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5573B1 - 픽크 진폭 응답 드레쉬 홀드를 갖는 빔전류 제한 장치 - Google Patents

픽크 진폭 응답 드레쉬 홀드를 갖는 빔전류 제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573B1
KR0185573B1 KR1019920702268A KR920702268A KR0185573B1 KR 0185573 B1 KR0185573 B1 KR 0185573B1 KR 1019920702268 A KR1019920702268 A KR 1019920702268A KR 920702268 A KR920702268 A KR 920702268A KR 0185573 B1 KR0185573 B1 KR 0185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ode
current
coupled
video output
beam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2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701047A (ko
Inventor
피터 에드워드 하페를
Original Assignee
피터 엠.엠마뉴엘
알씨에이 라이센싱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터 엠.엠마뉴엘, 알씨에이 라이센싱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피터 엠.엠마뉴엘
Publication of KR930701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1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5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5Beam current 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TV 수상기나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자동빔 전류 제한 장치는 평균빔 전류가 드레쉬 홀드를 초과할 경우에 재생 영상의 대비를 조정하도록 고전압 변압기의 낮은 전압측에 결합된 평균빔 리미터와 화상관의 캐소드 전류의 합계에 응답하여 평균빔 전류 리미터의 드레쉬 홀드를 결정하는 전류원을 제어하도록 화상관의 캐소드에 결합되는 픽크 전류 리미터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캐소드 전류 감지 회로는 자동 블랙 레벨 세팅 장치에서 사용된 동일한 캐소드 전류 감지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빔제한장치는 과도한 픽크 화이트 영역을 저지하는 반면에 높은 대비 레벨에서 동작하게 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픽크 진폭응답드레쉬홀드를 갖는 빔전류제한 장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TV수상기나 디스플레이 모니터에 구비된 빔전류제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종래의 칼라 TV 수상기 및 디스플레이 모니터는 대개 화상관을 보호하기 위한 평균빔전류 리미터와 고전압회로소자를 포함한다. 예컨대, 평균빔 전류가 1.4 미리암페어(ma) 정도의 소정의 최대진폭을 초과하면, 재생영상의 대비 및/또는 밝기는 빔리미터에 의해 감소되어 빔전류의 추가증가를 피하게 된다.
EPO 특허 제0149334호에는 고전압 재공급 시스템에 관련된 빔제한 제어망을 구비하고 있는 빔전류 제한 장치를 설명하고 있는데, 상기 장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인가되도록 의도된 복수의 칼라 영상 신호의 순간적인 양을 나타내는 신호를 도출하여 고정 드레쉬홀드 레벨을 비교시킨다. 만일 도출 신호가 드레쉬홀드 레벨을 초과하면 비교 신호는 감지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인가되는 칼라신호의 양을 제한하는데 이용된다.
제1도는 일반적으로 평균 빔전류 리미터를 구비하는 TV 수상기의 회로도이다. 비디오 신호처리 채널(10)에서, 비디오 신호처리회로(20)에 의해 공급되는 저레벨 적(r), 녹(g), 청(b) 칼라 비디오신호들은 각각의 화상관(또는 키네스코프) 구동증폭기(참조번호 30으로 표시됨)에 의해 증폭되어 화상관(또는 키네스코프: 40)의 각 캐소드를 직접 구동하기에 적합한 고레벨 적(R), 녹(G), 청(B) 칼라비디오신호를 생성한다.
각각의 칼라에 대해 하나씩, 즉 세개의 구동증폭기가 있지만, 고레벨 적(R) 칼라비디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구동증폭기(30R)만이 간단하게 도시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저레벨 비디오신호 처리 회로(20)는 TDA3562 또는 TDA3506IC(네덜란드의 필립스사에 의해 시판되고 있는)와 같은 집적회로(IC)를 포함할 수 있다. 화상관(40)에 대한 고전원전압은 수평 편향회로(60)에 의해 발생된 수평 편향신호에 응답하여 수평 플라이백 변환기(50)의 고전압 권선(51)의 고전위단에서 생성된다. 제1도에 도시된 TV 수상기의 빔제한 장치(70)는 화상관(40)에 의해 끌리는 평균빔전류에 응답하는 종래의 형식이다. 특히, 화상관(40)의 빔전류는 수평플라이백 변환기(50)의 고전압권선(51)의 저전위단에 결합되는 커패시터(C1)와 저항(R1)의 접합부에서 감지(또는 Sampled)된다. 저항(R1)과 비교적 고전원전압(예컨대, +200 볼트)은 정전류원을 형성하고 이로부터 전류는 플라이백 변환기(50)의 고 전압권선(51)을 통하여 화상관(40)으로 흐르게 된다. 커패시터(C1)는 수평률 신호성분을 제거하는데 도움이된다. 감지점은 저항(R2)과 커패시터(C2)와 스위칭다이오드(D2)를 포함한 저역통과 필터회로를 통하여 비디오신호 처리회로(20)의 대비조절 입력단에 결합된다. 수동대비 조절회로(80)는 도시된 바와같이 저항(R3,R4,R5)과 포텐셔미터(R6)와 필터커패시터(C3)를 포함하고 마찬가지로 비디오처리회로(20)의 대비조절 입력단에 결합된다. 다이오드(D1)는 커패시터(C2)와 다이오드(D2)의 접합부의 전압을 비교적 낮은 전압(예컨대, +12 볼트)으로 클램핑하여 비교적 낮은 빔전류에서 그들에게 인가될 수 있는 비교적 높은 전원 전압(예컨대, +200 볼트)으로 클림팽하여 비교적 낮은 빔전류에서 그들에게 인가될 수 있는 비교적 높은 전원 전압(예컨대, +200 볼트)으로부터 커패시터(C2)와 다이오드(D2)를 보호한다.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낮은 빔전류에서 다이오드(D1)는 전도성을 띠고 다이오드(D2)는 비전도성을 띠게된다. 커패시터(C1)양단에 발생된 전압은 평균빔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제로로 감소한다. 보호다이오드(D1)가 비전도성을 띠게 된후에 스위칭 다이오드(D2)는 빔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전도성을 띠게 된다. 스위칭다이오드(D2)가 전도성을 띠게된 후에, 대비조절전압은 빔전류의 기능으로서 감소되고, 또한 빔전류도 감소된다. 다이오드(D2)는 자신의 캐소드 전압이 대략 0.7 볼트의 자신의 애노드전압 이하로 떨어질때 전도성을 띠게된다. 애노드전압은 대비조절전압과 동일하다. 대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다이오드(D2)가 전도성을 띠고 평균빔전류 리미터(70)가 활성화되는 지점을 평균빔전류 리미터(70)의 디레이 혹은 드레쉬홀드라는 이름으로 칭한다. 제1도에 도시된 평균빔전류 리미터(70)의 드레쉬홀드나 디레이는 저항(R1)에 의해 결정되고 고정된다.
평균빔전류가 제1도에 도시된 TV수상기내에서만 제한되면 화상관의 꽤 낮은 동적범위로 인해 과부하라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제1-1도의 파형으로 나타낼수 있다.
파형(1a)는 커다란 백색윈도를 생성하기 위한 비디오신호(V1)를 나타낸다. 상기 윈도는 빔리미터를 동작하게 하는 많은 양의 평균빔전류를 생성한다. 파형(1b, 1c)은 이들의 엔벨로프가 동일면적을 덮고 있기 때문에 파형(1a)의 신호에 의해 동일한 양의 평균빔전류를 생성하는 비디오신호를 나타낸다. 파형(1a, 1b, 1c)에 대해서 동일하게 대비 세팅된다고 가정하면 파형(1b)계단신호는 울트라 브라이트 화상부를 생성하는 한편, 파형(1c)은 초과 밝기를 나타내는 막대와 화상관마스크 상에 핫 스폿(hot spot)을 생성한다. 상기 핫 스폿은 마스크를 때때로 doming라 불리우는 것에 의해 변형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파형(1c)에 대한 대비세팅은 파형(1a)에 대한 대비세팅보다 더 낮아야 한다. 불리하게도, 제1도에 도시된 빔전류 제한장치(70)는 제1-1도에 도시된 파형(1a,1b,1c)을 구별할 수 없다. 이는 빔전류가 화상관(40)의 애쿼댁 커패시터(즉, 화상관(40)의 내부 및 외부 코팅 사이에 형성된 커패시터)에 의해 평균화되고 커패시터(C1)양단에 발생된 전압이 수평리트래이스 동안에 고전압권선(51)을 통해 애쿼댁 커패시터를 충전하는 전류와 관련되기 때문이다. 실제 빔전류는 화상관(40)의 전자총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합계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대비세팅을 비디오신호 내용에 적합화 시키는 비선형 빔전류 리미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빔전류제한 장치는 화상관의 캐소드전류에 관한 비디오신호를 감지하고 제1도에 도시된 평균빔전류 리미터의 드레쉬홀드를 조절하는 픽크검출기를 포함하고 있다. 양호하게도, 픽크검출기는 화상관구동 증폭기와 화상관의 캐소드에 결합된 소자들을 감지하는 캐소드전류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도, 자동블랙 레벨조절이 이루어지는 테스트 기간 동안에 캐소드전류를 감지하는데 사용되는 동일한 소자이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빔전류 제한 장치에 있어서, 평균 빔전류 리미터에 대한 드레쉬홀드는 과도한 브라이트 픽크 화상부가 나타날때 더 낮다. 평균 빔리미터에 대한 드레쉬홀드는 과도한 브라이트 화이트픽크 화상부가 나타나지 않을때 영향을 받지 않는다. 상기 빔전류 제한 장치는 TV 수상기나 디스플레이 모니터를 화상관을 오버로딩함이 없이 높은 대비레벨에서 동작되게 하고 마스크 더밍을 유발할 수 있는 화상관 마스크상에 핫-스폿을 피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종래실시예로서 알려진 평균빔전류를 포함하고 있는 TV 수상기의 회로도.
제1-1도는 제1도에 도시된 평균빔전류의 문제점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다양한 비디오신호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비선형 빔전류 제한 장치를 포함한 TV 수상기의 회로도.
제2-2도는 제2도에 도시된 비선형 빔전류 제한장치의 장점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다양한 비디오 신호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
상기 도면에 있어서, 상응하는 소자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식 및 어떤 장치 형태로 동일시되고 성분 값과 전압 및 전류 레벨은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시된다.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 TV 수상기는 빔전류 제한장치를 제외하고는 거의 유사하다. 따라서, 상기 지시된 바와 같이, 대응소자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식에 있어서 동일시된다. 기본적으로, 제2도에 도시된 빔전류 제한장치(70')는 본발명의 일면에 따라, 평균빔전류가 드레쉬홀드를 초과할경우 대비를 감소시키는 제1도에 도시된 평균빔전류 리미터와 유사한 평균빔전류 리미터(70a)를 포함하고 있고, 화상관(40)에 의해 끌리는 실제 빔 전류에 응답하여 평균빔전류 리미터(70a)의 드레쉬홀드를 조절하기 위한 픽크빔전류 리미터(70b)도 포함하고 있다.
실제 빔전류는 화상관 구동증폭기(30)와 화상관(40)의 캐소드 사이에 결합된 이용회로(90)에서 감지된다. 화상관(40)의 세개의 캐소드마다 한개의 전류감지 회로가 필요하다. 그러나, 간략하게 도시하기 위해 오직 적색(R) 비디오신호에 관련한 한개의 캐소드전류 감지 회로(90R)만이 도시되어 있다. 캐소드전류 감지 회로(90R)는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된 에미터폴로워 및 커패시터(C4)를 구비하는 베이스-에미터 바이-패스회로와 캐소드 커패시터를 구동하기 위한 다이오드(D4)를 포함하고 있다. 실제로 한 전류는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접속된 저항(R9)을 통해 흐르는 적색캐소드전류와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다른 전류들은 각각 저항(R10,R11)을 통해 흐르는 청 및 녹색 캐소드 전류와 동일하다. 적,녹 및 청색 캐소드 전류들은 합해져서 전류(i1)를 생성한다. 전류(i1)는 평균빔전류 리미터(70a)의 드레쉬홀드를 조절하는데 이용되고 이에 대해서는 다음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유리하게도, 캐소드 전류감지소자(90)는 재생영상의 블랙레벨과 같은 파라미터들을 자동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조절구간동안에 화상관(40)의 캐소드전류를 감지하는데 이용되는 동일소자이다. 재생영상의 블랙레벨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시스템은 이미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TDA3506 및 TDA 3562와 같은 비디오 신호처리 IC의 일부로서 포함되어 있다. 상기 시스템은 때때로 AKB(자동 키네스코프 바이어싱)시스템이라 불리워진다.
간략히 설명하자면, AKB 시스템은 재생영상의 소망하는 블랙레벨에 상응하는 테스트펄스를 예를들어, 수직 공백구간의 라인구간(22,23,24)과 같은 각각의 순차적 수평라인구간 동안에 각각의 적,청 및 녹색 비디오 신호채널에 삽입하므로써 동작한다. 테스트펄스는 시청자가 볼수 없는 화상관의 오버스캔 영역에 있는 라인 구간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테스트펄스는 가시 인조잡상을 생성하지 않는다. 상기 테스트펄스는 AKB 구간외에는 발생되지 않는다. AKB 구간에서 순차적으로 생성되는 각각의 캐소드 전류는 AKB 구간에서 순차적으로 생성되고 각각의 캐소드 전류 감지회로(90)에 의해 감지되며 각각의 저항(R9,R10,R11)과 빔전류제한 동작에 관련된 저항(R7)에 의해 IC(20)의 AKB 입력단자에 결합된다. 각각의 감지된 캐소드전류는 IC(20)내에 있는 비교적 높은 값을 갖는 저항(도시생략)에 의해 각각의 전압값으로 전환된다. 상기 전압은 IC(20)내의 기준전압과 비교되고 그 결과로서 비교신호는 각각의 비디오신호의 블랙레벨을 세팅하는데 이용된다.
AKB 구간동안, IC(20)의 AKB 입력단자로 흐르는 전류(i1)는 단 하나의 블랙레벨 캐소드전류에 부합하기 때문에 전류(i1)는 극히 작다. 따라서, AKB 기준 전압과 비교되는 전압을 발생키위한 IC(20)의 내부저항은 비교동작을 위한 충분히 높은 전압을 발생키위해 비교적 큰 레지스턴스 값을 가져야 한다. 유효영상구간 동안, 전류(i1)는 캐소드전류의 합계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AKB 구간동안에서 보다 훨씬 크다. 그 결과로서, IC(20)에 손상을 입힐수 있는 비교적 높은 전압이 내부 캐소드 전류감지 저항 양단에 발생될 수 있다. 저항(R7)과 다이오드(D3)를 포함하는 샘플링 회로(100)는 전류(i1)에 비례하는 전압(V2)을 발생키위해 제공되는 한편, 유효영상 구간동안에 IC(20)을 보호한다. 전압(V2)은 전류로 전환되어 트랜지스터(Q2), 다이오드(D5,D6,D7), 저항(R12,R13,R14,R15) 및 포텐셔미터(R16)를 포함하는 제어가능 전류원(110)에 의해 평균빔전류 리미터(70a)의 드레쉬홀드를 결정한다. 특히,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를 통해 공급된 전류는 저항(R2)을 통해 커패시터(C1)로 흐르는 재공급전류와 저항(R17)을 통해 흐르는 전류로 분류된다. 다이오드(D2)는 D2의 캐소드 전압이 D2의 애노드 전압 보다 낮은 대략 0.7 볼트로 떨어질때 전도성을 띠게된다. 다이오드(D2)의 캐소드 전압은 저항(R17)을 통해 흐르는 전류에 의해 결정된다. 저항(R17)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트랜지스터(Q2)에 의해 공급된 전류와 플라이백 변환기(50)의 고전압권선(51)을 통해 흐르는 화상관(40)의 재공급 전류와의 차이이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Q2)에 의해 공급된 전류는 다이오드(D2)가 전도성을 띠게되는 평균빔전류의 레벨을 결정하고 이로써 평균빔전류 리미터(70a)의 드레쉬홀드를 결정한다.
빔전류 제한장치(70')에서, 다이오드(D8)는 화상관(40)의 애쿼댁(aquadag) 커패시터가 초기에 충전될때 발생될 수 있는 역 베이스-에미터간 브레이크다운 전압으로부터 트랜지스터(Q2)를 보호하기 위하여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와 +12 볼트의 공급라인 사이에 결합된다.
제2도에 도시된 빔전류 제한 장치(70')에서는 제1도에 도시된 빔전류 제한 장치(70)의 다이오드(D1)에 상응하는 다이오드가 필요치 않는데, 이는 상기 다이오드의 보호기능이 전류원(110)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이다. 특히, 작은 빔전류에서, 다이오드(D2)의 캐소드에서 발생된 전압은 전류원(110)에 의해 공급된 전류에 의해 제한된다.
동작을 살펴보면, AKB 구간동안에 전류(i1)이 작을 경우 저항(R7)의 접합부에서 발생되는 전압과 IC(20)내에 있는 내부샘플링 저항은 +12볼트 이하값이다. 그결과, 다이오드(D3,D5,D6)는 역바이어싱되고 이로써 비전도성을 띠게 된다. 그 결과로서, 전류(i1)는 모두 IC(20)의 AKB 입력단자로 흐른다.
액티브영상구간동안, 전류(i1)는 캐소드전류의 합계를 나타내고 픽크 빔전류 제한 동작이 다음과 같이 발생되는 점까지 증가할 수 있다. 다이오드(D7)는 순방향 바이어싱되고 이로써 전류(i1)의 저레벨에서 전도성을 띠게되며 전류(i1)가 저항(R14,R15) 및 포텐셔미터(R16)에 의해 결정되는 드레쉬홀드 값에 도달할때까지 그 상태를 유지한다. 다이오드(D7)가 전도성을 띠는 동안,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전압은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그 결과로서,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 및 콜렉터와 평균빔전류 리미터(70a)의 드레쉬홀드도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저항(R7)과 IC(20)내에 있는 내부 샘플링 저항에서 발생되는 전압이 +12 볼트 약간 높아지는(대략 0.7볼트) 지점까지 증가하면, 다이오드(D3,D5,D6)는 전도성을 띠게된다. 그러나 다이오드(D7)는 여전히 전도성을 띠고 있다. 이때, IC(20)의 AKB 단자에서의 전압은 대략 +12.7볼트로 클램핑된다. 다이오드(D5)가 다이오드(D3)를 보상하고, 다이오드(D6)가 다이오드(D7)를 보상하며, 저항(R12)는 저항(R7)과 동일한 값을 갖기 때문에 전류(i1)는 저항(R7)을 포함하는 경로와 저항(R12)을 포함하는 경로사이에 동일하게 분류된다. 다이오드(D7)는 저항(R12)과 저항(R14)접합부에서의 전압이 대략 +12 볼트에 도달할때나 다른 방법으로 살펴보면, 저항(R12)을 통해 흐르는 전류가 실제로 저항(R14)을 통해 흐르는 전류와 동일할때 비전도성을 띠게 된다. 그후에,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압은 전류(i1)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게 된다.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콜렉터 전류는 감소하고 결과적으로 평균빔전류 리미터(70a)의 드레쉬홀드도 감소한다.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전류와 평균빔전류 리미터(70a)의 드레쉬홀드는 전류(i1)가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전압이 +12볼트 보다 약간 높고 다이오드(D8)가 전도성을 띠게되는 지점에 증가할때까지 계속 감소한다. 그후에,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전류와 평균빔전류 리미터(70a)의 드레쉬홀드는 실제로 제로가 된다.
수치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대비 포텐셔미터(R6)는 최대 대비를 생성하기 위해 +4.5볼트의 최대 대비제어 전압을 생성하도록 세팅되고 평균빔전류 리미터(70a)는 1.4ma(밀리암페어)의 평균빔전류가 끌러질때 활성화된다고 가정하자. 상기 조건하에서, 다이오드(D2)의 애노드에서 전압이 +4.5볼트이기 때문에 다이오드(D2)는 저항(R17)양단에 발생된 전압이 대략 +3.8볼트(+4.5볼트-0.7볼트)로 감소할때 전도성을 띠게된다. +3.8볼트의 전압은 저항(R17)을 통해 흐르는 대략 0.8ma(3.8volts/4.7kohm) 전류에 상응한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 전류는 픽크 빔전류 리미터(70b)가 활성화되기 전에 2.2ma(0.8ma+1.4ma)로 세팅되어야만 하는데, 이는 저항(R17)을 통해 흐르는 전류가 0.8ma이고 저항(R2)을 통해 끌려지는 전류가 1.4ma 일때 다이오드(D2)가 전도성을 띠게되기 때문이다. 2.2ma 콜렉터 전류는 에미터 저항(R13)양단에 대략 1볼트(2.2ma×470ohm)의 전압강하를 유발한다. 픽크 빔전류 리미터(70b)가 활성화 될때까지, 다이오드(D7)는 전도성을 띠고 다이오드(D7)양단의 전압강하는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미터 전압강하를 보상한다. 따라서, 픽크 빔전류 리미터가 활성화 되기전에 1.4ma의 평균빔전류 드레쉬홀드를 설정하기 위해 저항(R14:1Kohm) 양단에 1볼트의 전압강하가 발생되도록 포텐셔미터(R16)는 조절되어져야 한다. 상기 상황에서, 다이오드(D7)는 다이오드(D5,D6) 및 저항(R12)를 통해 흐르는 전류(1/2 i1)가 1ma로 증가하거나 전류(i1)가 2ma로 증가할때 전도성을 띠게된다. 전류(i1)를 나타내는 픽크빔전류가 2ma 이상까지 증가하면,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전류와 결과적으로 평균빔전류 리미터(70b)의 드레쉬홀드가 감소한다.
상기 설명된 비선형 빔전류제한 동작은 제2-1도에 도시된 파형(2a,2b,2c)에 의해 그래프로 설명된다. 제2-1도에 도시된 파형에 의해서 대해 포텐셔미터(R6)는 최고대비를 생성하도록 세팅된다고 가정한다. (예컨대 포텐셔미터(R6)의 와이퍼암이 +4.5볼트의 대비제어 전압을 생성하도록 세팅된다) 파형(2a)는 커다란 화이트 윈도의 디스플레이에 상응한다. 빔리미터 드레쉬홀드 제어 포텐셔미터(R16)는 파형(2a)가 생성될때 평균빔전류가 1.4㎃에서 제한되도록 조절되었다고 가정한다. 전류(i1)를 나타내는 픽크빔전류는 평균빔전류보다 대략 25% 큰데, 이는 전류(i1)가 블랭킹 구간동안에 실제로 제로와 동일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전류(i1)는 파형(2a)가 생성될때 실제로 1.8㎃와 동일하고 빔전류 제한 장치(70')는 픽크빔리미터(70b)가 활성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자신의 선형 범위에서 동작한다. 파형(2b)가 생성될때, 전류(i1)는 계단파형의 화이트픽크동안에 증가한다. 이는 다이오드(D7)를 비전도성을 띠도록 유발하고 그결과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 전류가 감소되고 이로써 평균빔전류 리미터(70a)의 드레쉬 홀드도 약 1㎃로 감소된다. 그결과로서, 평균빔 전류는 1㎃에서 제한된다. 전류(i1)의 진폭은 파형(2C)의 픽크에서 더욱 높다. 이는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 전류를 훨씬 감소시키고 이로써, 평균빔전류 리미터(70a)의 드레쉬홀드도 약 0.7㎃로 감소된다. 그결과, 평균빔전류는 0.7㎃의 비교적 작은 값에서 제한된다. 제2-1도의 파형(2a,2b,2c)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비교적 커다란 영역에 상응하는 비디오신호와 비교적 작은 영역에 상응하는 비디오신호에 더욱 균일하게 빔전류 제한 장치(70')의 응답을 만들기 위해서, 캐소드구동 전압(V1)의 진폭은 자동으로 평균빔전류 리미터의 드레쉬홀드를 시프팅 하므로써 조절되고 이는(2a)와(2b)와 같은 파형을 갖는 신호간 차이를 설명해주는 수동 대비 조절 장치의 사용필요성을 막아주며 TV 수상기나 모니터를 블루밍(blooming)이나 잠재적으로 핫-스폿(hot-spot)를 손상함이 없이 높은 대비에서 동작되도록 한다.
텍스트에 상응하는 신호와 같은 전체화면 멀티버스트(multiburst) 신호가 평균빔전류(70a)의 과비례적인 감소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이는 캐소드 커패시턴스에 대한 충전전류에 의해 유발된다. 충전전류는 전류(i1)에 기여를 하고 그 결과 대비의 감소를 가져온다. 이는 전체화면 텍스트가 디스플레이 될때 판독성 개선에 있어서 바람직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빔전류 제한 장치(70')가 평균빔전류 리미터(70a)와 픽크전류 리미터(70b)의 제어기능을 상호의존하는 형식으로 결합시킨다는 것도 주목해야 한다. 특히, 포텐셔미터(R16)는 평균빔전류 리미터(70a)와 픽크빔전류 리미터(70b)에 대한 드레쉬홀드를 결정한다. 그결과, 드레쉬홀드는 자동적으로 서로서로 트랙킹한다. 예컨대, 평균빔전류 리미터(70a)에 대한 2㎃의 드레쉬홀드를 제공하기 위해 포텐셔미터(R16)을 조정하면 픽크전류 리미터(70b)에 대한 드레쉬홀드는 2.6㎃가 된다. 이와같은 트랙킹 관계는 구성효소 허용차 및 섀시내에 다른 화상관을 사용할때 드레쉬홀드의 조정을 필요로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된 실시예의 다양한 수정도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빔전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서 영상의 대비를 조절함에 의해서 제한될 수 있다. 빔전류는 영상의 밝기를 대비와 함께 또는 독자적으로 조절하므로써 감소될 수도 있다. 덧붙쳐서, AKB 감지 회로소자가 화상관에 의해 끌리는 실제 빔전류를 감지하는데도 사용되는 한편, 다른 감지회로 소자는 상기 목적에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저레벨 적(r) 녹(g) 및 청(b)비디오 신호를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신호의 사용은 실제 빔전류의 근사값만을 생성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신호들이 화상관의 허용차를 설명하기 위해 화상관 구동증폭기(30)내에서 이루어지는 조정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캐소드에서 직접적으로 캐소드전류를 감지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게다가, 모든 세개의 칼라 신호의 진폭이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감지되는 한편, 모든 세개의 칼라신호보다 적은 신호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한데, 즉 휘도정보에 매우 명확히 상응하는 녹색신호만을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감지장치는 실제 빔전류를 정확하게 나타내지는 못하는데 이는 실제 빔전류가 세개의 캐소드 전류의 합계에 상응하기 때문이다.
다음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발명의 범위내에서 상기 및 기타 다른 다양한 수정이 가능하다.

Claims (7)

  1. 디스플레이에 적합한 비디오 출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비디오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채널(20,30)과 ; 전원(50,51,60)과 ; 상기 비디오 신호 처리 채널(20,30)과 상기 전원(50,51,60)에 결합되고 상기 비디오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으로부터 전류를 끌어오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4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서 상기 전원(50,51,60)으로부터 끌려오는 평균 전류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전원에 결합되는 수단(70a)과 ;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서 상기 전원(50,51,60)으로부터 끌려오는 평균 전류가 제어 가능한 드레쉬 홀드값을 초과할 때 상기 비디오 출력 신호의 특성을 결정하는 영상 특성을 조정하도록 상기 비디오 신호 처리 채널(20,30)과 상기 평균 전류 감지 수단(70a) 사이에 결합되는 수단(20,70a)과; 상기 비디오 출력 신호의 진폭을 감지하도록 상기 비디오 신호 처리 채널(20,30)에 결합되는 수단(9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빔전류 제한 장치에 있어서, 비디오 출력 신호의 진폭에 응답하여 상기 조정 수단(20,70a)의 드레쉬 홀드를 셋팅하도록 상기 조정 수단(20,70a)에 결합되는 수단(70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40)는 상기 전원(50,51,60)의 제1단자(51)에 결합되고; 상기 평균 전류 감지 수단(70a)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인가되는 전류를 필터링하기 위해 상기 전원(50,51,60)의 제2단자에 결합되는 필터 회로(R2,C2)를 포함하며; 상기 드레쉬 홀드 세팅 수단(70b)은 상기 비디오 출력 신호의 진폭에 응답하며 상기 필터 회로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해 상기 필터 회로에 결합되는 제어 가능한 전류원(1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40)는 적어도 하나의 캐소드(R.G.B)를 구비하는 화상관이고; 상기 비디오 신호 처리 채널(20,30)은 상기 화상관(40)의 상기 캐소드를 직접 구동하기 위해 상기 비디오 출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캐소드(R.G.B)에 결합되는 화상관 구동 증폭기(30)를 구비하며; 상기 비디오 신호 감지 수단(90)은 상기 캐소드(R.G.B)에 결합되는 전류 감지 소자(D4)를 구비하고; 상기 드레쉬 홀드 세팅 수단(70b)은 상기 조정 수단(70a)의 드레쉬 홀드를 세팅하도록 상기 전류 감지 수단(D4)에 의해 감지된 전류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세개의 캐소드(R.G.B)를 구비하는 칼라 화상관이고; 상기 비디오 신호 처리 채널(20,30)은 상기 화상관(40)의 각 캐소드를 직접 구동하기에 적합한 세개의 칼라 비디오 출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각각의 상기 캐소드(R.G.B)에 결합되는 세개의 화상관 구동 증폭기(30)를 구비하며; 상기 비디오 신호 감지 수단(90)은 상기 화상관의 각 캐소드에 결합되는 세개의 전류 감지 소자(D4)를 구비하고; 상기 드레쉬 홀드 세팅 수단(70b)은 상기 조정 수단(70a)의 드레쉬 홀드를 세팅하도록 상기 전류 감지 소자(D4)에 의해 감지된 세개의 캐소드 전류의 결합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40)는 적어도 하나의 캐소드(R.G.B)를 구비하는 화상관이고; 상기 비디오 신호 처리 채널(20,30)은 상기 화상관(40)의 캐소드를 직접 구동하기 위해 상기 비디오 출력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캐소드(R.G.B)에 결합된 화상관 구동 증폭기(30)를 구비하며; 상기 비디오 신호 처리 채널(20,30)은 테스트 기간 동안에 상기 비디오 출력 신호를 소정의 테스트 레벨에 세팅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테스트 기간 동안에 상기 캐소드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도록 상기 캐소드에 결합되는 수단(90)과, 상기 테스트 기간 동안에 감지된 캐소드 전류에 응답하여 상기 비디오 출력신호의 특성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20,70')을 포함하고 ; 상기 비디오 신호 감지 수단(90)은 상기 테스트 기간 동안에 상기 캐소드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도록 상기 캐소드에 결합되는 상기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드레쉬 홀드 세팅 수단(70b)은 상기 조정 수단의 드레쉬 홀드를 세팅하도록 상기 테스트 기간이 아닌 시간동안 상기 캐소드 전류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전류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관(40)은 세개의 캐소드를 포함하는 칼라 화상관이고; 상기 비디오 신호 처리 채널(20,30)은 상기 화상관(40)의 상기 세개의 캐소드(R.G.B) 각각을 직접 구동하기에 적합한 세개의 각각의 칼라 비디오 출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세개의 캐소드(R.G.B)각각에 결합되는 세개의 화상관 구동 증폭기(30)를 구비하며; 상기 비디오 신호 처리 채널(20,30)은 테스트 기간 동안에 세개의 상기 칼라 비디오 출력 신호를 각 테스트 레벨에 세팅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테스트 기간 동안에 세개의 각각의 캐소드 전류를 감지하도록 상기 세개의 캐소드(R.G.B) 각각에 결합되는 세개의 수단과, 상기 테스트 기간 동안에 감지된 세개의 각각의 캐소드 전류에 응답하여 상기 세개의 칼라 비디오 출력 신호의 특성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20,70')을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 신호 감지 수단(90)은 상기 세개의 캐소드 전류 감지 수단(D4)을 포함하며; 상기 드레쉬 홀드 세팅 수단(70b)은 상기 조정 수단의 드레쉬 홀드를 세팅하기 위해 상기 테스트 기간외의 시간 동안에 상기 캐소드 전류 감지 수단에 의해 감지된 세개의 캐소드 전류의 결합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출력 신호의 특성을 결정하는 상기 영상 특성은 상기 비디오 출력 신호의 픽크대 픽크 진폭이며, 상기 영상 특성은 콘트라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20702268A 1990-03-20 1991-03-19 픽크 진폭 응답 드레쉬 홀드를 갖는 빔전류 제한 장치 KR01855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006250.6 1990-03-20
GB909006250A GB9006250D0 (en) 1990-03-20 1990-03-20 Non-linear beam current limiter
PCT/US1991/001808 WO1991015080A1 (en) 1990-03-20 1991-03-19 Beam current limiting arrangement having a peak amplitude responsive threshol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1047A KR930701047A (ko) 1993-03-16
KR0185573B1 true KR0185573B1 (ko) 1999-05-01

Family

ID=10672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2268A KR0185573B1 (ko) 1990-03-20 1991-03-19 픽크 진폭 응답 드레쉬 홀드를 갖는 빔전류 제한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0551379B1 (ko)
JP (1) JP3354570B2 (ko)
KR (1) KR0185573B1 (ko)
CN (1) CN1029283C (ko)
DE (1) DE69126532T2 (ko)
ES (1) ES2104725T3 (ko)
GB (1) GB9006250D0 (ko)
HK (1) HK1004591A1 (ko)
MY (1) MY104808A (ko)
SG (1) SG82526A1 (ko)
WO (1) WO19910150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18387A1 (de) * 1997-10-20 1999-04-22 Thomson Brandt Gmbh Verfahren zum Regeln der Bildleistung bei einem Fernsehempfäng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7025A (en) * 1978-02-09 1979-09-04 Rca Corporation Automatic peak beam current limiter
US4599643A (en) * 1983-12-29 1986-07-08 Rca Corporation Apparatus responsive to plural color video signals for amplitude limiting the video signals to assist beam current limiting
US4599642A (en) * 1984-03-02 1986-07-08 Rca Corporation Video signal processor with bias error compensation
US4633320A (en) * 1984-03-08 1986-12-30 Rca Corporation Video signal processor with automatic kinescope beam current limi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04591A1 (en) 1998-11-27
CN1029283C (zh) 1995-07-05
CN1055096A (zh) 1991-10-02
JP3354570B2 (ja) 2002-12-09
DE69126532D1 (de) 1997-07-17
EP0551379B1 (en) 1997-06-11
JPH05505713A (ja) 1993-08-19
ES2104725T3 (es) 1997-10-16
SG82526A1 (en) 2001-08-21
WO1991015080A1 (en) 1991-10-03
MY104808A (en) 1994-05-31
EP0551379A1 (en) 1993-07-21
GB9006250D0 (en) 1990-05-16
DE69126532T2 (de) 1997-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63622A (en) Automatic kinescope biasing system
US4126884A (en) Kinescope beam current limiter employing automatic sequential control of image contrast and brightness to limit beam current
CA1154152A (en)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RU213023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ки яркости и контраста в телевизионном приемнике
US5034667A (en) Raster size regulating circuit
US5313294A (en) Beam current limiting arrangement having a peak amplitude, responsive threshold
NZ208243A (en) Crt beam current limiter inhibited during white balance intervals
GB1586092A (en) Brightness control apparatus
KR930004801B1 (ko) 빔 전류 제한 제어장치
CA2082243C (en) Contrast beam current limiting arrangement with secondary brightness beam current limiting provisions
GB1601305A (en) Average beam current limiter
KR100272736B1 (ko) 빔 전류 표시 신호 발생용 장치
EP0393977B1 (en) Video control circuit
KR0185573B1 (ko) 픽크 진폭 응답 드레쉬 홀드를 갖는 빔전류 제한 장치
EP0574711B1 (en) Automatic contrast control circuit with inserted vertical blanking
KR920003724B1 (ko) 자동 영상관 바이어스 제어장치
US3848945A (en) Brightness limiting circuit
EP0074081A2 (en) Signal processing unit
US4523233A (en) Automatic bias control system with compensated sense point
KR100338232B1 (ko) 감마보정기능을갖는키네스코프구동장치
US6614482B1 (en) Video output stage with self-regulating beam current limiting
US4079424A (en) Automatic transient beam current limiter
GB2163327A (en) Display device bias system
JP2894703B2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信方法
CA1257383A (en) Kinescope bias sensing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