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295Y1 - 드럼 코아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드럼 코아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295Y1
KR910006295Y1 KR2019890011750U KR890011750U KR910006295Y1 KR 910006295 Y1 KR910006295 Y1 KR 910006295Y1 KR 2019890011750 U KR2019890011750 U KR 2019890011750U KR 890011750 U KR890011750 U KR 890011750U KR 910006295 Y1 KR910006295 Y1 KR 9100062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core
chucking
holder
fixing device
mai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17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4951U (ko
Inventor
강재호
진종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17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6295Y1/ko
Publication of KR9100049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9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2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2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드럼 코아 고정 장치
제1도 내지 제2도는 본 고안을 나타낸 것으로서, 제1도는 본 고안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축 2 : 척킹 부
3 : 홀더 4 : 스프링 시이트
5 : 테이퍼 부 6 : 척킹 손잡이
7 : 스프링
본 고안은 드럼 코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 코아에 코일을 권선하기 위한 권선기가 드럼 코아를 고정할 때 드럼 코아가 정확히 고정되는 척킹부를 갖는 드럼 코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권선기가 드럼 코아에 코일을 권선하고자 할 때, 드럼 코아를 고정하는 상태로 회전 시켜 드럼 코아에 코일을 권선하였다.
이와같이 권선기가 드럼 코아에 코일을 권선하기 위해 드럼 코아를 고정할 때, 일정한 사이즈의 홈을 구비한 홀더에 스크류 볼트등을 이용하여 드럼 코아를 고정하는 드럼 코아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드럼 코아 고정장치는 종래의 드럼 코아 고정장치에 고정되는 드럼 코아 외주부의 형태나 크기가 일정치 않을 경우 즉, 드럼 코아 고정장치의 홀더의 외주보다 드럼 코아의 외주가 큰 경우에는 드럼 코아를 고정할 수 없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드럼 코아 고정장치 홀더의 외주 보다 드럼 코아의 외주가 작은 경우에는 고정되어도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드럼코아 외주부의 형태나 크기가 일정치 않기 때문에 발생된 드럼 코아가 권선기의 드럼 코아 고정장치에 고정되지 않은 문제점을 해결한 드럼 코아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권선기에 삽입되는 주축과, 상기 주축과 일체이며 소정의 확장력을 갖고 수축과 확장 및 고정이 가느한 척킹 부로 구성된 홀더와, 상기 홀더와 주축의 이음 부분에 주축과 일체로 구성된 스프링 시이트와, 상기 홀더의 끝단에 설치된 테이퍼 부와, 상기 테이퍼 부와 같은 경사각을 갖고 홀더의 끝단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척킹 손잡이와, 상기 스프링 시이트와 척킹 손잡이 사이에 척킹부의 확장력보다 큰 압력을 갖고 개재된 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 드럼 코아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드럼 코아 고정장치의 홀더가 소정의 내주부를 갖고 요홈상인 척킹 부와 적어도 2개 이상의 척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갖는 드럼 코아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중 부호 1은 권선기에 삽입 결착되는 주축을 나타낸 것이고, 부호 2는 공정물을 홀딩할 수 있는 척킹(chucking)부를 나타낸 것이고, 도면중 부호 3은 3개의 척이 상기 주축(1)과 일체로 된 홀더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척킹 부(2)는 고정하고자 하는 고정물의 외주보다 크게 벌어질 정도의 확장력을 갖도록 제작된다.
부호 4는 상기 주축(1)과 홀더(3)의 구분되는 곳에서 주축(1)과 일체로 된 스프링 시이트를 나타낸 것이다.
부호 5는 테이퍼 부를 나타낸 것이고, 부호 6은 상기 테이퍼 부(5)에서 슬라이딩 되는 척킹 손잡이를 나타낸 것이다.
부호 7은 상기 스프링 시이트(4)와 척킹 손잡이(6) 사이에 소정의 텐션(tension)을 갖고 개재된 스프링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스프링(7)은 척킹 부(2)가 벌어지려는 강도 보다 큰 강도를 갖는 것으로 구성한다.
부호 8은 상기 척킹부(2)에 삽입되어 그 외주가 맞물리는 드럼 코아를 나타낸 것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부호 3a, 3b, 3c는 3개의 척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상기 척(3a, 3b, 3c)는 한정된 것이 아니고, 수많은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즉, 상기 척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고정물을 고정 시킬 수 있을 정도면 된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주축(1)을 권선기에 삽입 고정한 후 척킹 손잡이(6)를 손으로 밀어 홀더(3)의 척킹부(2)를 확장 시킨다.
이때 스프링(7)은 수축되어 미는 힘을 갖는다.
따라서, 드럼 코아(8)을 척킹부(2)에 삽입한 후 척킹 손잡이(6)을 놓게되면 스프링(7)의 반발력으로 테이퍼부(5)를 슬라이딩하여 척킹부(2)를 축소시킨다.
그러므로 척킹부(2)에 삽입된 드럼 코아(8)이 고정된다.
이때, 드럼 코아(8)의 크기가 크면 척킹 손잡이(6)이 홀더(3)의 끝단부로 적게 밀려 고정 되고, 드럼 코아(8)의 크기가 작으면 척킹 손잡이(6)이 많이 밀려 고정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장치는 드럼 코아(8)의 크기가 불규칙하여도 고정장치의 고정 상태와 불안정하지는 않게 된다.
이와같이 드럼 코아(8)을 본 고안의 드럼 코아 고정장치가 고정시키게 되면 권선기가 드럼 코아 고정장치에 고정된 드럼 코아(8)을 회전 시켜 코일을 권선하게 된다. 드럼코아(8)의 권선작업이 완되면 척킹 손잡이(6)을 밀어 척킹부(2)를 확장시켜 작업이 완료된 드럼코아(8)을 탈착 시킴으로서 작업이 종료된다.
이와같은 동작을 하는 본 고안을 사용하게되면 권선 작업의 단순화를 이룰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드럼 코아의 크기가 불규칙하여도 드럼 코아의 고정이 완벽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권선기 작업을 보빈(boobin)등에 실시할 경우에도 보빈의 고정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Claims (2)

  1. 권선기의 드럼 코아 고정장치에 있어서, 권선기에 삽입되는 주축(1)과, 상기 주축(1)과 일체이며 소정의 확장력을 갖고 수축과 확장 및 고정이 가능한 척킹부(2)로 구성된 홀더(3)과, 상기 홀더(3)과 주축(1)의 이음부분에 주축(1)과 일체로 구성된 스프링 시이트(4)와, 상기 홀더(3)의 끝단에 설치된 테이퍼 부(5)와, 상기 테이퍼 부(5)와 같은 경사각을 갖고 홀더(3)의 끝단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척킹 손잡이(6)와, 상기 스프링 시이트(4)와 척킹 손잡이(6) 사이에 척킹부(2)의 확장력 보다 큰 압력을 갖고 개재된 스프링(7)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코아 고정장치.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홀더(3)이 적어도 2개 이상의 척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코아 고정장치.
KR2019890011750U 1989-08-08 1989-08-08 드럼 코아 고정 장치 KR9100062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1750U KR910006295Y1 (ko) 1989-08-08 1989-08-08 드럼 코아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1750U KR910006295Y1 (ko) 1989-08-08 1989-08-08 드럼 코아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951U KR910004951U (ko) 1991-03-19
KR910006295Y1 true KR910006295Y1 (ko) 1991-08-22

Family

ID=19289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1750U KR910006295Y1 (ko) 1989-08-08 1989-08-08 드럼 코아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629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951U (ko) 1991-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12742Y2 (ja) 歯科用ハンドピース
KR910006295Y1 (ko) 드럼 코아 고정 장치
US2486044A (en) Tap grinding fixture
JPS5835804B2 (ja) 内歯歯車を有する工作物のコレツトチヤツク
JPH0726280Y2 (ja) シート巻取機に装着される紙管用チャック
JP3096837B2 (ja) 旋盤の被加工物保持装置
JP3124679B2 (ja) チャック機構及びコレットチャック
US2815217A (en) Collets
US5772219A (en) Collet stop
JP2700435B2 (ja) チャック
US2956463A (en) Helical spring sleeve for lathes
JP2686557B2 (ja) コレットチャック
KR200178131Y1 (ko) 피가공체의 척킹장치
JPH0819906A (ja) 工具ホルダのクランプ装置
JPH0524425Y2 (ko)
JP2002012345A (ja) 巻芯固定装置
JPS601924Y2 (ja) コレットチャツク装置
JP2535490Y2 (ja) 切削工具把持用チャック
RU1808495C (ru) Оправка
GB2059830A (en) A spot weld milling tool
JP2893467B2 (ja) セラミック素地チューブの円筒研削用チャック
JPH05105329A (ja) 線条体巻取機のボビン固定装置
JPH054911Y2 (ko)
FI103649B (fi) Menetelmä ja laite työstettävän kappaleen merkitsemiseksi
JPH0520812U (ja) ドリ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