랜지스터(20)에 베이스에 인가된 바이어스 조정전압은 트랜지스터(22)의 콜렉터전압이 증가하도록 하게 하며, 이것에 의해 음극블랙전류는 보정레벨로 감소된다.
반대로, 파형 V2로 나타난 바와 같이, 증폭기(52)의 신호입력 전압은 전압변화 V1이 진폭"A-△" 를 나타날 때 샘플링 간격동안 저블랙 전류레벨에 상응하는 양 △로 감소된다. 이런 경우 출력축적콘덴서(58)는 방진되어, 트랜지스터(22)의 콜렉터 전압은 감소되도록 하여 음극블랙전류를 보정레벨까지로 증가시킨다. 이두가지 경우에, 수개의 샘플링 간격은 보정 블랙전류레벨을 얻기 위해서 필요로 해진다.
전압변화 V1및 V2를 사용하는 기술된 조합펄스 샘플링 기법이 "자동 키네스코프 바이어스 조절시스템용 신호처리 회로망"이란 논문으로 기사화된 알.피.파커씨에 의한 계류중인 미합중국 특허원 제434,314호에서 더욱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이 계류중인 특허원은 보정 조정신호 VP를 포함하는 배열과 타이밍 신호발생기(40)용 적절한 배열에 대한 추가정보를 또한 발표하고 있다.

Claims (12)

  1. 영상 귀선소거 간격동안 감지점(A)에서 상기 비데오 채널의 동작 특성을 표시하는 신호를 유도하기 위해 비데오 채널의 상기 감지점에 접속된 수단(30)과, 소정조건의 상기 동작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비데오 채널에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상기 유도표시신호에 응답하는 신호, 처리 수단(50)을 구비하며, 영상과 귀선소거 간격을 포함하는 비데오 신호처리용의 비데오신호채널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수단은 바람직한 표시신호에 대해 신호처리수단의 정확한 응압을 수정하도록 영상간격이 다음의 귀선소거 간격동안 상기 감지점에서 비교적 큰 신호 영향과 같은 영상간격동안 감지점에서 신호를 나타나게 할 수 있는 신호처리수과 더구나 상기 처리수단의 정확한 응답 수정을 피하ㄷ록 상기 진폭이 주어진 임계레벨을 초과하여 이탈할 때 나타난 비데오신호의 진폭의 이탈을 약하게 하기 위해 상기 감지점에 연결된 수단(4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바이어스 조정장치.
  2. 제1항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임계레벨을 초과하는 상기 비데오신호 진폭행정이 정상적으로 예기된 비데오신호 진폭행정의 범위안에 존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바이어스 조정장치.
  3. 제1항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쇄용 수단이 영상간격동안 상기 감지점에서 상기 비데오신호 진폭의 선택된 감쇄를 공급하는 스위칭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바이어스 조정장치.
  4. 제1항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구동수단은 상기 비데오신호 채널에 연결되는 임피던스(30)를 구비하는데 상기 임피던스는 영상간격동안 상기 비데오신호의 진폭행정에 관련되고 상기 영상귀선소거간격동안 상기 비데오 채널의 상기 동작특성에 관련된 전압을 나타내고, 상기 감쇄용 수단(40)은 상기 영상간격동안 상기 임계레벨을 초과하는 상기 비데오신호 진폭행정에 응답하여 상기 임피던스에 교차하여 나타난 전압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바이어스 조정장치.
  5. 제4항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쇄용 수단(40)이 상기 임피던스에 연결되는 스위칭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바이어스 조정장치.
  6. 제5항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40)이 상기 임피던스(30)에 교파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바이어스 조정장치.
  7. 제6항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40)이 영상 간격동안 상기 비데오신호 진폭행정에 응답하여 도통상태로 되어지는 비도통상태인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바이어스 조정장치.
  8. 영상표시장치를 가지는 제4항에서 청구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데오신호채널이 영상 및 귀선소거간격을 가지는 비데오신호를 상기 영상표시장치(15)에 공급하는 비데오신호 증폭기(20,22)와, 상기 신호구동용수단(30)이 영상귀선소거간격동안 상기 영상 표시장치(15)에 의해 도통되는 블랙영상전류의 크기를 나타내는 신호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어신호는 블랙전류의 바람직한 레벨을 유지하는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대한 바이어스 제어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바이어스 조정장치.
  9. 제8항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30)가 상기 비데오 증폭기의 신호 전도경로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바이어스 조정장치.
  10. 제9항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데오 증폭기(20,22)는 비데오출력신호를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공급하는 여전증폭기와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바이어스 조정장치.
  11. 제8항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비데오 출력신호를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여진증폭기에 사응하는 상기 비데오 증폭기(20,22)와, 증폭되어지는 비데오신호 수신용 제1단자(베이스 20)와, 증폭된 비데오신호를 제2단자에 공급하기 위한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세기 제어전극에 연결되는 제2단자(콜렉터 22)와, 기준전이(접지)와 상기 비데오증폭기의 주요 전류 전도 경로에 연결되는 상기 제3단자(에미터 20)와, 상기 제2단자에서 상기 비데오 증폭기의 상기 제1단자까지 연결된 궤환수단(25)과, 상기 임피던스가 블랙전류변화를 나타내는 전압을 나타내도록 상기 증폭기수단의 상기 제2단자에서 나타난 블랙전류변화를 나타내는 전류변화를 상기 궤환수단을 통하여 수신하기 위한 감지 임피던스를 포함하는 상기 임피던스(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바이어스 조정장치.
  12. 제11항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데오 증ㅎ기는 증폭되어져야 하는 비데오신호 수신용 제1전극과 제2전극과 기준전위에연결된 제3전극을 가진 제1트랜지스터(20)와, 바이어스 전압에 연결된 제1전극과 부하 임피던스를 통하여 동작전원에 연결되고 증폭되어진 비데오신호를 제어전극에 공급하기 위한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세기 제어전극에 연결된 제2전극과,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상기 제2전극에 연결된 제3전극을 가지는 제2트랜지스터(22)를 포함하는 종속 증폭기를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궤환 수단이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상기 제2전극에서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상기 제2전극까지 연결되고, 상기 감지 임피던스는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상기 제2전극과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상기 제3전극 사이에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바이어스 조정장치.
KR1019830005328A 1982-11-12 1983-11-10 자동바이어스 조정장치 KR9100068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41,217 1982-11-12
US441217 1982-11-12
US06/441,217 US4523233A (en) 1982-11-12 1982-11-12 Automatic bias control system with compensated sense poi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739A KR840006739A (ko) 1984-12-01
KR910006856B1 true KR910006856B1 (ko) 1991-09-07

Family

ID=23752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5328A KR910006856B1 (ko) 1982-11-12 1983-11-10 자동바이어스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4523233A (ko)
JP (1) JPH0779449B2 (ko)
KR (1) KR910006856B1 (ko)
AT (1) AT388267B (ko)
AU (1) AU566526B2 (ko)
CA (1) CA1212463A (ko)
DE (1) DE3340721C2 (ko)
ES (1) ES8407280A1 (ko)
FR (1) FR2536233B1 (ko)
GB (1) GB2130046B (ko)
HK (1) HK18487A (ko)
IT (1) IT1171796B (ko)
MY (1) MY8700394A (ko)
SG (1) SG94786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2690A (en) * 1984-08-27 1987-02-10 Rca Corporation Digital video signal processor with analog level control
US4642696A (en) * 1985-07-25 1987-02-10 Rca Corporation Kinescope driver with kinescope current sensing circuit
US5453798A (en) * 1993-02-05 1995-09-26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Black compensation circuit for a video display system
JPH09271037A (ja) * 1996-03-29 1997-10-14 Toshiba Microelectron Corp カラー受像機及びカラー受像機の白バランス自己調整装置
KR100822849B1 (ko) * 2006-10-11 2008-04-17 주식회사 후후 카메라 블랙 레벨 보상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69209A (en) * 1975-11-25 1980-01-01 Rca Corporation Video amplifier
GB1582138A (en) * 1976-07-19 1980-12-31 Rca Corp Video amplifier circuit
US4110787A (en) * 1977-07-28 1978-08-29 Rca Corporation Combined blanking level and kinescope bias clamp for a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system
NL184657C (nl) * 1978-01-25 1989-09-18 Philips Nv Televisiebeeldweergeefinrichting.
US4207592A (en) * 1978-10-13 1980-06-10 Rca Corporation Automatic kinescope bias control circuit
US4263622A (en) * 1979-01-30 1981-04-21 Rca Corporation Automatic kinescope biasing system
FR2461418A1 (fr) * 1979-07-09 1981-01-30 Videocolor Procede d'elaboration et de correction automatiques de la tension de blocage d'un canon a electrons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US4331982A (en) * 1980-09-25 1982-05-25 Rca Corporation Sample and hold circuit particularly for small signals
US4331981A (en) * 1980-09-25 1982-05-25 Rca Corporation Linear high gain sampling amplifier
US4463385A (en) * 1982-07-01 1984-07-31 Rca Corporation Kinescope black level current sensing apparatus
US4414577A (en) * 1982-07-15 1983-11-08 Rca Corporation Manually gain presettable kinescope driver in an automatic kinescope bias control system
US4502079A (en) * 1982-10-29 1985-02-26 Rca Corporation Signal sampling network with reduced offset err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212463A (en) 1986-10-07
DE3340721A1 (de) 1984-05-17
GB8327416D0 (en) 1983-11-16
JPS59104874A (ja) 1984-06-16
SG94786G (en) 1987-03-27
MY8700394A (en) 1987-12-31
AU2096783A (en) 1984-05-17
GB2130046B (en) 1986-02-05
ES527020A0 (es) 1984-08-16
ES8407280A1 (es) 1984-08-16
KR840006739A (ko) 1984-12-01
FR2536233A1 (fr) 1984-05-18
JPH0779449B2 (ja) 1995-08-23
IT8323669A1 (it) 1985-05-10
ATA395383A (de) 1988-10-15
FR2536233B1 (fr) 1988-11-25
HK18487A (en) 1987-03-06
IT8323669A0 (it) 1983-11-10
AU566526B2 (en) 1987-10-22
US4523233A (en) 1985-06-11
AT388267B (de) 1989-05-26
DE3340721C2 (de) 1986-07-17
GB2130046A (en) 1984-05-23
IT1171796B (it) 1987-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63622A (en) Automatic kinescope biasing system
KR100275225B1 (ko) 오토픽스를 갖는 칼라 텔레비전용 비선형 고객 콘트라스트 제어 시스템
US4369466A (en)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US4516152A (en) Video signal processor with automatic kinescope white balance and beam current limiter control systems
US4137552A (en) Automatic beam current limiter with independently determined threshold level and dynamic control range
US4484229A (en) Automatic kinescope bias control system with selectively disabled signal processor
KR910006856B1 (ko) 자동바이어스 조정장치
US4484228A (en) Signal processing network for an automatic kinescope bias control system
CA1199103A (en) Kinescope black level current sensing apparatus
KR100272736B1 (ko) 빔 전류 표시 신호 발생용 장치
US4067048A (en) Automatic beam current limiter
KR830002170B1 (ko) 자동 휘도 제어회로
GB1598591A (en) Brightness control circuit with predictable brightness control range
US4536800A (en) Additive pulse sampling circuit
KR920003724B1 (ko) 자동 영상관 바이어스 제어장치
KR100629733B1 (ko) 키네스코프 빔 전류 측정 펄스에서 오버슈트를 억제하기위한 장치
FI67283B (fi) Straolstroembegraensningskrets foer bildroeret av en faergtelevisionsmottagare
KR100307572B1 (ko) 핫스타트플레쉬현상을방지하기위한자동키네스코프바이어스장치
KR910006459B1 (ko) 신호 표본화 장치
KR910006855B1 (ko) 신호 샘플링 회로
KR910009426B1 (ko) 자동 키네스코프 바이어스 제어장치용 신호처리회로
US4600950A (en) Kinescope bias sensing circuit
US4484227A (en) Automatic kinescope bias control system compensated for sense point impedance variations
KR810001367B1 (ko) 자동비임 전류 제한기
KR0185573B1 (ko) 픽크 진폭 응답 드레쉬 홀드를 갖는 빔전류 제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